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647B1 -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647B1
KR930010647B1 KR1019900022901A KR900022901A KR930010647B1 KR 930010647 B1 KR930010647 B1 KR 930010647B1 KR 1019900022901 A KR1019900022901 A KR 1019900022901A KR 900022901 A KR900022901 A KR 900022901A KR 930010647 B1 KR930010647 B1 KR 93001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hz
voice
intermediate frequency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232A (ko
Inventor
권성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한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한태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0002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647B1/ko
Publication of KR92001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제1도는 종래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음성중간주파 필터부의 주파수 이득 특성도.
제3도는 제1도의 영상중간주파 필터부의 주파수 이득 특성도.
제4도는 제1도의 음성트랩부의 주파수 이득 특성도.
제5도는 제1도의 제2발진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6도는 제1도의 제1발진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제7도는 제1도 마이콤의 제1 내지 제9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른 신호선택부의 동작 테이블도.
제8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에 대한 신호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구성도.
제10도는 제9도의 제1음성중간주파 필터부의 주파수 이득 특성도.
제11도는 제9도의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의 주파수 이득 특성도.
제12도는 제9도의 대역필터부의 주파수 이득 특성도.
제13도는 제9도의 신호판별부의 주파수 전압 특성도.
제14도는 제9도의 동작설명에 대한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 : 제1음성중간주파 필터부 203 :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
204 : 제1발진부 205 : 제2발진부
206 : 제3발진부 207 : 신호판별부
208 : AM음성검파부 209 : 대역필터부
210 : FM음성검파부 217 : 마이콤
본 발명은 TV 수신기의 다중 중간주파수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TV 송신기의 표준 방송방식에 관한 별도의 표준키이정보 입력없이 자동으로 표준 방송방식을 인식하여 그 표준 방송방식에 맞게 TV의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깨끗한 영상과 음성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티브이(TV)의 표준 방송방식은 중간주파수 관점에서 나누면 크게 5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그 각각의 명칭은 독일등에서 사용되는 B/G표준방식, 영국등에서 사용되는 i표준방식, 동구 유럽에서 사용되는 D/K표준방식,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L/L' 표준방식 및 대한민국과 미국등에서 사용되는 M 표준방식이 있다.
이를 기저대역(Base Band)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B/G 표준방식은 음성 반송파가 영상 반송파보다 5.5MHz만큼 높으며, i표준방식은 6.0MHz, M표준방식은 4.5MHz만큼 음성 반송파가 영상 반송파보다 높다.
그리고, 상기 4가지의 표준방식은 음성 변조방식이 주파수 변조(FM)방식이고 영상변조방식은 네가티브이 변조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L/L' 표준방식은 음성 변조방식이 진폭변조(AM)방식이며 영상 변조방식은 포지티브 변조방식이다.
또한 상기에서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L/L' 표준방식은 다시 VHF 고대역(High Band) 및 UHF 대역인 L 방식과 VHF 저대역(Low Band)인 L'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에서 L 방식은 음성 반송파가 영상 반송파보다 6.5MHz 높은 반면에 L' 방식은 이와 반대로 영상 반송파보다 음성 반송파가 6.5MHz 낮다.
그러므로 L/L' 표준방식을 구현할 때에는 L 방식과 L'방식을 반드시 구별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하기에서 설명할 영상중간주파 필터부는 34.5MHz 및 38.9MHz의 이중 나이키스트(Nyquist) 경사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표준방식에서의 다중의 중간주파수를 복원하기 위한 종래의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티브이 방송신호를 튜닝전압(VAFT) 및 대역선택신호(S1)에 따라 해당 채널주파수로 동조하는 튜너(101)와, 상기 튜너(101)로부터 동조되어 입력된 입접채널의 중간주파수는 차단하고 해당 채널의 영상중간주파수를 해당 방송방식에 맞게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영상중간주파 필터부(108)와, 상기 영상중간주파 필터부(108)에서 해당 채널의 주파수로 필터링된 포지티브 영상중간 주파수를 외부로부터의 발진되어 입력되는 38.9MHz의 발진주파수에 따라 원래의 네가티브 영상중간 주파수로 검파하여 자동국전압(VAFT)을 출력하는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와,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로부터 출력된 네가티브 영상중간 주파수를 포지티브로 반전시키는 신호반전부(110)와, 상기 신호반전부(110)의 포시티브 영상중간주파수와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의 네가티브 영상중간 주파수를 외부의 스위칭제어신호(SW9)에 의해 스위칭되어 선택 출력하는 제5신호선택부재(115)와, 상기 제5신호선택부재(115)에서 선택된 포시티브 또는 네가티브 영상중간주파수에서의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검파부(111)와, 채널 탐색시 상기 동기검파부(111)로부터의 동기신호 입력 유무와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로 부터의 자동선국전압(VAFT)을 검색하고 리모콘 또는 로칼스위치(도면에 미도시)로부터의 튜닝데이타를 입력받아 상기 튜니(101)에 튜닝전압 및 대역선택신호를 인가하여 채널을 미세조정하고 아울러 튜너(101)로부터 수신되는 방송방식에 따라 제1 내지 제9스위칭제어신호(SW1 내지 SW9)를 출력하여 복호기의 시스템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12)과, 상기 튜너(101)에서 선국된 방송방송식이 M 표준 방송방식인 경우 마이콤(112)의 제8스위칭 제어신호(SW8)에 따른 스위칭부재(116)의 온/오프에 따라 입력 음성반송파를 감쇄시키는 음성트랩부(107)와, 상기 마이콤(112)에서 출력되는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SW1)(SW2)에 따라 튜너(101)에서 선국된 방송방식에 맞추어 특정 음성중간 주파수를 출력하는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와, 상기 마이콤(112)의 제7스위칭 제어신호(SW7)에 따라 발진동작을 하여 34.5MHz 및 38.9MHz의 발진주파수를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에 입력하는 제1발진부(106)와, 상기 제1발진부(106)에서 출력된 34.5MHz 또는 38.9MHz를 상기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에서 출력된 음성중간주파수와를 혼합하여 