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89B1 - 슬라이드식 덮개를 가진 다용도칼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덮개를 가진 다용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789B1
KR930006789B1 KR1019870008693A KR870008693A KR930006789B1 KR 930006789 B1 KR930006789 B1 KR 930006789B1 KR 1019870008693 A KR1019870008693 A KR 1019870008693A KR 870008693 A KR870008693 A KR 870008693A KR 930006789 B1 KR930006789 B1 KR 930006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liding
knife
control
inter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630A (ko
Inventor
카스텔루쪼 제임즈
Original Assignee
카스텔루쪼 제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텔루쪼 제임즈 filed Critical 카스텔루쪼 제임즈
Publication of KR88000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26B3/03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off slices one by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식 덮개를 가진 다용도칼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칼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저장부 부분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칼날-미끄럼 부분의 측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슬리이브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다용도칼의 용도에 적합한 칼날의 측면도.
제9도는 제3도의 칼날-미끄럼 부분의 내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선 10-10에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선 11-11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9도의 선 12-12에 따른 단면도.
제13도는 제9도의 선 13-13에 따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도의 선 14-14에 따른 단면도.
제15도는 제9도의 선 15-15에 따른 단면도.
제16도는 제1도의 미끄럼이동부재의 윗면도.
제17도는 제1도의 미끄럼이동부재의 밑면도.
제18도는 제1도의 미끄럼이동부재의 측면도.
제19도는 미끄럼이동부재의 이동의 극단점의 작동위치를 도시하고 있는 제1도의 선 14-14에 따른 단면도.
제20도는 미끄럼이동부재의 작동상 이동의 대향쪽 한계를 도시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9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21도는 작동위치에 있는 미끄럼이동부재가 맨앞 칼날이 사다리꼴 저장부로부터 나오는 것을 막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의 선 21-21에 따른 단면도.
제22도는 장전위치에 있는 미끄럼이동부재가 맨앞 칼날이 이 미끄럼이동부재에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사다리꼴 저장부에서 나오게 하는 상태를 제외하고는 제21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23도는 장전위치에 있는 미끄럼이동부재와 이 미끄럼이동부재의 꼬리부분이 몸체밖으로 뻗어나온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칼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몸체 14 : 슬리이브
16 : 미끄럼이동부재(slide) 18 : 칼날
24 : 저장부 32,46 : 맞물림턱
34,48 : 제어홈 36 : 멈춤보스
54 : 모우드 변환홈 150 : 영구자석
본 발명은 절단용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더 상세히는 종래에 다용도칼로서 알려진 형식의 칼에 관한 것이다.
다용도칼은 판지, 벽지, 줄 및 기타 대상물과 같은 재료들을 절단하는 용도로 구조용, 사무용 및 취미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실시에서 이와 같은 다용도칼들은 사다리꼴 칼날이 끼워져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칼날은 예각을 이루는 옆가장자리와 연결되는 한쪽만의 절단날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와같이, 이와 같은 다용도칼은 하나의 절단날 부분과 옆변중의 하나가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손잡이 속에 칼날을 체결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에 따라 절단은 노출된 가장자리의 어느 부분에서도 가하다. 이 부분은 칼날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일찍 무디어진다.
일단 한쪽의 체결위치에 나와있는 절단날이 무디어지면 반대편 예각부에 인접한 절단날의 다른족 끝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기 위하여 칼날을 빼서 끝과 끝을 돌린다. 칼날의 제2끝에 있는 절단날이 무디어지면 이 칼날은 통상 버려지고 또다른 칼날로 바꿔 끼워진다.
대부분의 다용도칼은 필요한 부분이 나오게 하여 한쪽끝에 단일의 칼날을 체결하기 위하여 나사종류의 부재를 사용한다.
