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414B1 -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414B1
KR930010414B1 KR1019850007794A KR850007794A KR930010414B1 KR 930010414 B1 KR930010414 B1 KR 930010414B1 KR 1019850007794 A KR1019850007794 A KR 1019850007794A KR 850007794 A KR850007794 A KR 850007794A KR 930010414 B1 KR930010414 B1 KR 93001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heck valve
fluid passage
housing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615A (ko
Inventor
케 에제코에 엘.이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디.엘.트레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디.엘.트레자이스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6000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with a plurality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10T137/7903Weight bi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ck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구체화 하며,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체크밸브를 구성요소로 하는 핵 증기발전소의 계통도.
제2도는 정상흐름 개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체크 밸브의 종단면도.
제3도는 불완전하게 밀폐된 밸브부재를 가지는 역 흐름상태에 있는 제2도와 동일한 체크밸브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밀폐 순간의 체크 밸브를 도시하는 제2도와 동일한 체크밸브의 종단면도.
제5도는 선로 압력이 평형으로 복귀된 후의 밀폐된 체크밸브를 예시하는 제3도와 동일한 체크밸브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체크밸브 21 : 몸체
28 : 목부분 30 : 디스크
40 : 하우징 46 : 도관
47 : 배출구 50, 60 : 피스톤
52, 64 : 실 54, 62, 63 : 밀봉부
65 : 압축스프링 70 : 제어 조립체
71 : 컵형 연결자 75 : 스템
83 : 덮개판 85 : 핸들바퀴
본 발명은 유체 흐름 통로에서 흐름 역전에 반응하여 자동적으로 밀폐되는 형식의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체크밸브의 급격밀폐의 결과로서 흐름통로에 발생되는 압력서어지(Surge)를 억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핵증기 발전소에 있어서, 원자로용 냉각수는 증기 발생기를 통과하여 순환되어지며, 이점에서 원자로로부터의 물은 제2급수에 관련하여 열교환관계를 이루면서 순환되게 된다.
이 열교환관계에 의하여 급수는 가열되고 증기로 변환되어 증기가 물로 다시 변환되는 응축장치까지 관련증기 터어빈을 통과하여 순행되어지며, 여기에서 응결된 물은 급수로서 증기 발생기까지 가압되어 후퇴되게 된다.
각각의 증기 발생기로부터의 방출물은 분기관 설비에 의하여 증기 발생기와 관련 증기 터어빈 사이로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터어빈과 응축장치와 관련 펌프장치는 증기 발생기로부터 다소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지진 또는 다른 격렬한 충격의 경우에 있어서, 펌프장치와 증기 발생기 사이의 긴 범위의 도관은 파손 또는 훼손에 영향을 받기 쉬운 것이다.
이에 따라, 체크밸브는 증기 발생기에 인접한 이러한 도관에 통상 제공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체크 밸브를 가지는 도관상류 부분의 파손의 경우에 있어서, 파손지점의 급격압력 강하는 증기 발생기내의 가압급수를 체크밸브를 통하여 파손 지점쪽으로 역류시키는 상당한 압력 변동을 야기하게 한다.
이러한 역류의 대하여 체크밸브는 즉시 밀폐되어짐으로서 역류 흐름을 방지한다.