4.5MHz, 5.5MHz, 6.0MHz,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혼합부(117)와, 상기 마이콤(112)에서 출력된 제5, 제6스위칭 제어신호(SW5)(SW6)에 발진동작을 하여 10MHz, 11.5MHz 및 12MHz의 발진수파수를 출력하는 제2발진부(105)와, 상기 제2발진부(105)에서 출력되는 발진주파수와 제1혼합부(117)에서 출력된 음성중간주파수를 혼합하여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혼합부(118)와, 상기 제1혼합부(117)에서 출력된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 및 제2혼합부(118)에서 출력된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마이콤(112)의 제3스위칭 제어신호(SW3)에 의해 온/오프되어 선택하는 제3신호선택부재(113), 상기 제3신호선택부재(113)에서 선택된 5.5MHz의 음성 중간주파수를 원래의 신호로 검파하여 출력하는 FM음성검파부(104)와, 상기 제1혼합부(117)에서 출력된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원래의 신호로 검파하여 출력하는 AM 음성검파부(103)와, 상기 AM 음성검파부(103)의 음성신호와 FM 음성검파부(104)의 음성신호를 마이콤(112)의 제4스위칭 제어신호(SW4)에 의해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4신호선택부재(1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는 방송방식에 따른 상기 마이콤(112)의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SW1)(SW2)에 따라 튜너(101)로부터 선국된 방송신호를 절환하여 출력하는 제1, 제2신호선택부재(102a)(102b)와, 상기 제1신호선택부재(102a)로부터 절환되어 입력된 방송신호의 음성중간주파수를 41.0MHz 또는 33.4MHz로 대역필터링하여 제1혼합부(117)로 출력하는 제1, 제2대역필터부(102c)(102d)와, 상기 제2신호선택부재(102b)로부터 절환되어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음성중간주파수를 32.4MHz 또는 34.4MHz로 대역필터링하여 제1혼합부(117)로 출력하는 제3, 제4대역필터부(102e)(102f)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제1발진부(106)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12)로부터의 저항(R7)을 통해 입력되는 제7스위칭 제어신호(SW7)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저항(R6)을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의 온/오프에 따라 저항(R6)을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압레벨에 따라 스위칭되어 이와 병렬 접속된 코일(L2)와 콘덴서(C2)(C5)로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다이오드(D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2발진부(105)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콤(112)으로부터의 각각의 저항(R3)(R5)을 통해 입력되는 제5, 제6스위칭 제어신호(SW5)(SW6)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어 각각의 저항(R1)(R2)(R4)을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압을 변환시켜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 전압을 변화시키는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 전압의 레벨에 따라 발진기의 발진수파수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코일(L1)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중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은 먼저 시청자가 리모콘 또는 로칼스위치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티브이(TV)신호의 B/G, i, D/K, L/L' 및 M 표준방식중에서 한가지의 표준방식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마이콤(112)은 그 입력된 표준방송방식을 인식한 후 그 인식된 표준방송방식이 L/L' 표준인가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L/L' 표준방식이 아니면 그 인식된 표준방송방식에 따라 제7도와 같이, 제1 내지 제9스위칭 제어신호(SW1 내지 SW9)를 설정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한다.
즉, 상기에서 인식된 티브이의 표준방식이 D/K 표준일 경우에, 마이콤(112)은 제7도에서와 같이, 제1스위칭 제어신호(SW1)를 출력하여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에 구성된 제1신호선택부재(102b)의 가동단자(c)를 오프시키고, 마이콤(112)으로부터 출력된 제2스위칭 제어신호(SW2)는 제2신호선택부재(102b)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a)에 접속하게 되며, 제3, 제4스위칭 제어신호(SW3)(SW4)는 제3, 제4신호선택부재(113)(114)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b)에, 또한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는 하이신호로 출력되고 제6스위칭 제어신호(SW6)는 로우신호로 출력되어 제2발진부(105)에 구성된 각각의 저항(R3)(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Q2)에 입력되며, 또한 제7스위칭 제어신호(SW7)는 로우신호로 출력되어 제1발진부(106)에 입력되고, 제8, 제9스위칭 제어신호(SW8)(SW9)는 각각 스위칭부재(116)와, 제5신호선택부재(115)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a)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B/G, i, L/L', M 표준방식도, 제7도와 같이, 제1 내지 제9스위칭 제어신호(SW1 내지 SW9)가 설정되어 출력된다.
상기 제7도에서 "X"는 돈케어(Don't Care)이다.
이와 같이, 리모콘 또는 로칼스위치로부터 선택된 표준방식에 따라 제7도와 같이, 제1 내지 제9스위칭 제어신호(SW1 내지 SW9)를 설정하여 출력한 후 최초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전압(최초의 채널대역 선택전압)(VAFT)과 튜너대역선택신호(S1)을 튜너(101)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튜너(101)는 마이콤(112)으로부터의 입력된 튜닝전압 및 튜너 대역선택신호(S1)에 따라 안테나(10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를 해당채널로 동조하여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 및 영상중간주파 필터부(108)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음성중강주파 필터부(102)에 입력된 해당채널의 방송신호는 제1, 제2신호선택부재(102a)(102b)의 조작에 따라 제1 내지 제4대역필터부(102c 내지 102f)에 입력된다.
즉, D/K 표준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7도에서와 같이, 마이콤(112)에 따른 제1신호선택부재(102a)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제2신호선택부재(102b)의 가동단자(c)와 고정단자(a)를 통해 제3대역필터부(102e)에 입력되어 여기서 32.4MHz로 대역필터링된 후 제1혼합부(117)에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B/G 표준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마이콤(112)의 제1, 제2스위칭 제어신호(SW1)(SW2)에 따른 제2신호선택부재(102b)가 오프되고, 제1신호선택부재(102a)의 가동단자(c)가 고정단자(b)에 절환 접속되어 있으므로, 방송신호가 제2필터부(102d)를 통해 33.4MHz로 대역필터링되어 제1혼합부(117)에 입력된다.