노출된 날이 마모되면 나사를 제거하여 칼날을 빼내어 끝과 끝을 바꾼다. 이와같이 칼날을 장착하거나 돌려 끼우는 일에는 시간이 소비되고 나사 드라이버나 다른 보조도구들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특허들은 손잡이안에 칼날을 넣는 칼들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칼중의 하나는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3,660,89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구체화되어 있는데 이 칼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적층한 칼날들을 저장부로부터 맨앞 칼날이 작동위치로 이동되어질 수 있는 위치속으로 가압한다.
이 스프링은 적층한 칼날들에 가압력을 가하는데 이 가압력은 적층되어 있는 칼날의 갯수에 따라 변화한다. 즉 여러개의 칼날이 적층되어 있을 때는 이 스프링이 훨씬 더 세게 압축되어서 단지 한개의 칼날이 있을 때 보다 더 큰 힘을 가한다.
이렇게 가압력이 변화하므로 이 장치의 작동이 바라는 바 보다는 확실하지 못하다.
본 명세서에 참고로 구체화되어 있는 개시인 미합중국 특허번호 제 4,517,741호는 본 발명자의 특허로서 칼날저장부를 대면하고 있는 칼날 미끄럼이동부재에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상기한 가압력 변화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칼날 저장부안에 있는 맨앞의 칼날은 이 저장부안의 칼날 갯수에 관계없이 영구자석의 강도에 따른 힘에 의해 칼날 미끄럼이동부재속으로 끌어당겨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한 다용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용도칼의 칼날을 빼내고 앞뒤를 바꾸어 다시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는 당김식 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손잡이안에 칼날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맨앞 칼날을 손잡이로부터 튀어나오는 작동위치로 전진시키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다용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안에 적층한 칼날들을 수납할 수 있는 칼날 저장부, 맨앞 칼날을 붙잡아서 작동위치로 전진시키는 부재, 및 하나의 칼날이 칼날을 붙잡아서 전진시키는 부재에 붙잡혀 있는한 적층되어 있고 다른 칼날들이 이 다용도칼의 작동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다용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최소 갯수의 독립된 부품들을 구비하고 있는 다용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사식의 고정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스냅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실용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칼날을 붙잡기 위한 외팔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미끄럼이동 부재를 사용한 다용도칼을 제공한다. 저장부안의 맨앞에 있는 칼날은 미끄럼이동부재에 탄성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이붙이부(tooth)를 이용하여 이 미끄럼이동부재로 붙잡을 수 있는데 이 이붙이부는 칼날의 잠금구멍에 끼워진다. 이 이붙이부는 칼날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칼날이 제거될 수 있어서 칼날을 뒤집거나 다시 끼우거나 배내버릴 수 있다. 붙잡혀 있던 칼날이 제거될 때 미끄럼이동부재는 장전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으므로 저장부로부터 다음 칼날을 붙잡을 수 있다. 붙잡혀진 칼날이 이붙이부에 의해 맞물려 있는 한 미끄럼이동부재는 장전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저장부안의 맨앞에 있는 칼날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칼날의 적층을 유지하기 위한 칼날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저장부 부분과 칼날 트인구멍을 갖춘 몸체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 부분과 결합되는 미끄럼부분으로 구성된 칼에 있어서, 미끄럼이동부재(16)가 상기 몸체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운동하기 위해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칼날의 적층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위치한 단하나의 칼날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한 칼날제어부재(136,1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칼날 맞물리개(158)는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에 대하여 고정위치에서 상기 단하나의 칼날을 맞물고 있어서 상기 단하나의 칼날은 상기 칼날 트인구멍을 통해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와 상기 몸체내의 후퇴위치 사이에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움직이며, 복수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를 잠그기 위한 제어 걸이못(162)은 상기 칼날로부터 상기 칼날 맞물리개를 결합해제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동일한 부재의 경우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표시한 부수된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의 설명을 읽으면 명백하여질 것이다.
제1도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칼(10)이 도시되어 있다. 다용도칼(10)은 2부분으로 구성되어 슬리이브(14)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는 몸체(12)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 몸체는 추후에 설명한다. 도면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미끄럼이동부재(16)는 칼날(18)의 위치를 제어한다.
