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087B1 - 다회로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다회로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087B1
KR930007087B1 KR1019900014788A KR900014788A KR930007087B1 KR 930007087 B1 KR930007087 B1 KR 930007087B1 KR 1019900014788 A KR1019900014788 A KR 1019900014788A KR 900014788 A KR900014788 A KR 900014788A KR 930007087 B1 KR930007087 B1 KR 93000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act
circuit
termi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018A (ko
Inventor
이찌로 아리노부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449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0823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8126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43234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8Electromechanical and static switch connect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회로제어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와 리모콘스위치를 나타내는 배선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계적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4도 (a) 및 (b)는 제2도에 도시한 리모콘스위치의 두가지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각 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다회로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
제7도는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를 일부 나타내는 배치도.
제8도는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의 리모콘릴레이와 리모콘스위치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9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다회로제어장치의 다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회로제어장치 11 : 전원단자
12 : 기계적 개폐장치 13a-13d : 반도체제어소자
14 : 부하단자 15 : 제어회로
16 : 제어단자 17 : 공통단자
125 : 주회로접점
본원 발명은 조명제어 등의 많은 분기회로를 비교적 빈번히 개폐하는 다회로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예의 구성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7도 및 제8도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1987)-193481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를 일부 도시한 배치도 및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의 리모콘릴레이와 리모콘스위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는 분전반(分電盤)(1)에 배치된 중앙제어장치(2)와, 복수의 리모콘릴레이(3)와, 리모콘릴레이 구동용의 터미널유니트(4)와, 제어용 단말기(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에 있어서, 제어전원(7)과, 이 제어전원(7)에 접속된 리모콘릴레이(3)와, 일단이 리모콘릴레이(3)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제어전원(7)에 접속된 리모콘스위치(6)가 도시되어 있다.
리모콘릴레이(3)는 제어전원(7)에 접속된 구동코일(31)과, 음극이 이 구동코일(31)에 접속된 다이오드(32)와, 양극이 구동코일(31)에 접속된 다이오드(33)와, 다이오드(32) 및 (33)에 접속된 전환접점(34)과, 이 전환접점(34)에 연동하는 주회로접점(3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리모콘스위치(6)는 양극이 리모콘릴레이(3)의 전환접점(34)에 접속된 다이오드(61)와, 음극이 전환접점(34)에 접속된 다이오드(62)와, 다이오드(61) 및 (62)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제어전원(7)에 접속된 스위치(63)와, 전환접점(34)에 접속된 저항(64)와, 음극이 이 저항(64)에 접속된 다이오드(65)와, 음극이 이 다이오드(65)에 접속되고, 또한 양극이 제어전원(7)에 접속된 LED(66)와, 전환접점(34)에 접속된 저항(67)과, 양극이 이 저항(67)에 접속된 다이오드(68)와, 양극이 이 다이오드(68)에 접속되고, 또한 음극이 제어전원(7)에 접속된 LED(69)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종래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릴레이(3)는 주회로접점(35)에 의해 주회로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이며, 유접점(有接點)의 것이 일반적이다.
리모콘릴레이 구동용의 터미널유니트(4)의 제어의 기본원리는 리모콘스위치(6)의 ON/OFF 제어와 동일한 제어신호(일방향성의 반파출력)에 의해 리모콘릴레이(3)의 구동코일(31)을 구동하여, 전환접점(34)을 전환하는 동시에 주회로접점(35)을 ON/OFF 제어한다. 이 전환접점(34)는 일방향성 반파(半波)를 저지하는 쪽으로 전환하고, 그 이상의 전류를 흐르게 하지 않도록 동작한다. 이것은 2선식 제어방식으로서 공지의 수단이다.
