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412Y1 - Brake cooling device - Google Patents

Brake cool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412Y1
KR930008412Y1 KR2019900017533U KR900017533U KR930008412Y1 KR 930008412 Y1 KR930008412 Y1 KR 930008412Y1 KR 2019900017533 U KR2019900017533 U KR 2019900017533U KR 900017533 U KR900017533 U KR 900017533U KR 930008412 Y1 KR930008412 Y1 KR 930008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ompressed air
port
brak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5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20009402U (en
Inventor
홍경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7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412Y1/en
Publication of KR920009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0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412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5/00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5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자동차 브레이크 냉각장치Automobile brake chiller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브레이크 냉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brake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본 고안에 관련되는 퀵 릴리이스 밸브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quick releas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공압탱크 3 : 듀얼 브레이크2: pneumatic tank 3: dual brake

6 : 브레이크 드럼 7 : 퀵 릴리이스 밸브6: brake drum 7: quick release valve

8 : 제 1 튜브 9 : 브레이크 챔버8: first tube 9: brake chamber

10 : 피스톤 13 : 슬랙 어저스터10 piston 13 slack adjuster

16 : 관로 18 : 제 1 포트16: pipeline 18: first port

19 : 제 2 포트 21 : 가동변19: second port 21: movable side

23 : 제 3 포트 24 : 제 4 포트23: third port 24: fourth port

본 고안은 자동차 브레이크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시 발생하는 브레이크의 제동열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brake coo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ake cool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brake drum from overheating by the braking heat of the brake generated during braking.

제동장치는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킴과 아울러 주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장치이다.The braking device is a safety device installed to slow down or stop a driving car and maintain a parking state.

이러한 제동장치는 회전체를 고정체의 마찰부재로 가압하여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완전히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시 회전체와 마찰부재와의 사이에는 제동열이 발생하게 된다.Since the braking device is configured to press the rotating body with the friction member of the fixed body to reduce or completely stop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body, braking heat is generated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friction member during braking.

이러한 제동장치는 회전체가 브레이크 드럼이 되고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찰부재가 되는데, 이 라이닝은 브레이크 슈에 부착되어 유압식의 경우에는 휘일 실린더에 의해 제동을 행하고, 공압식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챔버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서 피스톤을 밀러 슬랙 어저스터를 회전시킴으로서 캠이슈를 드럼에 밀착시키도록 되어 있다.In this brake system, the rotating body becomes a brake drum and the brake lining becomes a friction member. The lining is attached to the brake shoe to brake by a wheel cylinder in the case of hydraulic type, and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brake chamber in case of pneumatic type. By rotating the slack adjuster by pushing the piston, the cam issu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rum.

그런데 이러한 제동장치는, 제동을 행한 후 제동에 사용된 압축공기가 대기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시 드럼과 라이닝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동계통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However, such a braking device, since the compressed air used for braking after the braking is to be released to the atmosphere,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braking system from overheating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friction of the drum and lining during braking.

한편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화 57-122460호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제동시 이 제동을 감지하여 회전체와 마찰부재와의 사이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s prop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No. 57-122460, a method of detecting this braking during braking and spraying compressed air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friction member is known.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유압식 제동장치에 사용될 수 밖에 없는 것인데, 그것은 유압식의 경우 제동에 사용되는 유압을 대기로 배출할 수 없으므로 별도로 압축공기 발생수단을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이다.By the way, this method can not only be used in the hydraulic braking device, because the hydraulic can not discharge the hydraulic pressure used for braking to the atmosphere because it must use a separate compressed air generating means.