전통적으로 양호한 공학적 설계는 최소량의 재료를 사용하여 최대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용도칼(10)의 부분들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재료의 양과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오목한 부분과 보강웨브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오목한 부분과 웨드들은 종래의 것들이므로 본 명세서에 이들을 포함하게 되면 더욱 더 복잡하게 되어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계가 있는 것은 제외하고 그와 같은 구조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 않았다.
이제 제2도 및 제3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몸체(12)는 칼날-미끄럼부분(20 ;제1도에도 도시되어있음)과 저장부 부분(22)으로 구성되어 대면하여 이들위에 미끄럼식으로 끼워지는 슬리이브(14)에 의해 이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 저장부 부분(22)은 완전히 관통되어 있는 사다리꼴의 저장부(24)를 포함하고 있다. 통상의 평면인 면(26)은 칼날-미끄럼부분(20)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원주형 지주(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상호 맞추어서 맞물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원통형 오목부(28)들을 포함하고 있다. 직경감소부분(30)은 맞닿음턱(32)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의 숨겨진 부분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직경감소부분(30)은 슬리이브(14)재의 두께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슬리이브(14)의 작동위치를 제한한다.
잠시 제4도 및 제5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홈(34)은 내부끝에 멈춤보스(36)를 포함하고 있다. 멈춤보스(36)상의 멈춤표면(38)은 제어홈(34)을 대면한다.
제어홈(34), 멈춤보스(36) 및 멈춤표면(38)이 다용도칼(10)에 채용되어 아래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같이, 새로운 칼날(18)이 사다리꼴 저장부(24)로부터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제어한다. 제1 및 제2사각형 안내홈(40 및 42)이 칼날-미끄럼부분(20)으로부터 뻗어있는 상응하는 형상의 안내리브(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한 맞물림을 위하여 저장부분(22)에 배치되어 있다.
제3도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면, 직경감소부분(44)은 맞닿음턱(46)의 내부 끝에서 끝나는데 이들은 각각 직경감소부분(30)과 저장부분(22)의 맞닿음턱(32)에 상응한다. 사각형 제어홈(48)은 몸체(12)안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어리브(50)는 제어홈(48)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길이방향의 턱(52)은 제어리브(50)위에 배치되어 있다. 모우드 변환홈(54)이 제어홈(48)을 가로질러 제어리브(50)속으로 뻗어있다. 모떼기부(56 및 58)는 모우드 변환홈(54)의 양쪽면에 마주보고 있으며 이 홈으로의 안내를 제공한다.
제6 및 7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슬리이브(14)는 등(60), 2개의 마주보는 끝면(62 및 64), 및 서로를 향하여 뻗어있는 2개의 날개부(66 및 68)를 구비하여 단면이 통상의 C형상을 한 부재이다. 날개부(66 및 68)는 간격(74)를 형성하는 가장자리(70 및 72)로 끝이 되어 있다. 끝(76)은 맞물림턱(32 ; 제2도)과 맞물림턱(46 ; 제3도)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로 되어 있다. 간격 (74)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서 슬리이브(14)는 제어홈(48)과 맞닿은 가장자리(72)와 길이방향 가장자리(52)에 따라 안내되는 가장자리(70)로 저장부분(22) 및 미끄럼이동부분(20)의 직경감소부분(44) 및 직경감소부분(30)위로 미끄럽게 끼워지게 된다. 이 조리관계는 특히 제1도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날개부(66 및 68)는 비응력상태에서 안쪽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슬리이브(14)를 형성하고 있는 금속의 스프링백때문에 날개부(66 및 68)는 다용도칼(10)의 나머지 부분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확고하게 조립된다. 또한 슬리이브(14)외부표면이나 이 슬리이브가 지나가는 홈에 너얼링 가공을 함으로써 이 슬리이브(14)의 외부와의 마찰접촉이 향상될 수 있다(이들은 종래기술이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음)
