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212Y1 -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212Y1
KR930007212Y1 KR2019910025812U KR910025812U KR930007212Y1 KR 930007212 Y1 KR930007212 Y1 KR 930007212Y1 KR 2019910025812 U KR2019910025812 U KR 2019910025812U KR 910025812 U KR910025812 U KR 910025812U KR 930007212 Y1 KR930007212 Y1 KR 930007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llers
cams
cardboard
fee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502U (ko
Inventor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이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구 filed Critical 이경구
Priority to KR2019910025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212Y1/ko
Publication of KR930013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5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중 일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제3a,b도는 본 고안의 구동상태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중 구동캠에 대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캠 2, 2' : 확대면
3 : 안내홈 4 : 구동축
5, 5' : 작동간 6, 6' : 로울러
7, 7' : 보조로울러 8 : 조절구
9 : 단축 10, 10' : 인장스프링
본 고안은 비교적 두꺼운 판지의 표면에 각종형태의 음양각 무늬 및 절첩선을 형성하게 된 절곡기에 있어서, 일정규격으로 재단된 판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절곡작업후 기체외부로 이탈시키기 위한 판지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판지 이송장치는 한쌍의 안내봉에 주입작동구와 인출 작동구를 각각 유동접합하여 기체에 하단부가 유착된 2개의 작동구 상단부를 각각 연결하여된 것으로, 상기한 작동구의 로울러에 구동축상으로 접합한 2개의 캠을 각각 외접되게 한 상태에서 캠이의 회동작동에 의해 작동간을 요동되게 한 구조이다.
따라서 캠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간은 그 하단의 유착부를 깃점으로 그 상단부가 교차로 요동되면서 이에 연결된 주입 작동구와 인출작동구를 안내봉 상에서 서로 교차상태로 슬라이딩시키게 되고, 이때 주입작동구에 의해 절곡장치부위로 판지를 공급하게 됨과 동시에 인출작동구가 절곡이 완료된 판지를 이탈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상기 작동시 캠이 외접되는 작동간의 로울러가 캠의 회전축심으로부터 최대거리에 외접되는 정지순간이 극히 짧게 되어 절곡작업하기 위한 판지를 정확히 괘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급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공급이 불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이로인하여 절곡위치가 어긋나면서 불량제품을 생산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작용시 캠의 최대거리에 외접되었던 작동간이 인장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복원되는 순간 캠의 구동력과 스프링력이 서로 상쇄되면서 외접부위가 순간적으로 분리되었다가 접촉되므로, 부품에 마모가 발생될 뿐 아니라 소음이 심하게 되었으며, 상기한 작용에 의해 연속동작시 발생되는 편치가 노적되어 정확한 이송작업에 많은 차질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작동간을 구동시키는 캠에 안내홈을 형성하여 이의 안내홈 상에서 로울러를 유도되게 함에 따라 외접부위의 분리현상으로 인한 작동편차와 마모를 방지 하였고, 캠의 만곡부에 확대부를 형성하여 로울러와 최대거리가 외접되는 정지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정확한 이송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체의 일측으로 고정된 단축(9)에 작동간(5)(5')의 하단을 각각 유착하되 이의 상단으로는 안내봉(11)에 유합된 인출작동구(12)와 주입작동구(12')를 연결간(13)(13')으로 연결하여된 것에 있어서, 구동축(4)에 접합된 캠(1)(1')의 일측면으로 안내홈(3)을 요설하여 작동간(5)(5')의 중앙부상으로 유착된 로울러(6)(6')를 삽지되게 하고, 캠(1)(1')이 만곡 주연부에 확대면(2)(2')을 일체로 형성하며, 로울러(6)(6')의 외측으로는 조절구(8)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보조로울러(7)(7')를 장착하여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 10'는 인장 스프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있어서, 구동축(4)에 적합된 캠(1)(1')은 일측면으로 안내홈(3)이 형성되어 있고, 캠(1)(1')의 축심으로부터 만곡된 부위의 외주연으로는 확대면(2)(2')이 동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그 확대면(2)(2')에 외주연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심에 대해 동일 위상에 위치 되고 그 각도는 "Q"를 이루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구동축(4)이 구동되며 캠(1)(1')을 회동시키면서 이의 일측면의 안내홈(3)에 삽입된 작동간(5)(5')상의 로울러(6)(6')를 안내시킴에 따라, 작동간(5)(5')을 서로 교차되게 요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그 상부로 연결된 인출작동구 (12)와 주입 작동구(12')와 주 안내봉(11)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면서 절곡작업대(도시하지 아니하였음)가 위치하는 차단구(14)의 양측으로 진입 및 후퇴를 연속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전후 작동간(5)(5')의 요동거리는 캠(1)(1')의 회동거리에 의해 결정되어지지만 제3b도와 같이 캠(1)(1')의 확대면(2)(2')와주면 부위 즉, 제4도의 "Q"각을 이룬 오주면에 작동간 외측의 보조로울러(7)(7')가 접촉될시에는 작동간(5)(5')의 요동이 멈춘 상태가 되고, 이때 주입작동구(12')는 판지를 절곡작업대에 도달시킨 상태이며, 인출작동구(12)는 이미 절곡된 판지를 적재함 부위로 이송시킨 상태로서 상기한 작동간(5)(5')의 요동이 멈추면서 지연되는 순간만큼 판지의 진입 및 이탈 작용을 더욱 정확히하여 인쇄상태의 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캠(1)(1')의 안내홈(3)에 유삽된 로울러(6)(6')는 항상 내접사태상를 유지하되, 이의 측면에 조절구(8)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착설한 보조로울러(7)(7')는 캠(1)(1')의 "Q"부위에서만 외접되면서 작동간(5)(5')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Q"의 최대만곡부로부터 축소 부위로 접촉되면서 작동간(5)(5')를 복원시킬 때는 인장스프링(10)(10')'의 인장력으로 복귀시키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의 탄동력은 캠(1)(1')의 안내홈(3)에 내삽된 로울러(6)(6')에 의해 흡수되어지므로 작동에 따른 편차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제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기계적 작동에 따른 마찰 소음을 극소화 하여 절곡작업을 더욱 정확히 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

