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938Y1 - 차량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938Y1
KR930006938Y1 KR2019930017309U KR930017309U KR930006938Y1 KR 930006938 Y1 KR930006938 Y1 KR 930006938Y1 KR 2019930017309 U KR2019930017309 U KR 2019930017309U KR 930017309 U KR930017309 U KR 930017309U KR 930006938 Y1 KR930006938 Y1 KR 930006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lens
light bulb
parabo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노리 스즈키
타쓰히코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코이토세이사쿠쇼
마쓰우라 다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083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97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코이토세이사쿠쇼, 마쓰우라 다카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코이토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2019930017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938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
제1도는 내지 제9도는 본 고안 차량용 전조등의 실시예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반사경의 확대 배면도.
제5도는 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차광판의 재료를 취하는 도면.
제7도는 다른 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또다른 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또다른 요부의 확대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의 문제점을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반사경 15 : 반사면
16 : 위쪽평탄면 17 : 아래쪽평탄면
34 : 전구 35 : 유리구
36 : 주필라멘트 37 : 부필라멘트
39 : 차광막 43 : 차광판
본 고안은 신규의 차량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을 갖는 동시에 상하에 대략 전후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을 갖는 반사경에 전구를 유지하고, 전구와 위쪽의 평탄면과의 사이에 차광판이 설치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 부필라멘트의 빛을 낭비함이 없이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 차량용 전조등은 차광판을 전방으로 감에 따라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시켜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부필라멘트의 빛의 광로와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했으므로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의 초점보다 앞쪽에 위치한 부필라멘트에서 발하여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빛의 대부분이 차광판에 의해 단됨이 없이 유효하게 이용되게 된다.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을 갖는 동시에 상하로 대략 전후 방향으로 뻗는 평탄면을 갖는 반사경에 전구를 유지한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는 위쪽의 평탄면에 빛이 입사하면, 이 빛은 평탄면에서 반사되어 극단적으로 하향으로 조사되고, 그것이 당해 차량용 전조등의 전방 아래쪽에 위한 범퍼등에 의해 2차 반사되어 급각도로 위쪽으로 향하여 위쪽 산란광으로 되고 이것이 강우시에 광막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되기 때문에, 전구와 위쪽의 평탄면과의 사이에 차광판을 배치하고, 전구의 빛이 위쪽의 평탄면에 입사하는 일이 없게끔 하고 있다.
그와 같은 차량용 전조등의 일례로서 실개소 61-8050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는 차광판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똑바로 뻗고 있기 때문에, 부필라멘트에서 발하여지는 빛의 손실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부필라멘트의 빛에 의해 조사되는 엇갈린 빔은 대향차의 운전자나 보행자에 대한 현혹광(眩惑光)으로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약간 하향으로 조사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엇갈린 빔의 조사를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부필라멘트를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의 초점보다 전방으로 위치시켜, 이와 같은 부필라멘트에서 발하여지는 빛 가운데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빛만을 사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즉,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의 초점보다 전방에 위치한 광점에서 발하여 이 반사면에서 반사된 빛은 집광경항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 상반부에서 반사된 빛은 약간 하향으로 조사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제10도에 도시한 것처럼, 부필라멘 a와 위쪽의 평탄면 b와의 사이에 설치된 차광판 c가 대략 전후방향으로 뻗고 있는 것이면, 부필라멘트 a에서 발하여 반사면 d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빛 e,e…는 약간하향으로 나아가므로, 그 광로를 차광판 c가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고, 상기 빛 e,e…의 일부 e',e'…가 차광판 c에 의해 전방으로의 사출이 방해되게 된다.
그리고 부필라멘트 a에서 발한 빛은 반사면 d의 상반부를 향한 것만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원래 그 이용광속수가 적은 곳에 다시 차광판 c에 의해 출사가 방해되는 빛 e',e',…가 있는 것이므로 그 효율이 매우 나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본 고안 차량용 건조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광판을 전방으로 감에 따라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시켜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부필라멘트의 빛의 광고와 대략 평행으로 되게끔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차량용 전조등에 있어서는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의 초점보다 앞쪽에 위치한 부필라멘트에서 발하여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사되어 약간 아래쪽을 향해 조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차광판이 의해 차단되는 일없이, 유효하게 이용하게 된다.
다음에, 본 고안 차량용 전조등을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구성)
1은 자동차용의 전조등 장치이며, 전조등과 차폭등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그 전조등의 부분에 본 고안이 적용되고 있다.