또한 i 표준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1신호선택부재(102a)의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b)에 절환 접속되고, 제2신호선택부재(102b)의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a)에 절환 접속되어 있으므로, 튜너(101)로부터 동조된 해당채널의 방송신호는 제2대역필터부(102d) 및 제3대역필터부(102e)를 통해 32.9MHz로 대역필터링되어 제1혼합부(117)에 입력된다.
또한 M 표준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1신호선택부재(102a)가 오프되어 있고, 제2신호선택부재(102b)의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b)에 절환 접속되어 있으므로, 방송신호는 제4대역필터부(102f)를 통해 34.4MHz로 대역필터링되어 제1혼합부(117)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의 주파수 이득특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신호선택부재(102a)(102b)의 조작에 따라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즉, 32.9MHz의 주파수특성은 제1신호선택부재(102a)의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b)로 절환되고, 제2신호선택부재(102b)의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a)로 절환되면 상기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의 33.4MHz의 제2대역필터부(102d)와 32.4MHz의 제3대역필터부(102e)가 동시에 동작하므로 이때의 특성은 제2도의 (a)와 같은 주파수특성과 유사하게 되어 32.9MHz를 통과시켜 주게된다.
이와 같이, 표준방송방식에 따라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의 제2 내지 제4대역필터부(102d 내지 102f)로부터 출력된 34.4MHz, 33.4MHz, 32.9MHz 및 32.4MHz의 주파수는 제1혼합부(117)에서 제1발진부(106)로부터 입력되는 38.9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각각의 방송방식에 맞는 음성중간 주파수로 출력된다.
즉, 일예로써, 상기에서 선택된 티브이의 표준방식이 D/K 표준일 경우, 상기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의 제3대역필터부(102e)에서 출력된 32.4MHz의 주파수는 제1혼합부(117)에서 제1발진부(106)로부터 발진되어 입력된 38.9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로 제2혼합부(118)와 6.5MHz의 AM음성검파부(103) 및 제3신호선택부재(113)에 입력되고, 선택된 티브이 표준방식이 B/G 표준일 경우에는 제2대역필터부(102d)로부터 출력된 33.4MHz의 주파수와 제1발진부(106)의 38.9MHz가 제1혼합부(117)에서 혼합되어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로 출력된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i표준일경우에는 제2, 제3대역필터부(102d)(102e)의 32.9MHz와 제1발진부(106)의 38.9MHz가 제1혼합부(117)에서 혼합되어 6.0MHz의 음성중간주파수로 출력되며, 또한 M표준일경우에는 제4대역필터부(102f)의 34.4MHz와 제1발진부(106)의 38.9MHz가 제1혼합부(117)에서 혼합되어 4.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한 제1발진부(106)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표준방식이 B/G, i, D/K 및 M표준일 경우에, 마이콤(112)으로부터 출력된 제7스위칭 제어신호(SW7)의 로우레벨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저항(R6)을 통해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걸리게 됨으로써, 그 다이오드(D1)가 오프되어 이때의 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병렬 접속된 콘덴서(C1)와 코일(L1)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에서 발진기(106)의 발진수파수는로 동작하여 제1혼합부(11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1혼합부(117)로부터 방송방식에 맞게 출력되는 6.5MHz, 6.0MHz, 5.5MHz, 4.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는 다시 제2발진부(105)로부터 입력되는 10MHz, 11.5MHz, 12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제3신호선택부재(113)에 입력된다.
일예로써, D/K 표준방식이 선택되어 제1혼합부(117)로부터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가 입력될 경우에, 제2혼합부(118)는 그 입력된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와 표준방송방식에 따라 다른 발진수파수를 출력하는 제2발진부(105)로부터 발진된 12.0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하여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에서 제2발진부(105)는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커패시터값이 변화하게 되어 발진주파수가 변화하게 된다.
즉,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전압이 높으면 커패시터값이 높고 개소드전압이 낮으면 커패시터값이 작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커패시터값을 변화시켜 여러값의 발진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제5도에서와 같이, 저항(R2)의 값이 저항(R4)의 값보다 크다고 가정하면 이때의 발진기(105)의 발진주파수는이다.
따라서 D/K 표준방식일 경우에는 제8도에서와 같이, 마이콤(112)으로부터 출력된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가 하이레벨이고, 제6스위칭 제어신호(SW6)가 로우레벨로 출력되므로써,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에는 R2.R1+R4*Vcc의 전압 즉, 가장 작은 전압이 걸려 발진기(105)로부터의 발진주파수가 가장 큰 12.0MHz로 발진되어 제2혼합부(118)에 입력된다.
그리고 M표준방식일 경우에는 제5, 제6스위칭 제어신호(SW5)(SW6)가 모드 로우신호이므로, 트랜지스터(Q1)(Q2)가 오프되어 전원단자(Vcc)의 전압이 모두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에 걸리므로 그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패시터값이 가장크며, 이때의 발진주파수는 10MHz로 발진되어 제2혼합부(118)에 입력된다.
또한 i표준방식일 경우에는 제8도와 같이,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는 로우신호이고, 제6스위칭 제어신호(SW6)는 하이신호이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버랙터 다이오드(C2)의 캐소드에는 R4/R1+R4*Vcc의 전압이 걸려 커패시터값이 조금 작은값이 되어 11.5MHz로 발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혼합부(118)는 D/K 표준방식일 경우에, 제1혼합부(117)에서 입력된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와 제2발진부(105)의 12.0MHz의 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제3신호선택부재(113)에 입력하게 되고, 또한 M 표준방식일 경우에는 제1혼합부(117)에서 출력된 4.5MHz와 제2발진부(105)에서 출력된 10MHz를 혼합하여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제3신호선택부재(113)에 입력하게 되며, 또한 i표준방식일 경우에는 제1혼합부(117)에서 출력된 6.0MHz와 제2발진부(105)에서 출력된 11.5MHz와를 혼합하여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3신호선택부재(113)는 제7도에서와 같이, 마이콤(112)의 제3스위칭 제어신호(SW3)에 의해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b)로 절환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1혼합부(117)에서 출력된 6.5MHz, 6.0MHz, 4.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는 차단되고, 제2혼합부(118)에서 출력된 5.5MHz의 음성중간주파수 만이 5.5MHz의 FM 음성검파부(104)에서 검파되어 제4신호선택부재(114)의 고정단자(b) 및 가동단자(c)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다른 표준방식을 제외한 M 표준방식일 경우에는 영상신호 대역이 4.0MHz 정도이므로, 34.4MHz의 트랩부(107)를 동작시키지 않으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의 이중 나이키스트 경사도를 가진 넓은 대역의 필터가 되므로 영상신호에 음성신호의 간섭현상이 나타나므로 이 간섭을 없애기 위해 제4도와 같은 특성을 가진 상기 34.4MHz의 트랩부(107)를 제7도와 같이, 제8스위칭 제어신호(SW8)로 턴-온시켜 전체적인 주파수 특성이 제3도의 점선과 같은 주파수 이득 특성을 갖게 한다.
