KR930010662B1 - 연료 분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젤기관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젤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662B1
KR930010662B1 KR1019850002370A KR850002370A KR930010662B1 KR 930010662 B1 KR930010662 B1 KR 930010662B1 KR 1019850002370 A KR1019850002370 A KR 1019850002370A KR 850002370 A KR850002370 A KR 850002370A KR 930010662 B1 KR930010662 B1 KR 93001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fuel
chamber
injecto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2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642A (ko
Inventor
페터 선 페데르센
Original Assignee
엠. 에이. 엔.-비 앤드 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제너 묄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 에이. 엔.-비 앤드 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제너 묄러 filed Critical 엠. 에이. 엔.-비 앤드 떠블유 디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850007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41/00Fuel-injection apparatus with two or more injectors fed from a common pressure-source sequentially by means of a distribu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료 분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젤기관
제1도는 액체인 주연료를 기관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인 분사기의 최전방 단부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주연료가 가스상인 본 발명의 변형예의 분사기의 최전방 단부의 축방향 단면도.
제3도는 분사기간중에 분무기의 압력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축 안내부 2 : 분무기
6 : 주축 10 : 슬라이드
14 : 챔버 23 : 스프링
본 발명은 주연료와 액체 파일럿(pilot) 연료를 각각의 엔진 실린더로 분사하는 노즐구멍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기와 각기 작동 싸이클중에 분사된 주연료의량을 계측하기위해 작동되는 별개의 장치등을 포함하는 연료장치를 지니는 디젤기관에 관한 것이다.
어떤 디젤기관 연료에 있어서 통상 세탄가(cetane number)로 표현되는 발화성 또는 점화성은 전행의 최적화에 필요한 작동 싸이클 순간에 분사된 연료의 확실한 점화를 보장하는데 불충분하다. 그러한 연료들의 예로서는 "용매정제된 석탄"과 중분류의 고가의 크랙킹(cracking)을 포함하는 정제과정으로 부터의 찌꺼기를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들의 높은 비율의 혼합물을 들수 있다. 더욱이, 특히 소형기관에서 흥미있는 메탄올, 및 에탄올 및 천연가스, 석탄가스 및 생물가스등을 포함하는 여러가스들과 같은 대체연료는 그 세탄가가 매우 낮아서 부정적으로 될 수 있다. 점화성이 낮은 연료들을 사용하는데 따른 관심사는 전통적인 연료보다 더 많은 량을 이용할 수 있게하는데 있는바, 이는 그 값이 싸기 때문이다.
낮은 발화성 연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매우 높은 압축비에 의지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스오일 또는 디젤오일등과 같은 점화가 잘되는 파일럿 연료를 낮은 점화성의 주연료에 일정량을 첨가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두 연료의 균질한 혼합물을 엔진에 공급함으로서 기존의 분사장치를 거의 변경시키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전체 연료량의 통상 10-20%정도 비싼값의 파일럿 연료를 필요로 한다. 더욱기 이러한 기술은 주연료가 액체이며 연료 결합제와 함께 사용될때만 가능한데, 상기 연료 결합제는 유화용 첨가제를 포함해야하며 혼합물의 저장중에 상분리를 회피하기위한 수단을 취하는 것을 요한다.
