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98B1 - 분리형 바 코드 리더(Bar code Reader) - Google Patents

분리형 바 코드 리더(Bar code Re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798B1
KR930006798B1 KR1019900017129A KR900017129A KR930006798B1 KR 930006798 B1 KR930006798 B1 KR 930006798B1 KR 1019900017129 A KR1019900017129 A KR 1019900017129A KR 900017129 A KR900017129 A KR 900017129A KR 930006798 B1 KR930006798 B1 KR 930006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bar code
window
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607A (ko
Inventor
히로아끼 가또
요시따까 무라가와
도시마사 미야자끼
노부유끼 기따무라
신이찌 사또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자와 다다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 G06K7/108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randomly oriented data-fields, code-marks therefore, e.g. concentric circles-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06K7/1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adaptations to make the hand-held scanner useable as a fixed scan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형 바 코드 리더(Bar code Reader)
제1a도는 종래의 고정형 바 코드 리더의 사시도, 1b도는 그 측면도.
제2도는 대표적인 바 코드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종래의 건(gun)형 바 코드 리더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 코드 리더의 기본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 코드 리더의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바 코드 리더의 사시도.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의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에 의해 형성된 주사 빔 패턴 설명도.
본 발명은 상품의 포장 또는 라벨상에 인쇄된 바 코드를 판독하는 바 코드 리더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몸체와 이주 몸체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부 몸체로 구성되고, 고정식 바 코드 리더 또는 핸드 헬드(hand-held)바 코드 리더용으로서 사용되는 분리형 바 코드 리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백화점, 수퍼마켓등에서는, 판매관리 및 제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효율 향상을 위하여 포인트 오브 세일(point-of sale : POS)시스템의 채용이 증대되고 있다.
POS시스템은, 제품을 레이저 광 빔으로 주사하여 제품에 부착된 바 코드를 컴퓨터 처리에 적합한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여 판독하는 바 코드 리더, 상기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 및, 상기 바 코드 리더와 컴퓨터간에 결합되어 고객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식 금전등록기를 구비한다.
바 코드 리더는, 리더에 대해서 물품이 이동될 것을 요하는 고정형과, 핸드헬드형이 있다. 이 핸드헬드형에는, 터치(touch)형, 펜형, 건형 등이 있으며, 이들은 물품에 대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형 바코드 리더 또는 핸드헬드 바 코드 리더를 물품의 크기와 중량에 따라 사용한다. 그러나 다양한 상품을 파는 가게에서, 상기 두가지형의 바 코드 리더를 설치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고정식 또는 핸드 헬드형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바 코드 리더를 하기에 설명한다.
제1a도는 종래의 고정형 바 코드 리더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제1b도는 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정형 리더는 광학부(4)와 인식부(5)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부(4)는 다음 기능을 갖는다 : 예를들어 레이저 다이오드 및 빔성형 렌즈(7)로 구성된 광원(6)으로 구성된 광 빔 생성부의 출사광을 평면경(9a) 및 (9b)에 의해 회전 다면경(10a)으로 반사하고 이 다면경(10a)의 반사광을 주사 패턴 형성용 거울들(11a)∼(11f)에 의해 반사하여, 리드윈도우(read window)(12a)를 통해 제품(2a)의 바 코드(20a)를 상이한 각 들에서 주사하는 광 빔을 출력하는 바 코드 주사기능 ; 그리고 제품(2a)의 바 코드(20a)의 반사광을 다면경(10a)과 집광렌즈(13)를 통해서 수집하고, 이 수집된 광을 광학 센서(14a)로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광전변환기능.
예를들어, 상기 다면경(10a)은 6개의 반사면을 갖으며, 1회전당 6의 주사를 행한다. 이 다면경의 반사면들은 상이한 각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이한 방향의 주사빔을 발생한다. 이 다면경(10a)은 모터 M1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 M1, 광원(6) 및 광센서(14a)는 제어부(15)에 의해 구동된다.
인식부(5)는 광학센서(14a)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도시안함)와 복조기(도시안함)를 통해서 바 코드신호로서 식별한다. 광학부(4) 및 인식부(5)는 케이싱(16a)내에 내장돼 있다.