종래 체크밸브가 가지는 한가지 문제는 급작스러운 밀폐로 인하여 체크밸브가 증기 발생기와 체크밸브사이의 여기저기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압력 서어지 또는 수격작용의 해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이 압력 서어지는 정상선로압력의 6배 만큼 큰 것이며, 증기 발생관 또는 선로의 계기를 손상시키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체크밸브에 제공되는 제동장치는 수격작용의 해를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 제동 체크밸브의 밀폐는 밸브가 급격히 차단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감속되어 밀페된다. 이 기능은 압력 서어지를 아주 양호하게 완화하는 것으로 작용되지만, 밸브가 더욱 오랫동안 계도되어 있기 때문에 증기 발생기로부터 파손부분을 통하여 더욱더 많은 급수의 손실을 필연적으로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급수의 손실은 증기발생기내의 급수가 원자로 냉각수에 대하여 냉각재로 공급되기 때문에 핵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심각한 지장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 냉각재의 많은 손실은 원자로심의 증가가열을 야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증기 발생기는 전형적으로 주 급수 선로에 있어서 판손의 경우에 급수를 공급하도록 설계된 대체 금수선로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 대체선로는 매우 작은 직경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손실증기 발생기 급수를 아주 급속히 보충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만들어져 쉽게 분리 가능하며, 밸브의 급속 밀폐를 허용하는 동시에 압력 서어지를 억제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체통행을 허용하는 개도 위치와 유체통행을 차단하며 유체통로를 출구 부분과 입구부분으로 나누는 밀폐 위치 사이의 동작을 위하여 몸체에 의하여 지탱되는 밸브장치와 유체통로를 한정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유체통로의 출구부분과 통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과, 유체통로의 출구부분과 통하는 실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함께 작용하며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제1파손톤과, 상기 제1피스톤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된 제2피스톤과, 상기 제1피스톤을 확장위치까지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과, 상기 제1피스톤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피스톤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선결압력을 조절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실의 용접을 확장하기 위하여 유체통로에서부터 간격을 두고 있는 수축위치와 상기 실에 대하여 최소 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통로에 있는 정상 확장위치 사이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유체통로의 출구부분의 압력 서어지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의 힘에 대향하여 상기실의 용적을 확장하는 수축위치까지 변위되도록 유체통로의 출구부분의 선결된 압력에 대하여 반응하기 쉽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명백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서 도시된 예에 의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표준형의 증기 발생기(12)와 연결된 원자로를 포함하는 번호(10)으로 표시된 핵 증기 발전소가 계통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특히, 원자로심으로부터 나온 냉각수는 증기발생기(12)까지 도관(13)을 통하여 순환되며, 증기 발생기에서 냉각수는 열교환관(14)을 통하여 빠져나가 도관(15)을 경유하여 원자로(11)까지 후퇴 되어진다.
제2급수는 급수와 더불어 열 교환관계에 있는 관(14) 주위로 순환되며, 증기로 변환되어 도관(17)을 경유하여 관련 증기 터어빈(16)과 응축장치(16a)까지 순행되며, 거기에서부터 펌프(18)와 도관(19)을 통과하여 증기 발생기까지 후퇴되어진다.
본 발명과 일치하는 체크밸브는 증기 발생기(12)에 면밀하게 인접한 도관(19)에 배치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단 하나의 증기 발생기(12)를 도시하였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각계가 체크밸브(20)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증기 발생기(12)가 원자로(11)와 증기터어빈(16) 사이에서 분기관 설비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증기 발생기(12)는 원자로(11)에 면밀히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터어빈(16)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로 떨어져 있다.
이에따라 도관(19)은 길이로 60m (200feet)에서 90m (300feet)까지 떨어져 있으며, 지진에 의하여 야기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격렬한 충격으로부터 훼손되어지기 쉽게 된다.
또한 제2도에서 제5도까지의 도면을 참고하면, 각개가 도관(19)의 관련 부분에 체크밸브를 속박하기 위한 부착 플랜지(24)를 가지고 있는 입구 포오트(Port, 22)와 출구포오트(23)를 가지는 체크밸브(20)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21)는 도관(19)과 통하게 하기 위하여 입구 및 출구 포오트(22, 23) 사이의 몸체를 통하여 뻗어있는 유체통로(25)의 범위를 한정하며, 통로(25)는 입구공동(26)과 출구공동(27)을 포함하고 있다. 몸체(21)는 역시 출구공동(27)과 통하는 중공 목부분(28)과, 환형부착 플랜지(29)를 가진다.