본 발명은 1983년 파리에서 개최된 CIMAC회의에서의 보고서 D 11.2의 "고출력 고효율 가스 연소 디젤기관의 개발"이라는 제하의 논문에 소개된 기술과는 다른 것이다. 상기 공지 기술에서, 주연료와 파일럿 연료들은 개별적으로 분사기에 공급되며, 상기 분사기는 각기 연료 분사용의 2개조의 노즐 구멍이 있는 분무기를 지니며, 또한 연합된 노즐 구멍들로의 연료통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연합된 밸브장치를 지닌다. 상기 논문에서는 주연료(가스) 95%와 파일럿 연료(디젤오일) 5%로 전부하에서 기관을 운전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러한 비율은 운전중에 변경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2개조의 밸브장치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특히, 기관의 시동중에 액체의 파일럿 연료만으로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한 파일럿 연료량을 감소시키며, 또한 연료장치의 구성 및 제어를 단순화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각각 엔진 실린더에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연료 분사기, 가압된 주연료를 각각의 연료분사기의 주연료 인입구로 공급하는 장치, 액체 파일럿 연료의 공통의 저장소, 및 그 저장소로부터 각각의 연료 분사기의 파일럿 연료 인입구까지의 도관을 포함하는 연료 장치를 지니는 디젤기관을 제공하는바, 상기 연료 분사기는 분사기의 정면 단부에 위치하며 단부벽과 한조의 노즐 구멍이 내장된 내측의 원통형 측벽을 지니는 중공(中空)형 분무기, 그 분무기내의 좁은 접합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측벽에 유출구 구멍이 있는 내부의 공동을 지니는 원통형 슬라이드(slide), 상기 주연료 인입구와 슬라이드 공동을 연결하는 연료통로, 노즐 구멍이 슬라이드의 측벽에 의해 밀폐되며 슬라이드의 전방 단부면의 챔버를 형성하도록 분무기 단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드 최전방 단부 위치를 한정하는 장치, 상기 슬라이드 공공으로부터 노즐 구멍을 통해 연료분사를 개시시키도록 슬라이드를 상기 단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상기 챔버를 공통의 파일럿 연료 저장소에 연결하여 연료가 챔버만을 향해 흐르게 하는 첵 밸브를 포함하는 파일럿 연료통로, 및 상기 챔버와 슬라이드 공동을 연결하며 슬라이드에 형성된 비교적 좁은 구멍(bore)으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한 연료장치의 단순화는 분사과정의 제어가 기관 실린더의 연소실내로 돌출하는 분무기 측벽의 최전방 단부에 있는 노즐구멍을 교대로 개폐하는 슬라이드에 의해 단독으로 수행되는 사실에 관계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슬라이드는 분사주기의 시작과 끝사이에서 분무기 안에서 왕복운동할 뿐만 아니라, 분사가 끝난 다음의 전진 운동중에는, 연료를 슬라이드 단부면 앞의 챔버로부터 슬라이드 공동의 최전방부로 주입하는 플런저(plunger)로서 작용하는바, 이때 슬라이드가 노즐구멍를 밀폐한다. 후속하는 비작동 기간중에 슬라이드는 그의 최전방 단부 위치에 유지되며, 파일럿 연료가 슬라이드 공동의 최전방부에 제공되며, 이어서 후속의 최초 상황동안 연료가 분사됨으로써, 각각의 분사 주기는 높은 비율의 파일럿 연료를 포함한다. 이것은 노즐 구멍을 통해 나오는 연료 분사물의 점화를 촉진시키므로써, 잔여 기간중에 분사되는 연료는 그것이 거의 주연료만을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별 어려움없이 점화되도록 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듯이, 슬라이드 전방의 챔버에는, 각기 작동사이클중에 공통 저장소로부터, 그 저장소를 챔버에 연결하는 통로내의 첵 벨브를 거쳐 연료가 재공급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파일럿 연료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분사 기간의 매우 짧은 초기 부분중에만 파일럿 단독으로 또는 주연료와 함께 분사되기 때문이다. 예를들면, 저속의 2행정 선박기관에 있어서 각각의 연료 분사물의 제1의 4-5%는 10-20%의 파일럿 연료를 포함하며 즉각적인 점화를 보장하기 충분하며, 따라서 순수 주연료가 잔여 기간동안 분사되도록 연료장치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파일럿 연료 소비는 전부하에서 전체 소비량의 1% 또는 그 미만으로 감소된다. 감소된 기관 부하에서는 저압력 및 온도 수준 때문에 점화가 보다 어려우며, 이때는 분사되는 전체량에 대한 파일럿 연료의 비율이 더 증가된다.
파일럿 연료 저장소의 유출 압력을 변경시키기 위한 장치를 지닌 기관을 제공하는 것이 편리하다. 그때 간단한 방법으로 운전 조건의 변화에 따라 두 연료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바 이는 더 높은 유출 압력이 실린더로 먼저 분사되는 연료의 파일럿 연료의 더 큰 비율을 결과로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기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연료 분사기를 제공하는바, 그 분사기는 분사기의 정면단부에 위치하며 단부벽과 한조의 노즐 구멍이 내장된 내측의 원통형 측벽을 지니는 중공(中空)형 분무기, 그 분무기내의 좁은 접합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내측벽에 유출구 구멍이 있는 내부의 공동을 지니는 원통형 슬라이드(slide).