바 코드(20a)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줄무늬와 백줄무늬의 상이한 쪽으로 교호로 형성돼 있고, 문자, 디지트, 기호등은 소정수의 줄무늬의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
제1a 및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2a)이 바 코드(20a)가 하향된 상태로 리드윈도우(12a)위를 움직이고, 제어부(15)의 제어하에 리드윈도우(12a)로부터 주사 빔이 나오면 이 빔에 의해 바 코드가 주사되고, 그로부터의 반사광이 광센서(14a)에 의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후 인식부(5)에 의해 인식된다.
다른 유형의 고정형 바 코드 리더는, 인식부가 분리된 케이싱내에 내장돼 있다. 오퍼레이터가 한손으로 제품을 상기 리드윈도우(12a)위를 이동시킬 수 있고, 제품의 방향에 무관하게 리더가 바 코드를 판독할 수 있을 정도로 제품(2a)이 작은 경우에 상기의 고정형 바 코드 리더가 사용된다.
제3도는 건형 바 코드 리더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건형 바 코드 리더는, 레이저 다이오드인 광원(6a)과 빔 성형 렌즈(7a)로 구성된 출광부(8b), 평면경(9c), 모터 M2에 의해 구동되는 다면경(10b), 주사윈도우(18a), 집광렌즈(13a) 및 광학센서(14b)를 구비하고 있다.
실선과 파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출광부(8b)의 출사광은 평면경(9c)에 의해 다면경(10b)쪽으로 반사된후, 상기 주사윈도우(18a)로부터 주사빔으로서 외부로 조사된다. 상기 주사윈도우를 제품(2a)상에 인쇄된 바 코드(20a)에 가깝게 배치함으로서, 바 코드가 주사 빔에 의해 주사된다.
바 코드의 반사광은 다면경(10b)을 거쳐서 집광렌즈(13a)에 의해 접속된후, 광학센서(14b)에 의해 수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이 전기신호는 외부 인식부(도시안함)에 공급된다.
상기 고정형 리더(1)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즉, 제품(2a)이 대형이거나 또는 무거운 경우, 또는 소형이더라도 제품수가 많은 경우에는, 건형 리더(1)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건형 리더의 경우는, 주사빔이 한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바 코드(20a)를 그 방향에서 판독해야 한다.
종래의 바 코드 리더들의 문제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퍼레이터가 제품을 주사윈도우 위로 이동시켜야 하는 고정형 리더는 크거나 무거운 제품을 다루기가 곤란하고 오퍼레이터의 능률이 저하된다. 이러한 경우, 오퍼레이터는 전자식 금전등록기의 키보드를 통해 제품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건형 리더와 같은 추가 설치된 핸드 리더를 사용해야 한다. 고정형 리더뿐만 아니라 핸드헬드 리더 모두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높은 작업성능을 갖는 바 코드 리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이 소형, 경량인 경우는 고정형 바 코드 리더로서, 그리고 제품이 대형, 중량인 경우는 핸드헬드형 바 코드 리더로서 용도 적응할 수 있는 분리형 바 코드 리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형 리더와 핸드헬드 리더 모두의 필요성을 제거한 경제적인 바 코드 리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분리형 바 코드 리더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분리형 바 코드 리더는, 주몸체(16)와, 이 주몸체(16)상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분리 가능한 부몸체(17)로 구성돼 있다.
상기 부몸체(17)는, 광을 출사하는 출광부(8), 상기 출광부(8)의 출사광을 반사하여 주사빔을 형성하는 주사부(10), 이 주사부(10)의 주사빔을 외부로 출사하기 위한 주사윈도우(18) 및, 상기 주사빔에 의한 주사결과, 대상물(2)상에 인쇄된 바 코드(20)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14)로 구성돼 있다.
상기 주몸체(16)는, 상기 부몸체를 분리 가능하게 탑재하는 탑재부(19), 상기 탑재부(19)상에 탑재된 부몸체(17)의 주사윈도우(18)를 통해 출사되는 주사빔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윈도우(21), 이 수광윈도우(21)를 통해 수광된 주사빔으로부터 복수의 패턴의 주사빔을 형성하기 위한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 및,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에 의해 형성된 복수패턴의 주사빔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리드윈도우(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 몸체(17)가 상기 주 몸체(16)의 탑재부(19)상에 탑재되면,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에 의해 형성된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이 리드윈도우(12)를 통해서 바 코드(20)상에 입사되고, 이 바 코드로 부터의 반사광은 리드 윈도우(12), 수광윈도우(21), 주사윈도우(18)등을 통해서 변환부(14)에 의해 수광된다. 부 몸체(17)가 주 몸체(16)의 탑재부(19)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주사부(10)에 의해 발생된 주사빔은 바 코드(20)상에 입사된 후, 여기서 반사된 광은 주사 윈도우(18)등을 통해서 변환부(14)에 의해 수광된다.
