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503Y1 -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 Google Patents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503Y1
KR930007503Y1 KR2019910013534U KR910013534U KR930007503Y1 KR 930007503 Y1 KR930007503 Y1 KR 930007503Y1 KR 2019910013534 U KR2019910013534 U KR 2019910013534U KR 910013534 U KR910013534 U KR 910013534U KR 930007503 Y1 KR930007503 Y1 KR 930007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t
livestock
passag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117U (ko
Inventor
라종화
Original Assignee
라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종화 filed Critical 라종화
Priority to KR2019910013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503Y1/ko
Publication of KR930004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제 1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열풍난로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정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안내체 5 : 보호커버부재
7 : 송풍휀 9 : 버너
11 : 연료공급장치 12 : 휀
14 : 공기통로 15 : 줄부재
A : 열풍난로
본 고안은 겨울철 등 혹한기에 축사의 난방을 실시하기 위해서, 설치사용되는 축사용 열풍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풍난로의 구조를 효율적인 구조로 개량하여, 구조의 간소화, 설치의 간편화 및 제작비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함을 목적으로 개발된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구조는 그 구조가 대단히 복잡함은 물론 제작비가 증대되었으며, 또, 크기가 커서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였고 설치상태가 불안정함등 사용 및 제작상에 여러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보호커버부재를 사출성형품으로 대체하면서, 외부공기흡입 및 안내수단의 구조를 개량하고 줄부재를 부설하여서된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를 개발하여서 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A)구조에 있어서, 불꽃 차단부재(1)가 부설된 제1통로(2) 및 제2통로(3)가 내설된 열풍안내수단인 안내체(4)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체(4) 후방에 사출성형품인 공기구멍(5a)이 형성된 보호커버부재(5)를 결착하여 그 내측으로 구동수단인 모터(6)와 연결되게끔 송풍수단인 송풍휀(7)이 내설된 몸체(8)를 장착하고, 송풍수단의 상부로는 가열수단인 버너(9)가 내설된 몸체(10)를 일측이 안내체(4)의 제1통로(2) 내측으로 위치되게 결착한 후, 돌출부(10a)를 상기 보호커버부재(5)에 볼트체결함과, 연료공급장치(11)를 설치하여 버너(9)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안내체(4) 후방 하부에는 프로펠러휀(12)이 축설된 모터(13)가 내장되면서 공기흡입구(14a)을 갖는 외부공기흡입 및 안내수단인 공기통로(14)가 부설구비되고, 상면에는 줄부재(15)를 부설하여 구성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4a는 출구, 8a는 공기유입구, 16은 손잡이, 17은 이동바퀴, 18은 전원코드, 19는 콘트롤박스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적용된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의 설치방법은 축사 내부의 소정위치에 손잡이(16)와 이동바퀴(17)를 이용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내체(4)상면에 고정되어진 줄부재(15)를 매개로 축사의 기둥등에 묶어 완벽하게 고정시켜 설치한다.
이와같이 설치되어진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A)을 이용하여 축사 내부의 난방을 실시하기 위해서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의 전원코드(18)를 전원공급부에 연결하고, 연료공급장치(11)에 연료를 충진한 후 보호커버부재(5)에 부착된 콘트롤박스(19)의 작동스위치를 "온" 동작하면 몸체(10)내에 내설된 가열수단인 버너(9)가 소정의 착화수단에 의해 착화되며, 이와동시에 보호커버부재(5) 내측으로 장착된 구동수단인 모터(6)가 구동되면서 송풍수단인 몸체(8)에 내설된 송풍휀(7)을 회전시킴에 따라 외부공기가 송풍휀(7)의 회전력으로 보호커버부재(5)의 공기구멍(5a)을 따라 밀폐된 보호커버부재(5) 내측으로 유도되어 송풍수단몸체(8)내로 공기 유입구(8a)를 통해 유입되면서 가열수단인 몸체(10)내로 토출되는데, 이때, 가열수단인 몸체(10) 내에는 버너(9)가 착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같이 유입되어진 공기는 고온상태로 가열되어진다.
이와같이 가열된 공기는 가열수단의 몸체(10)로 안내되어 안내체(4) 내측으로 당치된 제1통로(2)내로 토출되면서 제1통로 몸체를 고온상태로 가열시켜준다.