2는 합성수지제의 램프보디이며, 앞면에 개구한 요부(3)를 가지며, 그 앞면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앞면에 개구한 설치홈(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램프보디(2)는 횡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에서 4분의 3정도의 전조등부(5)와 이 전조등부(5)의 타단에서 약간 측부로 돌아들면서 뻗는 차폭등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조등부(5)의 중앙에서 약간 차폭등부(6)쪽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원형의 삽통공(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통공(7)의 개구 가장자리에서 환상의 림(8)이 후방을 향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환상림(8)의 외주면에는 나사홈(8a)이 형성되어 있다.
차폭등부(6)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구부착공(9)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차폭등부(6)의 타단부 내면에는 지지요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램프보디(2)의 뒷벽내면중 전조등부(5)와 차폭등부(6)와의 사이의 위치에는 보스시트(11), (11) 및 (12), (12)가 대략 상하로 줄지어서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위치한 보스시트(11),(11)의 전단면에는 위치 결정핀(11a),(11a)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또 이들 보스시트(11),(11)의 각 내측에 접해서 위치한 보스시트 (12),(12)에는 전단면에 개구한 나사구멍(12a),(12a)이 형성되어 있다.
13은 투명한 재료, 예를들어 유리, 투명한 합성수지등으로 형성된 렌즈이며,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약간 측방을 향해 완만하게 돌아들어간 앞면부(13a)와 이 앞면부(13a)의 타단가장자리를 둘레 가장자리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주벽부(13b)와 이 주벽부(13b)의 후단 및 앞면부(13a)의 타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한 끼워맞춤편(13c)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끼워맞춤편(13c)이 램포보디(2)의 설치홈(4)내에 끼워맞추어지고, 또한 설치홈(4)내에 충전된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된다.
14는 전조등용 반사경이며, 전방에서 보다 대략 횡장의 장방형상을 하고 있고, 전방을 향해 개구한 요부를 갖고 있으며, 이 요부의 내면에 회전포물면(15)과 대략 전후방향을 뻗는 상하의 평탄면(16,17)으로 이루어지고, 이들면(15,16,17)은 모두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반사경(14)의 중앙에서 약간 타단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전구부착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경(14)의 후면의 전구부착공(18)의 개구 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의 서로 대략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에 원호상을 한 위치 결정벽(19),(19)이 후방을 향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위치결정벽(19)과 (19)와의 사이의 부분의 한쪽에는 스프링지지부(20)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지지부(20)는 부착공(18)의 중심을 지나는 선에 대략 평행이며 서로 주방향으로 이간한 2개의 요조(21),(21)와 이들 2개의 요조(21)와 (21)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뻗는 요조(22)를 구비하며, 또 이 요조(22)에서 외측의 위치에 나사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경(14)의 후면의 전구부착공(18)에 따른 부분중 스프링지지부(20)의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에는 혹부(2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방향으로 이간하여 3개의 위치 결정 절결(25a),(25b),(25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경(14)의 후면의 전구부착공(18)의 주연부중 상단에 가까운 부분과 하단에 가까운 부분에 부착공(18)쪽으로 열린 ㄷ자 형상이 돌출벽 (26), (2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경(14)의 내면증 상기 돌출벽(26),(26)에 대응한 위치에 요부(26a),(26a)가 형성되어 있다.
27은 후술하는 전구를 반사경(14)에 유지하기 위한 세트스프링이다.
세트스프링(27)은 스프링성을 갖는 하나의 금속선재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대략 ㄷ자 형상의 피지지부(28)와 이 피지지부(28)의 양단에 뻗는 2개의 가압암(29),(30)과 한쪽의 가압암(29)에서 다시 뻗는 조작암(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트스프링(27)은 그 피지지부(28)의 중간편(28a)이 스프이지지부(20)의 요조(22)내에 위치되고, 양측편(28b),(28b)이 역시 요조(21),(21)내에 위치되고, 그 상태채로 워셔(32)에 삽통된 나사(33)가 스프링 지지부(20)의 나사구멍(23)에 나사맞춤되고, 이것에 의해 램포보디(2)에 고정된 워셔(32)의 일부가 요조(22)내에 위치한 중간편(28a)위에 덮이고, 이 중간편(28a)이 요조 (22)와 워셔(32)와의 사이에 회동 자재로 지지되게 된다.