제8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칼날(18)은 한쪽 변에 절단날(79)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향하는 변에 등날(8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칼날(18)에는 구멍노치나 잠금구멍(82)이 배치되어 있다. 칼날(18)의 윤곽은 사각형을 포함하여 편리한 형상의 것이다. 한가지 통상적인 윤곽형상은 절단날(79)과 각각 예각(88 및 90)을 이루는 제1 및 제2빗면가장자리(84 및 86)를 가지고 있는 예시된 정사다리꼴 형이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개시를 참고하여 잠금구멍(82)의 크기, 형상 및 위치가 다용도칼(10)의 상호 맞물림부재(후술함)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잠금구멍(82)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등날(80)로부터 안쪽으로 뻗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노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대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제9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칼날-미끄럼부분(20)이 길이방향의 축에 대해서 180°회전되어 내부상세부를 볼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제9도의 부재들은 다른 도면들의 상응하는 부재들과 위아래가 뒤집혀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여야 한다. 윗평면(92)은 이 도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실제적으로 칼날-미끄럼부분(20)의 윗가장자리 전제의 윤곽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아랫평면(94)은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칼날-미끄럼부분(20)의 아랫가장자리 전체의 윤곽을 나타내고 있다. 원주형 지주(96)가 저장부분(22 ; 제2도)의 원통형 오목부(28)와 맞물리기 위하여 이 도면의 지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있다. 그와같이 맞물리게 하면 윗평면(92) 및 아랫표면(94)은 평면(26 ; 제2도)과 맞물려서 배치된다.
또한, 제10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꼬리홈(93)이 칼날-미끄럼부분(20)의 뒷끝(100)에 걸쳐 뻗어있다. 제11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머리 슬라이드(102)가 꼬리홈(98)의 내부끝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칼날-미끄럼부분(20)의 거의 앞끝(104)으로 뻗어있다. 맞닿음 멈춤부(106)가 앞끝(104)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제어홈(48)이 머리 슬라이드(102)의 중앙부에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서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주목하여야 한다. 머리 슬라이드(102)의 대향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칼날-안내단붙이부(108 및 110)는 함께 칼날 안내부를 형성하여 칼날(18)의 대향 가장자리를 미끄럽게 안내한다(본 참고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제12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머리 슬라이드(102)는 꼬리홈(98)보다 실제적으로 더 깊어서 연결부에서 단붙이부(112)를 형성한다. 제9도에 있어서, 머리 슬라이드(102)는 또한 꼬리홈(98)보다 더 넓어서 연결부에서 끝벽(114)을 형성한다.
제13도의 칼날-미끄럼부분(20)의 단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길에 위치되어 있는 리브(116)가 칼날-안내단붙이부(108)에 바로 인접하여 있는 윗평면(92)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짧게 위치되어 있는 리브(118)는 칼날-안내단붙이부(110)에 바로 인접하여 있는 아랫평면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다. 잠시 제2도를 참조하면 길게 위치되어 있는 리브(116)는 안내홈(40)속으로 안내되어 끼워지며 짧게 위치되어 있는 리브(118)는 안내홈(42)속으로 안내되어 끼워진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긴 리브(116)와 짧은 리브(118)가 위치되어 있는 가치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들은 윗평면(92) 및 아랫평면(94)의 평면(26) 및 닺닿음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으로부터 미끄러지는 칼날(18 ; 본 참고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대하여 실질적인 보호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제14도의 다용도칼(10)의 끝에 대하여 설명하면, 칼날-미끄럼부분(20)의 앞끝(104)은 직사각형 오목부(120)를 포함하고 있는데 저장부분(22)의 평면(26)과 함께 이 직사각형 오목부는 칼날(18)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작동위치로 관통하여 움직이는 홈을 형성한다.
제9도와 제15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리브(50)에 대향하는 칼날-미끄럼부분(20)의 내부표면(122)은 복수개의, 적당히는 3개의 작동잠금오목홈(124, 126 및 128)과 후퇴잠금 오목홈(130)을 포함하고 있다. 작동잠금오목홈(124,126 및 128)은 직사각형 단면이 적합하다. 후퇴잠금오목홈(130)은 잠금의 확실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동잠금오목홈(124,126 및 128)보다 더 큰 깊이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작동잠금오목홈(124,126 및 128)과 후퇴잠금오목홈(130)의 기능은 후기에 상술될 것이다.
