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124Y1 -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 Google Patents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124Y1
KR200288124Y1 KR2020020016933U KR20020016933U KR200288124Y1 KR 200288124 Y1 KR200288124 Y1 KR 200288124Y1 KR 2020020016933 U KR2020020016933 U KR 2020020016933U KR 20020016933 U KR20020016933 U KR 20020016933U KR 200288124 Y1 KR200288124 Y1 KR 200288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ower
supplied
heating wire
suppor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오
윤병호
손광하
Original Assignee
(주)혜원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원전기 filed Critical (주)혜원전기
Priority to KR2020020016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1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124Y1/ko

Link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단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태의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지지시트 상에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의 감기는 구조를 등간격으로 건너뛰어 배열되는 격선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가열 대상물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고,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 발열선이 감겨져 지지되는 지지시트, 발열선이 감겨진 지지시트의 전후면에 배열되는 절연재인 보강시트, 지지시트 전후면 각각에 배열된 보강시트 각각의 외측에 배열되는 금속재의 보호부재와 열전달부재로 이루어진 밴드히터 구조에 있어서, 발열선은 지지시트에 등간격으로 감겨지되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을 건너뛰어 배열되는 격선구조로 하여 가열 대상물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한편,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Establishment structure for heating wire in band heater}
본 고안은 밴드히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의 저수량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을 달리하여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발열선의 구조를 개선한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밴드히터는 발열선을 운모로 절연하고 외부를 내열금속인 아연도강판, 스테인레스판 등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밴드히터는 열용량이 적기 때문에 온도제어에 대하여 예민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가열시간이 극히 짧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출성형기 및 압출성형기 등의 외면에 밀착시켜 실린더의 온도를 350℃까지 높이는데 사용되기도 하고, 사출성형기 및 압출성형기 등의 실린더 이외에 정수기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로도 사용되며, 와트(Watt) 밀도는 2.5~3.2/㎠이다.
한편, 전술한 밴드히터는 설치되는 부위에 알맞은 형태로 제작되나 원통형 히터와 사각형 히터 등이 대부분으로 전원 부분이 아주 다양하게 구성되며, 리드형, 볼트형 등으로 분리되고, 어느 것이나 표준품은 클램프 밴드로 둘러쌓인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보온히터는 30% 정도의 절전 효과와 피가열체 내부 온도의 변화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밴드히터의 종류로는 피가열체의 가열온도를 482℃까지 가열하며 전기적 절연 효과가 빠른 마이카 밴드히터,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되어 무게가 가볍고열전달 반응이 최대 가열온도가 600℃인 주물형 밴드히터 및 세라믹으로 단열처리되어 열효율이 우수하며 피가열체에 균일하게 열을 가할 수 있으며 최대 가열온도가 871℃인 세라믹 밴드히터 등이 있다.
특히, 마이카 밴드히터에 사용되는 마이카 시트는 경질운모를 실리콘 접착제로 도포하고, 높은 온도에서 압축하여 접착제를 완전 경화시킨 것으로,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 분위기 내에서 높은 강도와 우수한 전기절연성을 갖고 있으며, 절연용 마이카 시트는 가열하여도 연기나 냄새가 거의 없고 절단가공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형상의 가공에 적합하다. 용도는 토스터, 다리미, 헤어드라이어, 고온용 와셔(Washer)와 고온용 발열부의 스페이서(Spacer) 등에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밴드히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보인 결합 정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직사각형 구조의 지지시트(10) 둘레에 등간격으로 단일의 발열선(12)이 감겨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발열선(12)의 양끝은 지지시트(10)의 양측 중심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4는 보강시트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지지시트에 감겨진 발열선을 고정시키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접한 두 발열선(12a, 12b)이 접촉되어 과도한 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결과적으로균일한 가열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한편, 도 2 및 도 3 은 도 1 에서와 같이 구성된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도 2 및 도 3 에서와 같이 종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직사각형 구조의 지지시트(20)의 상하단 길이 방향에 톱니 형태의 고정홈(20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단일의 발열선(22)을 상하단의 상호 관계되는 고정홈(20a) 상에 고정되도록 감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열선(22)은 지지시트(20) 상에 등간격으로 감겨져 고정됨으로써 제 1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발열선 구조에서와 같이 인접한 두 발열선(22)이 접촉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가열시키고자 하는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이거나 가열 대상물의 가열이 완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나 상시 일정한 와트(watt)의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비전력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단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태의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구조의 지지시트 상에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의 감기는 구조를 등간격으로 건너뛰어 배열되는 격선구조로 개선함으로써 가열 대상물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열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의 감기는 구조를 등간격으로 건너뛰는 격선구조로 개선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낭비 요인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도 2 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보인 결합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보인 결합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 구조가 적용된 밴드히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 구조가 적용된 밴드히터의 실제 적용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밴드히터 110, 110a. 발열선
