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560Y1 - 당구대 - Google Patents

당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560Y1
KR930007560Y1 KR2019910005303U KR910005303U KR930007560Y1 KR 930007560 Y1 KR930007560 Y1 KR 930007560Y1 KR 2019910005303 U KR2019910005303 U KR 2019910005303U KR 910005303 U KR910005303 U KR 910005303U KR 930007560 Y1 KR930007560 Y1 KR 930007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heating element
heat
billiard table
l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5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232U (ko
Inventor
김영옥
Original Assignee
김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옥 filed Critical 김영옥
Priority to KR2019910005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560Y1/ko
Publication of KR920019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당구대
제 1 도는 종래의 설치 상태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적층상태를 나타낸 부분절취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면상 발열체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석판 3 : 철판
4 : 면상발열체 5 : 단열층
6 : 받침판 31 : 절곡부
41 : 필름 42 : 전극선
43 : 반도체발열부
본 고안은 당구대의 습기 제거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소비전력을 낮게 하여 절전의 효과와 균등한 가열조건으로 보다 양호한 습기제거의 목적을 안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대는 직포(100)하부에 석판(200)이 놓여지고 그 저면에 열코일 배선용 홈부(201)를 형성하여 열코일(300)을 배선하여서 구성된다.
열코일(300)을 배선시키는 이유는 당구대에서 습기가 많으면 당구공이 튀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설치되는데 석판(200)에 홈부(201)에 위치되는 열코일(300)의 히팅열로써 석판을 가열시켜주므로써 습기를 제거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는, 석판(200)의 저면에 열코일(300)을 배선하기 위한 홈부(201)를 가공해야만 하는 문제점과 열코일(300)이 지나는 부분만 가열되므로써 석판(200) 전면에 대한 열분포가 불량하고 전체적인 온도 상승시간이 늦으며, 시공시 취급이 불편하여 단선, 누전, 단락 등의 위험성이 있으며, 특히 소비전력이 큰 반면에 열효율이 낮아 에너지 효율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면의 직포를 씌운 석판의 저면으로 홈부의 가공이 필요없이 철판 및 면상 발열체를 깔고 그 하부로 경질의 단열층과 받침판으로 적층 구성한 구조로 된 것으로 그 시공설치가 간단 양호하고 열효율이 좋으며, 석판 전면을 고르게 히팅시켜주므로써 당구대의 습기제거의 목적을 양호하게 해결시킬수 있게 한 것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당구대의 습기 제거를 위한 구조에 있어서, 상면에 직포(1)를 깔은 석판(2)의 저면에 철판(3)을 깔고 그 저면에는 상하절연체인 폴리에스테르 필름(41) 사이에 전극선(42)이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된 반도체 발열부(43)가 개재된 면상 발열체(4)를 두고 그 저부로 경질의 단열층(5) 및 받침판(6)을 두어서 적층 구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철판(3)은 양측 또는 전둘레에 절곡부(31)를 두어 철판(3)과 면상 발열체(4) 및 단열층(5)과 받침판(6)을 일체화하여서 클램핑할 수 있게 구성되어 시공설치상 간단 용이함을 유도한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전류의 입력으로 면상 발열체(4)의 전극(42)으로 전류가 흐르므로써 반도체발열부(43)의 저항으로 열발산이 이루어지므로써, 이 열이 철판(3)을 가열하고 그 상부의 석판(2)을 직접 가열하는 직접전도되는 열전달 방식으로 석판(2)을 직접 그리고 고른 분포를 가지게 가열시켜 열 효율이 양호하며, 특히 면상 발열체(4)의 상하면이 폴리에스테르 필름(41)으로 커버링되어 전류의 방전현상이 없으므로써 에너지가 절약되며 발열면적이 넓기 때문에 고른 가열이 유지되어 면적열 효율이 좋으며, 판상의 발열체이기 때문에 그 설치도 간단하며 열전달방식이 이 전도나 대류방식과는 달리 직접 전달하는 복사열 방식으로 열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이 면상 발열체(4)하부로는 경질의 단열층(5) 및 받침판(6)을 두어 하부로의 열손실 방지는 물론 철판(3)의 절곡부(31)에 의해 철판(3) 및 면상 발열체(4)와 단열층(5)과 받침판(6)을 일체로 할 수 있으므로써 당구대의 수명이라 할 수 있는 수평도를 양호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평활한 석판의 저면에 코일링을 위한 홈부 가공을 별도로 하지 않고 그 저면에 면접촉되므로써 고른 히팅작용이 이루어지며 열효과가 반도체 발열부로써 작용되어 성질의 안정성 및 경제성이 양호하며, 발열체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저항치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류가 자연히 제한되는 특성을 가지므로써 에너지 절약효과가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면상 발열체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전류의 방전이 거의 발생치 않아 에너지 절약적 측면과 전원을 넣는 순간부터 급속한 온도상승 및 보온성이 양호하여 습기가 많은날의 당구대의 습기 건조에 적절히 사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석판(2) 상부에 직포(1)를 깔아 놓은 당구대의 습기제거를 위한 구조에 있어서, 석판(2)저면에 철판(3)을 깔고 그 저면에는 상하 절연체인 폴리에스테르 필름(41)사이에 전극선(42)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반도체 발열부(43)가 개재된 면상 발열체(4)를 두고 그 저부로 경질의 단열층(5) 및 받침판(6)으로 적층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2. 제 1 항 있어서, 습기제거를 위한 층을 하나의 조립체로 하기 위해 철판(3)의 양 가장자리 및 전둘레를 절곡하여서된 절곡부(31)를 형성하여 받침판(6)으로 클램핑되게 고정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대.
KR2019910005303U 1991-04-17 1991-04-17 당구대 KR930007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303U KR930007560Y1 (ko) 1991-04-17 1991-04-17 당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5303U KR930007560Y1 (ko) 1991-04-17 1991-04-17 당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232U KR920019232U (ko) 1992-11-16
KR930007560Y1 true KR930007560Y1 (ko) 1993-11-05

Family

ID=1931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5303U KR930007560Y1 (ko) 1991-04-17 1991-04-17 당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5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232U (ko) 199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986B1 (ko) Ptc 더미스터 발열장치
US3088994A (en) Clamped busway structure
KR930007560Y1 (ko) 당구대
US2922866A (en) Panel electric heater
CN105544160A (zh) 一种碳纤维发热烘干装置
KR20110039957A (ko) 난방필름
KR200391999Y1 (ko) 전기 온돌침대용 전열보드
CN215010869U (zh) 一种压合机的热盘
KR200372489Y1 (ko) 면상발열체
JPH02155189A (ja) Ptcプレートヒータ
JPH04365303A (ja) 正抵抗温度係数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9995661U (zh) 用于电池干燥加热用的电加热板
CN214960168U (zh) 一种用于加热板的加热组件
CN216159128U (zh) 一种干法地暖加热管铺设结构
KR100396092B1 (ko) 카본 발열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3142243A (ja) 誘導加熱装置
JPH07263122A (ja) 発熱装置
SU444834A1 (ru) Графитовый нагреватель подложек
JPS6029196Y2 (ja) 正特性サ−ミスタを用いた発熱体装置
RU2177211C1 (ru) Гибкий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JPS6310407Y2 (ko)
JP2525021B2 (ja) ヒ―タ入りフロア材
CN113099704A (zh) 一种石墨烯发热片组件及波纹散热装置
CN118029640A (zh) 一种发热木地板及其测试方法
KR200288124Y1 (ko)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