그리고 상기에서의 영상중간주파 필터부(108)는 제3도와 같은 34.5MHz 및 38.9MHz의 이중 나이키스트 경사도를 갖고 튜너(101)로부터 입력된 방송신호중에서 인접채널의 반송파는 차단하고 해당 채널의 반송파만을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는 제1발진부(106)로부터 입력된 38.9MHz의 발진주파수에 의해 입력된 영상반송파를 네가티브 영상신호로 검파하여 반전부(110) 및 제5신호선택부(115)로 입력함과 아울러 자동선국 튜닝전압(VAFT)을 검출하여 마이콤(112)의 입력포트(P2)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신호반전부(110)는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10)에서 검파된 네가티브의 영상신호를 포시티브의 영상신호로 반전시켜 제5신호선택부재(115)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5신호선택부(115)에 입력된 반전부(110)의 포시티브의 영상신호는 제7도와 같이, 마이콤(112)으로부터 출력된 제9스위칭 제어신호(SW9)에 의해 그의 가동단자(c)가 고정단자(b)에 절환 접속되어 있으므로, 차단되고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로부터 입력된 네가티브의 영상신호만이 선택되어 출력됨과 아울러 동기검파부(111)로 입력된다.
상기 동기검출부(111) 는 입력된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동기신호가 있으면 하이신호를, 동기신호가 없으면 로우신호를 마이콤(112)의 입력포트(P1)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마이콤(112)은 동기검파부(111)로부터 입력되는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동기신호의 유무를 검색하여 동기신호가 없으면, 즉 동기검출부(111)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최초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전압(VAFT)을 튜너(101)에 계속 인가하고, 상기에서 검색결과 동기신호가 존재하면, 즉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로부터 궤환되어 입력되는 자동선국 튜닝전압을 검색하게 된다.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해당 튜닝전입이 현재 대역내에서 최고치가 아니면 튜너(101)에 입력되는 튜닝전압(VAFT)을 업/다운시켜 자동선국을 하고, 입력 튜닝전압이 최고치이면 튜너대역선택신호(S1)를 출력하여 튜닝대역을 절환하게 되는데, 이때 현재의 대역이 VHF-L이면 VHF-H로 바꾸고 VHF-H이면 UHF로 바꾸고, UHF이면 VHF-L로 절환함과 아울러 최초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전압(VAFT)을 출력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인식한 표준방식이 L/L'방식이면 현재 선국하고 있는 대역이 VHF/L 대역인지를 검색하여 VHF-L 대역이면 L'표준방식이므로, 제7도와 같이, L'표준방식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9스위칭 제어신호(SW1 내지 SW9)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의 제1대역필터부(102c)에서 41.0MHz의 주파수가 출력되어 제1발진부(106)에서 출력된 34.5MHz의 발진수파수와 제1혼합부(117)에서 혼합되어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로 출력된다.
즉, 상기 제1발진부(106)는 제7스위칭 제어신호(SW7)의 하이레벨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되어 다이오드(D1)의 캐소드는 로우가 걸리게 되므로 그 다이오드(D1)가 턴-온되어 발진기(106)의 발진수파수는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는 6.5MHz의 AM 음성검파부(103)를 통해 검파되어 제4신호선택부재(114)의 가동단자(c) 및 고정단자(b)를 통해 출력되고, 영상신호는 영상중간주파 필터부(108) 및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를 통해 네가티브의 영상신호로 검파된 후 다시 반전부(110)를 통해 포시티브의 영상신호로 반전되어 제5신호선택부재(115)의 가동단자(c) 및 고정단자(a)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VHF-L 대역이 아닐 경우에는 L 표준방식이므로, 제8도와 같이, 제1 내지 제9스위칭 제어신호(SW1 내지 SW9)를 설정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음성중간주파 필터부(102)의 제3대역필터부(102e)에서 32.4MHz의 주파수가 출력되어 제1발진부(106)에서 출력된 38.9MHz의 발진주파수와 제1혼합부(117)에서 혼합되어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로 출력된다.
