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543B1 - 수압 크림핑 공구 - Google Patents

수압 크림핑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543B1
KR930008543B1 KR1019870002091A KR870002091A KR930008543B1 KR 930008543 B1 KR930008543 B1 KR 930008543B1 KR 1019870002091 A KR1019870002091 A KR 1019870002091A KR 870002091 A KR870002091 A KR 870002091A KR 930008543 B1 KR930008543 B1 KR 93000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movable
driven
crimping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081A (ko
Inventor
미드 하워드
Original Assignee
그린리 텍스트론 인코포레이티드
허버트 엘. 허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리 텍스트론 인코포레이티드, 허버트 엘. 허벨 filed Critical 그린리 텍스트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0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7Hand tools for crimping fluid actuated hand crim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압 크림핑 공구
제 1 도는 본 발명의 크림핑 공구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크림핑 공구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3-3선을 따라 잘라낸 부분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4-4선을 따라 잘라낸 부분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5-5선에 따른 말단부의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6-6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
제 7 도는 제 2 도의 7-7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
본 발명은 수압 공구, 특히 수압 크림핑 공구에 관한 것이다.
두개의 도체 사이 또는 도체와 단자 사이에 전기적 및 구조적 연결을 이루도록 전기 케이블에 금속 연결기를 크림핑 또는 압출하기 위한 다수의 수압 크림핑 공구가 개발되었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전기 연결기가 현재 사용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가지 형태는 두개의 도체 또는 케이블을 직선으로 함께 연결시키는 슬리이브 연결기로서 통상 언급되는 관상 원통형 연결기이다.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이러한 변형 형태는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평면부를 갖는 관상 원통형 슬리이브를 포함한다. 또한 기타 연결기 배열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같이 사용되고 있다.
선행 기술에서의 작업자는 사용중에 있어서 슬리이브와 기타 전기 연결부를 압착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수압 크림핑 공구 구조물을 사용하였다. 여러가지 구조물은 아래의 특허에 나타나 있다.
부쉬와 그의 동료들에의 1984년 11월 6일자 미국 특허 제4480460호.
그레고리에의 1982년 8월 3일자 미국특허 제4342216호.
마틴과 그의 동료들에의 1982년 7월 6일자 미국특허 제4337635호.
리틀과 그의 동료들에의 1979년 1월 30일자 미국 특허 제4136549호.
수가누마와 그의 동료들에의 1979년 1월 2일자 미국 특허 제4132107호.
맥키버에의 1977년 4월 26일자 미국특허 제4019362호.
노드커트에의 1954년 9월 7일자 미국특허 제2688231호.
메이시에의 1951년 9월 5일자 미국특허 제2567155호.
상이한 형태 또는 크기의 전도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부쉬의 미국특허 제4480460호에는 공구헤드에 대해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크림핑 아암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마틴과 그의 동료들의 미국특허 제4337635호는 공구헤드의 일측단부로부터 대향 단부를 향하여 증가된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상이한 위치에 다수의 압축면의 각각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을 공구에 이용하고 있다. 