밸브 디스크(30)는 몸체(2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너트(32)에 의하여 디스크에 속박되는 아암(33)의 한 단부의 보충구경을 통과하여 넣어지는 러그(lug, 31)를 가지고 있다. 아암(33)의 다른 단부는 몸체(21)의 목부분(28)의 돌출부(35)에 선회축핀(34)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밸브 디스크(30)는 통로(25)를 통과하는 유체의 자유 흐름을 제2도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정상전진 흐름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정지체(35a)와 맞물리는 러그(31)에 관하여 제2도에서 예시된 개도 상태와 입구공동(26)을 출구공동(27)으로부터 분리 및 통로(25)를 밀폐하기 위하여 디스크의 전체 원주를 둘러싸는 환형시이트(38)와 맞물리는 밸브디스크(30)에 관하여 제4도에서 예시된 밀폐상태 사이의 선회축 운동을 하기에 적당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상가동 도중 펌프(18)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전진 흐름은 밸브 디스크(30)를 개도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목부분(28)은 그 외부단부에 경화 금속합금으로 형성한 환형시이트(38)가 배치되어 있는 환형요부(37)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플랜지(29)의 보충환형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은 목부분(28)상에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신축 하우징(40)과 더불어 밀봉을 제공하기에 적당한 가스킷(Gasket, 39)이다.
특히, 하우징은 가스킷(39)과 맞물려 밀봉하기 위해 배치되는 환형단부면(41)을 가지며, 또한 보울트(43)에 의하여 플랜지(29)에 확고하게 속박되는 환형 고정 플랜지(4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40)은 역시 그 외부단부에 후술되는 환형부착 플랜지(44)를 가진다. 하우징(40)은 통로(25)축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며, 전형적으로 사용도중 수직으로 정위된다. 하우징(40)은 도관(46)에 의하여 관련 회수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 하우징의 측면에 포오트(45)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우징(40)은 하우징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후술될 배출구(47)를 가진다.
하우징의 저부단부에 인접하게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것은, 몸체(21)의 출구공고(27)과 통하는 실(52)의 범위를 한정하며 그 저부단부에 원통형 축 공동(51)을 가지는 원통형 완충피스톤(50)이다.
피스톤(50)의 외부 원통형 표면은 시이트(38)와 맞물려 직접 밀폐하기 위하여(53)에서와 같이 그 저부 단부의 모서리가 다듬어져 있다. 피스톤(50)은 하우징(40)의 축방향의 활주운동을 위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하우징(40)의 내부 표면과 맞물려 밀봉하기 위하여 피스톤(50)의 외부 표면의 상응하는 원주홈에 제각기 착석되어 있는 한쌍의 떨어져 간격진 원주밀봉부(54)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50)에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40)과 함께 같은 축으로 피스톤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것은 긴봉(55)이다.
특히, 봉(55)은 피스톤(50)의 상부 표면의 구경(56)에서 나선 맞물림을 위하여 그 저부단부에 나선홈이 파여져 있으며 너트(57)에 의하여 구경상에 제위치로 잠김되어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피스톤(50)에 봉(55)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는 다른 장치로 대응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봉(55)의 상부단부는 하우징(40)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활주운동을 위해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 압출피스톤(60)의 축방향의 원통형 구경(59)을 통하여 연장된다.
압축 피스톤(60)의 위쪽에서 봉(55)의 상부단부와 나선으로 맞물리는 것은 구경(59)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너트(60)이다.
피스톤(60)은 하우징(40)의 내부 표면과 맞물려 밀봉되기 위하여 피스톤(60)의 외부 표면의 보충홈에 제각기 배치된 한쌍의 축방향으로 떨어져 간격진 원주밀봉부(6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밀봉부(63)는 봉(55)과 맞물려 활주 밀봉되기 위하여 구경(59)내에 제공된다. 피스톤(50,60)은, 피스톤(50,60)에 대향하여 지탱되는 나선형 압축스프링(65)을 배치하고 있는 실(64)을 하우징 사이에 한정하기 위하여 하우징(40)과 작용된다. 포오트(45)는 실(64)과 통하고 있다.