상기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는 6.5MHz의 AM 음성검파부(103)를 통해 검파되어 제4신호선택부재(114)의 가동단자(c) 및 고정단자(a)를 통해 출력되고, 영상신호는 영상중간주파 필터부(108) 및 네가티브 영상검파부(109)를 통해 네가티브의 영상신호로 검파된 후 다시 반전부(110)를 통해 포시티브의 영상신호로 반전되어 제5신호선택부재(115)의 가동단자(c) 및 고정단자(b)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수신되는 방송선국과 튜닝전압 검색 및 튜닝대역 절환은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다중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은 시청자로부터 선택된 표준의 실제로 수신되고 있는 방송신호의 표준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화면은 정상적으로 잡을 수 있으나, 음성중간주파 필터부의 선택이 잘못되어 음성이 정확하게 잡히지 않고, 또한 B/G, I, D/K 표준인 경우 음성반송파가 인접해 있어서, 정확한 음성을 잡는다 할지라도 잡음이 있는 상태의 음성을 얻기 때문에 수신하는 방송의 표준을 반드시 알고 있어야만 음성을 깨끗하게 선국할 수 있는 불편한점이 있고, 또한 L/L 표준일 경우는 선택한 표준이 L/L이고, 수신하는 표준이 그 이외의 표준일 경우는 전혀 선국할 수 없으며, 그 반대인 경우에도 L/L 표준 방송을 전혀 선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TV 송신기의 표준방송방식에 관한 별도의 표준 키이정보 입력없이 자동으로 표준방송방식을 인식하여 그 표준방송방식에 맞게 TV의 방송신호를 선국하여 깨끗한 영상과 음성을 시청할 수 있도록 다중화 중가주파수 복호기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튜너로부터 선국하여 영상중간주파 필터수단, 네가티브 영상검파수단을 통한 영상신호에서 네가티브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동기검출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를 반전된 영상신호로 입력받아 포지티브 동기를 검출하는 제2동기검출수단과, 제1, 제2동기검출수단의 네가티브 및 포지티브 동기신호의 검출 유무 따라 표준방송방식을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6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방송방식을 선국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방송신호가 진폭변조된 음성반송파일 경우에 L/L 표준 방식에 해당하는 중간주파수를, 주파수변조된 음성반송파일 경우에는 L/L 표준방식을 제외한 해당 표준방식에 맞는 중간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과, 상기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을 통한 중간주파수에서 진폭변조된 음성신호만을 검파하여 출력하는 AM음성검파수단과, 상기 주파수변조에 따른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중간주파수를 수신방송 표준치에 따라 6.0MHz의 반송파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신호 변환수단과, 상기 신호변환수단의 반송파를 원래의 음성신호로 검파하는 FM 음성검파수단과,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 입력되는 반송파중에서 M 표준방식인 4.5MHz의 반송파만을 검출하여 마이콤에 입력하는 신호판별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는 본 발명 다중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테나(200)로부터 수신된 티브이 방송신호를 튜닝전압(Vαζυ) 및 대역선택신호(S1)에 따라 해당 채널 주파수로 동조하는 튜너(201)와, 상기 튜너(201)로부터 동조되어 입력된 인접 채널의 중간주파수는 차단하고 해당 채널의 영상중간주파수를 해당 방송방식에 맞게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영상중간주파 필터부(212)와, 상기 영상중간주파 필터부(212)에서 해당 채널의 주파수로 필터링된 포지티브 영상중간주파수를 외부로부터의 발진되어 입력되는 38.9MHz의 발진주파수에 따라 원래의 네가티브 영상중간 주파수로 검파하여 자동선국전압(Vαζυ)을 출력하는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와,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로부터 출력된 네가티브 영상중간주파수를 포시티브로 반전시키는 신호반전부(214)와, 상기 신호반전부(214)의 포시티브 영상중간주파수와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의 네가티브 영상중간주파수를 외부의 제6스위칭 제어신호(SW6)에 의해 스위칭되어 선택 출력하는 제4신호선택부재(224)와,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에서 네가티브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동기검출부(215)와, 상기 신호반전부(214)로부터 반전된 영상신호에서 포지티브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2동기검출부(216)와, 채널 탐색시 상기 제1, 제2동기검출부(215)(216)로부터 검출된 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의 동기신호 입력 유무와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로부터의 튜닝전압에 따라 표준방송방식을 인식하여 그 인식된 표준방송방식에 맞게 제1 내지 제6스위칭 제어신호(SW1 내지 SW6)를 설정하고 상기 튜너(201)에 튜닝전압 및 대역선택신호를 인가하여 채널을 미세조정하는 마이콤(217)과, 상기 튜너(201)에서 선국된 방송방송식이 M 표준방송방식인 경우 마이콤(217)의 제4스위칭 제어신호(SW4)에 따른 스위칭부재(225)의 온/오프에 따라 입력 음성반송파를 감쇄시키는 음성트랩부(211)와, 상기 마이콤(217)에서 출력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SW1)에 따라 튜너(201)에서 선국된 방송신호를 절환하는 제1신호선택부재(218)와, 상기 제1신호선택부재(218)의 절환에 따라 입력되는 방송신호중에서 음성반송파가 진폭변조된 경우 L/L 표준에 해당하는 중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2)와, 상기 제1신호선택부재(218)의 절환에 따라 입력되는 방송신호중에서 음성반송파가 주파수변조된 경우 L/L 표준을 제외한 해당 표준방송방식에 맞게 중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3)와, 표준방송방식에 따른 상기 마이콤(217)의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에 따라 발진동작을 하여 34.5MHz 및 38.9MHz의 발진주파수를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주(213)에 입력하는 제1발진부(204)와, 상기 제1발진부(204)에서 출력된 34.5MHz 또는 38.9MHz를 표준방송방식에 따라 상기 제1,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2)(203)에서 출력된 음성중간주파수와를 혼합하여 4.5MHz, 5.5MHz, 6.0MHz, 6.5MHz의 음성중간주파수를 출력하는 제1혼합부(219)와, 상기 제1혼합부(219)를 통한 중간주파수에서 진폭변조된 음성신호만을 검파하여 출력하는 AM 음성검파부(208)와, 상기 제1혼합부(219)에서 혼합된 중간주파수를 수신방송표준치에 따라 6.0MHz의 반송파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신호변환부(300)와, 상기 신호변환부(300)의 반송파를 원래의 음성신호로 검파하는 FM 음성검파부(210)와, 상기 FM 음성검파부(210) 및 AM 음성검파부(208)의 출력음성신호를 마이콤(217)의 제3스위칭 제어신호(SW3)에 의해 절환되어 선택출력하는 제3스위칭부재(223)와, 상기 제1혼합부(219)에 출력되는 반송파중에서 M 표준방식인 4.5MHz의 반송파만을 검출하여 마이콤(217)에 입력하는 신호판별부(207)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신호변환부(300)는 0.5MHz 및 10.5MHz의 발진주파수를 각각 출력하는 제2, 제3발진부(205)(206)와, 상기 제2발진부(205)로부터 입력된 0.5MHz의 발진주파수와 제1혼합부(219)에서 혼합된 4.5MHz, 5.5MHz, 6.0MHz, 및 6.5MHz의 음성반송파를 혼합하여 4.0MHz, 5.0MHz, 5.5MHz, 6.0MHz, 6.5MHz, 7.0MHz의 음성반송파를 출력하는 제2혼합부(220)와, 상기 제1혼합부(219)에서 혼합된 방송방식에 따른 음성반송파와 제3발진부(206)의 10.5MHz의 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혼합부(221)와, 상기 마이콤(217)의 제2스위칭 제어신호(SW2)에 따라 절환되어 제1, 제2혼합부(220)(221)의 음성반송파를 선택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재(222)와, 상기 제2스위칭부재(222)에서 선택된 음성반송파중에서 6.0MHz만을 대역필터링하여 FM 음성검파부(210)에 입력하는 대역필터부(209)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9도 내지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가 입력되고, 시스템이 동작을 하게 되면 초기에 마이콤(217)은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를 로우신호로 출력하여 제1발진부(204)를 38.9MHz로 동작시켜 제1혼합부(219) 및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에 입력하고, 모든 스위칭 제어신호 B/G, i, D/K 표준방식으로 세팅한다.