상기 주연료 인입구와 슬라이드 공동을 연결하는 연료통로, 노즐 구멍이 슬라이드의 측벽에 의해 밀폐되며 슬라이드의 전방 단부면이 쳄버를 형성하도록 분무기 단부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드의 최전방 단부 위치를 한정하는 장치, 상기 슬라이드 공동으로부터 노즐 구멍을 통해 연료분사를 개시시키도록 슬라이드를 상기 단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상기 챔버를 공통의 파일럿 연료 저장소에 연결하며 연료가 챔버만을 향해 흐르게 하는 첵 밸브를 포함하는 파일럿 연료통로, 및 상기 챔버와 슬라이드 공동을 연결하며 슬라이드에 형성된 비교적 좁은 구멍(bore)으로 구성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들 및 관련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작동중 기관 실린더의 연소실속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분사기의 최전방 단부만이 도시 및 설명되어 있다. 직접적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상세한 분사기의 구조 및 설치에 대한 것은 공개된 덴마크왕국 특허출원 제 2532/82호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출원에 소개된 분사기와 비슷한 제1도에 도시된 분사기는 외측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으 포함하는바, 그 하우징에 의해 분사기가 디젤기관의 실린더 덮개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은 주축 안내부(1)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 주축 안내부(1)의 전방 단부에는 분무기(2)가 전자 비임(beam)용접 또는 압형 맞춤등으로 고정된다. 주축안내부는 분무기상의 원추형 턱(3)을 통해 상기 언급한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하우징상의 마주보는 턱과 계합상태도 유지된다.
분사기가 기관 실린더 덮개에 설치될 때 연소실내로 돌출되는 분사기의 최전방 단부에서, 분무기(2)는 단부벽(4)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그 단부벽 뒤의 일정 이격위치에서 분무기의 측벽에는 기관 실린더 내로 연료를 분사하기위한 경사진 다수의 노즐구멍(5)이 제공되어 있다. 주축(6)은 그 안내부(1)에 밀착되어 끼워 맞춰져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주축(6)은 최전방 단부에는 원추형 시이트 표면이 형성되어 주축안내부(1)의 마주보는 원추형 표면과 함께 주축(6)의 중심도관(8) 및 경사구멍(9)을 통해 공급되는 주연료용의 차단밸브(7)을 구성한다. 밸브를 형성하는 원추형 시이트 표면들은, 노즐구멍(5)들이 슬라이드의 측벽에 의해 폐쇄되는 슬라이드(10)의 최전방 단부 위치를 한정하는 장치(7')로 작용한다.
밸브(7) 하부의 주축(6)의 최전방 단부에 고정된 외측의 원통형 슬라이드(10)는, 분무기(2)내의 삽입물로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10)는 그 벽의 최후방 단부의 구멍(12)들을 통하여 밸브(7)의 하부측과 통하는 내부의 공동(11)을 지닌다. 슬라이드(10)의 전방 단부면의 바로 뒤의 공동(11)은, 슬라이드의 원통형 표면의 아아치모양의 유출구로 통하는 외측으로 경사진 부분(13)에서 끝난다. 상기 유출구는 주축(6)과 슬라이드(10)가 제1도에 도시된 밀폐 위치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승강될때 노즐구멍(5)과 정렬되게 위치하며, 밀폐위치에서 노즐구멍(5)들은 슬라이드 (10)벽으로 밀폐된다.