120. 지지시트 130, 130a. 보강시트
140. 보호부재 150. 열전달부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 발열선이 감겨져 지지되는 지지시트, 발열선이 감겨진 지지시트의 전후면에 배열되는 절연재인 보강시트, 지지시트 전후면 각각에 배열된 보강시트 각각의 외측에 배열되는 금속재의 보호부재와 열전달부재로 이루어진 밴드히터 구조에 있어서, 발열선은 지지시트에 등간격으로 감겨지되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을 건너뛰어 배열되는 격선구조로 하여 가열 대상물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한편,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지지시트에는 상하단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태의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 형성되고, 지지시트에 감겨지는 발열선은 지지시트 상하단의 고정홈에 걸쳐지도록 감겨져 상호 이웃하는 발열선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를 보인 결합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 구조가 적용된 밴드히터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 구조가 적용된 밴드히터의 실제 적용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밴드히터(100)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써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가 적용되는 밴드히터(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밴드히터(100)는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110, 110a), 발열선(110, 110a)이 감겨져 지지되는 지지시트(120),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으로 배열되는 전기절연재인 보강시트(130, 130a), 지지시트(120) 전후면에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 각각의 외측에 배열되는 금속재의 보호부재(140)와 열전달부재(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은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에 있어서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개의 발열선(110, 110a)이 지지시트(120) 상에 등간격으로 감겨지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지지시트(120)의 구조를 상하단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태의 고정홈(122)이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한 구조로 하여 지지시트(120)에 감겨지는 발열선(110, 110a)이 지지시트(120) 상하단의 고정홈(122)에 걸쳐져 고정되는 구조로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상호 이웃하는 발열선(110, 110a)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발열선 구조는 가열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110a)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고,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110)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가열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의 가열 상태에 따라 고저(高低)가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가열 대상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와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대한 신호를 통해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의 구성이 요구된다.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선 구조가 적용된 밴드히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열전달부재(150)의 상하좌우 끝단 각각에 구부릴 수 있는 밴딩부(152, 154)를 형성하고, 열전달부재(150)의 전면 내측에 발열선(110, 110a)이 감겨진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에 보강시트(130, 130a)를 배열하여 열전달부재(150)의 좌우측에 형성된 밴딩부(154)를 구부려 고정시키고, 고정된 외측 보강시트(130)의 전면에 보호부재(140)를 배열하여 열전달부재(150)의 상하측 끝단에 형성된 밴딩부(152)를 구부려 보호부재(140)를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발열선(110, 110a)이 감겨진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에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를 열전달부재(150)의 좌우측에 형성된 밴딩부(154)를 구부려 고정하기 전에 보강시트(130, 130a)의 테두리에 씰러를 먼저 도포한 후 고정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100)는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110, 110a), 발열선(110, 110a)이 감겨져 지지되는 지지시트(120), 발열선(110, 110a)이 감겨진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에 배열되어 전기적인 전도를 절연시키는 보강시트(130, 130a), 양끝단이 볼트(160)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42)가 절곡 형성되어 보강시트(130, 130a)의 외측에 배열되는 보호부재(140) 및 상하좌우측 각각의 끝단에 구부릴 수 있도록 밴딩부(152, 154)가 형성되어 발열선(110, 110a)으로부터 발산된 열을 통해 가열하고자 하는 가열 대상물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발열선(110, 110a)은 전기적인 인가에 의해 발열을 하는 것으로, 이 발열선(110, 110a)은 전기적인 인가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가열하고자 하는 가열 대상물에 열전달부재(150)를 통해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발열선(110, 110a)은 보강시트(130, 130a)의 사이에 배열된다. 즉, 발열선(110, 110a)의 전후면으로 보강시트(130, 130a)가 배열되는 구조이다.
전술한 발열선(110, 110a)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시키고자 하는 가열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의 온도 상태에 따라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어소비전력의 낭비요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개의 발열선(110, 110a)이 지지시트(120) 상에 등간격으로 감겨지는 구조이다.