제9도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2(1987)-193481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일반적으로, 다회로제어장치는 예를들면 4개의 리모콘스위치(6a), (6b), (bc) 및 (6d)와, 각 리모콘스위치에 1대 1로 접속되고, 그들을 조작함으로써 작동하는 리모콘릴레이(3a), (3b), (3c) 및 (3d)로 구성되어 있다. 각 리모콘릴레이(3a), (3b), (3c) 및 (3d)에는 각각 주회로접점(35a), (35b), (35c) 및 (35d)이 배설되어 있으며, 그것들에 접속된 부하(제9도에 있어서 부하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음)가 각각의 리모콘스위치(6a), (6b), (6c) 및 (6d)를 조작함으로써 개폐된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스위치와 리모콘릴레이는 떨어진 장소에 배치되어 있다. 이 장치의 동작을 1조의 리모콘스위치(6a) 및 리모콘릴레이(3a)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누름버튼식의 스위치(63a)를 누르면, 도선(8a)과 도선(9) 사이가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61)와 스위치(63a)에 의해서 접속된다. 한편, 리모콘릴레이(3a)에 있어서는 전환접점(34a)이 다이오드(32a)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원(7)→도선(19)→코일(31a)→다이오드(32a)→전환접점(34a)→도선(8a)→다이오드(61)→스위치(63a)→도선(9)→전원(7)에 이르는 전로(電路)가 형성된다. 그 결과, 전원(7)의 반파기간에만 전류가 흘러서 코일(31a)이 여자된다. 코일(31a)의 여자에 의해서 전환접점(34a)은 다이오드(32a)의 음극으로부터 다이오드(33a)의 양극으로 전환되어, 그것에 연동하는 주회로접점(35a)이 열리게 된다. 전환접점(34a)이 다이오드(33a)의 양극에 접속된 결과, 전류는 다이오드(32a)와는 역극성(逆極性)으로 접속된 다이오드(33a)에 의해서 저지되어 전로는 끊긴다. 리모콘릴레이(3a)는 전환접점(34a)이 작동한 후에는 코일(31a)의 여자가 소멸해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환접점(34a)은 다이오드(33a)의 양극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스위치(63a)를 눌러도 전로는 형성되지 않고, 리모콘릴레이(3a)는 동작하지 않는다.
리모콘릴레이(3a)를 다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스위치(63b)를 누른다. 그 결과, 전원(7)→리모콘스위치(6a)→리모콘릴레이(3a)→전원(7)에 이르는 전로가 형성되고, 코일(31a)에는 전류가 흐르며, 전환접점(34a)을 작동시킨다. 그 결과, 전환접점(34a)은 다이오드(33a)의 양극으로부터 다이오드(32a)의 음극으로 전환되고, 또한 주회로접점(35a)이 폐쇄되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의 동작은 다른 리모콘스위치(6b), (6c) 및 (6d)와 다른 리모콘릴레이(3b), (3c) 및 (3d)의 각 조에 대해서도 같다.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는 리모콘릴레이(3a)의 구동에 커다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동시에, 부하를 개폐하는 주회로접점(35a)이 기계적 접점이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명이 짧고, 신뢰성이 낮은 동시에 유지비가 높고 비경제적이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회로제어장치에서는 주회로개폐제어가 유접점으로 행해지므로, 그 구동도 기계적인 수단을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량도 많고 비경제적이며, 특히 조명회로 등의 다회로를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 전원용량이 큰 것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당연한 것이지만, 유접점의 기구를 무접점화(SSR 등) 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유접점을 무접점화하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즉, 무접점화함으로써 개폐부의 주회로측과 부하측의 절연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고(반도체의 보호회로의 영향도 있음), 개로(開路)되었다고 생각하고 부하측 전로에 접촉되면 감전 등의 인사사고와 관련되고, 또한 누전에 의한 화재 등의 재해와도 관련되어, 용이하게 실용화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개폐빈도가 높은 제어소자로 반도체제어소자를 사용하여 무접점화하고, 모든 반도체제어소자가 OFF(개로)되어 있을 때 개로하고, 최소한 하나의 반도체제어소자가 ON(폐로)되어 있을 때 폐로하는 기계적 접점을 설치하여, 통상시에는 무접점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또한 전체 회로를 끊었을 때에는 유접점으로 개로하기 때문에 고절연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점검시의 감전, 조명 등을 끈 후의 누전에 의한 화재 등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통상의 에너지량도 저감할 수 있는 다회로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접점을 반도체제어소자를 사용하여 무접점화하는 동시에, 일반적으로 무접점화에 있어서 피할 수 없는 미소한 리크전류를 차단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기계적 접점과 동일한 절연기능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기계적 접점의 소모가 없는 고수명의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한 다회로제어장치는 주회로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유접점 개폐장치, 이 유접점 개폐장치에 접속되어 부하에 전력을 분배하는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 및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최소한 하나가 폐로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를 폐로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전부가 개로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를 개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다른 다회로제어장치는 한쪽의 단자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단자가 각각의 부하에 접속된 복수의 반도체제어소자, 상기 공통으로 접속된 한쪽의 단자와 전원 사이에 접속된 주회로접점, 및 최소한 1개의 반도체제어소자가 폐일 때에 그것에 선행하여 주회로접점을 폐로 하고, 모든 반도체제어소자가 개일 때에 그것에 뒤져서 주회로접점을 개로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에 의해서 부하에 전력이 분배된다.