상기 주사빔들은 상이한 패턴들을 갖으며, 서로 교차되게 패턴돼 있다. 1이상의 주사빔들은 그 방향에 무관하게 바 코드(20)를 교차하도록 패턴된다. 이 경우, 바 코드들의 무지향성 판독이 실현된다.
상기 주사부(10)는, 상이한 각으로 형성된 반사면들을 갖는 다면경을 회전시킴으로써 실현된다.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는, 복수의 거울등을 상이한 위치에서 경사도로 배치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사부(10)로부터의 주사빔이 거울을 교차할때마다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이 생성된다.
상기 주몸체(16)의 주사 패턴 형성부(11)대신에, 부 몸체(17)의 주사부(10)에 의해서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주 몸체(16)는 근본적으로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11)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수광 윈도우(21)를 통해서 수광된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을 리드윈도우(12)로 도입시키기 위한 단일의 거울을 구비하기만 하면 된다.
동작시에 있어서, 상기 부몸체(17)가 주몸체(16)상에 탐재되며, 주사빔은 부몸체(17)로부터 주사윈도우(18)와 수광윈도우(21)를 통해서 주몸체(16)로 전송되어,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에 의해서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이 형성된후, 리드윈도우(12)를 통해서 외부 대상물(2)상에 인쇄된 바 코드(20)상에 입사된다. 바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변환부(14)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바 코드로 표시된 데이타가 판독된다.
상기 부몸체(17)가 주몸체(16)의 탑재부로 부터 분리되면, 부몸체(17)의 주사윈도우(18)가 대상물(2)상에 인쇄된 바 코드(20)부근으로 이동되어, 바 코드는 주사윈도우(18)를 통해서 주사빔으로 조사되고, 그의 반사광은 전기신호로 변환됨으로써 바 코드 데이타(20)로서 판독된다.
작업자가 제품을 한손으로 잡아서 그 바코드를 리드윈도우(12)를 향해 이동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대상물이 작거나 경량인 경우, 고정형 리더용으로서 부몸체(17)를 주몸체(16)상에 탑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상물(2)이 대형이거나 또는 중량인 경우, 핸드헬드 리더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주몸체(16)의 탑재부(19)로 부터 부 몸체(17)는 분리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형 리더와 핸드리더를 개별적으로 비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형 바 코드 리더는 경제적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바 코드 리더의 측면도이고, 제6도는 그의 사시도이다. 전도면에서, 동일 참조번호들은 동일 요소를 나타낸다.
제5도에서, 제품(2a), 다면경(10b), 광학센서(14b) 및 고정부(16b)는, 제4도의 대상물(2), 주사부(10), 변환부(14) 및 주몸체(16)와 각각 대응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 코드 리더는 고정부(16b)와 분리부(17a)로 구성돼 있다. 이 분리부(17a)는 탑재부(19a)를 통해서 상기 고정부(16b)상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돼 있다.
제3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종래의 건형리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리부(17a)는,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6a)와 빔 정형렌즈(7a)로 구성된 출광부(8b), 거울(9c), 모터 M2에 의해 회전되는 다면경(10b), 주사윈도우(18a), 집광렌즈(13a) 및 광학센서(14b)로 구성돼 있다.