리틀의 미국특허 제4136549호는 이 목적을 위하여 공구에 차동 나사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레고리의 미국특허 제4342216호는 수압 크림퍼에 이송 체크밸브가 포함되어 있으며, 공구에서 유체압력을 제거하기 위해 조작자가 버튼을 눌러 체크밸브가 그 시트(seat)로부터 들어올려져서 크림핑 램의 행정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힘인가피스톤의 왕복운동의 양에 따라 자동적으로 힘을 조절하는 피스톤종동수단을 갖는, 전기적 연결비용 크림핑 공구같은 수압 이송공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수압 공구를 제공하는 바, 여기에서 전기적 연결기의 크림핑을 포함하는 하나의 특수한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특수한 전기적 연결기에 대해 크림핑 힘 및 크림핑 변형정도를 조절하도록 피스톤의 왕복운동의 변화에 따라 예정된 순서로 자동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작동 실시예에서, 수압 크림핑 공구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선택된 증분으로 감소된 크림핑 힘과 크림핑 변형 정도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증분으로 낮은 수압에서 릴리이프 밸브가 이탈하게 하는 힘인가피스톤의 위치에 따라 릴리이프 밸브에 대한 스프링 편중을 조절(감소)하는 슬라이드 장치를 작동시키는 다수의 종동의 단계진 면 또는 경사면을 가지며 피스톤 램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종동봉(follower rod)을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 왕복운동 및 종동봉의 계단의 위치와 길이는 전기적 연결기의 각각의 크기 또는 크기범위에 대하여 개개의 수준으로 감소된 최종 크림핑 힘 및 변형을 제공하도록 상이한 크기의 전기적 연결기가 크림프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크림핑 공구를 나타낸 것으로, 크림핑 공구는 공구헤드 부분(12)과 고정된 핸들부분(14)을 포함하는 주 동체(10)을 가지며, 또한 주 동체(1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체(19)에 핀(17)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오크(16a)가 형성된 수동작동 가능한 가변 핸들(16)을 갖고 있다. 주 동체 (10)의 공구헤드 부분(12)은 주 동체에 고정부착된 고정 U-형 하우징(20) 및 힌지핀(24)에 의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에 힌지로 연결된 힌지 U-형 하우징(22)을 포함하고 있다. 분리가능한 연결핀(26)은 힌지핀(24)으로부터 대향측에 U-형 하우징(20,22)을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와이어(28)는 연결핀(26)을 고정 U-형 하우징(20)에 연결시킨다. 연결핀(26)을 제거하면 U-형 하우징(22)이 회전되어 힌지핀(24)에 대하여 개방되어 아래에 설명하는 크림핑 조오(30,32)를 변경시킴은 물론 조오(30,32)가 두 개의 도체의 길이에 관계없이 이를 함께 연결시키도록 두 개의 도체를 중첩시키는 연결기 둘레로 위치시킨다.
크림핑 조오(32)는 작은 나사(34)와 너트(36)에 의하여 U-형 하우징(22)에 함께 보울트로 연결되고 스페이서(38)에 의하여 일정간격 이격된 두 개 이상의 적층 조오(3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오(32)는 적절히 고정되어 크림핑 공정중에는 움직이지 않는다. 각 조오(32)는 가동 조오(30)의 크림핑면 또는 작동면(30a)과 함께 전기적 연결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압축되는 다각형 리세스를 형성하는 크림핑면 또는 작동면(30a)을 갖고 있다.
가동 조어(30)는 이것이 고정 조오(32)를 향하여 그리고 고정 조오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고정 U-형 하우징(20)에서 슬로트(40)로 이동되어 안내되도록 하는 측번부(3b)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 조오는 세 개의 일정간격 이격된 크림핑 또는 작동면(30a)을 갖는 단일 구조물(제 7 도)로서, 상기 세 개의 작동면(30a)사이에는 고정 조오(32)의 크림핑면 또는 작동면(32a)을 수용하기 위한 슬로트(30b)가 배치되어 있다. 자명한 바와같이, 크림핑면(32a)과 함께 크림핑면(30a)은 공지 방식으로 전기적 연결기 및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포개질 때 상술한 다각형 리세스를 형성한다.
제 7 도에 잘 나타난 바와같이, 가동 조어(30)는 고정나사(52) 또는 기타 연결수단에 의하여 수압 피스톤 또는 램(50)에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수압 피스톤(50)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주 동체(10)에 부착된 실린더동체슬리이브(53)내의 칼라(54)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며 시일(56)을 지나 활주 가능한 축소된 직경의 외측단부(50a) 및 동체슬라이브(53)내의 실린더 구멍(60)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보다 큰 직경의 플랜지 내측 단부(50b)를 갖는 관상부재이다. O-링 시일(62)이 수압유체의 누설을 방지토록 플랜지 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구멍(60)내의 코일 스프링(55)은 수압 유체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반대하여 제 7 도에서 좌측으로 피스톤(50)을 편중시키다.