또한 제2도와 제4도에는 나사(73)로 피스톤(60)의 상부 표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그 저부단부에 환형 부착 플랜지(72)를 가지며 하우징(40)내부에 배치된 통상 컵형 연결자(71)를 포함하는 번호(70)으로 지적하고 있는 제어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연결자(71)는 너트(61)를 수용하는 원통형 공동(74)을 그 저부단부에 가지고 있다. 연결자(71)의 상부 단부에 확고하게 속박된 것은 하우징(40)과 같은 측의 위쪽으로 뻗어있는 긴 나선 스템(Stem, 75)이다.
특히 스템(75)는 너트(77)에 의하여 제 위치로 잠김되며 연결자(70)의 상단에 있는 요부(76)와 나선으로 맞물려질 수 있는 것이며, 필요하다면 대체 부착장치가 사용되어 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스템(75)은 그 저부단부에 환형 플랜지(81)을 가지는 원통형 스템 너트와 나선으로 맞물려진다. 스템너트(80)는, 하우징(40)의 상부단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보울트(84)에 의하여 부착플랜치(44)에 속박되어 있는 평평한 원형 덮개판(83)의 보충구경을 통하여 뻗어 있으며, 플랜지(81)는 덮개판(83)의 내부 표면에 대향하여 지탱되는 것이다.
스템너트의 상부단부에 인접하게 스템너트(80)에 확고하게 속박된 것은 스템너트(80)의 수동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핸들바퀴(85)이다. 스템너트(80)의 위쪽상부단부에서 스템(75)과 나선으로 맞물리는 것은 너트(87)와 정지너트(88)이다. 스템너트(80)는 그 상부단부에 환형 베어링판(89)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배출구(47)는 피스톤(60)과 덮개판(83) 사이의 하우징(40)의 내부와 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작동시, 제어조립체(70)는 압축스프링(65)이 착석되어 있는 압축피스톤에 대향하여 속박판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40)의 내부에서 압축피스톤(60)을 지탱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압축스프링(65)은 완충피스톤(50)을 제2도에서 예시된 시이트(38)와 맞물려 확고한 밀봉상태에 있는 완전확장 위치까지 탄성적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 확장 위치에서 실(52)은 최소 용적을 가질 수 있다.
정상가동에 있어서, 통로(25)를 통과하는 급수의 전진 흐름은 제2도에서 예시된 개도 상태로 밸브 디스크(30)를 유지하게 한다. 이 정상 가동시, 펌프(18)에 의하여 가압되는 도관(19)의 내부 압력은 전형적으로 1,300psi이다. 이 정상압력은 완충피스톤(50)상에 작용되며, 피스톤을 하우징 내부의 위쪽으로 가압하여 상향하여 작용되게 한다. 하지만 압축 스프링(65)은 완충 피스톤(50)이 제2도에서 예시된 위치로 여전히 착석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정상 작동압력이 스프링(65)의 수축을 이루게 하기에 불충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체크밸브(20)와 펌프(18) 사이의 도관(19)의 파손의 경우에 있어서, 체크밸브(20)의 입구쪽의 압력은 급강하 되어진다. 펌프(18)는 차단되어지며, 정적 가압증기 발생기(12)는 제3도에서 화살표에 의하여 표시된 것과 같은 체크밸브를 통과하는 급수의 역 흐름을 야기하는 체크밸브(20)를 가로지르는 역압력 변동을 발생하게 된다.