고정부(16b)는, 상기 분리부(17a)의 헤드가 분리 가능하게 탑재되는 탑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탑재부(19a)는 2의 돌출 가이드(guide)(17b)를 구비하고 있다. 분리부(17a)는 상기 가이드(17b)들 사이에 끼워 맞춰진다. 상기 탑재부(19a)의 후면에는, 이 탑재부(19a)상에 분리부(17a)가 탑재될때, 분리부(17a)내부로부터 출사된 주사빔을 주사윈도우(18a)를 통해 고정부(16b)내부로 도입시키기 위한 수광윈도우(21a)가 설치돼있다. 상기 수광윈도우(21a)와 주사윈도우(18a)는 유리판등의 투명부재로 덮여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부(16b)와 분리부(17a)로 분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16b)의 상표면에는, 주사빔을 투과시킬 수 있는 유리판등의 투명부재로 덮인 리드윈도우(12a)가 설치돼 있다. 고정부(16b)에는, 상기 수광윈도우(21a)를 통해서 전송된 입사 주사빔으로부터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을 형성하는 주사 패턴형성용 거울부(11)가 실장돼 있다. 형성된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을 리드윈도우(12a)를 통해서 외부로 도출된다.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는 복수의 거울(11a)∼(11f)(도면에서는 6개)로 구성돼 있으며, 각각 해당 위치에 상이한 경사도로 배치돼 있다. 입사된 주사빔이 상기 거울들을 순차로 통과할때, 상기한 패턴의 새로운 주사빔들이 형성된다. 형성된 주사빔들은, 리드윈도우(12a) 표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패턴을 갖어야 하며, 바 코드(20a)가 리드윈도우(12a)위의 임의의 방향에 위치할때, 상기 1 이상의 주사빔이 상기 바 코드(20a)를 주사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의 주사빔들이 제7도에 도시돼 있다. 이 도면은, 주사빔이 리드윈도우(12a)의 표면 S1과 이 표면 S1에 수직하는 가상평면 S2를 교차할때의 주사빔들에 의해 형성된 선형 패턴들을 나타낸다.
상기 고정부(16b)는, 상기 분리부(17a)의 광학센서(14b)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를 바 코드 데이타로서 인식하는 인식부(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기신호는, 분리부(17a)와 고정부(16b)사이에 접속된 케이블(22)을 통해서 인식부(5)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한손으로 제품을 그 바 코드가 리드윈도우(12a)를 향한 상태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하게 소형 또는 경량의 제품(2a)의 경우, 상기 분리부(17a)를 상기 고정부(16b)상에 탐재하여 고정형 바 코드 리더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부(17a)의 출광부(8b)의 출사광은 거울(9c)와 다면경(10b)에 의해 반사되어 주사빔을 형성한다. 이 주사빔은 주사윈도우(18a)와 수광윈도우(21a)를 통해서 고정부(16b)에 전송된다. 이후, 상기 주사빔은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에 의해 반사되어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들을 형성하며, 이후 이 주사빔들은 리드윈도우(12a)를 통해서 외부로 전송되어 제품(2a)의 바 코드(20a)를 주사한다. 이 바 코드의 반사광의 일부는 상기 주사빔의 반대광로를 따른다. 즉, 이 반사광 일부는 리드윈도우(12a), 주사패턴 형성용거울부(11), 수광윈도우(21a), 주사윈도우(18a)를 통해서 다면경(10b)까지 진행하고, 이 다면경(10b)에서 반사된 광은 집광렌즈(13a)를 통해서 광학센서(14b)에 의해 수광된후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전기신호는 케이블(22)을 통해 인식부(5)로 공급되어 바 코드 데이타로서 판독된다.
제품(2a)이 대형이거나 또는 중량이어서 상기 고정형 리더의 사용이 곤란한 경우, 상기 분리부(17a)를 상기 탑재부(19)로부터 분리해서 핸드형 리더로서 사용한다. 이 경우, 제3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분리부(17a)의 주사윈도우(18a)를 제품(2a)상에 인쇄된 바 코드(20a)부근에 고정하여 이 주사 윈도우(18a)로부터의 주사빔으로 바 코드를 주사한다. 바 코드의 반사광의 일부는, 상기 주사윈도부(18a), 다면경(10b) 및 집광렌즈(13a)를 통해서 광학센서(14b)에 의해 수광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신호는 인식부(5)로 공급되어 바 코드 데이타로서 판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더는, 제품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고정형 또는 헨드헬드 리더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며, 2가지 상이한 유형의 리더를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 몸체(16)(고정부 16b)와 분리부(17)(17b)의 형태는 상기 실시예의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분리부(17)(17b)는 건형일 필요는 없다. 오퍼레이터가 취급 조작하기에 편리하다면 어떠한 형태라도 좋다.