피스톤의 플랜지 내측단부(50b)는 내측이 나사진 구멍(50c)을 포함하고, 여기에 중공삽입물(64)이 나사로 수용되어진다. 삽입체는 종동봉(72)의 헤드(70)와 가압 수압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환상 챔버(66)를 형성하도록 피스톤의 환상 플랜지와 홈(50d,50e)과 협동하는 환상 플랜지와 홈(64a,64b)으 포함하고 있다.
삽입물(64)은 피스톤(50)의 내측 종방향 구멍(50f)에 대해서 유체 흐름 관계에 있는 종방향 구멍(64c)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 두 개의 구멍들 모두는 유체흐름을 수용한다.
피스톤(50)은 제 3 도에 잘 나타난 바와같이 드라이버 플런저(80)로부터 공급되는 수압 유체에 의하여 구동된다. 플런저(80)는 가동핸들(16)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에 의하여 핀(84)을 통하여 직접 구동된다. 플런저(80)는 저압부(80a)를 포함하고 있다. 주 동체(10)내의 유체 공급통로(86)는 리테이너슬리이브(101)에 의해 적절히 고정된 슬리이브삽입물(97)에 위치된 일련의 스프링-편중 보올체크밸브(90,92,94)와 볼(92,94)로 유체저장기(88)와 연결되어 있다. 저장기(88)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 주머니(89)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고정 중공 핸들부분(14)에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고무 주머니(89)는 저장기 충전 플러그(89a)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핸들(16)에 의하여 플런저(80)가 상승되면, 체크밸브(90)(저압 흡입 밸브)와 체크밸브(92)(고압 흡입 밸브)는 스프링(91,93)을 편중시켜 저장기(88)와 통로(86)로부터 챔버(91,93)로 수압 유체가 유동하도록 개방되는 반면에, 체크 밸브(94)는 스프링(95)의 편중에 의하여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플런저(80)의 초기 하강행정시, 체크밸브(90)는 폐쇄되고, 초기에 또한 저압 배출밸브로서 작용하는 체크밸브(92)는 체크밸브(94)가 개방됨에 따라 개방되어 유체가 통로(100)로 유동하게 하여 피스톤(50)을 제 2 도 및 제 7 도에서 우측으로 구동시키도록 가압 유체를 피스톤(50)의 챔버(66)와 구멍(50f)으로 공급한다. 저압 유체는 대체로 피스톤(50)과 조오(30)을 바르게 길이로 이동하는데 사용하고 조오 사이에 놓인 전기적 연결기와 초기 접촉되게 한다.
조오(30)가 전기적 연결기와 접촉하고 높은 크림핑(높은 유체압력)의 사용에 의하여 전기적 연결기를 크림핑하기 시작한 후, 플런저(80)의 고압부분(80b)은 양 체크밸브(90,92)가 폐쇄되는 동안 고압 유체를 저압 유체와 동일한 통로를 따라 체크밸브(94)를 지나 챔버(93)에서 통로(100)까지, 따라서, 피스톤(50)까지 유동시키기위한 펌프작용을 취한다.
플런저(80)는 수압유체 시일링 작용을 위한 O-링 시일(98,99)을 갖고 있다.
제 6 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횡방향 통로(104)는 챔버(91)와 교차되며, 외부로 플러그 개구부(105)에 이르며, 또한 스프링 편중 저압방출 보올 체크밸브(110)가 미리 선택된 최대값을 초과하는 유체 압력의 결과로 시이트에서 이탈되면 스프링 편중 저압방출 보올 체크밸브(110)에 의하여 폐쇄되며 저장기(88)로 개방될 수 있는 통로(108)와 교차된다. 크림핑 공구의 통상 조작시, 체크밸브(110)는 중공나사 플러그(112)에 의하여 고정된 스프링(111)의 스프링 편중에 의하여 폐쇄된다.
유체 복귀통로(120)는 주 동체(10)를 통하여 피스톤(50)으로부터 횡방향통로(122)까지 연장되어있다. 보다 큰 직경의 횡방향 통로(124)는 통로(122)로부터 주동체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보다 큰 직경의 통로(124)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같이 보올 체크밸브(128)을 갖는 슬리이브 삽입물(126), 밸브(128)를 위한 편중 스프링(130), 및 레버(136)에 의하여 가동핸들(16)에 작동하도록 주 동체(10)의 외측에 단부(134)를 갖는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는 압력방출 플런저(132)가 있다. 플런저(132)는 플런가 슬리이브 삽입물(126)내에서 활주할 때 시일링하기 위한 O-링 수압시일(138)을 갖고 있다. 횡방향 배수 통로(133)는 주동체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막혀 있다.
