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677Y1 -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677Y1
KR930007677Y1 KR2019910008191U KR910008191U KR930007677Y1 KR 930007677 Y1 KR930007677 Y1 KR 930007677Y1 KR 2019910008191 U KR2019910008191 U KR 2019910008191U KR 910008191 U KR910008191 U KR 910008191U KR 930007677 Y1 KR930007677 Y1 KR 930007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fans
blades
side plate
shor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991U (ko
Inventor
류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677Y1/ko
Publication of KR930000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제 1 도는 일부분을 생략한 본 고안 실시예의 정면도.
제 2 도는 동 일부 절취 분리 정면도.
제 3 도는 동 단축팬의 발췌 사시도.
제 4 도는 종래 제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축 2 : 단축팬
21, 21' : 양측면판 22 : 축공
23 : 블레이드 23a : 일단부
23b : 결착홈
본 고안은, 롬에어콘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크로스플로우팬 (Crossflowfan)을 하나의 장축에 다수개의 단축팬들을 끼워 결착하여 조립 구성토록 한 공기조화기용 크로스플로우팬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장축에 다수개의 장축팬을, 또는 단축팬들을 끼워 서로 밀착되게 한 다음 각 단축팬들의 접촉면을 초음파 융착시켜서 구성한 크로스플로우팬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팬은 초음파 융착에 따른 불량음발생율이 높고, 또 고가의 설비인 초음파융착기가 필요하게 되며, 장축팬을 초음파 융착할 경우에는 휨발생 및 단차 발생등에 의해 풍량 및 소음 발생등 많은 영향을 주었고, 팬전체의 무게중심을 잡아주기 위해서 밸런스 클립을 다수 사용해야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수개의 익차를 서로 결합하여 연결시킨 원심익차(일본 실개소 58-79096호)의 경우에는 익차들을 연결시 각 익차의 취부편 양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익편들이 다른 익차의 익편들과 결첩지게 결합시켜 연결토록 한 것이므로 익편들이 변형등에 의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지 않게되면 결합상태가 불량하게 되고, 또 작동시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되어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재료가 낭비되는 등의 결점이 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양측면판 사이에 판상의 블레이드를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다수를 착설하여 단축팬을 형성함에 있어서, 양측면판들중 일측면판에는 각 블레이드들의 일단부가 동일폭으로 노출되게 하고, 타측면판에는 노출된 각 블레이드들의 일단부를 끼워주는 결착홈들을 다수 설치하여 하나의 장축에 필요한 갯수의 단축팬들을 차례로 결합시켜 노출된 각 블레이드들의 일단부를 결착홈들에 끼워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초음파 융착을 하지 않아도 되며 이 상태에서 장축의 양단에 고정판을 나사식으로 결착하면 단축팬들이 서로 완강히 결착되어 크로스플로우팬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 1∼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중앙에 축공(22)을 뚫어 설치한 양측면판(21)(21')들의 내주면 사이에 판상의 블레이드(23)들을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다수를 착설하여서 되는 다수개의 단축팬(2)들을 하나의 장축(1)에 끼워 서로 밀착되게 하고 이 장축의 양단에 고정판(3)(3')들을 체결하며, 일단부측에는 고정보스 (4)를 체결하여 이를 고정나사(41)로 고정시켜 크로스플로우팬을 구성토록 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본 고안은, 단축팬(2)들을 장축(1)에 끼워 서로 한몸체가 되도록 하기 위해 초음파 융착을 하지 않고 자체에 형성된 결착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결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결착구조는, 단축팬(2)의 일측면판(21)을 일측면판(21)을 관통하여 각기 동일한 폭으로 노출되게 한 블레이드(23)들의 일단부(23a)와 블레이드(23)들의 노출된 각 일단부(23a)들이 끼워질 수 있도록 블레이드(23)들의 배열상태와 동일하게 타측면판(21')의 외면에 요입형성한 결착홈(23b)들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각 단축팬(2)들을 장축(1)에 조립할 때에는 이 장축의 양단부측에 형성한 나선부(11)(11')들중 일측의 나선부(11)에 고정판(3)을 나사식으로 체결시켜 준 다음 타측단부를 통해 단축팬(2)들을 차례로 결합하여 각 단축팬들의 노출된 블레이드(23)들의 일단부(23a)들을 각기 인접하는 다른 블레이드(23)들의 타측면판(21') 외면에 형성된 결착홈(23b)들에 끼워 주면 각 단축팬(2)들은 서로 한 몸체가 되게 결합된다.