상기 탑재부(19)(19a)의 구조 또한, 상기 분리부(17)(17b)를 주몸체(16) 고정부(16b)상에 안정하게 탑재할 수 있는 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출광부(8), 주사부(10) 및 변환부(14)를 구비한 분리부(17)를,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를 구비한 주몸체(16)상에 분리 가능하게 탑재시킴으로써, 오퍼레이터가 한 손을 사용해서 제품의 바 코드 판독 동작을 행할 수 있는 크기 또는 중량의 제품의 경우에는 주몸체(16)상에 상기 분리부(17)를 탑재시켜 고정형 리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부(10)가 또한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와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경우,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11)는 주몸체(16)에 설치되지 않는다. 제품이 상기 고정형 리더의 사용이 곤란할 정도로 대형 이거나, 또는 중량인 경우, 상기 분리부(17)를 주몸체(16)로부터 분리하여 핸드헬드 리더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오퍼레이터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형 바 코드 리더와 핸드헬드 바 코드 리더를 개별적으로 비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이다.

Claims (19)

  1. 출사광을 출사하는 출광부 ; 상기 출광부의 출사광을 반사사여 주사빔을 형성하는 주사부 ; 상기 주사부로부터의 상기 주사빔에 응답해서 상이한 패턴을 갖는 복수의 주사빔을 형성하기 위한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 ;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에 의해 형성된 상이한 패턴의 복수의 주사빔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리드윈도우 및 ; 상기 주사빔에 의한 주사결과, 대상물상에 인쇄된 바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한 바 코드 리더에서 ; 상기 출광부, 주사부 및 상기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부에 의해 형성된 주사빔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분리부수단 및 ; 상기 분리부 수단을 분리 가능하게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된 상기 분리부를 통해 출사되는 주사빔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윈도우와 이 수광 윈도우를 통해 수광된 상기 주사빔으로부터 복수의 패턴의 주사빔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 및, 상기 리드윈도우를 포함한 주몸체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상의 상기 바 코드를, 상기 분리부수단이 주몸체부 수단의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되는 경우는, 상기 리드윈도우에서 출사된 복수 패턴의 상기 주사빔에 의해 판독하고, 그리고, 상기 분리부수단이 상기 주몸체부수단의 상기 탑재부로부터 분리된 경우는 상기 분리부 수단의 상기 주사윈도우로부터 출사된 상기 주사패턴에 의해 판독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가, 각각의 위치에 상이한 경사각으로 배치된 복수의 거울로 구성돼 있고, 상기 주사부로부터의 상기 주사빔이 상기 거울부의 거울을 통과할때 상이한 패턴의 상기 각각의 주사빔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부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빔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패턴들을 갖으며, 1이상의 주사빔이 상기 바 코드를 그 배향에 무관하게 교차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부가, 반도체 레이저인 광원과 이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빔을 성형하기 위한 빔 성형 수단을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코드 리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부가, 상이한 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다면 경과, 이 다면경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 윈도우와 상기 수광윈도우가, 상기 주사빔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부재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가, 상기 주사윈도우를 통해서 입수되는 상기 바 코드의 반사광을 수집하기 위한 잡광렌즈와 이 집광렌즈에 의해 수집된 광을 수광하기 위한 광학 센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 몸체부의 탑재부상에 탑재될때 상기 주사 윈도우와 상기 수광 윈도우가 서로 대향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0. 출사광을 출사하는 출광부 ; 상기 출광부의 출사광을 반사하여 복수 패턴의 주사빔을 형성하는 주사부 ; 상기 주사부에 의해 형성된 상이한 패턴의 상기 주사빔들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리드윈도우 및 ; 상기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에 의한 주사결과, 대상물상에 인쇄된 바 코드로 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한 바 코드 리더에서 ; 상기 출광부, 주사부 및 상기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 패턴의 주사빔들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주사윈도우를 갖는 분리부 ; 및 상기 분리부를 분리 가능하게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된 상기 분리부를 통해 출사되는 복수패턴의 주사빔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 윈도우와 이 윈도우를 통해 수광된 복수의 패턴의 주사빔들을 출사시키기 위한 상기 리드윈도우를 포함한 