그리고 이러한 방식의 냉각장치는, 제동이 행하여지는 동안에 압축공기가 분사되기 때문에, 즉 드럼과 라이닝이 접촉된 상태에서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냉각효과를 얻지 못한다.And this type of cooling device does not obtain satisfactory cooling effect because compressed air is injected during braking, that is, air is supplied in contact with the drum and lining.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동이 완료된 직후, 즉 드럼으로 부터 라이닝이 떨어지는 순간부터, 제동에 사용된 압축공기를 대기로 방출하지 않고 브레이크 드럼내로 공급하여 브레이크 계통을 냉각하는 자동차 브레이크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into the brake drum immediately after the braking is completed, that is, from the moment the lining falls from the drum, without releasing the compressed air used for braking to the atmosphere It is to provide an automobile brak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brake system.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압탱크와, 이 공압탱크내의 압축공기를 브레이크 계통으로 보내어 제동을 행하는 듀얼 브레이크와, 이 듀얼 브레이크에서 다수개의 튜브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드럼에 라이닝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슬랙 어저스터를 밀어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챔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듀얼 브레이크와 브레이크 드럼 사이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포트와, 이 포트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제 2 포트와, 이들 제 1, 2 포트와 직교상으로 위치하는 제 3, 4 포트를 구비한 하우징의 내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되어 이들 포트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가동변이 설치된 퀵 릴리이스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한 제 2 포트가 브레이크 드럼내로 관로에 의해 연통되어, 제동해제시 제 3, 4 포트의 압축공기가 제 2 포트로 귀환하면서 브레이크 드럼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브레이크 냉각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tank for storing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eans, a dual brake for sending the compressed air in the pneumatic tank to the brake system for braking, and a plurality of tubes in the dual brake. A brake device comprising a brake chamber connected to the brake drum and rotating the slack adjuster to closely contact the lining with the brake drum, the brake device comprising: a first port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flows between the dual brake and the brake drum; It is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inside the housing having a second port formed coaxially with the port, and third and fourth ports orthogonal to these first and second ports,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se ports. A quick release valve with a movable valve installed therein, and the second port Is communicated by the channel, and provides a brake release during the third, fourth car brake cooling with compressed air in the port is fed back to the second port to be capable of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drum brake devic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공기식 제동장치의 실시예로서, 압축기(1)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압탱크(2)와, 이 공압탱크(2)내의 압축공기를 각각의 휘일로 보내기 위하여 운전자가 조작한 듀얼 브레이크(3)가 도시되고 있다.1 is an embodiment of a compressed air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neumatic tank (2) for stor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or (1), and the compressed air in the pneumatic tank (2) to each wheel The dual brake 3 which the driver operated to send is shown.

상기한 공압탱크(2)와 듀얼 브레이크(3)는 제 1 및 제 2 관로(4, 5)로 연결되고 있는데, 이것은 전후 차륜으로 보내기 위한 것인데, 도면에서는 하나의 브레이크 드럼(6)측으로의 연결관계만 도시하고 있다.The pneumatic tank 2 and the dual brake 3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uits 4 and 5, which are intended to be sent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which are connected to one brake drum 6 in the drawing. Only relationships are shown.

상기한 듀얼 브레이크(3)는 퀵 릴리이스 밸브(7)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퀵 릴리이스 밸브(7)는 제 1 튜브(8)를 통하여 브레이크 드럼(6)측으로 연결되고 있다.The dual brake 3 is connected to the quick release valve 7, and the quick release valve 7 is connected to the brake drum 6 side through the first tube 8.

이 제 1 튜브(8)에는 브레이크 챔버(9)가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퀵 릴리이스 밸브(7)를 통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이곳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챔버(9)내에는 피스톤(10)이 탄성부재(11)로 탄지되어 압축공기의 공급이 차단되면 피스톤(10)을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tube 8 is provided with a brake chamber 9 so that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hrough the quick release valve 7 can be delivered to this place. In this chamber 9, a piston ( When the 1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1 and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is cut off, the piston 10 is to be retracted.

또 이 피스톤(10)의 로드(12) 선단에는 슬랙 어저스터(13)가 설치되어 브레이크 드럼(6)에 설치된 캠(도시생략)을 회전시켜 브레이크 슈(14)가 드럼의 내측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slack adjuster 13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rod 12 of the piston 10 to rotate the cam (not shown) installed in the brake drum 6 so that the brake shoe 14 can be extended into the drum. It is supposed to be.

상기한 캠이 브레이크 슈(14)를 드럼측으로 밀착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ca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shoe 14 toward the drum sid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브레이크 슈(14)를 탄성부재(15)로 서로 당겨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동 해제시 브레이크 슈(14)가 드럼으로 부터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brake shoes 14 are pulled to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15, which is to allow the brake shoes 14 to be separated from the drum when the brake is released.

상기한 퀵 릴리이스 밸브(7)는 브레이크 드럼(6)측으로 관로(16)를 통하여 연결되고 있는데, 이 관로(16)는 브레이크 플레이트(17)에 긴밀히 접속된다.The quick release valve 7 is connected to the brake drum 6 side via a conduit 16, which is intimately connected to the brake plate 17.

제 2 도는 상기한 퀵 릴리이스 밸브(7)의 확대 측단면도로서, 듀얼 브레이크(3)와 연결되어 공압탱크(2)의 압축공기를 전달받는 제 1 포트(18)와, 이 제 1 포트와 동축상의 반대측에 뚫려져 상기한 관로(16)와 연결되는 제 2 포트(19)를 구비하고 있다.FIG. 2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quick release valve 7, which is connected to the dual brake 3 to receive the compressed air of the pneumatic tank 2, and the first port 18. It is provided with the 2nd port 19 drilled on the opposite side coaxially and connected to the said pipe line 16. As shown in FIG.

이들 제 1, 2 포트(18, 19) 사이의 하우징(20) 내측에는 가동변(21)이 탄성부재(22)로 탄지되어 제동이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1, 2 포트(18, 19)를 차단토록 되어 있다.The movable edge 21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22 inside the housing 2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rts 18 and 19, and the first and second ports 18 and 19 are not braking. It is supposed to block.