즉, 발열선(110, 110a)은 저(低) 와트용(110a)과 고(高) 와트용(110) 두 개로 이루어져 가열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110a)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고,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110)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예를 들어, 정수기(도시하지 않음)의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을 가열한다고 가정할 때 새로운 물이 저수탱크에 저수되어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에 까지 이르지 못했을 때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110)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물을 가열시키게 되고, 일정 시간의 가열을 통해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에 이른 후에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110a)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일정 온도로 가열된 후의 물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각각의 발열선(110, 110a)에 공급되는 전력의 량은 가열하고자 하는 가열 대상물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발열선(110, 110a)은 저(低) 와트용 발열선(110a)과 고(高) 와트용 발열선(110) 중 어느 하나의 발열선(110 또는 110a)을 먼저 지지시트(120)의 고정홈(122)을 건너뛰는 형태 즉, 발열선(110 또는 110a)이 감겨진 상태에서 도 4 및 도 5 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사선 방향의 발열선 사이의 고정홈(122)이 격칸으로 건너뛰는 형태로 감은 후, 다른 하나의 발열선(110a 또는 110)을 빈칸의 고정홈(122)에 고정되도록 감는다. 이처럼 감겨진 발열선(110, 110a)은 고정홈(122)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등간격으로 감겨지게 된다.
지지시트(120)는 발열선(110, 100a)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시트(12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상하단에 발열선(110, 110a)을 고정하기 위한 톱니 형태의 고정홈(122)이 연속해서 다수 형성되고, 좌우 끝단부의 인접한 위치에 삽입공(12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시트(120)에 발열선(110, 110a)이 감겨지게 되는데, 감겨지는 발열선(110, 110a)은 연속되는 톱니 형태의 고정홈(122) 상에 고정되면서 감겨지게 된다.
보강시트(130, 130a)는 발열선(110, 110a)과 금속재의 보호부재(140) 및 열전달부재(150)와의 절연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보강시트(130, 130a)는 발열선이 감겨진 지지시트(120)의 전후면 각각에 배열된다. 즉, 두 보강시트(130, 130a) 사이에 발열선(110, 110a)이 배열된 구조이다.
전술한 보강시트(130, 130a) 중 외측의 보강시트(130)의 양끝단에는 발열선(110, 110a)을 처리하기 위한 통공(132)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시트(120)와 보강시트(130, 130a)는 경질운모를 실리콘 접착제로 도포하고, 높은 온도에서 압축하여 접착제를 완전 경화시킨 마이카 시트를 말하는 것으로, 내열성이 우수하고 고온 분위기 내에서 높은 강도와 우수한 전기절연성을 갖고 있으며, 가열하여도 연기나 냄새가 거의 없고 절단가공성이 우수하여복잡한 형상의 가공에 적합하다.
보호부재(140)는 밴드히터(100)의 외측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 보호부재(140)는 외측 보강시트(130)의 전면에 배열되어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발열선(110, 110a)의 양끝단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144)이 보호부재(140)의 양끝단에 형성된다.
열전달부재(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열선(110, 110a)으로부터 발산된 열을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물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열전달부재(150)는 상하좌우측 각각의 끝단에 구부릴 수 있도록 밴딩부(152, 154)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열전달부재(150)는 최후방에서 발열선(110, 110a)이 감겨진 지지시트(120), 보강시트(130, 130a) 및 보호부재(140)를 밴딩부(152, 154)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즉, 열전달부재(150)의 전면으로 보강시트(130a), 발열선(110, 110a)이 감겨진 지지시트(120), 보강시트(130)가 배열된 상태에서 열전달부재(150)의 좌우측 밴딩부(154)를 구부려 지지시트(120)와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으로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를 고정한 후, 그 전면으로 보호부재(140)를 배열한 상태에서 열전달부재(150)의 상하측 밴딩부(152)를 구부려 보호부재(14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밴드히터(100)의 결합과정에서 지지시트(120)와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으로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를 열전달부재(150)의 전면에 배열하여 열전달부재(150)의 좌우측 밴딩부(154)를 통해 고정시키기 전에 보강시트(130, 130a)의 테두리에 씰러를 먼저 도포한 후 밴딩부(154)를 구부려 지지시트(120)와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으로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를 고정한다.