제16,17 및 18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미끄럼이동부재(16)는 다용도칼(10)의 나머지 부분과 상호작용하여 저장부 부분의 사다리꼴 저장부(24)로부터 단하나의 칼날(18)을 얻어서 복수개의 작동위치 또는 후퇴위치중의 선택한위치에 이동시켜 잠그고, 칼날을 뒤집거나 빼버리기 위하여 풀고, 작동중인 칼날(18)이 제거되기 이전까지는 다른 칼날(18)이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끄럼이동부재(16)는 일반적민 직사각형 꼬리(134), 일반적인 직사각형 머리(136) 및 외팔레버(138)를 포함한다. 제16 및 17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꼬리(134)는 머리(136)보다 폭이 더 좁다. 또한 제18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꼬리(134)는 역시 머리(136)보다 두께가 더 얇다.
머리(136)의 앞표면부분(142)은 칼날(18)의 두께와 실제직으로 동일한 치수만큼 뒷표면부분(144)으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앞표면부분(142)과 뒷표면부분(144)은 대각선 단붙이부(146)에서 만나는데 이 대각선 단붙이부는 칼날(18)의 가장자리에 의해 이루어진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를 갖는다. 뒷표면부분(144)의 표면은 꼬리(134)의 인접표면(148)과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을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자의 기존의 참조특허가 시사하는 바를 따르며 이에따라 영구자석(150)이 앞표면부분(142)과 대체로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태로 이 앞표면부분(142)에 장착된다.
외팔레버(137)는 얇은 스프링 부분(156)에 의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외팔부분(154)을 지지하기 위해 부착지점(152)에서 머리(136)에 부착된다. 외팔부분(154)은 미끄럼이동부재(16)와 칼날(18)사이의 작동관계에 있어서 팁(160)을 잠금구멍(82)과 중심을 일치시키는 이 또는 맞물리개(158)를 포함하고 있다. 맞물리개(158)는 바람직하게 잠금구멍(82)에 끼워넣는 것을 이루는데 필요한 위치 맞추기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테이퍼진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걸이못(162)은 부착지점(152)의 한쪽으로부터 뻗어있다. 제어걸이못(162)은 직사각형이나 원형을 포함하는 편리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팁(160)으로부터 떨어져서 대면하여 배치되는 평면(164)을 가진 원통형 형상은 기능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제18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맞물리개(158)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잠금위치를 가지며 여기에서 이 맞물리개는 칼날(18)이 미끄럼이동부재(16)에 확실하게 기계적으로 잠겨지도록 잠금구멍(82)을 관통하여 실질적인 거리만큼 끼워진다. 실선으로 표시된 풀림위치에서 맞물리개(158)는 잠금구멍(82)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이에 따라 칼날(18)은 칼날의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칼날을 미끄러지게 하므로써 미끄럼 이동부재(1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칼날의 제거는 제어걸이못(162)이 모우드 변환홈(54)의 오른쪽에 있는 제어리브(50)의 바깥표면위에 얹혀있는 상태에서 미끄럼이동부재(16)를 완전히 오른쪽 위치에 있게하여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그러나 잠겨져 있지 않은 때에도 대각선 단붙이부(146)은 칼날(18)이 제16 내지 18도상의 왼쪽으로 더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영구자석(150)은 사용자가 칼날을 잡고 쑥 잡아당겨서 이 칼날(18)이 오른쪽으로 확실히 미끄러질 때까지는 이 칼날(18)을 마찰력에 의해 미끄럼이동부재(16)에 대하여 정지위치에 보유하는데 작용하는 힘으로 영구자석쪽으로 칼날(18)을 잡아당긴다.