이 역 흐름은 밸브 디스크(30)를 밀폐 상태쪽으로 변위하게 한다. 밸브 디스크(30)가 밀폐 상태에 도달됨에 따라 체크밸브(20)의 출구 공동(27)의 압력은 스프링(65)에 의하여 작용되는 선결된 수축력 이상으로 상승되며 따라서, 완충피스톤(50)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65)의 팽창력에 대향하여 상승되기 시작한다. 밸브 디스크(30)가 시이트(36)에 대향하여 밀폐상태로 완전히 차단되면, 출구 공동(27) 상단의 압력서어지와 완충피스톤(50)은 제4도에 예시된 수축 위치까지 더욱 상승되어진다. 연결자(71)의 공동(74)은 피스톤(50)이 수축운동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지고 있다.
완충피스톤(50)의 상승운동은 피스톤(50)의 실(52) 및 체크밸브(20)의 출구공동(27)과 통하는 하우징의 저부부분을 노출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실(52) 및 하우징의 저부부분의 노출용적은 효과적으로 상승되게 된다. 이 용적의 증가는 출구공도(27)의 압력을 비례적으로 감소시키며, 이것에 의하여 밸브 디스크(30)의 금속 밀폐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 서어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어떤 수격 작용의 해라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이 용적과 압력 관계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물은 배압축성 물질이기 때문에 출구 공동(27)의 아주 작은 용적 증가가 높은 압력증가를 충분히 흩트리게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증기 발생기(12)와 관련도관이 평형으로 복귀된후, 완충 피스톤(50)은 제5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압축스프링(65)의 팽창력으로 인하여 정상확장위치까지 되돌아 오게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을 완충피스톤(50)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점의 선결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이조립체(70)에 의하여 압축스프링(65) 상에 선하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들바퀴(85)의 수동 회전에 의하여 스템너트(80)는 회전되어지며, 이것에 의하여 스템(75)은 축방향으로 변위되며 연결자(71)와 압축피스톤(60)은 스템과 함께 변위되게 된다.
압축피스톤(60)이 아래로 변위됨에 따라, 스프링(65)상의 선하증은 증가되며, 압축 피스톤(60)이 위로 변위됨에 따라 스프링의 선하증은 감소된다. 너트(87, 88)는 스프링(65)을 스프링의 탄성한계를 나타내는 지점, 또는 완전히 압축시키는 지점까지 하향하는 압축피스톤(60)의 우발적인 구동을 예방하도록 스템(75)의 하향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제공한다.
압축피스톤(60)의 위치조절에 따라 완충피스톤(50)을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한 압력은 정상선로압력의 1%, 또는 2%에서 정상선로압력의 약 2-3배까지 조절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관련도관(19)의 파손의 경우에 있어서 체크밸브(20)의 금속밀폐에 기인되는 큰 압력서어지를 감소시키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또한 핵증기 발전소(10)의 정상가동시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더욱 감속된 압력 서어지의 억제에 있어서도 유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정상압력 진동은 발전소(10)의 펌프(18)와 다른부분의 작동의 결과로서 시스템에 발생하게 된다. 제어 조립체(70)는 역시 이 정상발생 압력 서어지를 억제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피스톤(50,60)과 제어조립체(70)가 완전히 하우징(4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덮개판(83)이 단속되어짐에 따라, 전체 조립체는 핸들바퀴(85)를 상승시킴으로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스템너트(80)는 덮개판(83)을 위로 견인하게 되며, 연결자(71)는 완충피스톤(50)과 봉(55)을 위로 견인하는 너트(61)와 차례로 맞물리는 압축피스톤(60)을 위로 견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체 조립체는 다수의 부분을 개별적으로 제거할 필요없이 단일 동작으로 하우징(4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출구(47)는 압축피스톤(60) 위쪽에 있는 하우징을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배출구는 압축피스톤(60)이 상승 또는 하강변위 됨에 따라 압축피스톤(60) 위쪽에 형성되는 진공 또는 압력 형성을 예방한다. 밀봉부(54)는 완충피스톤(50)을 통과하여 피스톤(50, 60) 사이의 공간 내부로 급수의 침투를 예방하는 것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포오토(45) 역시 밀봉부(54)의 파손에 의하여 피스톤(50, 60) 사이의 하우징(40)으로 침투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포오트에 의한 배수는 완충피스톤(50)의 상승을 방해할지도 모르는 피스톤(50, 6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비압축성물 때문에 필수적인 것이 된다.