밀폐위치에서, 밸브(7)의 상기 시이트 표면들간의 액밀계합이 주축 안내부(1)를 포함하는 분사기의 고정부와 주축(6) 사이에서 작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밀폐 스프링에 의해 확실히 보장되며, 슬라이드(10)의 단부면은 분무기 단부벽(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그 단부벽(4)과 함께 챔버(14)를 형성한다. 좁은 구멍(15)은 챔버(14)로부터 슬라이드 단부벽을 통하여 공동(11)의 경사진 부분(13)내로 이어져있다. 챔버(14)는, 슬라이드 표면내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홈(16)을 통해 분무기(2)내의 환형관(17)과 연통하며, 그 도관은 분무기(2) 및 주축 안내부(1)내의 정렬된 구멍들(18,19)을 통해 주축 안내부의 벽내의 챔버(20)와 연통한다. 파일럿 연료 공급관(21)은 챔버(20)내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관의 입구는 정상적으로 첵 밸브에 의해 폐쇄되는바, 상기 첵 밸브는 볼(22), 그에 관련된 스프링(23) 및 스프링 보지기(24)로 구성되어 있다.
분사기가 디젤기관의 연료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면, 기관 부하를 조화시키는데 적합한 액체 주연료의 계량된 량이, 통상적인 방식으로 엔진 실린더의 각각의 작동 싸이클의 적당한 순간에, 관(8)과 연통하는 도시되지 않은 주연료 인입구로 공급된다. 각각의 실린더의 분사기는 분리된 연료 펌프로부터 또는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밸브를 통하여 공통의 고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반면, 보다 점화가 잘되는 파일럿 연료가 각각의 분사기의 파일럿 연료 인입구(도시되지 않음)에 직접 연결된 공통의 고압원으로부터 공급되는바, 상기 파일럿 연료 인입구는 분사기의 공급관(21)과 연통한다. 상기의 파일럿 연료 저장소에는, 상술한 폐쇄 스프링에 의해(도시되지 않음) 주축(6)에 가해진 밀폐력을 극복함으로써 밸브(7)의 개방을 시작하도록 주연료에 필요한 압력과 같은 크기로 될 수있는 적당한, 바람직하게는 조절가능한 압력이 유지된다.
분사기의 기능의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부호(1)로 표시된 하부 곡선은 가로좌표인 시간 "t"에 대한 주축(6)과 슬라이드(10)의 승강을 나타낸다. 상기 상승곡선 상부에는 동일한 가로좌표에 대한, 챔버(14)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실선곡선(Ⅱ)이 도시되어 있다. 2점 쇄선 곡선부분(Ⅲ)은 개방 및 밀폐 이동중의 슬라이드 공동(11,13)의 압력을 나타내며, 그 압력은 챔버(14)의 압력으로부터 벗어나있다. 작동 싸이클의 잔여 기간동안 두 압력은 같게 되거나 거의 같게 된다.
시간 t1에서의 승강운동은 주연료 공급관(8)의 압력의 증가에 영향을 받아 시작된다. 그 시간전에는 챔버(14) 및 슬라이드 공동(11,13)들의 압력은 같게되며 관(21)에 연결된 전술된 파일럿 연료의 압력과 같게 된다. t1에서 t2까지의 승강운동의 첫째 부분중에, 공동내의 압력은 곡선(Ⅲ)에서 처럼 공급관(8)내의 압력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크게된다. 챔버(14)의 압력은 구멍(15)의 작은 단면적 때문에 보다 느리게 증가한다. 책 밸브(22)가 폐쇄되어 연료가 슬라이드 공동으로부터 챔버(14)로 구멍(15)을 통하여 흐른다. 시간 t2에서 슬라이드(10)는, 노즐구멍(5)을 개방시키도록 많이 승강된다. 그 결과 공동(11,13) 및 챔버(14)내의 두 압력은 초기에 강하되고, 첵 밸브(22)는 개방되어 파일럿 연료가 매우 서서히 챔버(14)로 흐르며 이어서 그로부터 구멍(15)을 통하여 슬라이드 공동으로 흐른다. 구멍(15)의 스로틀링 작용때문에 압력강하는 공동(11,13)에서 보다 챔버(14)에서 더 작은바, 이 곡선(Ⅱ)와 (Ⅲ)은 비교하면 명백히 알 수 있다.
시간 t3에서 슬라이드(10)을 지닌 주축(6)은 도시되지 않은 멈추개로 결정되는 최상단부 위치에 이르게 되며, 그 위치에서 슬라이드 공동의 경사진 부분(13)의 유출구는 노즐구멍(5)에 정렬되어 가능한한 넓게 개방된다.