그리고 상기한 하우징(20)에는 제 1, 2 포트(18, 19)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 3 및 제 4 포트(23, 24)가 뚫려져 있는데, 상기한 제 3 포트(23)는 본 실시예에서 제 1 튜브(8)와 연통된다.In the housing 20, third and fourth ports 23 and 24 are bor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and second ports 18 and 19, and the third port 23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example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ube 8.

상기한 제 1, 2, 3, 4 포트(18, 19, 23, 24)가 교차하는 중앙부는 비교적 넓은 공간부(25)가 형성되어 가동변(21)이 제 2 포트(19)측으로 이동하면 제 3 포트(23)와 제 4 포트(24)가 연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Whe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s 18, 19, 23, and 24 cross each other, a relatively wide space 25 is formed, and the movable side 21 moves to the second port 19 side. The third port 23 and the fourth port 24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브레이크 슈에 부착된 라이닝을 지칭하고, 27은 다른 차륜의 제동계통으로 연결되는 제 2 튜브를 지칭한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26 denotes a lining attached to a brake shoe, and 27 denotes a second tube connected to a braking system of another wheel.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브레이크 냉각장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듀얼 브레이크(3)가 작동하여 공압탱크(2)내의 공기가 제 1 관로(4)가 퀵 릴리이스 밸브(7)와 연통되어 압축공기가 흐르게 된다.In the brake coo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brake 3 operates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so that the air in the pneumatic tank 2 communicates with the quick release valve 7. Compressed air flows.

이때 제 2 도에서 압축공기는 하우징(20)의 제 1 포트(18)로 유입되는데, 이 압력에 의해 탄성부재(22)가 압축되면서 가동변(21)은 제 2 포트(19)으로 이동하면서 이 제 2 포트를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first port 18 of the housing 20 in FIG. 2, and the movable member 21 moves to the second port 19 while the elastic member 22 is compressed by this pressure. This second port will be blocked.

이러한 작용으로 제 1 포트(18)는 제 3, 4 포트(23, 24)와 연통하는 상태가 되므로 각각 해당하는 차륜의 제동계통으로 압축공기가 흐르게 되는데, 모든 차륜에서의 작용이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튜브(8)측으로 흐르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한다. 제 1 포트(8)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제 1 튜브(8)를 통하여 브레이크 챔버(9)내로 공급되면서, 피스톤(11)을 밀어 슬랙 어저스터(13)를 회전시켜 통상의 방식대로 라이닝(26)을 드럼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제동을 행하게 된다.By this action, the first port 18 is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and fourth ports 23 and 24, so that the compressed air flows to the braking system of the corresponding wheels, respectively. In the example, the flow to the first tube 8 side will be described.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first port (8) is supplied into the brake chamber (9) through the first tube (8), while pushing the piston (11) to rotate the slack adjuster (13) lining in the usual manner ( 26)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drum to perform braking.

이때 제동을 중단하게 되면, 듀얼 브레이크(3)에서 공압탱크(2)로 부터의 공기흐름을 차단하게 되므로 하우징(20)내에 설치된 가동변(21)은 탄성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가면서 제 1 포트(18)를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braking is stopped, the air flow from the pneumatic tank 2 is blocked in the dual brake 3, and thus, the movable edge 21 installed in the housing 20 may be form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2. Going into position will block the first port 18.

이때 제 1 튜브(8)와 제 2 튜브(27)내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된 상태이고, 또 이들 튜브와 연통된 브레이크 챔버(9)내에도 압축공기가 충만되어 있는데, 이들 압축공기는 제 1 포트(18)가 차단됨에 의해 공급이 중단되므로 브레이크 챔버(9)내의 탄성부재(11)의 복원력에 의해 후퇴하는 피스톤(10)에 의해 하우징(20)의 제 3, 4 포트(23, 24)로 역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flows into the first tube 8 and the second tube 27, and the compressed air is also filled in the brake chamber 9 communicating with these tubes. Since the supply is stopped by the port 18 being blocked, the third and fourth ports 23 and 24 of the housing 20 are moved by the piston 10 which is retrac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1 in the brake chamber 9. Will flow back.

그런데 이들 제 3, 4 포트(23, 24)는 이미 제 1 포트(18)와 차단된 상태이고, 제 2 포트(19)와 연통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이들 포트로 역류하는 압축공기는 제 2 포트(19)를 통하여 관로(16)를 따라 브레이크 드럼(6)내로 공급된다.However, since these third and fourth ports 23 and 24 are already blocked from the first port 18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port 19, the compressed air flowing back to these ports is the second port. Via 19 it is fed into the brake drum 6 along the conduit 16.

