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559B1 -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559B1
KR930009559B1 KR1019850007589A KR850007589A KR930009559B1 KR 930009559 B1 KR930009559 B1 KR 930009559B1 KR 1019850007589 A KR1019850007589 A KR 1019850007589A KR 850007589 A KR850007589 A KR 850007589A KR 930009559 B1 KR930009559 B1 KR 93000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upplied
register
signa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743A (ko
Inventor
다까오 이따바시
준야 사이또
노리히 또 이찌까와
요시노리 고미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4Colour television system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
제 1 도는 신호 처리계의 대부분을 디지털화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계통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부가해 VBLK(수직 귀선 소거 펄스)를 구비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계통도.
제 3 도는 주사를 행하는 디지탈 회로에서의 레지스터의 데이타 처리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0,40,50,60 : IC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그 회로에 관한 것이다.
신호 처리계의 대부분을 디지탈화한 텔레비젼 수상기, 즉 디지탈 텔레비젼은, 예를들면 제 1 도의 표시처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면에 있어서 (11)은 신디사이저식의 튜너로부터 영상 검파회로까지 구비한 튜너회로를 표시하고, 이 튜너회로(11)로부터는 합성 비디오 신호가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는 A/D변환기(21)에 공급되어 디지탈 신호로 되고, 상기 신호는 빗형필터(31)를 거쳐 피킹필터(32)로 공급되어 디지탈의 휘도신호(YD)가 인출되며, 상기 신호(YD)가 처리회로(33)에 공급되어 콘트라스트동 조정되어 D/A 변환기에 공급되어 아날로그의 휘도신호(Y)로 되고, 상기 신호(Y)가 매트릭스 회로(24)에 공급된다.
또한 필터(31)의 출력이 밴드패스 필터(34)에 공급되어 디지탈의 반송 색신호(CD)가 인출되고 이 신호(CD)는 처리회로(35)에 공급되어 ACC(Automatic Chroma Control) 색상, 칼라(색포화도) 등의 조정이 행하여지고 나서 색복조 회로(22)에 공급되어서 디지탈의 적 및 청의 색차신호(RD-YD), (BD-YD)가 복조되고, 이들 신호가 D/A변환기(23R),(23B)에 공급되어서 아날로그의 색차신호(R-Y),(B-Y)로 되고 이들 신호가 매트릭스회로(24)에 공급된다.
그리고 매트릭스 회로(24)로부터는 삼원색 신호(R,G,B)가 인출되고 이들 신호가 화이트 밸런스용의 앰프(25R),(25G),(25B) 및 드라이브 앰프(12R),(12G),(12B)를 통해서 칼라 수상관(13)에 공급된다.
다시 (40)은 편향회로를 표시하고 튜너회로(11)로부터의 신호가 동기 분리회로(41)에 공급되어서 수평동기 펄스가 인출되고 이 펄스가 정형회로(42)에 공급되어서 소정의 펄스폭 및 위상의 펄스로 되고 이 펄스가 수평 출력 회로(16)에 공급되어서 수평 편향 신호로 되고 이 신호가 편향 코일(15)에 공급된다. 또한 분리회로(41)로부터 복합 동거 펄스가 인출되고 이 펄스가 적분회로(43)에 공급되어서 수직 동기 펄스가 인출되고 이 펄스가 정형 회로(44)에 공급되어서 소정의 펄스폭 및 위상의 펄스로 되고 이 펄스가 수직 출력회로(17)에 공급되어서 수직 편향 회로로 되고 이 신호가 편향 코일(15)에 공급된다.
또한 (50),(60)은 8비트 처리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표시하고 이들 마이콤(50),(60)에는 불휘발성 메모리(72),(73)가 각기 접속되는 동시에 마이콤(50)에는 키판넬(71)이 접속된다. 이 키판넬(71)은 사용자 채널, 색상 및 칼라 등을 조정(변경)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있다. 또한 메모리(72)는 판넬(71)의 턴키에 프리셋트되어 있는 채널의 선국 데이타 및 사용자가 조정한 색상 및 칼라 등의 데이타를 전원 오프시에도 기억해두기 위한 것이다. 다만 메모리(72)에 기억되는 색상 및 칼라 등의 데이타는 표준값(중심값)에 대한 오프셋 값이고, 그 표준값은 메모리(73)에 기억된다. 다시 메모리(73)에는 화이트 밸런스, 수평 및 수직 편향(예컨대 직선성) 등의 데이타처럼 사용자에 의한 조정은 필요로 하지 않으나 제조업체나 서비스맨에 의한 조정을 필요로하는 데이타도 기억된다. 그리고 이 메모리(73)에 있어서의 데이타는, 메이커 혹은 서비스맨의 조정용의 코맨더(75)를 접속했을 때 코맨더(74)로부터 메모리(73)에 기입된다.
