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439B1 - 자동 과일선과기 - Google Patents

자동 과일선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439B1
KR930009439B1 KR1019910006001A KR910006001A KR930009439B1 KR 930009439 B1 KR930009439 B1 KR 930009439B1 KR 1019910006001 A KR1019910006001 A KR 1019910006001A KR 910006001 A KR910006001 A KR 910006001A KR 930009439 B1 KR930009439 B1 KR 93000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ox
conveyor
sorting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430A (ko
Inventor
김형식
오용규
변동익
Original Assignee
김형식
오용규
변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오용규, 변동익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1991000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9439B1/ko
Publication of KR92001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과일선과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의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의 평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의 선별드럼내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과집상 2 : 1차 선별대
3 : 승강기 4 : 세척대
5 : 히터 6 : 선별드럼
본 발명은 자동과일선과기, 더욱 상세히는 감귤, 오렌지, 사과 등의 과일을 각각의 크기에 따라서 선별하여 분류, 포장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과일선과기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과일은 그 크기와 모양이 규일하지 못하여 수확시에 이를 선별하여 포장하는 것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여 수작업으로서 일일이 크기에 따라 분류, 세척하여 개별 포장박스에 담아서 출하하고 있으나 이는 대단히 큰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단순작업이기 때문에 쉽게 지쳐서 선과의 정확도를 저하시키고 육안과 경험으로서 선별하기 때문에 동일한 수량의 포장이라 해도 중량이 상이하여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플랜트단위의 수확일 경우에는 선과의 시간이 다대하게 소요되어 적시에 출하하지 못하는 등의 생산성 또한 문제가 되어왔다.
이에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하고 자동적으로 선과하여 분류, 포장, 세척까지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과일선과기를 발명하게 되었다.
이하의 부수된 제 1 도 내지 3 도에서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의 측면도이며 제 2 도는 평면도이다. 과집상(果集箱)(1)에는 과일(여기서는 감귤의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적당량의 과일이 접적되고 과집상(1)의 단부에는 PVC파이프재등으로 만들어지는 컨베이어인 1차 선별대(2)가 연결된다. 이 1차선별대(2)에서는 부패한 과일등을 육안으로서 선별하게 되는 바 이는 비숙련작업이기 때문에 극소수의 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다. 1차적으로 선별이 끝난 감귤은 컨베이어로된 승강기(3)로 선과라인에 투입되게 된다.
선과라인 초기는 세척대(4)로서 구성되며 이 세척대(4)에서 감귤에 부착된 오물, 먼지등을 제거하게 되고 필요한 경우 건조시키게 된다. 세척대(4)의 로울러는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브러쉬(4")가 관통삽입된 로울러로서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있다.
세척대(4)는 적당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의 공간에는 이후의 작동의 제어를 위한 제어반(콘트롤러 : C)을 가지며 이송진행에 따라서 브러쉬(4")에 의하여 감귤은 그 면에 부착된 불순물이 제거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세척대(4)의 진입초기단계에 적절한 물분사장치(4')를 구비하여 세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세척대(4)의 하단에는 히터(5)가 설치된다. 이 히터(5)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x형의 절첩장치(5')상단에부착되어 필요한 경우에 건조를 수행하도록한다. 히터(5)는 통상의 관입(管入)히터, 니크롬선히터, 열풍장치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세척이 종료되는 세척대(4)의 말단에는 선별과정이 연결되는 바, 선별과정은 다수개(여기서는 10개)의 선별드럼 (6-1,6-2,…6-10)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선별드럼은 다음 단계의 드럼으로 진행할 수록 선별드럼의 선별경(選別徑)은 점점 커지도록 구성하여 진행함에 따라서 각각 다른 크기의 감귤이 각 단계에서 드럼하단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선별드럼 (6-1,6-2,…6-10)은 필요한 경우에는 그 수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3 도에 선별드럼의 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가 제공되어 있는 바, 선별드럼(6-1,…)의 축방향으로 벨트 컨베이어어(1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벨트컨베이어(10)의 측방으로는 감귤을 안내하는 호퍼가이드(16)가 설치되어 감귤을 벨트컨베이어(10) 위로 안내한다. 벨트컨베이어(10)의 단부에는 호퍼 (9)가 각각 설치된다. 호퍼(9)는 개략 박스형이며 그 저면에는 전기적 신호 또는 유압에 의하여 개폐되는 호퍼도어(9')가 설치된다. 선별드럼(6-1…)의 하단에는 포장용의 박스를 공급하는 박스공급컨베이어(11)가 설치되며 이 박스공급 컨베이어 (11)는 제 1선별드럼 (6-1)하단에까지 연장된다.