시간 t3로부터 전진하여 시간 t4까지 곡선(Ⅱ)에서 볼수 있듯이 초기의 증가된 압력에서 주 분사가 일어나며, 그 기간중에 첵 밸브(22)는 폐쇄된다. 공급관(8)으로의 주연료 공급이 중단되면, 도관과 슬라이드 공동내의 압력은 급격히 강화되며, 주연료의 압력이 폐쇄 스프링에 의해 주축(6)에 가해진 힘을 더이상 극복할 수 없을 때, 즉, 시간 t4에서, 주축(6)과 슬라이드(10)는 제1도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서 후방이동을 시작한다.
폐쇄 이동의 앞부분 동안에 슬라이드 공동의 압력은(곡선부분(Ⅲ)참조)연료가 노즐구멍(5)을 통하여 슬라이드 공동으로부터 빠져 나가는한 공급관(8)의 공급 압력과 같이 급격히 하강한다. 그와 반대로, 챔버(14)의 압력은(곡선(Ⅱ)참조)슬라이드 공동의 압력에 비례하여 증가하는바, 이는 책 밸브(22)가 여전히 폐쇄되어 있기 때문이며, 슬라이드(10)는 챔버(14)로부터 구멍(15)을 통하여 공동(13)으로 파일럿 연료를 송출하는 펌프 플런저로서 작용한다.
슬라이드(10)가 노즐구멍(5)을 완전히 밀폐하면, 슬라이드 공동의 압력이 증가하지만(곡선(Ⅲ)참조), 시간 t5에서 종결되는 전체 폐쇄 이동 동안에는 연료가 챔버(14)로부터 슬라이드 공동(11,13)내로 송출되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은 공동에서 보다 챔버에서 더 크다. 주축(6)이 후속하여 작동할때까지 후속 기간동안에, 상기 두 압력은 먼저 구멍(15)을 통해 같게되며, 이어서 압력은 슬라이드와 분무기 사이의 피할 수 없는 작은 누출때문에 비교적 서서히 가능하면 도관(21)내의 일정한 압력까지 낮아진다.
슬라이드(10)의 밀폐이동중에 파일럿 연료의 일정한 량은 슬라이드 공동(11)의 최상부(13)로 흘러 들어감을 알 수 있으며, 다음 기간중에 슬라이드가 노즐구멍(5)을 개방시킬때, 주연료와 파일럿 연료의 혼합물이 형성되어 분사기간의 초기단계, 즉 제3도의 시간 t2에서 t3까지의 기간중의 제1 및 최초 기간중에 노즐 구멍을 통해 방출된다. 파일럿 연료의 상대적인 량은 파일럿 연료 저장소로부터의 유출구 압력을 변경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는바, 이는 챔버(14)의 더 높은 초기 압력이 각각의 각동 싸이클중에 챔버로부터 슬라이드 공동으로 흐르는 파일럿 연료량의 증가를 결과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그래프는 슬라이드(10)의 직경이 8mm이고 구멍(15)의 직경이 1.0mm인 분사기에 관한 것이나, 비교적 좁은 구멍(15) 때문에 개방 상태중에는 느린 등압화가 나타나 결과적으로 파일럿 연료가 더 많게되지만 그러나 밀폐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상에 배합이 증가된다. 슬라이드 직경 대 구멍직경의 비율은 약 16 : 1을 넘지 않거나 또는 약 4 : 1보다 작은 범위에서 선택해야 한다.
제2도에서는 분사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주연료는 가스상이며 분사기의 구성요소는 근본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으며 참조 부호는 100을 더하여 표시되어 있다. 아래 설명하는것은 제1도의 실시예와는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에 한하여 설명되어 있다.
제2도에서, 분무기(102)의 측벽의 노즐 구멍(105)의 개폐는, 분무기와 주축 안내부(101) 모두를 통하여 얇은 접합부에 대해 위로 뻗은 신장된 슬라이드(131)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의 내측 공동은 중심 도관(111)으로서 슬라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며, 도관(111)의 최후 단부(도시되지 않음)는 일정한 압력의 가스 공급원에 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 압력은 파일럿 연료 저장소의 압력과 같으며 분사기의 공급관(121)의 압력과 같다.