지금까지 체크밸브(20)를 핵 발전소 적용에 관련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다른 형태의 응용에 있어서도 역시 유용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크밸브(20)는 선회 디스크형으로 서술하였지만, 다른형의 체크밸브 구조가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압축 스프링은 완충피스톤(50)을 위한 수축장치로서 서술되었지만, 공기 타이어, 또는 그와 같은 다른 형태의 압축할 수 있는 수축장치가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방법에 있어서, 피스톤(50,60)과 연결자(71) 뿐만 아니라 하우징(40)과 몸체(21)는 적절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가스킷(39)은 흑연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밀봉부(54, 62, 63)는 고무 또는 다른 적당한 신축성 있는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체크밸브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며 사용되는 특정재료는 특별한 적용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체크밸브의 재료와 크기는 작동압력과 온도 뿐만 아니라 밸브(20)를 통과하는 유체흐름의 특별한 화학조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지금까지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밸브를 간단하게 한 단계 동작으로서 분리하기 위한 장치와 초기작동압력에 대한 조절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며, 압력 서어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반면에 밸브의 금속밀폐를 가능하게 하며,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유체통행을 허용하는 개도위치와 유체통행을 차단하여 유체통로를 출구부분(27)과 입구부분(26)로 나누는 밀폐위치사이의 동작을 위하여 몸체에 의하여 지탱되는 밸브장치(30)와 유체통로(25)를 한정하는 몸체(21)를 포함하는 체크밸브(20)에 있어서, 유체통로의 출구부분과 통하며 상기 몸체에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40)과 유체통로의 출구부분과 통하는 실(52)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함께 작용하며 상기 하우징(40)내에 배치된 제1피스톤(50)과, 상기 제1피스톤(5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40) 내에 배치된 제2피스톤(60)과, 상기 제1피스톤(50)을 확장위치까지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50, 60)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65)과, 상기 제2피스톤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피스톤(6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선결압력을 조절하는 제어장치(70)로 구성되며, 상기 제1피스톤(50)은 상기 실의 용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유체통로에서부터 간격을 두고 있는 수축위치와 상기 실(52)에 대하여 최소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통로에 있는 정상확장위치 사이를 상기 하우징(40)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유체통로의 출구부분의 압력서어지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65)의 힘에 대향하여 상기 실의 용적을 확장하는 수축위치까지 변위하도록 유체통로의 출구부분의 선결된 압력에 대하여 반응하기 쉽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50, 60)은 상기 하우징(40)으로부터 상기 피스톤의 동시제거를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공전장치(55, 59, 6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전장치는 상기 제2피스톤(60)을 통과하는 축방향의 구경(59)과, 상기 구경(59)를 통과하여 축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제1피스톤(50)에 속박되어 있는 봉(55)과, 상기 구경(59)을 통과하여 빠져 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있으며 상기 제1피스톤(50)에 대향하는 상기 제2피스톤(60)쪽에 있는 상기 봉 장치에 속박된 유지장치(6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50, 60)은 상기 제1 및 제2피스톤(50, 60)을 통과하는 유체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는 밀봉부(54, 6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포오트(45, 47)는 유체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피스톤(60)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KR1019850007794A 1984-10-22 1985-10-22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KR930010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3532 1984-10-22