또, 제어수단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최소한 하나가 폐로 되어 있을 때는 유접점 개폐장치가 폐로 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전부가 개로 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가 개로 된다.
그리고, 부하의 개폐는 장수명의 반도체제어소자에 의해 행하고, 모든 반도체제어소자가 개일 때는 기계적인 주회로접점에 의해 회로를 완전히 전원으로부터 끊는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시하지 않은 주회로전원에 접촉된 전원단자(11)와, 이 전원단자(11)에 접속된 기계적 개폐장치(12)와, 이 기계적 개폐장치(12)에 접속된 예를들면 트라이악 등의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및 (13d)와, 이들 반도체제어소자(13a)-(13d)에 접속된 부하단자(14)와, 기계적 개폐장치(12) 및 반도체제어소자(13a)-(13d)에 접속된 제어회로(15)와, 이 제어회로(15)에 접속된 제어단자 S1, S2, S3 및 S4(16)와, 제어회로(15)에 접속된 공통단자(청색)(17)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와 리모콘스위치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적색단자가 다회로제어장치(10)의 제어단자 S1(16)에 접속되고, 또한 백색단자가 제어전원(7)의 일단에 접속된 2선식의 리모콘스위치(6A)와, 적색단자가 제어단자 S2(16)에 접속되고, 또한 백색단자가 제어전원(7)에 접속된 2선식의 리모콘스위치(6A)와, 적색단자가 제어단자 S3(16)에 접속되고, 또한 백색단자가 제어전원(7)에 접속된 2선식의 리모콘스위치(6A)와, 적색단자가 제어단자 S4(16)에 접속되고, 또한 백색단자가 제어전원(7)에 접속된 2선식의 리모콘스위치(6A)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전원(7)의 타단은 공통단자(17)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기계적 개폐장치(12)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기계적 개폐장치(12)는 음극이 제어회로(15)에 접속된 다이오드(121)와, 양극이 제어회로(15)에 접속된 다이오드(122)와, 다이오드(121) 및 (122)에 접속된 전환접점(123)과, 일단이 전환접점(123)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제어회로(15)에 접속된 구동코일(124)과, 전환접점(123)에 연동하는 주회로접점(12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a) 및 (b)는 제2도에 도시한 리모콘스위치(6A)의 두가지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4도(a)에 있어서, 리모콘스위치(6A)의 일예는 양극이 적색단자에 접속된 다이오드(61)와, 음극이 적색단자에 접속된 다이오드(62)와, 일단이 다이오드(61)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백색단자에 접속된 스위치(63a)와, 일단이 다이오드(62)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백색단자에 접속된 스위치(63b)와, 적색단자 및 백색단자의 사이에 접속된 저항(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b)에 있어서, 리모콘스위치(6A)의 다른 예는 양극이 적색단자에 접속된 다이오드(61)와, 음극이 적색단자에 접속된 다이오드(62)와, 일단이 다이오드(61)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백색단자에 접속된 스위치(63a)와, 일단이 다이오드(62)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백색단자에 접속된 스위치(63b)와, 음극이 적색단자에 접속된 동작표시 LED(66)와, 일단이 이 동작표시 LED(66)에 접속되고, 또한 타단이 백색단자에 접속된 저항(64)과, 적색단자에 접속된 저항(67)과, 양극이 이 저항(67)에 