박스공급컨베이어(11)의 이송방향 측방에는 공,유압으로 작동하는 공급실린더(12)가 박스를 분류대(13)상의 박스정위치로 밀어주기 위하여 설치된다. 공급실린더(12)의 작동간의 단부에는 감귤의 수량을 박스에 마킹하기 위한 수량마킹기(14)가 부착되며 이 수량마킹기(14)는 종래의 통상의 마킹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공급실린더(12)가 정량대로 가득찬 박스를 제품이송컨베이어(15)로 밀어줄때 이루어진다. 박스를 분류대(13)로 밀어줄때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박스가이드(7)가 스토퍼역활을 하면서 박스를 정위치에 분배한다. 분류대(13)상의 박스대(17)는 저울(8)과 연계, 작동하여 일정 중량에 도달하면 호퍼(9)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호퍼도어(9')를 폐쇄한다. 분류대(13)의 측방에는 제품이송컨베이어(15)가 선별드럼의 선별경로를 따라서 설치되며 분류대(13)와 제품이송컨베이어(15) 사이에는 박스의 이월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링로울러(ring roller)(16)를 가로로 길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이송컨베이어 (15)의 단부에는 제 1체인컨베이어(18)가 설치되고 하중이 무거운 제품박스는 이 제 1체인컨베이어(18)에 의하여 수량계수기(20)에 도달하여 계수이후에는 제 1체인컨베이어(18)측방의 에어실린더(22)가 중량검수대(23)로 밀도록 구성된다. 에어실린더(22)는 제품박스를 밀어줌과 동시에 제품의 기재사항, 즉 상표. 생산지등을 마킹한다. 중량검수대(23)의 측방에는 제 2체인컨베이어(19)가 설치되고 제 2체인컨베이어(19)의 단부에는 포장을 위한 봉함기(24)가 놓여진다. 상기의 제1,2컨베이어(18,19)는 작업현장의 사정에 따라서 그 길이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
기계의 구조상 제어콘트롤러(C)는 세척대(4)의 하부공간에 설치한다. 선별드럼 (6-1…)의 마지막에는 선별되지 않은 잔류과를 수집하기 위한 잔류과수집상(21)이 설치된다. 전기, 유공압회로는 여기에서는 자세히 기술치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는 중량의 측정, 실린더의 작동, 이송컨베이어의 작동, 등의 다수의 측정과정과 일련의 시이퀀스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에 수종의 센서와 제어회로가 필요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센서와 회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아니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감귤이 과집상(1)에 투하되면 1차선별대(2)에서 수동으로 부패한 것등을 선별하고 나면 승강기(3)를 통하여 감귤은 선별라인으로 투입된다. 제 1선별드럼(6-1)에서는 일정크기의 소형 감귤이 선별드럼의 선별공(6")으로 떨어져 선별드럼내의 벨트컨베이어(10)를 따라서 이송되어 호퍼(9)에 담긴다. 이 과정과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박스공급컨베이어(11)에 의하여 공급된 빈 박스는 공급실린더(12)에 의하여 분류대(13) 위의 박스대(17)상에 박스가이드(7)와의 협조로 안치된다. 이 경우 박스대(17)와 저울(8)은 서로 연계되어 있거나 또는 동일체일 수 있다. 박스가 제위치에 설정되면 호퍼도어(9')가 개방되면서 감귤은 박스내에 담겨진다. 일정중량에 이르게 되어 저울(8)에서 적정신호가 검출되면 호퍼도어(9')가 폐쇄되고 공급실린더(12)는 박스를 제품이송컨베이어(15)로 밀어주면서 동시에 수량을 마킹한다. 각각의 선별드럼(6-1,6-2,6-3…)에서는 각각 상이한 직경의 선별공(6")을 가지기 때문에 각각 다른 크기의 감귤이 선별되어 담겨지며 수량 또한 상이하게 찍혀지게 된다. 제품이송컨베이어(15)에 의하여 이송되고 제 1체인컨베이어(18)로 수량계수기(20)까지 이송된 제품박스는 수량이 계수되고 에어실린더(22)에 의하여 상표등의 서지사항이 인쇄되면서 밀려 중량검수대(23)로 보내지고 검수가 끝난 제품은 제 2체인컨베이어(19)에 의하여 봉함기(24)에 의하여 봉해져 선별과정이 완료된다. 상기의 선별과정은 모두 일괄적인 라인과정으로서 이루어지고 대부분의 공정이 자동화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과일선과기는 자동적으로 크기에 따라서 과일을 선별, 분류, 포장, 검인까지 완료하여 자동화, 성력화를 도모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대량의 선과물량도 아주 짧은 시간에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요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의 부수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본 발명의 보호받아야 할 기술적 사상이 언급될 것이나 간단한 수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과일을 집적하는 과집상(1), PVC로울러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과집상(1)에 접속되는 1차 선별대(2), 상기 1차 선별대(2)와 연결되어 과일을 일정 높이에 상승시키는 승강기(3), 상기 승강기(3)와 연결되며 물 분사장치(4')를 도입부에서 가지며 브러쉬(4")를 설치한 로울러로 구성되며 그 하단에 상승기구로서 연결된 히터(5)를 가지는 세척대(4)와, 각각 상이하며 선별과정이 진행됨에 따라서 