제9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미끄럼이동부재(16)는 꼬리(134)가 꼬리홈(98)에 위치되고 머리(136)는 머리 슬라이드(102)에 위치되며 외팔레버(138) 부분은 제어홈(48)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칼날-미끄럼부분(20)안에 설치된다. 저장부분(22 ; 제2도)은 칼날-미끄럼부분(20) 및 슬라이드(16)에 설치되며 다용도칼(10)의 전체조립은 슬리이브(14)를 칼날-미끄럼부분(20) 및 저장부분(22)위의 위치로 미끄러지게 하므로써 완료된다. 슬리이브(14)가 완전히 맞물리기 전에 보충칼날(18)들을 사다리꼴 저장부(24)에 넣을 수 있다.
다용도칼(10)의 작동은 칼날(18)을 복수의 작동위치 및 후퇴위치중의 한 위치에 위치시키기, 칼날(18)을 장전하기, 및 뒤집거나 처리를 위하여 칼날(18)을 풀기로 구분될 수 있다. 모든 작동 및 후퇴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제어걸이못(162)이 작동 잠금오목홈(124,126 또는 128)이나 후퇴잠금오목홈(130)과 맞물리는 머리 슬라이드(102)내에 배치되어 있다. 얇은 스프링 부분(156)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으로 인하여 이러한 위치중의 어느 하나에 확실한 맞물림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9 및 20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작동위치나 후퇴위치중의 어느 하나에서 맞물리개(158)가 잠금구멍(82)을 관통하여 지나 제어홈(34)만으로 가압된다.
최전방위치(제19도)에서 맞물리개(158)는 앞끝(104)과의 접촉에 의해 멈추어진다. 이것이 제1도에 도시된 완전히 뻗은 위치이다. 칼날(18)은 이 상태에서 맞물리개(158)에 의해 확고하게 고정된다. 칼날(18)이 다용도칼(10 ; 제20도)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는 가장 뒷쪽 위치에서 맞물리개(158)는 멈춤보스(36)의 멈춤표면(38)과의 접촉에 의해 멈추어진다. 칼날(18)이 이 시점에서 머리(136)위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뒷쪽 표면위치에서의 머리(136)의 두께는 맨앞 칼날(18)이 간섭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지 않고 사다리꼴 저장부(24) 내부에 붙잡고 있는다.
잠시 제1 및 9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칼날(18)의 걸음 및/또는 풀림은 제어걸이못(162)의 모우드 변환홈(54 ; 제1 및 9도)와 중심이 일치될때까지 미끄럼이동부재(16)를 미끄럼이동하게 하고 제어걸이못(162)이 칼날-미끄럼부분(20)의 외부에 배치될 때까지 외팔부분(154)위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수행된다.
이 형등은 맞물리개(158)를 잠금구멍(82 ; 제19 및 20도)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할뿐만 아니라 멈춤보스(36)의 멈춤표면(38)과의 가능한 접촉으로부터 이 멈추개를 이동시킨다. 모우드 변환홈(54)과의 중심일치로 부터 앞쪽이나 뒷쪽으로 외팔레버(138)를 미끄럼이동시키면 제어걸이못(162)이 제어리브(50 ; 제1도)의 바깥쪽을 따라 미끄럼이동하게 된다. 맞물리개(158)가 잠금구멍(82)으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칼날(18)은 다용도칼의 앞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이 다용도칼(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칼날(18)은 버려질 수도 있고 또는 뒤집어져서 앞쪽표면부분(142)으로 다시 끼워질 수 있다. 칼날(18)의 맞닿음표면들 사이에서의 자석에 의한 마찰은 칼날(18)이 앞쪽표면부분(142)과 중심이 일치되어 접촉하도록 유지하기에 충분하나 반면에 머리(136)는 잠금구멍(82)을 맞물리개(158)에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다용도칼(10)속으로 뒤쪽으로 들어간다.
제21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미끄럼이동부재(16)가 칼날(18)이 장전되는 위치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서는 어느 때에서도 꼬리(134)는 사다리꼴 저장부(24)에 있는 맨앞의 칼날(18)에 대면한다. 꼬리(134)의 두께는 맨앞 칼날(18)이 칼날-안대단붙이부(108) 및 칼날-안내단붙이부 및 칼날-안내단붙이부(110)로 이동하여 접촉하는 것을 방지되어 사다리꼴 저장부(24)에 유지될 수 있을만큼 충분히 두껍다.