그리고, 열전달부재(150)의 죄우측 밴딩부(154)를 통해 지지시트(120)와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으로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를 고정한 전면에 보호부재(140)를 배열하여 열전달부재(150)의 상하측 밴딩부(152)를 구부려 보호부재(140)를 고정한 후에는 보호부재(140)와 열전달부재(150)의 상하측 밴딩부(152)가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 씰러를 도포하여 외부로부터의 수부이나 이물질이 내부로 혼입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열선 구조가 적용된 밴드히터(100)는 열전달부재(150)의 상하 및 좌우측에 구부릴 수 있는 밴딩부(152, 154)를 형성하여 지지시트(120)와 지지시트(120)의 전후면으로 배열된 보강시트(130, 130a)를 열전달부재(150) 좌우측의 밴딩부(154)를 통해 고정한 후, 외측 보강시트(130)의 전면으로 보호부재(140)를 배열하여 열전달부재(150) 상하측의 밴딩부(152)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밴드히터(100)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혼입되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열선(110, 110a)의 양끝처리는 보조발열선(112)와 함께 꼬아서 삽입공(124), 통공(132) 및 인출공(144)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보호부재(14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선(110, 110a)과 보조발열선(112)의 꼬여진 양단의 끝부분은 지지시트(120)의 삽입공(124), 보강시트(130)의 통공(132) 및 보호부재(140)의 인출공(144)을 통해 인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가열하고자 하는대상물의 온도 조건에 따라 전력의 공급을 달리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는 가열 대상물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고,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본 고안은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의 감기는 구조를 등간격으로 건너뛰는 격선구조로 개선하여 소비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낭비 요인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전원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 상기 발열선이 감겨져 지지되는 지지시트, 상기 발열선이 감겨진 지지시트의 전후면에 배열되는 절연재인 보강시트, 상기 지지시트 전후면 각각에 배열된 상기 보강시트 각각의 외측에 배열되는 금속재의 보호부재와 열전달부재로 이루어진 밴드히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상기 지지시트에 등간격으로 감겨지되 다른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두께가 다른 두 발열선을 건너뛰어 배열되는 격선구조로 하여 상기 가열 대상물이 일정 온도까지 완전히 가열된 상태에서는 저(低)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가열 대상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 중인 상태에서는 고(高) 와트(watt)의 전력이 공급되는 발열선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에는 상하단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톱니 형태의 고정홈이 등간격으로 상호 대향 형성되고, 상기 지지시트에 감겨지는 상기 발열선은 상기 지지시트 상하단의 고정홈에 걸쳐지도록 감겨져 상호 이웃하는 발열선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KR2020020016933U 2002-06-01 2002-06-01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KR200288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33U KR200288124Y1 (ko) 2002-06-01 2002-06-01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933U KR200288124Y1 (ko) 2002-06-01 2002-06-01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124Y1 true KR200288124Y1 (ko) 2002-09-09

Family

ID=7307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33U KR200288124Y1 (ko) 2002-06-01 2002-06-01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1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459B1 (ko) * 2012-05-31 2014-05-30 (주)혜원전기 밴드 히터 및 그 밴드 히터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459B1 (ko) * 2012-05-31 2014-05-30 (주)혜원전기 밴드 히터 및 그 밴드 히터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7790A (en) Wrap-around electric resistance heater
US2797296A (en) Electric heater
DE60119887D1 (de) Elektrischer wasserheizer mit hoher wärmeisolierung
KR200288124Y1 (ko) 밴드히터용 발열선 구조
KR100958609B1 (ko) 밀착시공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난방용 면상발열체
KR200224406Y1 (ko) 밴드히터 구조
CA1077113A (en) Heat exchanger for convector heater
KR20110039957A (ko) 난방필름
KR20160051755A (ko) 단열 용융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 처리 방법
KR100704242B1 (ko) 일방향 차열구조물 및 이를 적용한 판넬형 가열히터
KR200205222Y1 (ko) 밴드히터의 발열선 설치구조
KR20070028889A (ko) 판상 히터의 체결구조
KR20110001398U (ko) 정수기용 밴드히터
KR101401459B1 (ko) 밴드 히터 및 그 밴드 히터 제조방법
CN108708527A (zh) 一种发热瓷砖和发热系统
KR20070028888A (ko) 판상 히터
JPS6331359Y2 (ko)
JP3002174U (ja) 電熱ヒータ
KR890003944Y1 (ko) 밴드식 전열히터
JPS6041667Y2 (ja) 面状ヒ−タ
KR200189913Y1 (ko) 산업용 전기히터의 애자 조립체
JPH0117117Y2 (ko)
KR100567946B1 (ko) 고출력 적외선 방사장치
KR101940396B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필름히터 및 그 제조방법
JPH0540710U (ja) 床暖房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