34는 구라파 표준의 H4형 전구이며, 유리구(35)내에는 주필라멘트(36)와 부필라멘트(37)가 전후로 줄지어서 배치되고, 또, 유리구(35)의 전단부에는 차광막(38)이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구(35)내에는 부필라멘트(37)의 앞쪽과 대략 하반부를 덮는 배모양의 세이드(39)가 배치되어 있다.
전구(34)의 마우스피스(40)에 고착된 원형의 플랜지(41)의 둘레 가장자리에 3개의 위치 결정 돌출편(42a),(42b),(42c)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전구(34)의 유리구(35)를 반사경(14)의 전구부착공(18)에 후방에서 삽통한다. 이때 세트스프링(27)을 회동시켜 그 회동단부가 후방을 향하도록해서 유리구(35)의 삽통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해둔다.
그래서, 전구(34)의 위치 결정 돌출편(42a),(42b),(42c)을 각기 반사경(14)의 위치결정절결(25a),(25b),(25c)의 부가부호를 같이 하는 것에 각 개별로 걸어맞추어 그 상태에서 세트스프링(27)을 회동시켜, 그 가압암(29),(30)을 플랜지(41)의 후면에 탄접시키고, 조작암(31)을 반사경(14)의 훅부(24)에 걸어맞춘다.
이와 같이 해서, 전구(34)는 그 위치 결정 돌출편(42a), (42b), (42c)이 반사경(14)의 위치결정절결(25a),(25b),(25c)과 걸어맞추어지고, 플랜지(14)의 외주가장자리가 반사경(14)의 위치결정벽(19),(19)의 내면과 당접되어, 이것에 의해 반사경(41)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그 상태가 세트스프링(27)에 의해 유지된다.
43은 차광판이며, 적당한 금속판에 의해 환체부(44)와 부착다리(45),(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차광판(43)의 재료로서는 그 표면에 의한 2차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판을 탈지처리후 약 250℃에서 1시간 정도 가열압착한 것등을 생각할 수 있다.
환체부(44)는 대략 링모양을 한 연결부(44a)와 이연결부(44a)의 대략 상반부의 뒷가장자리에서 후방을 향해 약간 뒤쪽이 올라가도록 돌출된 차광부(44b)로 이루어지며, 차광부(44b)는 그 가장자리가 원호상을 한 대략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위쪽의 부착다리(45)의 후단부에는 위쪽으로 개구한 ㄷ자형으로 절곡된 끼워맞춤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아래쪽의 부착다리(46)의 후단부에는 아래쪽으로 개구한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끼워맞춤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광판(43)은 제6도에 도시한 전개도와 같이 재료 취하기를 하고, 정면에서 보아 원형을 이루도록 전체를 둥글게 하며, 그리고, 연결부 예정부 (44a')의 양단끼리를 용접등에 의해 결합하고, 또 부착다리 예정부(45'),(46')의 후단부를 소정의 모양을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차광판(43)은 전구(34)가 반사경(14)에 부착되기 전에 모두 반사경(14)에 부착된다. 즉, 전구(34)를 반사경(14)에 부착하기 전에 차광판(43)의 한쪽의 부착다리(45),(46)의 끼워맞춤부(45a),(46a)를 반사경(14)의 돌출벽(26),(26)이 형성된 부분의 개구가장자리에 끼워 맞춘다. 이때 기워맞춤부(45a),(46a)의 전단은 요부(26a),(26a)내에 위치한다. 그래서 부착다리(45),(46)에서 뒤쪽부분(45b), (46b)을 돌출벽 (26),(26)에 따라서 바깥쪽으로 접고, 이것에 의해 차광판(43)의 반사경(14)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전구(34)를 반사경(14)에 부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해서 전구(34) 및 차광판(43)이 반사경(14)에 부착되면, 전구(34)의 주필라멘트(36)는 회전포물면 형상 반사면(15)의 초점에 위치하고, 부필라멘트(37)는 이 초점의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차광판(43)의 차광부 (44b)는 필라멘트(36), (37)와 위쪽의 평탄면(16)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들 필라멘트(36),(37)에서 위쪽 평탄면(16)으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게끔 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주필라멘트(36)와 아래쪽의 평탄면(17)과의 사이에도 차광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차광판(43)의 차광부(44b)를 포함하는 환체부(44)는 앞쪽이 가늘게 되도록 약간의 테이퍼가 붙어있다.