이후, 장축(1)의 타측 나선부(11')에 고정판(3')가 고정보스(4)를 차례로 체결한 다음 고정나사(41)로 고정보스(4)를 장축(1)의 단부에 고정시켜 주면 조립작업 완료됨과 동시에 모든 부품은 단일체로 되게 완강히 결착 고정된다.
제 4 도는 종래의 크로스플로우팬을 보인 것으로서, 이 팬 역시 다수개의 장축팬 또는 단축팬(20)을 하나의 장축(10)에 끼워 결착시켜 구성토록한 것이지만, 이는 각 장축팬 또는 단축팬(20)들을 일체화 시켜주기 위해 서로 접촉하는 면(20a)들을 초음파융착하여 부착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고가의 고주파 융착기가 필요하게 되고 또 융착작업에 따른 공정의 증가들은 물론 제품불량의 발생률이 많았고, 특히 장축팬의 사용시에는 휨발생이나 단차발생으로 풍량이 적게되거나 소음이 많이 나게되는 등의 결점과 팬전체의 무게중심을 잡아주기위한 밸런스 클립을 다수 사용해야 되며, 이런점들에 의해 원가도 상승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단축팬(2)들의 일측면판(21) 외측으로는 각 블레이드(23)들의 일단부(23a)가 관통하여 동일한 폭으로 노출되게 하고, 타측면판(21')에는 이들 노출된 일단부(23a)가 끼워지는 결착홈(23b)들을 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작용에 의해 단축팬(2)들이 서로 한몸체로 되게 조립됨으로써, 초음파 융착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이에 따른 공정의 단축이나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원가절감의 잇점도 있으며, 제품불량의 요인이 제거되는 등 종래의 모든 문제점들을 간단하게 해결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중앙에 축공(22)을 뚫어 설치한 양측면판(21)(21')들의 내주면 사이에 다수의 블레이드(23)들을 방사상으로 빙둘러 배열되게 착설하여서 되는 다수개의 단축팬 (2)들을 하나의 장축(1)에 결합하여 이들 단축팬(2)을 서로 한몸체로 되게 결착시켜 구성 되는 크로스플로우팬에 있어서, 단축팬(2)들을 각 단축팬(2)의 일측면판(21)을 관통하여 외면으로 노출되게 착설한 각 블레이드(23)들의 일단부(23a)와, 이들 각 일단부 (23a)들을 끼워 결착할 수 있게 타측면판(21')의 외면에 요입형성한 결착홈(23b)들로 구성되는 결착구조에 의해 서로 한몸체가 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크로스플로우팬.
KR2019910008191U 1991-06-04 1991-06-04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KR930007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91U KR930007677Y1 (ko) 1991-06-04 1991-06-04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91U KR930007677Y1 (ko) 1991-06-04 1991-06-04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91U KR930000991U (ko) 1993-01-21
KR930007677Y1 true KR930007677Y1 (ko) 1993-11-12

Family

ID=1931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191U KR930007677Y1 (ko) 1991-06-04 1991-06-04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6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91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860B1 (ko) 횡류팬 및 그 제조방법
JP4559472B2 (ja) ターボファン、空気調和機
JPS61119792A (ja) 円筒状シーブ、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スクラバ
US8206084B2 (en) Blade wheel
KR930007677Y1 (ko) 공기조화기용 크로스 플로우팬
JP3695294B2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
JPH08177798A (ja) 圧縮機
JPS5835296A (ja) プラスチツク製フアン
US5269655A (en) Multi-sectional centrifugal blower fan unit
US11371524B2 (en) Windmill and blower comprising the same
CN207610383U (zh) 暖风机
JPH05321894A (ja) 軸流ファン
EP0133845A2 (en) Rotor for centrifugal compressors and fans
JPH0741914Y2 (ja) 組立ファン
KR102598674B1 (ko) 무용접 방식의 회전체를 갖는 ec팬
JPS6336438B2 (ko)
JPS59157324A (ja) 開端式紡糸機用開繊ロ−ラ
KR100243040B1 (ko) 에어컨 실외기의 프로펠라팬 및 그 제작방법
CN114658690A (zh) 离心风机及出风结构
KR100501181B1 (ko) 멀티팬
JPS6214397Y2 (ko)
KR930007588Y1 (ko) 임펠러 조립구조
JPS61210299A (ja) 遠心送風機のデイフユ−ザ
JPH0791391A (ja) クロスフローファン
JPS60209693A (ja) クロスフロ−フア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