즉, 제1, 제3스위칭 제어신호(SW1)(SW3)를 출력하여 제1, 제3신호선택부재(218)(223)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b)에 접속시키고, 제2, 제4, 제6스위칭 제어신호(SW2, SW4, SW6)를 출력하여 제2, 제6신호선택부재(222)(224) 및 스위칭 부재(225)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a)에 접속해 주고 현재의 튜닝대역에서 그의 출력포트(P6)를 통해 튜너(201)로 인가되는 튜닝전압(Vαζυ)을 상승시키면서 방송신호를 선국하게 된다.
상기 튜너(201)는 마이콤(217)으로부터 입력된 튜닝전압(Vαζυ) 및 대역선택신호(S1)에 따라 안테나(200)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를 해당 채널로 동조하여 영상중간주파 필터부(212)에 입력함과 아울러 마이콤(217)의 제1스위칭 제어신호(SW1)에 따른 제1신호선택부재(218)의 가동단자(b) 및 고정단자(b)를 통해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영상중간주파 필터부(212)는 34.5MHz 및 38.9MHz의 이중 나이키스트 경사도를 갖고 튜너(201)로부터 입력된 방송신호를 필터링하여 음성반송파 및 인접채널의 반송파는 차단하고 해당 채널의 영상신호만을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는 마이콤(217)의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에 따라 발진되어 입력되는 제1발진부(204)의 38.9MHz의 발진주파수에 의해서 입력된 영상반송파를 검파하여 제1동기검출부(215), 신호반전부(214) 및 제5신호선택부재(224)에 입력함과 아울러 자동선국 튜닝전압을 검출하여 마이콤(217)의 입력포트(P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신호반전부(214)는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반전시켜 제5신호선택부재(224) 및 제2동기검출부(216)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5신호선택부재(224)는 마이콤(217)의 제6스위칭 제어신호(SW6)에 따라 가동단자(c)가 그의 고정단자(a)에 절환되어 있으므로, 신호반전부(214)에서 반전된 영상신호를 차단하고,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에서 출력된 영상신호만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동기검출부(215)는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네가티브의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동기신호가 존재하면 하이신호를, 동기신호가 없으면 로우신호를 마이콤(217)의 입력포트(P2)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2동기검출부(216)는 신호반전부(214)로부터 반전된 영상신호에서 포지티브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동기신호가 존재하면 하이신호를, 동기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마이콤(217)의 입력포트(P1)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마이콤(217)은 현재의 튜닝대역에서 제1, 제2동기검출부(215)(216)로부터 입력되는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에 따라 네가티브 또는 포지티브 동기신호의 유무를 검색하여 동기신호가 없으면 즉, 제1, 제2동기검출부(215)(216)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방송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튜닝전압을 업/다운시켜 자동선국을 하고, 상기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하면 그 동기신호가 제1동기검출부(215)로부터 검출한 네가티브 동기신호인가 또는 제2동기검출부(216)로부터 검출한 포지티브의 동기신호인가를 검색하여 네가티브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이면 즉, 제1동기검출부(215)로부터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L/L 표준방식을 제외한 B/G, D/K, i 및 M 표준방식이므로, 이때에는 수신된 방송신호가 M 표준방송방식인가를 인식하기 위해 4.5MHz의 판별부(207)의 출력신호를 검색하게 된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튜너(201) 및 제1신호선택부재(218)의 가동단자(a)와 고정단자(b)를 통해 방송신호가 입력되면 제11도와 같은 32.4MHz 및 34.4MHz의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3)는 입력된 방송신호에 따라 32.4MHz, 32.9MHz 및 34.4MHz를 동시에 통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D/K 표준이나 B/G 표준일 경우에는 32.4MHz성분 또는 33.4MHz 음성반송파는 상기 32.4MHz 및 34.4MHz의 제2중간주파 필터부(203)를 통해 제1혼합부(219)에서 제1발진부(204)로부터 발진되어 입력된 38.9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6.5MHz 및 5.5MHz로 변환된다.
상기 제1혼합부(219)에서 출력된 6.5MHz 및 5.5MHz의 음성반송파는 제2, 제3혼합부(220)(221), 6.5MHz의 AM 음성검파부(208) 및 신호판별부(207)에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의 신호판별부(207)는 제1혼합부(219)로부터 M 표준인 4.5MHz의 음성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마이콤(217)의 입력포트(P4)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혼합부(219)에서 변환된 6.5MHz 및 5.5MHz의 음성반송파는 신호변환부(300)의 제2혼합부(220)에서 제2발진부(205)로부터 발진되어 입력되는 0.5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각각 6.0MHz, 5.0MHz, 7.0MHz의 반송파로 변환된 후 제2신호선택부재(222)를 통해 6.0MHz의 대역필터부(209)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6.0MHz의 대역필터부(209)는 제12도와 같은 주파수 이득특성을 갖고 제2신호선택부재(22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반송파중에서 6.0MHz의 음성반송파 성분만을 통과시켜 6.0MHz이 FM 음성검파부(210)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6.0MHz의 FM 음성검파부(210)는 입력된 6.0MHz의 음성반송파를 D/K, B/G 표준의 음성으로 검파하여 제3신호선택부재(223)의 고정단자(b) 및 가동단자(a)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튜너(201) 및 제1신호선택부재(218)의 가동단자(a)와 고정단자(c)를 통한 방송신호가 i표준일 경우에 32.9MHz의 음성반송파는 32.4MHz 및 34.4MHz의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3)를 통해 제1혼합부(219)에서 제1발진부(204)로부터 입력되는 38.9MHz의 발진주파수와 혼합되어 6.0MHz의 음성반송파로 변환된 후 제2, 3혼합부(220)(221), 6.5MHz의 AM음성검파부(208) 및 4.5MHz의 신호판별부(207)에 입력된다.