크림프의 단부에서, 조작자는 연결부(141)를 경유하여 레버(136)를 하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하여 핸들(16)에 방아쇠(140)를 잡아당긴다. 조작자가 고정핸들(14)쪽을 향하여 핸들(16)을 하강시키면, 레버(136)는 방출 플런저(132)를 슬리이브 삽입체(126)에서 하향으로 내리누르고 체크밸브(128)를 시이트에서 이탈시키므로 수압유체는 복귀통로(142,144)를 통하여 통로(122,124)로부터 저장기(88)로 복귀 이동할 수 있다.
크림핑 조작중, 피스톤(50)의 위치, 따라서 고정 조오(32)에 대한 가동 조오(30)의 위치에 따라 크림핑 중에 영향을 받게되는 크림핑 변형 정도는 물론 크림핑 힘을 자동적으로 조절가능하게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크림핑 힘과 크림프 변형의 감소는 공구에 의하여 크림프될 전기적 연결기의 크기 또는 크기범위에 따라 증분적으로 선택되므로 각각의 특수 크기의 연결기 또는 크기범위에 대하여 선택된 최종 크림핑 힘 및 최종 크림핑 변형 정도는 연결기의 각각의 크기 또는 크기범위에 대하여 최종 선택된 완전히 크림프된 상태에서 영향을 받고 달성될 것이며, 크림핑 변형 정도는 과도한 크림핑 또는 과소한 크림핑 없이 상이한 크기가 수용되어 달성될 수 있도록 크기 또는 크기 범위의 연결기에 대하여 변한다.
증분적인 자동 크림핑힘 감소수단은 횡방향 통로(122)와, 교차하여 함께 유체 유동관계를 이루는 종방향 통로(150)를 포함하고 있다. 통로(150)의 소형 직경부분(150a)은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같이 중공 밸브 동체(152)의 나사단부와 나사 연결된다.
통로(150)의 대형 직경부분(150b)은 동체(152)의 대형 직경부분을 수용한다. 동체(152)의 내측에서, 종방향 통로(154)는 통로(122)로부터 대형 직경의 내부챔버(156)까지 연장되어 있다. 챔버(156)내에는 플런저 밸브(1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런저 밸브(160)는 통로(154)에 의하여 형성되는 시이트에 안치되며 스프링(162)으로부터 충분히 편중되면 통로(154)를 폐쇄시키는 원추형 단부(160a)를 갖고 있다. 또한 밸브 스프링 캡(164)이 챔버(156)에 위치되어 있고, 스프링(162)이 도시한 바와같이 캡(164)과 플런저 밸브(160)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162)에 의하여 플런저 밸브(160)에 가해지는 편중은 증분적으로 감소되어, 증분 크림핑 힘 감소 목적을 위하여 최종 연결기 크림프 상태(연결기의 선택된 최종변형)에서 수압장치에서 발생되는 증분적으로 제어 및 감소되는 상이한 유체 압력으로 제 4 도에 도시한 안착 위치로부터 개방된다. 이는 가동 슬라이드 또는 웨지(170)와 고정 슬라이드 또는 웨지(172), 밸브 조절 로울러(174) 및 종동봉(72)의 계단단부 종동 연장부(175)에 의하여 달성되며, 가동웨지(170)는 도시한 바와같이 캡(164)과 결합된다.