접속되고 또한 음극이 백색단자에 접속된 동작표시 LED(6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있어서 각 리모콘스위치(6A)와 각각에 대응한 반도체제어소자(13a)-(13d)는 주회로의 ON/OFF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원 발명의 유접점 개폐장치는 상술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계적 개폐장치(12)이며, 본원 발명의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는 반도체제어소자(13a)-(13d)로 구성되며, 본원 발명의 제어수단은 제어회로(15)이다.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의 동작을 제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5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각 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예를들면, 제2도의 최상단의 리모콘스위치(6A)가 ON 조작되었다고 하면, 다회로제어장치(10)의 제어단자 S1(16)에 반파의 전압이 인가되고, 대응하는 반도체제어소자(13a)를 폐로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어회로(15)가 작동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제어소자(13a)-(13d)가 모두 개로 되어 있다고 하면, 제어회로(15)는 리모콘스위치(6A)의 ON신호를 받아, 기계적 개폐장치(12)의 구동코일(124)에 구동신호를 송출하고, 주회로접점(125)를 폐로 한다. 다음에, 반도체제어소자(13a)를 폐로 하기 위해 게이트신호를 송출한다. 이로써, 반도체제어소자(13a)는 도통상태가 되고, 이것에 접속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반도체제어소자(13b)-(13d)의 제어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여기서, 제어회로(15)는 반도체제어소자(13a)-(13d)의 최소한 하나가 ON(폐로) 제어되고 있을 때는 기계적 개폐장치(12)를 폐로 상태 그대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그 후 리모콘스위치(6A)의 조작에 의해 임의로 반도체제어소자(13a)-(13d)를 ON/OFF 제어한 후, 하나의 반도체제어소자(13d)가 폐로 되어 있고, 다른 것은 개로 되어 있을 때, 이것을 개로 하여 모든 반도체제어소자(13a)-(13d)를 개로 상태로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제2도의 최하단의 리모콘스위치(6A)의 OFF 조작에 의거하여 제어회로(15)는 반도체제어소자(13d)를 OFF(개로)하기 위해 게이트신호를 끊도록 작용하고, 반도체제어소자(13d)를 개로 한다. 다음에, 제어회로(15)는 모든 반도체제어소자(13a)-(13d)가 개로 되어 있다는 것을 검출하고, 주회로접점(125)을 개로 하기 위해 기계적 개폐장치(12)를 구동하여 전로의 절연을 확보하도록 동작한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기회로에 반도체제어소자(13a)-(13d)를 사용하고, 주회로에 유접점의 기계적 개폐장치(12)를 배설하였으므로, 빈번히 개폐하는 것을 반도체제어소자로 ON/OFF 제어할 수 있고, 모든 분기회로가 개로 되어 있을 때만 주회로접점을 개로 하므로 전로의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수명이고 에너지절약적이며, 또한 안전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올린다.
제6도에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예를들면 4개의 리모콘스위치(6a), (6b), (6c) 및 (6d)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며, 종래의 기술에서 열거한 것과 동일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 상세를 리모콘스위치(6a)에 대해 설명한다.