주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대상물상의 상기 바 코드를, 상기 분리부가 주몸체부의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되는 경우는, 상기 리드윈도우에서 출사된 복수 패턴의 상기 주사빔에 의해 판독하고, 그리고,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탑재부로부터 분리된 경우는, 상기 분리부의 상기 주사윈도우로부터 출사된 상이한 패턴의 주사빔에 의해 판독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부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부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빔이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패턴들을 갖으며, 1이상의 주사빔이 상기 바 코드를 그 배향에 무관하게 교차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부가, 반도체 레이저인 광원과 이 광원에서 출사된 레이저 광 빔을 성형하기 위한 빔 성형 수단을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코드 리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부가, 상이한 각도로 형성된 복수의 반사면을 갖는 다면경과 이 다면경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윈도우와 상기 수광 윈도우가, 상기 주사빔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부재로 덮여 있는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가, 상기 주사 윈도우를 통해서 입수되는 상기 바 코드의 반사광을 수집하기 위한 집광렌즈와, 이 집광렌즈에 의해 수집된 광을 수광하기 위한 광학센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몸체부의 탑재부상에 탑재될때 상기 주사윈도우와 상기 수광윈도우가 서로 대향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18. 주몸체부와, 이 주몸체상에 분리가능하게 탑재된 분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부는 광을 출사하는 출광부, 상기 출광부의 출사광을 반사하여 주사빔을 형성하는 주사부, 이 주사부의 주사빔을 외부로 출사하기 위한 주사윈도우 및, 상기 주사빔에 의한 주사결광, 대상물상에 인쇄된 바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그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몸체부는, 상기 부몸체를 분리 가능하게 탑재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된 상기 분리부의 주사윈도우를 통해 출사되는 주사빔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윈도우, 이 수광윈도우를 통해 수광된 주사빔으로부터 복수의 패턴의 주사빔을 형성하기 위한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 및,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 패턴의 주사빔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리드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몸체부의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된 경우는, 상기 주사패턴 형성용 거울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 패턴의 상기 주사빔들이 상기 리드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바 코드에 조사되고 이 바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적어도 상기 리드윈도우, 상기 수광윈도우 및 상기 주사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변환부에 의해 수광되고,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몸체부의 상기 탑재부로부터 분리된 경우는 상기 바 코드는 상기 주사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주사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주사빔으로 주사되고, 이 바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적어도 상기 주사 윈도우를 거쳐서 상기 변환부에 의해 수광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코드 리더.
  19. 주몸체부와 이 주몸체상에 분리가능하게 탑재된 분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부는 ; 출사광을 출사하는 출광부 ; 상기 출광부의 출사광을 반사하여 상이한 패턴의 복수의 주사빔들을 형성하는 주사부 ; 상기 주사부에 의해 형성된 복수패턴의 상기 주사빔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주사윈도우 ; 및 상기 복수패턴의 상기 주사빔들에 의한, 상기 대상물상에 인쇄된 바 코드의 주사결과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여 이 반사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 몸체부는 ; 상기 분리부를 분리 가능하게 탑재시키기 위한 탑재부 ; 상기 탑재부상에 상기 분리부가 탑재될때 그 분리부의 상기 주사 윈도우를 통해 출사되는 복수 패턴의 상기 주사빔들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윈도우 ; 및 상기 수광 윈도우를 통해서 수광된 상기 복수 패턴의 주사빔들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위한 리드윈도우를 구비하며 ;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몸체부의 상기 탑재부상에 탑재된 경우는 상기 바 코드는 상기 리드윈도우를 통해서 조사되고, 이 바 코드로 부터의 반사광은 적어도 상기 리드윈도우, 상기 수광윈도우 및 상기 주사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변환부에 의해 수광되고, 상기 분리부가 상기 주몸체부의 상기 탑재부로부터 분리된 경우는, 상기 바 코드는 상기 주사윈도우를 통해서 상기 복수패턴의 주사빔들에 의해 주사되고 이 바 코드로부터의 반사광은 적어도 상기 주사 윈도우를 거쳐서 상기 변환부에 의해 수광되는 것이 특징인 분리형 바 코드 리더.