선별경(6")이 커지는 적정개수의 선별드럼(6-1,6-2,6-3…), 상기 선별드럼(6-2,6-2,6-3…)의 축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소폭의 벨트컨베이어(10), 상기 벨트컨베이어(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호퍼(9), 상기 호퍼(9)의 저면에 설치되는 전기 또는 유공압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호모도어(9')로 구성되는 선별드럼(6-1,6-2…)부와, 상기 선별드럼(6-1,6-2…)의 열의 하단에 설치되는 박스공급 컨베이어(11), 상기 박스공급컨베이어(11)측방의 공급 실린더(12), 공급실린더(12)의 작동판에 부착되는 수량마킹기(14), 상기 포허(9)의 하단의 박스대(17), 상기 박스대(9)와 일체 또는 연계체인 저울(8), 상기 박스의 이송을 안내하는 박스가이드(7)를 가지는 분류대(13)와, 상기 분류대(13)의 측방의 링로울러(16)와, 상기 링로울러(16)의 측방의 제품이송컨베이어(15)와, 상기 제품이송컨베이어(15)의 말단의 제 1 체인컨베이어(18), 상기 제 1체인컨베이어(18) 측방에 부착되고 그 작동판에 형성된 상표마킹기, 상기 제 1체인컨베이어(18)말단의 수량계수기(20), 상기 수량계수기(20)에 연결되는 제 2체인컨베이어(19), 상기 제 2체인컨베이어(19)의 말단의 봉함기(24)로 구성되며 제어콘트롤러(C)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과일선과기.
KR1019910006001A 1991-04-12 1991-04-12 자동 과일선과기 KR93000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001A KR930009439B1 (ko) 1991-04-12 1991-04-12 자동 과일선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001A KR930009439B1 (ko) 1991-04-12 1991-04-12 자동 과일선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430A KR920019430A (ko) 1992-11-19
KR930009439B1 true KR930009439B1 (ko) 1993-10-04

Family

ID=1931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001A KR930009439B1 (ko) 1991-04-12 1991-04-12 자동 과일선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9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39B1 (ko) * 2011-12-21 2013-12-10 경기도 포천시(포천시 농업기술센터장) 홍로사과 착과개수 결정방법 및 착과량 판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136B1 (ko) * 2000-01-22 2002-11-22 학교법인 영광학원 구형농산물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839B1 (ko) * 2011-12-21 2013-12-10 경기도 포천시(포천시 농업기술센터장) 홍로사과 착과개수 결정방법 및 착과량 판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430A (ko)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218A (en) Automatic sorting, stacking and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US9415429B2 (en) Plant for cleaning bins used for vegetable produce
KR20210103226A (ko) 파이프 다발 밴드 결속장치
CN209829608U (zh) 一种模块化果蔬分选装置
KR930009439B1 (ko) 자동 과일선과기
CN110691653B (zh) 用于处理园艺产品的设备
DK168151B1 (da) Fremgangsmåde og anlæg til sortering af emner
US4561546A (en) Seedling grading machine
US4933074A (en) Article singulating system and method
JPH11207268A (ja) 農産物の選別装置
US34554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objects to gauging slots
US4009553A (en) Machine for filling pockets
KR200360367Y1 (ko) 자동선과설비
US3618285A (en) Method for filling boxes with a preselected quantity of discrete articles
JPH03229679A (ja) 農作物の自動選別装置
US3550772A (en) Automatic laundry sorting apparatus
US3633733A (en) Article-handling apparatus
JP3825250B2 (ja) 農産物の仕分け装置
US3532215A (en) Can sorting machine and method
US4155456A (en) Independent produce sorter for installation on a produce harvester
JP3785265B2 (ja) 農産物の仕分装置
JPS595029B2 (ja) 選別装置
JPS63305974A (ja) 果実の選別装置
CN212597234U (zh) 组合盖印码筛分装置
SU825700A1 (ru) Лини дл сортировки шер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