다이오드(61)와 누름버튼식의 스위치(63a)의 직렬접속체와, 다이오드(62)와 누름버튼식의 스위치(63b)의 직렬접속체가 다이오드(61)과 (62)가 서로 역극성이 되도록 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직렬접속체에 다시 표시등으로서 사용되는 LED(66)와 저항(64)의 직렬접속체와, LED(69)와 저항(67)의 직렬접속체가 LED(66)과 (69)가 서로 역극성이 되도록 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리모콘스위치(6a)의 한쪽의 단자는 도선(9)를 거쳐 교류전원(7)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 리모콘스위치(6a)의 다른쪽의 단자는 도선(8a)를 거쳐 다회로제어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모든 리모콘스위치(6a), (6b), (6c) 및 (6d)의 도면에 있어서 하부의 단자는 도선(9)에 공통적으로 접속되고, 상부의 단자는 각각 도선(8a), (8b), (8c) 및 (8d)을 통해서 마찬가지로 다회로제어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다회로제어장치(10)는 분기회로의 단자(14a), (14b), (14c) 및 (14d)에 접속되는 부하(도시생략)를 개폐하기 위한 3단자쌍방향 다이리스터 등의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및 (13d)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반도체제어소자군과 부하의 전원의 단자(11) 사이에 기계적인 주회로접점(125)이 삽입되어 있다. 주회로 접점(125)은 전환스위치(18)에 연동해서 작동하고, 그 전환접점(123)이 접점(123a)에 접하고 있을 때 폐로되고, 접점(123b)에 접하고 있을 때 개로 된다. 전환접점(123)은 전환접점(123)과 제어회로(15)의 사이에 접속된 코일(124)의 여자에 의해 구동되며, 일단 접점(123a) 또는 (123b)에 접촉된 후에는 코일(124)의 여자가 소멸되어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접점(123a) 및 (123b)는 서로 역극성으로 접속된 다이오드(122), (121)을 통해서 제어회로(15)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회로(15)의 4개의 입력단자에는 각각 도선(8a), (8b), (8c) 및 (8d)가 접속되고, 출력단자(15a), (15b), (15c) 및 (15d)는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및 (13d)의 각각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지금 모든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13d)가 개로 되어 있으며, 또한 주회로접점(125)도 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스위치(6a)의 스위치(63b)를 폐로 하면, 전원(7)의 반파전류가 다이오드(62)를 거쳐 제어회로(15)에 유입하여, 제어회로(15)→코일(124)→전환접점(123)→다이오드(121)→제어회로(15)의 경로로 전류가 흘러 전환접점(123)은 접점(123a)으로 전환된다. 다음에, 반도체제어소자(13a)의 게이트에 반도체제어소자를 폐로 하는 전압을 부여한다. 그 결과, 연동하는 주회로접점(125)은 폐로 되고, 전원(7)으로 부터 단자(14a)에 접속된 부하에 전류가 흐른다. 다른 단자(14b), (14c) 또는 (14d)에 접속된 부하에 대해서도 각각의 리모콘스위치(6b), (6c) 또는 (6d)의 스위치(63b)를 폐로 함으로써 마찬가지로 통전할 수 있다.
제어회로(15)는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및 (13d)의 최소한 1개가 폐일 때는 전환접점(123)을 접점(123a)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주회로접점(125)을 폐로 유지한다.
다음에, 1개의 반도체제어소자 예를들면 (13d)만이 폐로 되어 있고, 다른 것은 개로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반도체제어소자(13d)를 개로 할 때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리모콘스위치(6d)의 스위치(63a)를 폐로 하면, 전원(7)의 반파전류가 다이오드(61)를 거쳐 제어회로(15)에 흘러 반도체제어소자(13d)의 게이트전압을 제로로 하여 반도체제어소자(13d)를 개로 한다. 다음에, 제어회로(15)는 모든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및 (13d)의 게이트전압이 제로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면, 제어회로(15)→다이오드(122)→전환접점(123)→코일(124)→제어회로(15)에 이르는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환접점(123)을 접점(123b)으로 전환한다. 그 결과, 주회로접점(125)은 개로 되고, 부하전원단자(11)와 반도체제어소자(13a), (13b), (13c) 및 (13d) 사이의 회로가 완전히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다회로제어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리모콘스위치 및 4개의 리모콘릴레이가 배설되어 있으나, 이 개수는 이 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회로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유접점 개폐장치와, 이 유접점 개폐장치에 접속되어 부하에 전력을 분배하는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와,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최소한 하나가 폐로 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를 폐로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모두가 개로 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를 개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통상 무접점으로 개폐하기 때문에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또한 전체 회로를 끊었을 때에는 유접점으로 개로 하기 때문에 고도의 절연을 실현할 수 있고, 점검시의 감전, 조명 등을 끈 후의 누전에 의한 화재 등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에너지량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올린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분기회로가 반도체제어소자(13a), …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반도체제어소자를 폐로 하기 전에 유접점이 폐로 되고, 반도체제어소자가 개로 된 후에 유접점이 개로 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분기회로에 접속된 부하의 개폐가 빈번히 행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접점은 부하를 직접 개폐하지 않으므로 그 접점이 손모되지 않고 장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모든 부하가 열리게 되었을 때는 반도체제어소자(13a), …보다 절연성이 높은 기계적인 주회로접점(125)에 의해 분기회로가 전원으로부터 분리되므로, OFF중의 전류의 리크가 없으며, 또한 반도체제어소자이므로 개폐가 매우 적은 전력에 의해 행하여져서 에너지 절약적이다.