그리고 전원을 넣으면 마이콤(50)에 의해 전원이 끓어지기 전에 선국하고 있던 채널의 데이타가 메모리(72)로부터 인출되고, 이 데이타가 튜너회로(11)에 공급되어서 전원이 끊어지기 전에 선국하고 있던 채널이 이어서 선국되는 동시에 마이콤(20)에 의해 메모리(73)로부터 화이트 밸런스의 데이타가 인출되고, 이 데이타가 인터페이스(29)를 통해서 앰프(25R) 내지 (25B)에 공급되어서 화이트 밸런스가 잡히도록 신호(R 내지 B)가 보정된다.
다시 마이콤(60)에 의해 메모리(73)로부터 수평 및 수직 편향의 데이타가 인출되고 이 데이타가 인터페이스(49)를 통해서 정형 회로(42),(44)에 공급되어서 수평 및 수직 편향 파형이 올바른 파형으로 조정(보정)된다. 또한 마이콤(60)에 의해 메모리(73)로부터 색상 및 칼라 등의 표준값의 데이타가 인출되는 동시에, 마이콤(50)에 의해 메모리(72)로부터 색상 및 칼라 등의 오프셋값 데이타가 인출되고 이 데이타가 인터페이스(버퍼)(74)를 통해서 마이콤(60)에 공급되어 마이콤(60)에서 표준값의 데이타에 오프셋값 데이타가 가산되고 이 오프셋을 지닌 데이타가 인터페이스(39)를 통해서 처리회로(33),(35)에 공급되어서 신호(YD),(CD)는 사용자가 조정한 색상 및 칼라의 신호로 조정된다.
따라서 전원을 오프했을 때 선국하고 있던 값을 그때와 같은 상태로 볼 수가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29),(39),(49)에 공급된 데이타는 다음에 새로운 데이타가 공급될 때까지 그 인터페이스(29),(39),(49)에 설치되어 있는 레지스터(도시않됨)에 래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패널(71)의 예를 들면 턴 키를 조작하면 마이콤(50)에 의해 그 조작된 키에 프리셋트되어 있는 채널의 데이타가 메모리(72)로부터 인출되고 이 데이타가 튜너회로(11)에 공급되어서 패널(71)의 턴키에 의해 지정된 채널의 선국 상태로 된다. 또한 이때 새로이 선택된 채널을 표시하는 데이타가 메모리(72)에 기입되어 다음의 전원 오프시에 대비하게 된다.
또한 패널(71)의 예컨대 색상의 키를 조작했을 때는 그키 조작마다 메모리(72)에 있어서의 색상의 오프셋 값 데이타가 갱신되는 동시에, 그 데이타가 인터페이스(74)를 통해서 마이콤(60)에 공급되고 메모리(73)로부터 표준값이 데이타에 가산되고 이 옵세트를 지닌 데이타가 인터페이스(39)를 통해서 처리회로(35)에 공급되어서 색상이 조정된다.
이상이 디지털 텔레비젼 동작의 개요이다.
또한 실제에는 쇄선으로 둘어싸인 부분 즉 로(21) 내지 (29), (31) 내지 (39), (41) 내지 (49)는, 각기 1개의 IC(20),(30),(40)에 IC화 되어 있는 것이고, 그 구체적인 제품번호는 예를 들면
IC(20)…VCU 2100(ITT사)
IC(30)…CVPU 2210(ITT사)
IC(40)…DPU 2500(ITT사)
IC(60)…CCU 2000(ITT사)
IC(73)…MDA 2061(ITT사)
이다(참고문헌 : 「DIGIT 2000 VLSI Digital TV System」, ITT사 발행).