특히, 가동 슬라이드(170)는 스프링(162)으로부터의 편중에 의하여 캡(164)의 단부면(164a)과 접촉하는 접촉면(170a)을 포함하고 있다. 가동 슬라이드(170)는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직교하는 슬라이드(172)의 표면과 결합하는 소켓헤드 고정나사(180) 및 덮개판(182)에 의하여 슬라이드(170)에 대하여 고정위치에서 유지되는 고정 슬라이드(172)의 보충경사면(172b)과 활주가능하게 접촉하는 경사면(170b)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나사(180)는 캡 부재(186)의 나사구멍에 나사로 수용되어 구멍(183)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축고정 나사(181)에 의하여 적절히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170,172)는 캡 부재(186)의 슬로트(186a)에 삽입되어 있다. 덮개판(182)이 나사(187)에 의하여 캡 부재 (186)에 고정되어 있다. 홈속으로 들어가는 헤드 스크루우(190)가 고정나사(180)를 보호하기 위하여 주 동체(10)의 나사구멍(191)에 나사로 수용되어 있다.
고정 슬라이드(172)에 대한 가동 슬라이드(170)의 위치는 밸브조절 종동 로울러(174)와 슬라이드(170)의 종동면(170c)과의 결합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상기 로울러(174)는 크림핑 조작중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제 7 도) 종동봉(72)의 계단 단부 종동 연장부(175)와 결합하여 이에 의하여 이동된다. 로울러(174)는 연장부(175) 둘레에 위치되어 덮개판(182)에 의하여 축방향 위치에 고정된 슬라이브 캐리어(177)에 고정된 슬로트(176)에 위치되어 안내된다. 연장부(175)는 종동봉(72)에 나사로 연결되며, 밸브조절 로울러(174)로부터 상이한 횡방향 간격의 다수의 종동계단 또는 면(188)을 포함하고 있다. 로울러(174)는 피스톤(50)이 이동되기전에 크림핑 조작의 시작시 제 7 도의 가장 높은 계단(188)에 보인다. 제 7 도에서 피스톤(5)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다른 계단(188)은 로울러(174)를 슬라이드 면(170c)으로부터 멀리 이동되게 하는 로울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지나갈 수 있다. 이 로울러 작용은 일정한 증분으로 스프링(162)에 대한 편중을 감소시키면서 제 7 도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슬라이드(170)가 경사면(170b)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피스톤(50)과 조오(30)가 이동되어 조오 사이에서 크림프되지 않은 전기적 연결기와 초기 접촉하면, 증가된 유체 반대 방향입력이 통로(122)에서 발생되어 피스톤(50)과 조오(30)의 추가운동의 결과, 따라서 종동봉(72)의 추가 운동의 결과로 크림핑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한다. 미리 선택된 정도의 연결기 변형이 달성되면, 통로(122)에서 유체 반대방향압력은 조오(30)에 의하여 가해지는 크림핑 압력을 해제하고 원래의 연결기 치수의 선택된 백분율에서 크림핑 변형을 종결시키기 위하여 밸브(160)를 개방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설정되는 스프링 편중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계단(188)의 축방향 길이는 소망 크림핑 변형에서 예컨대 연결기 외경의 미리 선택된 변형률에서 최종 피스톤 위치와 상관하여 최종 크림핑 힘을 달성한 다음, 미리 선택된 크림핑 변형이 도달된 후 크림핑 힘을 해제하도록 선택된다. 즉 고정 조오(32)에 대하여 가동 조오(30)에 요망되는 최종 위치 및 연결기의 각각의 크기 또는 크기 범위에 대하여 최종 요망 크림핑 압력을 알아냄으로서, 이 목적을 위해 계단(188)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로울러(174)로부터 계단(188)사이의 횡방향 거리는 연결기의 특정 크기 또는 크기범위에 미치는 소망 최종 크림핑 압력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스프링(162)의 편중을 감소시키도록 선택된다.
로울러(174)는 연결기와 조오(30)의 초기 접촉시 특정 계단(188)에 있을 수 있고, 소망 릴리이프 압력에서 스프링 편중을 해제토록 크림핑 종결시 상이한 계단에 있을 수 있다. 밸브(160)을 지나 유체의 해제는 밸브동체(152)에서 밸브(160) 둘레 및 덮개판(182) 둘레의 틈새공간에서 저장기(88)로 흘러간다. 피스톤(50)에 의하여 가해지는 크림핑 힘은 피스톤(50)의 왕복운동 정도, 따라서 조오(32)를 향한 조오(30)의 운동에 따라서 감소된다. 네 개의 계단(188)이 제 7 도에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1000-500mcm같은 네 개의 상이한 크기 또는 크기 범위의 전기적 연결기가 크림프될 수 있는데, 각 연결기는 로울러(174)가 최종 크림핑 위치에 지지되는 특정계단(188)에 의하여 결정되는 특수한 개개의 크림핑 변형을 받는다. 따라서 연결기의 과대 크림핑을 피하게 된다.