Claims (2)

  1. 주회로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유접점 개폐장치, 이 유접점 개폐장치에 접속되어 부하에 전력을 분배하는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 및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최소한 하나가 폐로(閉路) 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를 폐로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무접점 개폐장치의 전부가 개로(開路) 되어 있을 때는 상기 유접점 개폐장치를 개로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제어장치.
  2. 한쪽의 단자가 공통으로 접속되고, 다른쪽의 단자가 각각의 부하에 접속된 복수의 반도체제어소자, 상기 공통으로 접속된 한쪽의 단자와 전원 사이에 접속된 주회로접점, 및 최소한 1개의 반도체제어소자가 폐일 때에 그것에 선행하여 상기 주회로접점을 폐로 하고, 모든 반도체제어소자가 개일 때에 그것에 뒤져서 상기 주회로접점을 개로 하는 제어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제어장치.
KR1019900014788A 1989-09-22 1990-09-19 다회로제어장치 KR930007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44938A JPH03108231A (ja) 1989-09-22 1989-09-22 多回路制御装置
JP244938 1989-09-22
JP1-244938 1989-09-22
JP1-281264 1989-10-27
JP1281264A JPH03143234A (ja) 1989-10-27 1989-10-27 多回路制御装置
JP281264 1989-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018A KR910007018A (ko) 1991-04-30
KR930007087B1 true KR930007087B1 (ko) 1993-07-29

Family

ID=2653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788A KR930007087B1 (ko) 1989-09-22 1990-09-19 다회로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06128A (ko)
EP (1) EP0418919B1 (ko)
KR (1) KR930007087B1 (ko)
DE (1) DE6902601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2612B (it) * 1993-09-10 1997-06-26 Permelec Spa Nora Dispositivo di cortocircuitazione, particolarmente per elettrolizzatori mono e bipolari e simili
DE4416995A1 (de) * 1994-05-13 1995-11-16 Helmut Dipl Ing Rauscher Leistungsschalter mit eingebauter Ablaufsteuerung
JP3186938B2 (ja) * 1994-12-12 2001-07-11 富士通株式会社 外部電源オン/オフ制御システム
US5658480A (en) * 1995-09-05 1997-08-19 Therm-O-Disc, Incorporated Heating element control
JP3946261B2 (ja) * 1996-09-03 2007-07-18 日本信号株式会社 フェールセーフなプレス機械の自動スライド運転制御装置
DE19955632A1 (de) * 1999-11-19 2001-06-21 H J Bernstein Gmbh Sicherheitsschaltung
US7006202B2 (en) * 2002-02-21 2006-02-28 Lg.Philips Lcd Co., Ltd. Mask holder for irradiating UV-rays
US6839211B2 (en) * 2002-02-21 2005-01-04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power-on failure of integrated circuits
US9083196B2 (en) 2010-07-30 2015-07-14 Byd Company Limited Circuits and methods for heating batteries in parallel using resonance components in series
US9120394B2 (en) 2010-07-30 2015-09-01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based on battery discharging and charging using resonance components in series and multiple charge storage components
US8947049B2 (en) 2010-07-30 2015-02-03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voltage inversion and freewheeling circuit components
EP2413454A1 (en) * 2010-07-30 2012-02-01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
CN202042568U (zh) 2010-07-30 2011-11-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的加热电路
US9160041B2 (en) 2010-07-30 2015-10-13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resonance components in series and bridging charge storage components
US9209644B2 (en) 2010-07-30 2015-12-08 Byd Company Limited Circuits and methods for heating batteries in series using resonance components in series
US9214706B2 (en) 2010-07-30 2015-12-15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resonance components in series based on charge balancing
US8994332B2 (en) 2010-07-30 2015-03-31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voltage inversion based on predetermined conditions