상술과 같이 인터페이스(29),(39),(40)에 공급된 데이타는, 다음에 새로운 데이타가 공급될때까지 그 인터페이스(29),(39),(49)에 설치되어 있는 레지스터에 래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25R) 내지 (25B),(33),(35),(42),(44)는 그 래치되어 있는 데이타의 값에 대응한 상태에 제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지스터에 래치되어 있는 데이타는 부주의로 바꾸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수상기의 내부에서는 수상(13)의 고압을 위시한 각종의 전압이나 펄스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들 전압이나 펄스에 기인하는 잡음에 의해 레지스터의 데이타가 바뀌어버리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이때 일어나는 새로운 문제점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29),(39),(49)의 레지스터의 데이타를 수직 귀선 소거 기간마다 번호순으로 리프레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데이타가 변화했을 때에는 레지스터의 리프레시의 순서를 무시하여 그 데이타를 해당하는 레지스터에 기입하고 이후 리프레시를 재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인터페이스(29),(39),(49)의 레지스터의 데이타는 수직 귀선 소거 기간마다 번호순으로 리프레시 되므로 잡음에 의해 레지스터의 데이타가 바뀌어도 바로 정정되게 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는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행하여지므로 화면의 도중에서 상태가 변화하는 일은 없다.
다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는 일정한 순서로 반복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키판넬(71)로부터 입력한때에는 그 리프레시의 순서를 무시하여 대응하는 레지스터에 새로운 데이타를 우선적으로 기입해 놓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키입력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사용이 편리하다.
제 2 도에 있어서 편향회로(40)로부터 수직 귀선소거 펄스(VBLK)가 인출되고, 이 펄스(VBLK)가 마이콤(60)에 공급된다.
또한 마이콤(60)의 ROM에는 제 3 도에 도시하는 흐름도의 루틴(80)이 기입되어서 마이콤(60)에 의해 실행된다.
즉, 수상기의 전원을 넣으면 루틴(80)은 스텝(81)에서 시작하고 이 스텝(81)에 있어서 상술한 것처럼 각부에 메모리(72),(73)의 데이타가 공급되어서 수상기는 전원을 끓기전의 수신 상태로 되고 다음에 처리는 스텝(82)에 나아가서 N=0에 셋트된다. 이 경우 이 변수 N은 인터페이스(29),(39),(49)의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변수 내지 레지스터 번호이다. 그리고 예컨대 0
Figure kpo00001
N
Figure kpo00002
19이고 즉, 레지스터는 전부 20개이다. 계속해서 처리는 스텝(83)에 나아가고 이 스텝(83)에 있어서 키 판넬(71)로부터의 키입력이 체크되고 키입력이 없을 때 처리는 스텝(84)에 나아가고 이 스텝(84)에 있어서 수직 귀선소거 펄스(VBLK)에 의해 수직 귀선소거 기간인지 아닌지가 체크되고 수직 귀선소거 기간이 아닐때에는 처리는 스텝(84)에 되돌아온다. 따라서 수직 귀선소거 기간이 될 때까지 이 스텝(84)이 반복된다.
그리고 수직 귀선소거 기간이 되면 처리는 스텝(84)에서 스텝(85)으로 옮기고, 이 스텝(84)에 있어서 N번째의 레지스터의 데이타가 메모리(73)로부터 인출되고 이 데이타가 N번째의 레지스터에 공급된다. 또한 데이타가 메모리(72)에 기억되어 있을때에는 그 데이타가 마이콤(50)에 의해 인터페이스(74)에 버퍼되고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마이콤(60)에 인해 인터페이스(74)로부터 해당하는 레지스터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스텝(85)에 의해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N번째의 레지스터가 리프레시된다. 계속해서 처리는 스텝(86)에 나아가고, 이 스텝(86)에 있어서 변수 N이 「1」만큼 증가되고, 다음에 스텝(87)에 있어서 변수 N이 레지스터 번호의 최대값(=19)을 넘었는지 어떤지가 체크되어 넘지 않을때에는 처리는 그대로 스텝(100)에 나아가고, 넘고 있었을때에 처리는 스텝(88)에 나아가 N=0이 되어서 스텝(100)에 나아간다.
그리고 스텝(100)에 있어서 다른 처리, 예컨대 자동화이트 밸런스를 위한 처리 등이 행하여져서 처리는 스텝(83)에 되돌아온다.