연결기에 대한 크림핑 조작의 마지막에, 핸들(16)은 피스톤(50)에 대한 어떠한 잔류 유체 압력이라도 완전히 해제하기 위하여 레버(136)가 해제 플런저(132)를 누르도록 하강하게 된다.
제 7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중공 고정핸들(14)은 주동체 연장부(10a)의 나사부분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관상부분(14a)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관상부분(14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시하고 기술된 다수의 계단(188) 대신에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경사면이 종동면(로울러(174)에 의해 종동됨)으로서 본 발명에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경사면은 종동봉 연장부(175)의 종축에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3)

  1. 피스톤이 피스톤의 운동량에 따라 이동될 때 가해지는 힘을 순차적 및 자동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피스톤 종동 수단과 가동력 인가 피스톤 수단을 갖는 수압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피스톤 수단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종동부재 및 밀폐되는 밸브 수단을 편중시키는 릴리이프 밸브 수단에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가해지는 편중력을 순차적으로 자동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동부재 운동에 반응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부재는 종동면을 포함하며, 피스톤과 함께 이동하도록 피스톤 수단에 연결되어, 대응수단이 밸브 수단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하며 스프링 편중을 변화시키도록 종동면의 운동에 의하여 활주할 수 있는 슬라이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이 종동면과 접촉하는 로울러 수단 그 자체와 접촉되게 하므로서 로울러 수단의 운동시 슬라이드 수단이 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공구.
  5. 피스톤 수단에 대한 수압을 저장기 수단에 연결시키기 위한 밸브 수단을 포함하는 가동력인가 피스톤수단, 폐쇄되는 밸브 수단을 편중시키는 스프링 수단, 피스톤 수단과 함께 이동가능한 종동수단, 및 종동수단과 스프링 수단을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며 순차적으로 감소되는 유체 압력이 피스톤 수단의 이동에서 스프링 편중에 대하여 밸브 수단을 개방하도록 종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밸브 수단에 대한 스프링 편중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종동 수단의 이동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압력을 받는 이동가능한 피스톤 수단을 포함하는 수압공구.
  6. 가동력 인가 피스톤 수단, 피스톤 수단에 대한 수압을 저장기 수단에 연결시키는 밸브수단, 폐쇄되는 밸브 수단을 편중시키는 스프링 수단, 피스톤 수단과 함께 이동가능하며 종동면을 갖는 종동수단, 종동수단이 피스톤 수단과 함께 이동시 종동면의 이동에 반응하며 밸브 수단이 피스톤 수단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 수단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피스톤 수단의 증가된 이동과 함께 순차적으로 감소된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종동수단이 피스톤 수단과 함께 이동시 밸브 수단에 대한 편중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스프링 수단에 자동적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드 수단으로 구성되는 수압공구.
  7. 고정 조오, 전기적 연결기를 크림프하기 위하여 전기적 연결기와 함께 고정 조오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가동 크림핑 조오, 고정 조오를 향하여 가동조오를 구동시키는 가동 피스톤 수단, 및 피스톤 수단을 통하여 가동 조오에 의하여 가해지는 크림핑 힘과 고정 조오에 대한 가동 조오의 이동에 따라 각 전기적 연결기의 크림핑 변형의 정도를 자동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상이한 크기의 전기적 연결기를 크림핑 하기위한 수압 크림핑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가해지는 크림핑 힘과 크림핑 변형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가동 조오와 피스톤 수단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종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크림핑 공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폐쇄되는 릴리이프 밸브 수단을 편중시키는 스프링 수단을 또한 포함하며, 종동수단은 가동 조오가 고정 조오를 향하여 이동시 밸브에 대한 스프링 편중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크림핑 공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종동수단은 전기적 연결기의 소망 크림핑 정도와 상호 관련이 있는 계단의 길이를 갖는 가동 조오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계단 종동봉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크림핑 공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또한 종동수단은 스프링 편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종동계단의 위치에 반응하는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크림핑 공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기구는 고정웨지 및 계단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이동가능한 가동웨지로 구성되며, 가동웨지의 위치는 스프링의 압축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프링 편중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크림핑 공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가동웨지는 스프링 폐쇄 부재와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압 크림핑 공구.