Claims (1)

  1. 기체 일측으로 고정된 단축(9)에 작동간(5)(5')의 하단을 유착하되 이의 상단으로 안내봉(11)에 유합된 인출 작동구(12)와 주입작동구(12')를 연결간(13)(13')으로 연결하여 된 것에 있어서, 구동축에 접합된 캠(1)(1')의 일측면으로 안내홈(3)을 요설하여 작동간(5)(5')의 중앙부상으로 유착된 로울러(6)(6')를 유삽되게 하고, 캠(1)(1')의 만곡주연부에 확대면(2)(2')을 일체로 형성하며, 로울러(6)(6')의 외측으로 조절구(8)에 의해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보조로울러(7)(7')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KR2019910025812U 1991-12-31 1991-12-31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KR930007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812U KR930007212Y1 (ko) 1991-12-31 1991-12-31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812U KR930007212Y1 (ko) 1991-12-31 1991-12-31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502U KR930013502U (ko) 1993-07-26
KR930007212Y1 true KR930007212Y1 (ko) 1993-10-13

Family

ID=1932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812U KR930007212Y1 (ko) 1991-12-31 1991-12-31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2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502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887A (en) Method for applying a shrink sleeve to the closure end of a contain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uch method
US5278624A (en) Differential drive for sheet registration drive rolls with skew detection
US496023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webs of material into (two) part webs
US4159687A (en) Automatic guiding method for workpiece in sewing machine
EP1043232B1 (en) Packaging machine
US4883210A (en) Material feeding apparatus
KR930007212Y1 (ko) 판지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US5765494A (en) Sleev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US4349188A (en) Re-registering feeder and method of registering
US5014490A (en) Apparatus for the feeding of packaging blanks to a folding unit
JPS606264B2 (ja) ウエブ状物体移動制御装置
US3788639A (en) Sheet feeding cylinder
JPH0335461Y2 (ko)
US5535933A (en) Glass cutting machine
US5441253A (en) Paper sheet conveying apparatus
US4518381A (en) Sheet folding machine
JP2834300B2 (ja) シート状被搬送物のガイド装置
CA2138141C (en) Carton blank support tool for a folder gluer machine
KR900006445Y1 (ko) 금박인쇄기에 있어서 인쇄물 이송구의 구동장치
US4120741A (en) Carton sealing strip applicator
JP3866847B2 (ja) 転造盤用ワークの回転ブッシュ支持装置
JP2729411B2 (ja) プレス機の送り調整装置
KR830001788B1 (ko) 슬라이더의 감삽장치
US3526398A (en) Cloth laying machine with seam detection means
JPS5835089A (ja) レ−ザブラン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