따라서 키판넬(71)로부터의 키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인터페이스(29),(39),(49)의 레지스터가 수직 귀선소거 기간마다 번호순으로 반복해서 리프레시된다. 또한 이 경우 실제로는 레지스터의 1회의 리프레시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1개의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는 1개의 레지스터의 리프레시 밖에 행해지지 않는다(따라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가 한번 순환하는데는 20필드 기간이 걸리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키판넬(71)로부터 키입력을 한때에는, 처리는 스텝(83)에서 스텝(91)에 나아가고, 이 스텝(91)에서 그 키 입력에 대응한 데이타(Di)가 형성되고, 다음에 스텝(92)에서 그 데이타(Di)가 기입되어야 할 레지스터의 번호(Ni)가 변수 N에 세트되고, 계속해서 스텝(93)에서 펄스(VBLK)에 의해 수직 귀선소거 기간이 체크되어 수직 귀선소거가 되면 처리가 스텝(94)에 나아가고, 이 스텝(94)에서 데이타(Di)가 번호(Ni)의 레지스터에 공급되어 기입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수상기는 스텝(83)에서 키입력한 수신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처리는 스텝(95)에 나아가고 이 스텝(95)에서 데이타(Di)는 메모리(72)의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입되고 다음에 처리는 스텝(85)에 나아간다. 따라서 이후 Ni번째의 레지스터의 다음의 레지스터에서 번호순으로 리프레시가 반복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29),(39),(49)의 레지스터의 데이타는 수직 귀선소거 기간마다 번호순으로 리프레시 되므로, 잡음에 의해 레지스터의 데이타가 바뀌어도 이것은 곧바로 정정되게 되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는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행하여지므로 화면 도중에서 상태가 변화한다고 하는 일은 없다.
다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는 일정한 순서로 반복하여 행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키판넬(71)로부터 입력한 때에는 그 리프레시의 순서를 무시하여 대응하는 레지스터에 새로운 데이타를 우선적으로 기입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사용이 편리하다. 즉, 리프레시가 해당하는 레지스터가 될 때까지 그 레지스터로의 새로운 데이타의 기입을 기다리고 있으면 최악의 경우에는 20필드기간, 즉, 0,3초가 넘는 기간, 키입력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것이 되니 본 발명에 의하면 바로 응답이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인터페이스(29),(39),(49)의 레지스터의 데이타는 수직 귀선소거 기간마다 번호순으로 리프레시되므로 잡음에 의해 레지스터의 데이타가 바뀌어도 이것은 바로 정정되어지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는 수직 귀선소거 기간에 행하여지므로 화면 도중에서 상태가 변화한다고 하는 일이 없다.
다시 레지스터의 리프레시는 일정한 순서로 반복해서 행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키판넬(71)로부터 입력한때에는 그 리프레시의 순서를 무시하여 대응하는 레지스터에 새로운 데이타를 우선적으로 기입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사용이 편리하다. 즉, 리프레시가 해당하는 레지스터가 될 때까지 그 레지스터로의 새로운 데이타의 기입을 기다리고 있으면 최악의 경우에는, 20필드기간 즉, 0.3초가 넘는 기간, 키입력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것으로 되나 본 발명에 의하면 바로 응답이 있고, 사용이 편리하다.