제1도에서 고정부의 인접면들과 분사기의 이동가능한 부분들은 함께 주축(6)의 최전방 또는 폐쇄위치를 한정하며 또한, 주연료 공급관에 차단 밸브(7)를 형성하도록 상호협력하는 반면,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대응하는 인접면들(도시되지 않은)이 폐쇄 위치를 결정하는 작용을 행할뿐인바, 이는 제2도에 도시된 유출구 단부와 주연료 인입구 사이의 도관(111)에 밸브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슬라이드(131)는 제2도의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승강되며, 슬라이드의 공동(111)의 단부(113)의 측방 유출구는 노즐 구멍(105)에 정렬되어 적합한 압력의 구동 액체가 주축 안내부(101)의 도관(132)을 통하여 챔버(133)로 공급되며 챔버(133)안의 구동 액체는 슬라이드(131)의 원형턱에 작용한다. 통상적인 연료 펌프와 같은 형태의 펌프를 사용하여 기관 실린더의 작동과정의 정확한 순간에 기관부에 적합한 량의 구동액체를 전달한다.
제2도는 또한 주축 안내부(101)의 도관(134)을 보여주며, 그 도관을 통하여 적당한 방벽 액체, 즉, 윤활성을 지닌 오일을 가스 도관(111)의 압력보다 높은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방벽 오일은, 챔버(135)로부터 슬라이드 표면의 종방향 홈(136)을 통하여 노즐 구멍(105)과 구동 챔버(133)사이의 슬라이드 표면을 따라 이격된 원주상의 분리 홈(137)까지 분배된다. 따라서 공급된 오일은 연료 개스와 구동 액체 사이의 시일로서 또한 슬라이드의 윤활을 위해 작용한다.
제2도에 실시예는 근본적인 면에서 제1도의 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가지지만 분사기간중의 압력 상태는, 가스상의 연료의 압축성 및 도관(111)으로의 인입구에서의 일정한 가스압력의 관점에서 약간 다름을 쉽게 알 수 있다.
슬라이드 공동의 전방단부가 외측으로 경사진 부분으로 종결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배기 밸브가 실린더 덮개의 중심에 장착되는 기관에 특히 적합한 바, 이는 다수의 분사기들이 비교적 작은 각도 범위내에 분포된 각각의 분사기의 노즐 구멍을 갖는 각각의 실린더 덮개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린더 덮개의 중심에서 단일의 분사기를 지니는 기관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분사기에는 분무기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노즐 구멍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벽에는 노즐 구멍을 향하여 외측으로 향하는 별개의 구멍들 또는 도관이 천공 또는 밀링(miling)가동되어 있다.

Claims (4)

  1. 분사기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형성된 한 조의 노즐 구멍(5)을 갖는 내측으로의 원통형 측벽 및 단부벽(4)을 지니는 중공형 분무기(hollow atomizer ; 2), 상기 분무기(2) 내의 협소한 접합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유출구를 갖는 내부 공동(11,13)을 측벽에서 지니는 원통형 슬라이드(10), 주연료 인입구를 상기 슬라이드 공동(11,13)과 연결하는 연료통로(8,9), 상기 노즐 구멍(5)들이 슬라이드(10)의 측벽에 의해 밀폐되며 슬라이드의 전방 단부면이 분무기 단부벽(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그 단부벽(4)과 함께 챔버(14)를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드(10)의 최전방 단부 위치를 한정하는 장치(7'), 상기 슬라이드 공동(11,13)으로부터 상기 노즐 구멍(5)을 통하여 연료 분사를 개시하도록 슬라이드(10)를 상기 단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변위시키는 장치, 챔버(14)를 파일럿 연료 인입구에 연결시키며 연료를 오직 챔버(14)로만 향하여 흐르게 하는 첵 밸브(22)를 포함하는 파일럿 연료통로(16 내지 21), 및 상기 슬라이드 공동(11,13)과 챔버(14)를 연결하며 슬라이드(10)에 형성된 비교적 협소한 구멍(15)들을 포함하는, 주연료 및 액체 파일럿 연료를 디젤기관의 실린더내로 분사하는 연료 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소한 구멍 대 슬라이드의 직경의 비(ratio)는 16 : 1 내지 4 : 1로 되는 연료 분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의 최전방 단부 위치를 한정하는 장치는, 분무기 및 슬라이드에 고정 연결되어 함께 상기 주연료 통로에서 차단 밸브(7)를 형성하는 마주보는 시이트 면들로 구성되며; 슬라이드를 후방으로 변위시키는 장치는, 상기 시이트 표면들중 하나의 시이트 표면을 포위하며 상기 차단 밸브(7)의 상류측 연료 통로에서 압력을 받게되는 전방을 향한 턱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131)을 후방으로 변위시키는 장치는, 슬라이드 상의 전방을 향한 턱 및 가압된 구동 유체를 상기 턱에 인접한 챔버(133)로 공급하는 장치(132)를 포함하는 연료 분사기.