이때, 상술된 바와같이 축사용 난방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트롤 박스(19)의 스위치를 "온"동작함에 따라 전술된 수단들과 동시에 외부공기흡입 및 안내수단인 모터(13)가 작동되어 프로펠러형 휀(12)을 회전시킴에 따라 안내체(4) 후방하부에 고정된 공기통로(14) 내부로 공기흡입구(14a)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송풍력에 의해 안내체(4) 내부로 들어가 상기와 같이 가열된 제1통로(2)의 외주연에서 열교환 작용으로 따뜻한 공기로 변화되어 도면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간부 ((가) : 제1통로와 제2통로 사이공간부, (나)제2통로와 안내체사이 공간부)를 따라 출구(4a)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축사내부를 난방하여준다.
여기서, 공기통로(14)라 함은 열교환대상공기(축사실내공기)가 더운공기로 열교환되기위해 유입되는 안내통로역할을 이행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된 바와같이 가열수단인 버너(9)에서 열풍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버너(9)로 부터 토출된 열풍과 버너(9)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된 불꽃은 각각 제1통로(2)의 전방에 부설된 차단부재(1)에 접촉됨에 따라 열풍이 직접 축사내로 토출되지 않게되지 않으므로 제1통로(2)의 가열효과를 더욱 증대시킴은 물론 불꽃은 완전연소 상태로 되어 가동중에 불꽃이 출구(4a)를 통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는 열교환대상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로(14)가 안내체(4)의 후방하부위치에 부설되어있다 함과, 해당 공기통로(14) 내부에는 휀모터(본 고안에서는 휀(12)과 모터(13)를 지칭하는 것임)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고, 또 본 고안의 축사용 이동시 열풍난로는 줄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있어 넘어질 염려가 전혀없는 잇점이 있고, 또 보호커버부재(5)가 사출품인 관계로 무게가 가볍고,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외부공기 흡입 및 안내수단인 공기통로의 크기가 작고 프로펠러형 휀을 사용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이동설치가 편리함등 설치 및 사용상에 여러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가열수단인 버너로 하여금 생산되는 열량으로 강제유입 유도되는 외부공기에 대해 더운공기로 열교환하여 열풍을 생산 토출토록 갖추어진 축사용 열풍난로에 있어서, 외부공기 강제유입유도를 위한 외부공기흡입 및 안내수단인 휀모터가 내장된 공기통로(14)를 안내체(4) 후방 하부위치에 부설구비하고, 연료공급장치(11)와 버너(9)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부재(5)이 사출성형품으로 조립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KR2019910013534U 1991-08-23 1991-08-23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KR930007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534U KR930007503Y1 (ko) 1991-08-23 1991-08-23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534U KR930007503Y1 (ko) 1991-08-23 1991-08-23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17U KR930004117U (ko) 1993-03-20
KR930007503Y1 true KR930007503Y1 (ko) 1993-11-03

Family

ID=1931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534U KR930007503Y1 (ko) 1991-08-23 1991-08-23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5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117U (ko) 199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28837U (zh) 微波干衣机
KR930007503Y1 (ko) 축사용 이동식 열풍난로
US4550772A (en) Heat recovery device for exhaust flues
US5232153A (en) Arrangement for the reduction of the exhaust gas temperature in heating devices
KR100520226B1 (ko)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US4132353A (en) Window heaters
US2697428A (en) Forced-air, forced-draft unit heater
CN209484659U (zh) 一种节能环保炉
US4320739A (en) Combustion type heater
CN2342277Y (zh) 燃气壁炉
KR200208703Y1 (ko)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RU2082919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комнатного нагревателя
JPH0426844Y2 (ko)
KR0130654Y1 (ko) 난방기
KR100536379B1 (ko) 차량의 프리히터
US4480630A (en) Jacketed combustion type heater with blowback prevention feature
KR880004365Y1 (ko) 휴대용 가스헤어 드라이어
KR200170982Y1 (ko) 농축산용 난방 온풍기
KR200262619Y1 (ko) 전기온풍기
KR920007456Y1 (ko) 농업용 난방기
CN2432228Y (zh) 波轮洗衣机
KR850001317Y1 (ko) 열풍식 오븐
KR200158429Y1 (ko)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KR200208727Y1 (ko)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KR960005742Y1 (ko) 온풍 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