이때는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브레이크 드럼(6)에서 라이닝(26)이 떨어져 있으므로 이들 사이로 압축공기가 유동하면서 이곳의 마찰열을 식혀주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braking is not performed, the lining 26 is separated from the brake drum 6, thereby cooling the frictional heat while the compressed air flows therebetwee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브레이크 냉각장치는, 제동에 사용된 압축공기를, 제동해제시 브레이크를 식혀주는 기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제동계통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냉각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드럼과 라이닝이 떨어진 상태에서 냉각을 하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ake coo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ompressed air used for braking as a gas to cool the brake when releasing the brake, so that the existing braking system can be used as it is,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the cooling means separately. Therefore,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cooling efficiency is increased because the drum and the lin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Claims (1)

압축공기 발생수단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압탱크(2)와, 이 공압탱크(2)내의 압축공기를 브레이크 계통으로 보내어 제동을 행하는 듀얼 브레이크(3)와, 이 듀얼 브레이크(3)에서 다수개의 튜브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드럼(6)에 라이닝(26)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슬랙 어저스터(13)를 밀어 회전시키는 브레이크 챔버(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듀얼 브레이크(3)와 브레이크 드럼(6) 사이에,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 1 포트(18)와, 이 포트(18)와 동축상에 형성되는 제 2 포트(19)와, 이들 제 1, 2 포트(18, 19)와 직교상으로 위치하는 제 3, 4 포트(23, 24)를 구비한 하우징(20)의 내측으로 탄성부재(22)에 의해 탄지되어 이들 포트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가동변(21)이 설치된 퀵 릴리이스 밸브(7)가 설치되고, 상기한 제 2 포트(19)가 브레이크 드럼(6)내로 관로(16)에 의해 연통되어, 제동해제시 제 3, 4 포트(23, 24)의 압축공기가 제 2 포트(19)로 귀환하면서 브레이크 드럼(6)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브레이크 냉각장치.A pneumatic tank (2) for storing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eans, a dual brake (3) for braking by sending compressed air in the pneumatic tank (2) to the brake system, and the dual brake (3). In the brake devic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ubes in the brake device comprising a brake chamber (9) for pushing the slack adjuster (13) in close contact with the lining 26 to the brake drum (6), the dual brake ( Between the 3) and the brake drum 6, a first port 18 into which compressed air flows, a second port 19 formed coaxially with the port 18, and these first and second ports ( 18. A movable valve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n elastic member 22 inwardly of a housing 20 having third and fourth ports 23 and 24 positioned orthogonal to 18 and 19. The quick release valve 7 provided with the 21 is provided, and the above-mentioned second fabric (19) is communicated by the conduit (16) into the brake drum (6), the brake drum (6) as the compressed air of the third, fourth port (23, 24) returns to the second port (19) when braking is released Automotive brake chiller to supply compressed air into the car.
KR2019900017533U 1990-11-15 1990-11-15 Brake cooling device KR93000841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533U KR930008412Y1 (en) 1990-11-15 1990-11-15 Brake coo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533U KR930008412Y1 (en) 1990-11-15 1990-11-15 Brake coo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02U KR920009402U (en) 1992-06-16
KR930008412Y1 true KR930008412Y1 (en) 1993-12-22

Family

ID=1930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533U KR930008412Y1 (en) 1990-11-15 1990-11-15 Brake cool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412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02U (en)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9937A (en) Hydraulic brake system provided with a wheel slip control
KR930008412Y1 (en) Brake cooling device
CN108394396B (en) Loader service braking system
KR20080008032A (en) An air brake system for an automobile
US2300136A (en) Control for automotive vehicles
KR0184832B1 (en) Parking brake
KR100521205B1 (en) Pad return device of brake system in vehicle
US2720954A (en) Brakes
KR100262610B1 (en) Brake system
KR960015699B1 (en) Braking maintenance system for an automobile
KR100241386B1 (en) Booster
KR0120250Y1 (en) Brake system of a vehicle
KR20070043432A (en) Apparatus for increasing power of brake booster for vehicle
JPS6144533Y2 (en)
KR0111319Y1 (en) The cooling device for the disc brake
KR100312558B1 (en) Brake system of vehicle
KR0173868B1 (en) Apparatus of brake oil pressure when engine is stalled in driving of a car
KR100224035B1 (en) Auxiliary brake system for high speed driving
KR100243607B1 (en) Dual braking system of a vehicle
KR100295374B1 (en) Leaking prevention device of brake oil
KR100224430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brake pedal from being vibrated
JP2659643B2 (en) Vehicle brake lock device and control valve thereof
KR0181856B1 (en) Restricting device of starting of a vehicle
KR0178648B1 (en) Apparatus against turn-off of an engine in case of braking an automobile
KR20110041838A (en)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