이때의 신호판별부(207)는 제1혼합부(219)로부터의 4.5MHz의 음성반송파가 검출되지 않음으로써, 마이콤(217)의 입력포트(P4)에 하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2혼합부(220)는 제1혼합부(219)로부터 입력되는 6.0MHz의 음성반송파와 제2발진부(205)에서 발진되어 입력되는 0.5MHz의 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5.5MHz, 6.5MHz의 음성반송파를 출력하게 되나, 솔레노이드 효과에 의해 그 자신 주파수인 6.0MHz 및 0.5MHz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혼합부(220)에서 출력되는 0.5MHz, 5.5MHz, 6.0MHz, 6.5MHz의 음성반송파는 제2신호선택부재(222)의 고정단자(a) 및 가동단자(c)를 통해 6.0MHz의 대역필터부(209)에서 6.0MHz의 음성반송파 성분만이 통과된 후 6.0MHz의 FM 음성검파부(210)에서 i표준의 음성이 검파되어 제3신호선택부재(223)의 고정단자(b) 및 가동단자(c)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상기의 튜너(201) 및 제1신호선택부재(218)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가 M 표준일 경우, 34.4MHz의 음성반송파는 32.MHz 및 34.2MHz의 제2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3)를 통해 제1혼합부(219)에서 제1발진부(204)의 38.9MHz와 혼합되어 4.5MHz의 음성반송파로 변환된 후 제2, 제3혼합부(220)(221), 6.5MHz의 AM 음성검파부(208) 및 신호판별부(207)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신호판별부(207)는 제13도와 같이 4.5MHz의 음성반송파 주파수가 입력되면 로우신호를 4.5MHz이상, 즉 5.5MHz의 음성반송파 주파수가 입력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1혼합부(219)로부터 M 표준인 4.5MHz의 음성반송파가 입력되면 마이콤(217)의 입력포트(P4)로 로우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217)은 신호판별부(207)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M 표준방송방식으로 인식하여 제2, 제4스위칭 제어신호(SW2)(SW4)를 출력하여 제2신호선택부재(222)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b)로 절환 접속시키고, 스위칭부재(225)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b)로 접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튜너(201)로 부터 동조되어 입력된 방송신호의 34.4MHz의 음성반송파는 스위칭부재(225)를 통해 음성트랩부(211)에서 제거되고 영상신호만이 영상중간주파 필터부(212),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 및 제5신호선택부재(224)의 고정단자(a) 및 가동단자(c)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1혼합부(219)에서 혼합되어 출력된 M 표준인 4.5MHz의 음성반송파는 제3발진부(206)로부터 발진되어 입력되는 10.5MHz의 발진주파수와 제3혼합물부(221)에서 혼합되어 6.0MHz의 음성반송파로 변환된 후 제2신호선택부재(222)의 고정단자(b) 및 가동단자(c)를 통하고 6.0MHz의 대역필터부(20) 및 6.0MHz의 FM 음성검파부(210)를 통해 M 표준의 음성으로 검파되어 제3신호선택부재(223)의 고정단자(b), 가동단자(c)를 통해 출력하면서 수신되는 방송을 선국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동기검출부(215)(216)를 통해 검출한 동기신호가 포지티브의 동기신호이면, 즉, 제1동기검출부(215)로부터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제2동기검출부(216)로부터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B/K, D/K i 및 M 표준방식을 제외한 L/L 표준방싱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식한 표준방식이 L/L 표준방식이면 현재 선국하고 있는 대역이 VHF-L대역인지를 검색하여 VHF-L대역이면 즉, L' 표준방식이면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를 하이신호로 출력하여 제1발진부(204)를 34.5MHz로 동작시키고 4.5MHz에 해당하는 만큼의 튜닝전압(VAFT)을 하락시킴과 아울러 제1, 제3스위칭 제어신호(SW1)(SW2)를 출력하여 제1, 제3신호선택부재(218)(223)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a)로 절환 접속하고, 제2스위칭 제어신호(SW2)를 출력하여 제2신호선택부재(222)를 오프시키며, 제6스위칭 제어신호(SW6)를 출력하여 제5신호선택부재(224)의 가동단자(C)를 그의 고정단자(b)로 절환 접속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튜너(201)에서 동조된 방송신호는 제1신호선택부재(218)를 통해 제10도와 같은 주파수 이득 특성을 갖는 41.0MHz의 제1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2)에서 41.0MHz로 출력되고 그 41.0MHz는 제1혼합부(219)에서 제1발진부(204)의 34.5MHz와 혼합되어 6.5MHz의 음성반송파로 변환된 후 6.5MHz의 AM음성검파부(208)를 통해 L'표준의 음성으로 검파되어 제3신호선택부재(223)의 고정단자(a) 및 가동단자(C)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튜너(201)에서 동조된 영상신호는 영상중간주파 필터부(212),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 신호반전부(214)를 통해 원래의 포지티브 영상신호 반전된 후 제5신호선택부재(224)의 고정단자(b) 및 가동단자(C)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에서 현재 선국하고 있는 대역이 VHF-L대역이 아니면 즉, L'표준방식 아니면 L표준방식으로 인식하여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를 로우신호로 출력하여 제1발전부(204)를 38.9MHz로 동작시키게 된다.