KR1019870002091A 1986-06-02 1987-03-09 수압 크림핑 공구 KR930008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69,625 US4796461A (en) 1986-06-02 1986-06-02 Hydraulic crimping tool
US869625 1986-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081A KR880001081A (ko) 1988-03-31
KR930008543B1 true KR930008543B1 (ko) 1993-09-09

Family

ID=2535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091A KR930008543B1 (ko) 1986-06-02 1987-03-09 수압 크림핑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96461A (ko)
JP (1) JPS62296925A (ko)
KR (1) KR930008543B1 (ko)
CA (1) CA1300856C (ko)
DE (1) DE3713711A1 (ko)
FR (1) FR2599564B1 (ko)
GB (1) GB2191129B (ko)
IT (1) IT120628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338A (ko)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절첩식 병풍이 장착된 유리벽천을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7A (ko)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5A (ko) 2016-10-14 2018-04-24 이영무 회전형 벽체가 구비된 이동주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2782A1 (de) * 1987-12-17 1989-07-06 Michael Dr Kretzschmar Druckmittelzange fuer federbandschellen
JPH0729596Y2 (ja) * 1988-11-17 1995-07-05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手動油圧式圧縮工具
US4947672A (en) * 1989-04-03 1990-08-14 Burndy Corporation Hydraulic compression tool having an improved relief and release valve
US5195042A (en) * 1990-06-27 1993-03-16 Burnd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rimping of articles
US5152162A (en) * 1990-06-27 1992-10-06 Burnd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rimping articles
US5113679A (en) * 1990-06-27 1992-05-19 Burndy Corporation Apparatus for crimping articles
US5251445A (en) * 1991-10-03 1993-10-12 Hydra-Ram Inc. Hand operated hydraulic pump having pressurized reservoir within piston
EP0944937B1 (de) 1997-10-15 2002-03-27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es pressgerät
DE19926481B4 (de) * 1999-06-10 2013-09-12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es Arbeitsgerät
US6220074B1 (en) 1999-10-20 2001-04-24 Fci Usa, Inc. Electrical connector crimping tool head
US6446482B1 (en) 2001-09-17 2002-09-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Battery operated hydraulic compression tool with rapid ram advance
US6668613B2 (en) 2002-04-09 2003-12-3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ydraulic compression tool and hydraulic compression tool motor
US6666064B2 (en) 2002-04-19 2003-12-2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ortable hydraulic crimping tool
US7464578B2 (en) * 2005-06-03 2008-12-1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and-held, portable, battery-powered hydraulic tool
DE102006003044B4 (de) 2006-01-23 2015-10-08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 angetriebenes Verpressgerät sowie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Fittings
US20090326510A1 (en) * 2008-06-30 2009-12-31 Haefner Paul A Drug Delivery Methods and Systems
US9199389B2 (en) 2011-04-11 2015-12-0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ydraulic hand-held knockout punch driver
WO2014022534A1 (en) 2012-07-31 2014-02-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ulti-operational valve
DE102013100183A1 (de) 2013-01-09 2014-07-10 Gustav Klauke Gmbh Hydraulisch betätigbare Pressvorrichtun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Verpress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isch leitfähigen Pressverbindung, elektrisch leitfähig verpresste Presshülse, Verfahren zum Klemmen eines Werkstücks und hydraulische Vorrichtung
US9388885B2 (en) 2013-03-15 2016-07-12 Ideal Industries, Inc. Multi-tool transmission and attachments for rotary tool