US06/663,532 US4646782A (en) 1984-10-22 1984-10-22 Surge suppressing check valve
US663,532 1984-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615A KR860003615A (ko) 1986-05-28
KR930010414B1 true KR930010414B1 (ko) 1993-10-23

Family

ID=2466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794A KR930010414B1 (ko) 1984-10-22 1985-10-22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46782A (ko)
EP (1) EP0180382B1 (ko)
JP (1) JPS61103073A (ko)
KR (1) KR930010414B1 (ko)
CN (1) CN85107737B (ko)
DE (1) DE3586710D1 (ko)
ES (1) ES8706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443U (ja) * 1992-04-06 1993-11-09 株式会社フクハラ 植物を利用した芳香発生装置
WO1995007411A1 (en) * 1992-05-21 1995-03-16 Tcholakov Stoil M Hydraulic pump output pressure compensation system
US5314315A (en) * 1992-05-21 1994-05-24 Tcholakov Stoil M Hydraulic pump output pressure compensation system
JPH0638996U (ja) * 1992-10-28 1994-05-24 フジ産業株式会社 芳香発生装置
SE502861C2 (sv) * 1994-07-07 1996-02-05 Kvaerner Pulping Tech Ventilsystem för ett utrymme som står under vakuum
US7226342B2 (en) 1995-08-21 2007-06-05 Reuben Hertz Handheld apparatus for delivery of particulate matter with directional flow control
JP3403010B2 (ja) * 1996-07-12 2003-05-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
US6095194A (en) * 1998-03-20 2000-08-01 Nippon Pillar Packaging Co., Ltd. Pulsation suppression device for a pump
KR200284378Y1 (ko) * 2002-03-08 2002-08-10 박강수 가열된 유체를 열원으로 하는 고데기
US7607972B2 (en) 2006-06-13 2009-10-27 Boaz Barry Groman Self-contained disposable micro-abrasive blasting tip for dental applications
US9050156B2 (en) 2005-03-10 2015-06-09 Boaz Barry Groman Sealing particulate matter in a micro-abrasive blasting device
US7731570B2 (en) * 2005-03-10 2010-06-08 Boaz Barry Groman Micro-abrasive blasting devices with perturbation control
US8534324B2 (en) * 2005-10-28 2013-09-17 Alan M. Schulman Sump pump with reduced-noise check valve
US8529313B2 (en) * 2006-06-13 2013-09-10 Boaz Barry Groman Powder blas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applications
FR2902285A1 (fr) * 2006-06-19 2007-12-21 Guy Negre Procede et dispositif de desinfection des sols par generation d'air comprime chaud humidifie
DE102006031520A1 (de) * 2006-07-07 2008-01-10 Schaeffler Kg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von Druckspitzen in einem hydraulischen Ölleitungssystem mit einem Rückschlagventil
US20130269813A1 (en) * 2012-04-14 2013-10-17 Asia Union Co., Ltd. Valve Combined With Water Hammer Arrester
JP6037684B2 (ja) * 2012-07-02 2016-12-0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設備
CN103883771A (zh) * 2014-02-21 2014-06-25 杭州天扬机械有限公司 一种双向安全止回阀
CN106090347A (zh) * 2016-08-30 2016-11-09 苏州科迪流体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止回阀
US11320057B2 (en) * 2019-02-05 2022-05-03 Reseau Drain Corp. Anti-rat valve and flap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587A (en) * 1909-03-25 1909-11-30 Reginald Putnam Fuel-feeding apparatus.
US1244271A (en) * 1916-02-01 1917-10-23 Standard Steel Works Company Shock-relief valve for hydraulic systems.