이에따라 제1음성중간주파 필터부(202)에서는 32.4MHz의 반송파가 출력되고 제1혼합부(219)에서 제1발진부(204)의 38.9MHz와 혼합되어 6.5MHz의 음성반송파로 변환된후 6.5MHz의 AM음성검파부(208)에서 L표준의 음성으로 검파되어 제3신호선택부재(223)를 통해 출력되며, 영상신호는 상기 L'표준방식과 동일과정으로 신호반전부(24), 제5신호선택부재(224)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방송을 선국한 후 마이콤(217)은 제1발진부(204)가 34.5MHz로 동작하고 있는가, 즉 제5스위칭 제어신호(SW5)가 하이인가를 검색한 후 하이이면 L'표준이므로 선국하기 전에 4.5MHz에 해당하는 만큼의 튜닝전압(VAFT)을 하락시켰으므로 그 만큼의 튜닝전압을 상승시키고, L'표준이 아닌 경우에는 네가티브 영상검파부(213)로부터의 검출한 해당 튜닝전압이 현재의 대역에서 최고치인가를 검색하여 최고치가 아니면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고, 상기에서 검색한 결과 최고치이면 튜닝대역을 절환하게 되는데, 현재의 대역이 VHF-L이면 VHF-H로 절환하고, VHF-H이면 UHF로 절환하며, UHF이면 VHF-L로 절환한 후 튜닝전압(VAFT)을 최저치로 하면서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L/L'표준을 포함한 멀티 중간주파수 시스템에서 대역의 표준을 선택하여 입력할 필요없이 튜닝함으로써, 현재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표준을 인식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표준이 인식되며, 그 표준에 맞게 항상 튜닝할 수 있으므로 언제나 깨끗한 영상과 음성을 선국하여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튜너로부터 선국되어 영상중간주파 필터수단, 네가티브 영상검파수단을 통한 영상신호에서 네가티브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제1동기 검출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를 반전된 영상신호로 입력받아 포지티브 동기를 검출하는 제2동기검출수단과 상기 제1, 제2동기검출수단의 네가티브 및 포지티브 동기신호의 검출유무에 따라 표준방송방식을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6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방송방식을 선국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된 방송신호가 진폭변조된 음성반송파일 경우에 L/L' 표준방식에 해당하는 중간주파수를, 주파수변조된 음성반송파일 경우에는 L/L' 표준방식을 제외한 해당 표준방식에 맞는 중간주파수를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과, 상기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을 통한 중간주파수에서 진폭변조된 음성신호만을 검파하여 출력하는 AM음성검파수단과, 상기 주파수변조에 따른 음성중간주파 필터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중간주파수를 수신방송 표준치에 따라 6.0MHz의 반송파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신호변환수단과, 상기 신호변환수단의 반송파를 원래의 음성신호로 검파하는 FM음성검파수단과,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 입력되는 반송파중에서 M표준방식인 4.5MHz의 반송파만을 검출하여 마이콤에 입력하는 신호판별수단을 포함하여 된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신호변환수단은 0.5MHz 및 10.5MHz의 발진주파수를 각각 출력하는 제2, 제3발진수단과, 상기 제2발진수단으로부터 입력된 0.5MHz의 발진주파수와 제1혼합수단에서 혼합된 음성반송파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2혼합수단과, 상기 제1혼합수단에서 혼합된 방송방식에 따른 음성반송파와 제3발진수단의 10.5MHz의 발진주파수를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혼합수단과, 상기 마이콤의 제2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절환되어, 제1, 제2혼합수단의 음성반송파를 선택 출력하는 제2스위칭부재와, 상기 제2스위칭부재에서 선택된 음성 반송파중에서 6.0MHz만을 대역필터링하여 FM음성검파수단에 입력하는 대역필터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KR1019900022901A 1990-12-31 1990-12-31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KR93001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901A KR930010647B1 (ko) 1990-12-31 1990-12-31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901A KR930010647B1 (ko) 1990-12-31 1990-12-31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32A KR920014232A (ko) 1992-07-30
KR930010647B1 true KR930010647B1 (ko) 1993-11-02

Family

ID=1930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901A KR930010647B1 (ko) 1990-12-31 1990-12-31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6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232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413B1 (ko) 지상 am 및 위성 fm-tv 방송 신호 수신기
US4518993A (en) Television signal receiving system
JP2977328B2 (ja) 同調装置
US4280139A (en) Muting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3737565A (en) Signal detector for a signal-seeking tuning system
US5995169A (en) SIF signal processing circuit
JP3725402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890000648B1 (ko) 텔레비젼 음성신호 수신기
US6353462B1 (en) Television signal and FM broadcast signal demodulator and television signal and FM broadcast signal receiver
KR930010647B1 (ko) 다중화 중간주파수 복호기 시스템
JPH0648778B2 (ja) 衛星放送受信装置のafc方法
KR890000015B1 (ko) 텔레비젼 음성신호의 수신기
JP3357436B2 (ja) 映像中間周波処理装置
KR940005936B1 (ko) 복합 디지탈 방송방식의 오디오 자동선국 시스템
KR960002508B1 (ko) 방송방식에 따른 자동모드 선국장치
JPH08336079A (ja) 自動チャンネル切替装置
HU208205B (en) Multi-system sound signal processing unit for multi-system television receiver
KR950007721Y1 (ko) 2튜너를 가지는 tvcr의 개선된 채널 서치 튜닝 시스템
EP0116424A1 (en) Television receivers
KR970007477B1 (ko) 방송수신기의 자동 채널 선국 기억 방법
JP2975615B2 (ja) マルチ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用チューナ装置
KR890004772B1 (ko) Pal/secam방식의 공용튜너
KR0141527B1 (ko) F/s방식의 전자튜너를 이용한 채널검출장치
JPH0685570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におけるチューナ回路
KR920003022Y1 (ko) 브이씨알(vcr) 시스템에 있어서 secam-l과 pal-b/g방식의 자동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