따라서, 회전포물면 반사면(15)의 초점보다 전방에 위치한 부필라멘트(37)에서 발하여 이 반사면(15)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빛은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조사되지만 차광판(43)의 환체부(44)가 이 반사광과 대략 평행으로 되도록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반사광중 차광판(43)에 의해 차단되는 빛이 매우 적어진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14)은 도시하지 않은 기지의 지지수단에 의해 램프보디(2)에 경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47은 고무재의 방수커버이며, 파문모양을 한 환상주부(47a)의 내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내통부(47b)가 전구(34)의 마우스피스(40)에 외감되고, 주부(47a)의 외주 가장자리에 연설된 피협지부(47c)가 램프보디(2)의 환상림(8)의 후단면에 당접된다.
48은 세트링이며, 짧은 통모양을 하고 있고 내주면에 나조(螺條)가 형성된 주부(48a)와 이 주부(48a)의 후단에서 안쪽으로 돌출한 누루개가장자리(4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주부(48a)가 램프보디(2)의 환상림(8)에 외감상으로 부착되어, 그 누루개 가장자리(48b)와 환상림(8)의 후단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방수 커버(47)의 피협지부(47c)를 협착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램프보디(2)의 삽통공(7)의 방수가 도모된다.
49는 차폭등용 반사경이며, 전방을 향해 개구한 요면형상의 반사면(50)을 가지고, 그 대략 중앙부에 삽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경(49)의 일단에 치우친 부분의 외측면부터는 피지지편(52)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이 피지지편(52)의 상하양단에 치우쳐서 위치결정공(53),(53)이 형성되고, 이 위치결정공(53),(53)의 내측에 부착공(54),(5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반사경(49)의 타단부 후면으로 부터는 삽입편(55)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56은 판스프링 재료로 형성된 스토퍼 클립이며, U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U자의 개구단은 약간 바깥쪽으로 확개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한 주편(57),(57)의 중앙부에는 서로 대향한쪽에 그리고 U자의 폐쇄단측을 향해 돌출한 탈락장지클릭(58),(58)이 있고, 또 상기 각주편(57),(57)의 양쪽 가장자리의 중앙부에는 바깥쪽으로 또한 U자의 개구단쪽을 향해 돌출한 고정클릭(59),(59),…이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클립(56)의 주편(57)과 (57)사이에 반사경(49)의 삽입편(55)을 그 후단에서 삽입하며, 그것에 의해 스토퍼클립(56)은 그 주편(57)과 (57)이 반사경(49)의 삽입편(55)을 협지한 상태로 되고, 또한 탈락방지클릭(58),(58)이 스토퍼클립(56)의 삽입편(55)으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삽입편(55)의 표면에 파고드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스토포클립(56)의 삽입편(55)에서 탈락하는 일은 없다.
그래서 반사경(49)의 피지지편(52)에 설치된 위치 결정공(53),(53)에 램프보디(2)에 형성된 위치 결정핀(11a),(11a)을 따로따로 삽통하고, 그리고 스토퍼클립(56)이 부착된 삽입편(55)을 요부(10)내에 일단 밀어넣고, 이번에는 삽입편(55)을 요부(10)에서 뽑아내려고 하면, 스토퍼클립(56)의 고정클릭(59),(59)…이 요부(10)의 내측면에 파고들며, 또 스토퍼클립(56)의 탈락방지클릭(58),(58)이 삽입편(55)의 표면에 파고들므로, 삽입편(55)이 요부(10)에서 빠져나오는 일은 없다.
그래서, 부착나사(60),(60)를 반사경(49)의 피지지편(52)에 설치된 부착공 (54),(54)에 삽통하고, 램프보디(2)의 보스시트(12),(12)에 설치된 나사구멍 (12a),(12a)에 나사 맞춤한다. 이것에 의해 차폭등용 반사경(49)이 램프보디(2)에 고정된다.