US8941358B2 (en) 2010-07-30 2015-01-27 Byd Company Limited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based on battery discharging and charging using resonance components in series and freewheeling circuit components
BR112013006956B1 (pt) * 2010-09-24 2020-04-22 Siemens Ag dispositivo submarino de comutação de energia e métodos de operação do mesmo
CN102074752B (zh) 2010-12-23 2012-07-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的加热电路
US9065293B2 (en) 2010-12-23 2015-06-23 Byd Company Limited Battery heating circuits and methods using transform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5277A (en) * 1979-02-09 1980-07-29 Robert I. Weiner Sequencing light controller
JPS575498A (en) * 1980-06-12 1982-0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 control relay
JPS6089029A (ja) * 1983-10-20 1985-05-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モ−トコントロ−ル式回路しや断器の操作回路
JPS60107549A (ja) * 1983-11-16 1985-06-13 Toppan Printing Co Ltd 印刷物の検査方法
FR2563394B1 (fr) * 1984-04-19 1991-11-29 Diffusion Methode Champe Centr Procede de commande statique d'un circuit d'alimentation
JPS61260508A (ja) * 1985-05-15 1986-11-18 株式会社 神内電機製作所 接点溶着検出装置
EP0214691B1 (en) * 1985-09-05 1991-12-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nitor system for traffic-lights
JPS62193481A (ja) * 1986-02-20 1987-08-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装置
US4859819A (en) * 1987-09-01 1989-08-2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taged opening switch
EP0332855A3 (en) * 1988-03-16 1991-03-13 OMRON Corporation Improved hybrid relay
DE4014848A1 (de) * 1990-05-09 1991-11-14 Magnet Bahn Gmbh Verfahren zur stromlosen umschaltung von speiseabschnitten von langstatormotoren bei versorgung aus einem frequenzumrich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018A (ko) 1991-04-30
EP0418919A3 (en) 1992-04-15
EP0418919B1 (en) 1996-03-20
DE69026012D1 (de) 1996-04-25
EP0418919A2 (en) 1991-03-27
DE69026012T2 (de) 1996-08-01
US5406128A (en) 1995-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087B1 (ko) 다회로제어장치
US3872319A (en) Lazy-man type switching circuit
KR930015433A (ko) 다수의 전기 부하를 스위칭하는 전기 제어장치
US4713716A (en) Detection device for contact fusion i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4367510A (en) Remote control switch device
SU1672936A3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US5486972A (en) AC powered electrical control device with logic level control
US5982051A (en) Electronic two-way switching circuit
US3842343A (en) Remote press to test indicating light circuit
JPH03108231A (ja) 多回路制御装置
CN217486701U (zh) 一种控制多路单线开关的电路板
SU1120420A1 (ru) Трехфазный коммутатор с защитой от коротких замыканий
SU13907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уска многодвигательного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KR200148206Y1 (ko) 무접점 릴레이 장치
SU1099353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ключени резерва
SU1374420A1 (ru) Реверсив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тока дл управлени индуктивной нагрузкой
KR200177042Y1 (ko) 분전반 제어장치
KR900006481Y1 (ko) 전동기 스위칭 장치
SU152506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трелочными электроприводам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RU2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й нагрузки от неполнофазного режима
JPH0419953Y2 (ko)
US4068296A (en) Control for remote control wiring system
SU12200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трехфазной нагрузки от обрыва фазы питающей сети
JPH03143234A (ja) 多回路制御装置
SU9859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