KR1019900017129A 1989-10-25 1990-10-25 분리형 바 코드 리더(Bar code Reader) KR930006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7589A JP2808735B2 (ja) 1989-10-25 1989-10-25 分離型読取装置
JP1-277589 1989-10-25
JP89-277589 1989-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07A KR910008607A (ko) 1991-05-31
KR930006798B1 true KR930006798B1 (ko) 1993-07-23

Family

ID=1758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129A KR930006798B1 (ko) 1989-10-25 1990-10-25 분리형 바 코드 리더(Bar code Read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25274B1 (ko)
JP (1) JP2808735B2 (ko)
KR (1) KR930006798B1 (ko)
DE (1) DE690285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081A (en) * 1989-06-16 1995-04-18 Symbol Technologies, Inc. Digital circuit for a laser scanner using a first derivative signal and a comparison signal
US5691528A (en) * 1989-10-30 1997-11-25 Symbol Technologies Inc. Scanning system for either hand-held or stationary operation for reading 1-D or 2-D barcodes
US5581067A (en) * 1990-05-08 1996-12-03 Symbol Technologies, Inc. Compact bar code scanning module with shock protection
US5132523A (en) * 1990-12-10 1992-07-21 Ncr Corporation Dual mode optical scanning system
US5148009A (en) * 1990-12-10 1992-09-15 Ncr Corporation Bar code scanning apparatus
US5155346A (en) * 1990-12-10 1992-10-13 Ncr Corporation Device for converting hand-held scanner to hands-free scanner
US5105070A (en) * 1990-12-10 1992-04-14 Ncr Corporation Bar code scanning apparatus with rotating housing member
US5744790A (en) * 1996-01-25 1998-04-28 Symbol Technologies, Inc. Split optics focusing apparatus for CCD-based bar code scanner
US5821524A (en) * 1996-08-19 1998-10-13 Pharmacope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bar coded tubular members such as cylindrical vials
US8113429B2 (en) * 2008-12-18 2012-02-14 Ncr Corporation Barcode reading station
US8360320B2 (en) * 2011-06-21 2013-01-29 Ncr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hybrid optical code scan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0742U (ko) * 1978-05-23 1979-12-03
US4694182A (en) * 1986-02-27 1987-09-15 Spectra-Physics, Inc. Hand held bar code reader with modulated laser diode and detector
US4766297A (en) * 1987-01-08 1988-08-23 Recognition Equipment Incorporated Dual mode stationary and portable scan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138788A (ja) 1991-06-13
DE69028594T2 (de) 1997-01-30
EP0425274B1 (en) 1996-09-18
KR910008607A (ko) 1991-05-31
EP0425274A2 (en) 1991-05-02
DE69028594D1 (de) 1996-10-24
EP0425274A3 (en) 1993-06-09
JP2808735B2 (ja) 199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4631A (en) Stationary bar code reader which can be detected and separated into a hand-held bar code reader
USRE36528E (en) Optical scanning head
US5801370A (en) Multi-directional bar code reading device
US4766298A (en) Low-profile portable UPC optical scanner
EP0122126B1 (en) Light-beam scanning apparatus
US5583332A (en) Compact scan module with oscillatable unitary assembly
EP0449490B1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5262628A (en) Narrow-bodied, single- and twin-windowed portable laser scanning head for reading bar code symbols
US5633489A (en) Combination mouse and scanner for reading optically encoded indicia
EP0341717B1 (en) Mirrorless scanner with movable laser and optical components
AU650833B2 (en) Mirrorless scanners with movable laser, optical and sensor components
US5214270A (en) Modular handheld or fixed scanner
US5664229A (en) Accessory for conversion with housing with first connection includes host cable and host connector and second connection including a plug-in modular connector
KR930006798B1 (ko) 분리형 바 코드 리더(Bar code Reader)
JPH0348378A (ja) 標識読み取りのための装置及び走査モジュール
US6840453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5149949A (en) Optical scanner with counterrotating reflector elements
EP0318574B1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US7552874B2 (en) Optical scanner
US6681993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of a barcode on an article
EP0492065A2 (en) Multi-laser scanning system and method of utilization thereof
EP0404412B1 (en) Bar code scanning system
JPH04302069A (ja) 多重焦点走査システム
EP0373934A2 (en) Hand-held bar code reader
JPH04291477A (ja) バーコー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