61은 전구이며, 램프보디(2)의 전구부착공(9)에 착탈자재로 부착된 소켓플럭(62)에 착탈자재로 부착되고 반사경(49)의 삽통공(51)에 삽통되어 반사경(49)의 요부(반사면)(50)내에 위치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차량용 전조등은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을 갖는 동시에 상하로 대략 전후방향으로 뻗는 평탄면을 갖는 반사경에 전구를 유지하고, 전구와 윗쪽을 평탄면과의 사이에 차광판이 설치된 차량용 전조등으로서, 상기 전구는 유리구내에 주필라멘트와 부필라멘트를 갖는 동시에 유리구의 전단부에 차광막이 형성되고 주필라멘트가 상기 반사면의 대략 초점에 위치하여 부필라멘트가 주필라멘트이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차광판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 중심에 가가워지도록 경사져서 상기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사된 부필라멘트의 빛의 광로와 대략 평행으로 되게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 차량용전조등에 있어서는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의 초점보다 앞쪽에 위치한 부필라멘트에서 발하여 반사면의 상반부에서 반시되어 약간 앞으로 처져서 조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차광판에 의해 차단되는 일없이, 유효하게 이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

  1. 상부빔과 하부빔을 방사할 수 있는 전조등에 있어서, (a)램프 보디와, (b)램프보디에 고정되어 램프보디와의 사이에 조명실을 형성하는 렌즈와, (c)조명실에 배치되고 램프보디에 겨냥가능하게 장치되며 렌즈 반대측에 위치된 포물면 및 렌즈와 포물면 사이에 배치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평탄면을 구비하는데, 포물면은 조명실내에 초점이 있고 렌즈를 통하여 연장하는 광학축을 갖는 반사경과, (d) 반사경에 장치되고 조명실내에 배치되며 주필라멘트 및 부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유리구를 구비하는데, 주필라멘트는 상부빔을 제공하기 위해 포물면에 의해 반사될 광성을 방사하는 반사경의 포물면의 초점에 배치되고 부필라멘트는 하부밈을 제공하기 위해 반사경의 포물면의 일부에 의해 반사될 광선을 방사하는 렌즈쪽으로 주필라멘트로부터 변위 배치되는 전구와, (e)반사경에 장치되고 전구에 의해 방사된 광선이 상기 한 평탄면 상에 직접 조사되지 않게 하기 위해 전구와 적어도 하나의 평탄면 사이에 배치되며, 전구의 부필라멘트에 의해 방사된 광선이 상기 반사경의 포물면의 일부에 의해 반사되어진 후 전도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광학축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차광판을 포함하여, (f)차광판으로 인한 하부빔의 강도의 감소가 최소화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2. 제1항에 있어서, 전구와 아래쪽 평탄면과의 사이에도 차광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전조등.
KR2019930017309U 1990-08-07 1993-09-01 차량용 전조등 KR930006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09U KR930006938Y1 (ko) 1990-08-07 1993-09-01 차량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8358A JPH07109721B2 (ja) 1990-08-07 1990-08-07 車輌用前照灯
KR1019910003162A KR920004766A (ko) 1990-08-07 1991-02-27 차량용 전조등
JP90-208358 1991-08-07
KR2019930017309U KR930006938Y1 (ko) 1990-08-07 1993-09-01 차량용 전조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3162A Division KR920004766A (ko) 1990-08-07 1991-02-27 차량용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938Y1 true KR930006938Y1 (ko) 1993-10-09

Family

ID=2732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309U KR930006938Y1 (ko) 1990-08-07 1993-09-01 차량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9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9721B2 (ja) 車輌用前照灯
JP2878111B2 (ja) 車両用灯具
US5117335A (en) Headlight for vehicle
US5195815A (en) Antiglare bulb shade for a vehicle headlamp
JPH0740441B2 (ja) 自動車用前照灯装置
JP2626199B2 (ja) 車両用放電灯ヘッドランプ
JPH01255101A (ja) 自動車用前照灯
CA2047846C (en) Motor vehicle headlamp
JPH0817043B2 (ja) 車輌用灯具
US6428194B1 (en) Headlight for vehicle in accordance with projection principle
GB2370104A (en) Vehicle headlamp with shade for downwardly inclined light
CN109578932B (zh) 车辆用灯具
KR930006938Y1 (ko) 차량용 전조등
US3914593A (en) Motor vehicle headlights
GB2290605A (en) A vehicular headlamp
JPH0584601B2 (ko)
US5775793A (en) Headlight for vehicles
JP3337090B2 (ja) 車幅灯兼用前照灯
JPH0411283Y2 (ko)
JP2788543B2 (ja) 自動車用灯具における放電バルブ固定装置
JPH09115303A (ja) 車両用の前照灯
JP2596148Y2 (ja) 自動車用前照灯
KR20000069303A (ko) 자동차용 전조등
JP3329616B2 (ja) 自動車用フォグランプ
JP3252619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