Claims (1)

  1. 디지털 제어 신호로 제어될 수 있는 신호처리부(30,20,40)와,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60)와, 상기 신호 처리부(30,20,40)내에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내의 처리회로(33,35,25,42,44)에 정보를 전달하게 된 인터페이스부(39,29,49)를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수직 귀선소거 기간마다 바꿔지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60)에 공급되는 데이타가 갱신된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9,29,49)중 상기 갱신의 대상이 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부(39,29,49중의 하나)를 다른 인터페이스부(39,29,49중의 다른 것)보다 앞서 데이타가 바꿔지게 하는 상기 제어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KR1019850007589A 1984-10-17 1985-10-15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 KR930009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18,079 1984-10-17
JP59218079A JPS6196833A (ja) 1984-10-17 1984-10-17 テレビ受像機
JP218079 1984-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743A KR860003743A (ko) 1986-05-28
KR930009559B1 true KR930009559B1 (ko) 1993-10-06

Family

ID=1671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589A KR930009559B1 (ko) 1984-10-17 1985-10-15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27426A (ko)
EP (1) EP0178923B1 (ko)
JP (1) JPS6196833A (ko)
KR (1) KR930009559B1 (ko)
AU (1) AU587399B2 (ko)
CA (1) CA1259690A (ko)
DE (1) DE3576448D1 (ko)
HK (1) HK740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4717A (en) * 1985-05-20 1987-03-31 Rca Corporation Cathode-ray tube arc-over protection for digital data i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JPH0681326B2 (ja) * 1985-09-02 1994-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イジタルテレビ受信機
JP2545805B2 (ja) * 1986-09-24 1996-10-23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3299464A (ja) * 1987-05-28 1988-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631987B2 (ja) * 1987-11-20 1997-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輝度信号処理装置
JP2897214B2 (ja) * 1988-04-15 1999-05-31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受像機の自動レベル補正装置
DE4004631A1 (de) * 1990-02-15 1991-08-22 Philips Patentverwaltung Fernsehempfangsteil
JPH0556372A (ja) * 1991-08-27 1993-03-05 Toshiba Corp Dsp使用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H0670251A (ja) * 1992-08-20 1994-03-11 Sony Corp Av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72363B2 (ja) * 1994-05-31 2001-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
JP3059692U (ja) * 1998-12-08 1999-07-13 船井電機株式会社 チャンネルプリセッ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967A (en) * 1976-09-27 1980-09-02 Hughes Aircraft Company Scene tracker using multiple independent correlators
JPS6053967B2 (ja) * 1979-01-11 1985-11-28 ソニー株式会社 放送局の予約可能な受信機
US4291413A (en) * 1979-09-28 1981-09-22 Rca Corporation Search type tuning system with direct address channel selection apparatus
DE3069073D1 (en) * 1980-10-30 1984-10-04 Itt Ind Gmbh Deutsche Colour television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an integrated digital circuit for processing the composite colour signal
JPS58139241A (ja) * 1982-02-10 1983-08-18 Toshiba Corp 画像メモリアクセス方式
DE3263717D1 (en) * 1982-02-27 1985-06-27 Itt Ind Gmbh Deutsche Ic set with three integrated circuits for videosignal processing in a colour television receiver
FR2541478A1 (fr) * 1983-02-22 1984-08-24 France Etat Recepteur de teletexte a moyens de decision d'acquisition anticipee
EP0119282B1 (de) * 1983-03-15 1986-06-18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Fernsehempfänger mit einem automatischen Digital-Abgleich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96833A (ja) 1986-05-15
US4727426A (en) 1988-02-23
AU4824385A (en) 1986-04-24
EP0178923B1 (en) 1990-03-07
EP0178923A3 (en) 1987-06-03
HK74094A (en) 1994-08-05
JPH0556053B2 (ko) 1993-08-18
KR860003743A (ko) 1986-05-28
CA1259690A (en) 1989-09-19
EP0178923A2 (en) 1986-04-23
DE3576448D1 (de) 1990-04-12
AU587399B2 (en) 198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9057A (en) Display system for selectively overlaying symbols and graphics onto a video signal
US5023721A (en) TV of internal PiP type for receiving the character multibroadcasting
KR930009559B1 (ko)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
US5818416A (en) Image size adjusting apparatus for a digital display monitor
KR930009558B1 (ko) 텔레비젼 수상기내의 회로각부의 초기 설정 시스템
KR920007080B1 (ko) 텔레비젼의 화면상태 자동조절회로
KR940003049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GB1527453A (en) Colour hue control circuit for colour television receiver
US4660085A (en) Television receiver responsive to plural video signals
US5173777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inset-image keying in a television set having only one tuner
US4618881A (en) Set of three integrated circuits for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in color-television receivers
US4668974A (en) Digital scan converter
US4670790A (en) Television receiver provided with delay circuit
KR970008462B1 (ko) 디지탈 텔레비젼 신호 전송 장치
KR100253255B1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i²c 데이터 전송방법
US4184173A (en) Color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JP2636831B2 (ja) 受像機
US6812934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t the time of character display in an image apparatus
JPS6369398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自己診断装置
KR970010389B1 (ko) 스트로브표시를 행하는 텔레비젼수상기
KR200162015Y1 (ko) 피아이피를 갖는 티브이의 영상 처리 장치
JPH08242183A (ja) 表示装置
KR960014234B1 (ko) Pal/ntsc절환시 틴트(tint)기능 자동선택회로
KR19990015573A (ko) 오 에스 디 데이터의 색신호 조절장치 및 그 방법
US5568182A (en) Teletext and videotex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