KR1019850002370A 1984-04-09 1985-04-09 연료 분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젤기관 KR930010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837 1984-04-09
DK183784A DK153240C (da) 1984-04-09 1984-04-09 Dual fuel dieselmotor samt braendstofinjektor til samme
DK1837/84 1984-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642A KR850007642A (ko) 1985-12-07
KR930010662B1 true KR930010662B1 (ko) 1993-11-05

Family

ID=810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2370A KR930010662B1 (ko) 1984-04-09 1985-04-09 연료 분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젤기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0230560A (ko)
KR (1) KR930010662B1 (ko)
DK (1) DK153240C (ko)
ID (1) ID10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53A1 (ko) * 2010-03-08 2011-09-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와 셔틀밸브를 가진 디젤엔진용 2단 연료분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1953A1 (ko) * 2010-03-08 2011-09-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솔레노이드밸브와 셔틀밸브를 가진 디젤엔진용 2단 연료분사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53240C (da) 1988-11-21
JPH059633B2 (ko) 1993-02-05
KR850007642A (ko) 1985-12-07
ID1022B (id) 1996-10-18
DK153240B (da) 1988-06-27
JPS60230560A (ja) 1985-11-16
DK183784D0 (da) 1984-04-09
DK183784A (da) 1985-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564B2 (en) Dual-fuel fuel injector
CN101506509B (zh) 发动机中液体和气体燃料的同时喷射
US9856838B2 (en) Dual fuel fuel-injector
KR101715104B1 (ko) 내연 기관의 연소실로 가스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밸브 및 방법
GB2130650A (en) A diesel fuel and alcohol injection device for a direct injection engine
CN110226031B (zh) 带有具备将促进燃烧的介质输入燃烧室中的额外机制的燃料喷入喷嘴的内燃机
CN105189980A (zh) 供气体操作的内燃活塞式发动机用的燃料系统
KR100353190B1 (ko) 연료분사밸브및이밸브를구비한고압개스엔진
KR101921490B1 (ko) 대형 압축 점화 터보차징 2 행정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액체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밸브 및 방법
CN109555626B (zh) 用于双燃料发动机的注射喷嘴和双燃料发动机
KR20220017355A (ko) 대형 디젤 엔진을 위한 연료 분사 밸브와 연료 분사 방법, 및 대형 디젤 엔진
KR930010662B1 (ko) 연료 분사기 및 이를 사용하는 디젤기관
CN101285441B (zh) 燃料喷射系统
KR102033173B1 (ko) 대형 2 행정 터보차징 압축 점화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기체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연료 밸브 및 방법
JP7319772B2 (ja) 大型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ための燃料噴射ノズルおよび燃料噴射方法、および大型ディーゼルエンジン
US7475679B2 (en) Fuel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20000379A (ko) 이중 연료 내연 기관의 연료 분사기 및 이중 연료 내연 기관
US20240102435A1 (en) Injection nozzle for a dual-fuel engine, dual-fuel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H0452860B2 (ko)
KR20140140501A (ko) 내연기관 및 이를 위한 연료 에멀션 내의 물 생성과 주입 펌프
GB2172652A (en) A fuel injector for compression ignition engines
JPH0455250Y2 (ko)
CN114382623A (zh) 双燃料内燃机的燃料喷射器、双燃料内燃机及其操作方法
JPS58172454A (ja) 2種燃料噴射装置
JPH045614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