US1553768A (en) * 1922-04-18 1925-09-15 Frederick H Gleason Means for measuring and delivering volumes of fluid
US1536531A (en) * 1924-04-22 1925-05-05 Schermann John Henry Hydraulic shock absorber
US1663647A (en) * 1927-02-07 1928-03-27 Alanson P Brush Energy-storage unit
US1910345A (en) * 1928-02-27 1933-05-23 Doherty Res Co Pressure alleviator
US1779448A (en) * 1928-05-16 1930-10-28 Goulds Pumps Apparatus for suppressing surges
DE600173C (de) * 1931-12-03 1934-07-17 Andreas Puettmann Rueckstossfaenger fuer Wasserleitungen
US2216374A (en) * 1938-05-25 1940-10-01 Walter R Martin Pressure gauge with protecting and pulsation damping means
US2655937A (en) * 1948-01-01 1953-10-20 Lucas Ltd Joseph Liquid-fuel injection means for prime movers
US2934025A (en) * 1955-11-08 1960-04-26 Wilson John Hart Suction flow equalizer for mud pumps
US2912937A (en) * 1957-03-25 1959-11-17 Walker Brooks Fluid pump or injector
US2875789A (en) * 1957-11-26 1959-03-03 Lawson W Wright Water shock absorber
US3168045A (en) * 1961-09-13 1965-02-02 Sebastiani Martin Pump for thick materials
US3192864A (en) * 1962-01-19 1965-07-06 Notte Pier Vincenzo Diaphragm pump
US3177894A (en) * 1962-02-28 1965-04-13 Frank Wheatley Pump & Valve Ma Controlled action check valve
US3288166A (en) * 1964-02-26 1966-11-29 Laval Turbine Accumulator system
US3487855A (en) * 1967-10-16 1970-01-06 Joseph Walter Lautenberger Jr Pulsation dampener
US3817278A (en) * 1971-08-09 1974-06-18 Fwi Inc Spring closing check valve
JPS5147921B2 (ko) * 1973-01-12 1976-12-17
US4000758A (en) * 1974-10-21 1977-01-04 Meisenheimer Jr Daniel T Fluid reservoir device with fill means, level indicator means and pressure relief means
US4463603A (en) * 1983-01-24 1984-08-07 Welker Engineering Company Volume analyzer for crude oil sampling system including bite checking apparatus
DE3341433A1 (de) * 1983-11-11 1985-05-23 Strate GmbH Maschinenfabrik für Abwassertechnik, 3014 Laatzen Absperr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80382B1 (en) 1992-09-30
CN85107737B (zh) 1988-12-14
JPS61103073A (ja) 1986-05-21
CN85107737A (zh) 1986-08-27
KR860003615A (ko) 1986-05-28
DE3586710D1 (de) 1992-11-05
US4646782A (en) 1987-03-03
ES547887A0 (es) 1987-07-01
ES8706922A1 (es) 1987-07-01
EP0180382A2 (en) 1986-05-07
EP0180382A3 (en) 198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414B1 (ko) 서어지 억제형 체크밸브
US6015134A (en) Pneumatic actuator assembly
US5125429A (en) Piston pressure-type vacuum breaker
CN103016754B (zh) 一种气动高压调节阀
US4867286A (en) Shock absorber having fluid amplified piston head with relief valve which provides second stage of fluid amplification
US5690139A (en) Valve construction
US3419030A (en) Fast evacuation valve
CN101070918A (zh) 核一级稳压器电动卸压阀
US4060453A (en) Nuclear reactor installation
EP0059599A1 (en) Valve mechanism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US4351363A (en) Hydro-pneumatic pressure vessel
KR101287701B1 (ko) 수격방지장치
KR200234934Y1 (ko) 벨로우즈형 신축 밸브
US3403853A (en) Steam trap design and method
US3146947A (en) Thermostatic steam trap apparatus
CN219975474U (zh) 一种供暖阀体组件
US1861375A (en) Pressure reducing valve
CN219327817U (zh) 一种卸压阀主阀
CN215172254U (zh) 一种高温超高压液控截止阀
RU20371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бака от повышения давления и от переполнения
CA1133789A (en) Control rod drive mechanism vent valve assembly
BRPI1002285A2 (pt) conexão de alta pressão e disposição de conexão
CN114658786A (zh) 核电站用大型液压阻尼器
RU1815458C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JP4415169B2 (ja) 弁座を有する水抜栓の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