US10226826B2 (en) 2013-10-22 2019-03-1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ydraulic power tool
US10000007B2 (en) 2015-06-10 2018-06-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EX expanding tool
US9862137B2 (en) 2015-04-20 2018-01-0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EX expanding tool
WO2018052705A1 (en) * 2016-09-13 2018-03-22 Cupertino Electric, Inc. Single compression multiple impression crimp too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5113A (ko) * 1950-04-13
US2688231A (en) * 1951-06-20 1954-09-07 Manco Mfg Co Piston actuated hydraulic pressure tool
BE623126A (ko) * 1960-06-14
GB1282101A (en) * 1968-08-12 1972-07-19 Terence Patrick Priestley Improvements in fluid pressure operated mechanisms
GB1223808A (en) * 1969-06-16 1971-03-03 Kearney National Inc Tool for crimping connection fitting about electrical conductor lines
DE2121042C3 (de) * 1971-04-29 1976-01-08 Weiss Kg Sondermaschinentechnik, 7141 Neckarweihingen Druckmittelbeaufschlagte Stellvorrichtung mit Eilgang und Krafthub
US4132107A (en) * 1977-06-24 1979-01-02 Izumi Products Company Hydraulic compression tool
US4136549A (en) * 1978-01-16 1979-01-30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connector tool
US4309936A (en) * 1979-04-30 1982-01-12 General Battery Corporation Stacker with improved hydraulic cylinder movement
US4337635A (en) * 1980-07-03 1982-07-06 Teledyne Penn-Union Compression tool
US4342216A (en) * 1980-11-10 1982-08-03 Gregory Jack T Limited stroke force delivering tool
CA1212528A (en) * 1982-02-08 1986-10-14 Teledyne Penn-Union Compression tool
US4604890A (en) * 1982-02-08 1986-08-12 Teledyne Penn-Union Compression tool
US4480460A (en) * 1982-09-27 1984-11-06 Square D Company Compression too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338A (ko)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절첩식 병풍이 장착된 유리벽천을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7A (ko) 2016-10-14 2018-04-24 이영무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KR20180041335A (ko) 2016-10-14 2018-04-24 이영무 회전형 벽체가 구비된 이동주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99564A1 (fr) 1987-12-04
GB2191129A (en) 1987-12-09
IT1206285B (it) 1989-04-14
KR880001081A (ko) 1988-03-31
US4796461A (en) 1989-01-10
DE3713711A1 (de) 1987-12-10
GB2191129B (en) 1990-10-17
IT8747949A0 (it) 1987-05-19
FR2599564B1 (fr) 1994-03-25
JPS62296925A (ja) 1987-12-24
CA1300856C (en) 1992-05-19
GB8704623D0 (en) 198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543B1 (ko) 수압 크림핑 공구
US4604890A (en) Compression tool
US2696850A (en) Crimping device
US3636707A (en) Power device
US5425164A (en) Hand-tool system for installing blind fasteners
EP0391317A2 (en) Hydraulic compression tool having an improved relief and release valve
US4342216A (en) Limited stroke force delivering tool
US4823588A (en) Hand tools including a hydraulic jack for the control of working members
US4206603A (en) Single hand operated tool
US4492106A (en) Manually actuated hydraulic jack for compressively applying terminals on electric cables and conductors in general
US4667502A (en) Hydraulic compression apparatus
JPH0464835B2 (ko)
US2962074A (en) Pneumatically operated compressing tool
US3030838A (en) Hydraulic pump-up tool
US4118970A (en) Crimping diameter adjusting valve
US4581894A (en) Hydraulic compression apparatus
US4825755A (en) Piston-stroke adjusting mechanism of hydraulic tool
GB881668A (en) Power-operated tool
US4409720A (en) Dual function, single stroke pressing device
US6295813B1 (en) Press driven tool actuator module
CA1212528A (en) Compression tool
JPH0454715Y2 (ko)
JP2579200Y2 (ja) ラム強制戻し機構付き手動油圧式工具
KR102348652B1 (ko) 유압작동식 전선 압착기용 승압장치
JPH02275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