제22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미끄럼이동부재(16)가 장전위치로 이동될 때 머리(136)의 앞쪽표면부분(142)은 사다리꼴 저장부(24)에 대면한다. 앞쪽표면부분(142)은, 미끄럼이동부재(16)의 나머지 부분으로 오목한 곳에 놓여져서, 맨앞 칼날(18)이 이동하여 칼날-안내단붙이부(108) 및 칼날-안내닫붙이부(110)와 접촉할 수 있게하고 이 맨앞 칼날이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붙잡혀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도록 앞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제23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용도칼(10)은 제22도의 장전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팔레버(138)가 완전히 왼쪽위치에 있고 제어걸이못(162)이 제어리브(50)에 의해 지지되는 바깥면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미끄럼이동부재(16)의 꼬리(134)는 이 상태에서 다용도칼(10)로부터 튀어나와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튀어나온 부재는 다용도칼(10)의 필수부재는 아니지만 칼날-미끄럼부분(20) 및 저장부 부분(22)의 요구되는 길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는 편리하게 유용된다. 다른 식으로는 이러한 부재들이 전체꼬리(134)를 장전위치에 수용하기에 충분히 길게 할 수도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개시에 의해 맨앞 칼날(18)을 미끄럼이동부재(16)쪽으로 가압하는데 보조하기 위하여 영구자석 (150 ; 제16,17 및 22도)을 사용하는 것이 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한다.
영구자석(150)의 끌어당기는 가압력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사다리꼴 저장부(24)안에 있는 맨뒤 칼날(18)뒤에 스프링(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반발하는 가압력으로 대체되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영구자석(150)과 스프링을 둘다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예상된다. 또한 영구자석(150)가 스프링은 둘다 칼날(18)을 가압하여 미끄럼이동부재(16)와 접촉하도록 하는데 중력에 의존하는 실시예로부터 없앨 수도 있다.
부수도면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정확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규정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범위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해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변화시키거나 수정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Claims (12)

  1. 칼날의 적층을 유지하기 위한 칼날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저장부 부분과 칼날 트인구멍을 갖춘 몸체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제1몸체부분과 결합되는 미끄럼 부분으로 구성된 다용도 칼에 있어서, 미끄럼이동부재(16)가 상기 몸체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운동하기 위해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칼날의 적층으로 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위치한 단하나의 칼날의 제거를 제어하기 위한 칼날제어부재(136,1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칼날 맞물리개(158)는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에 대하여 고정위치에서 상기 단하나의 칼날을 맞물고 있어서 상기 단하나의 칼날은 상기 칼날 트인구멍을 통해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와 상기 몸체내의 후퇴위치 사이에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움직이며, 복수의 고정위치에서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를 잠그기 위한 제어 걸이못(162)은 상기 칼날 맞물리개를 상기 칼날로부터 결합해제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작동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구멍(8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칼날 맞물리개는 상기 소정의 평면내의 제1위치와 상기 소정의 평면외부의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칼날 맞물리개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때 상기 팁은 상기 칼날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들어가서 맞물리고 상기 칼날 맞물리개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팁은 상기 칼날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들어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3.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칼날 맞물리개를 선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어홈(48)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칼날 맞물리개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때 상기 칼날 맞물리개는 상기 칼날로부터 결합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제어부재는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상기 몸체내에 있을 때 상기 소정의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뒷표면부분(144)을 포함하는 머리 부분(136)과 상기 뒷표면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된 앞표면부분(142)을 포함하는 단붙이부(14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앞표면부분은 상기 단하나의 칼날의 두께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상기 뒷표면부분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소정의 평면에서 상기 적층된 칼날들을 가로질러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의 미끄럼운동이 상기 단하나의 칼날의 제거를 유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단하나의 칼날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앞표면부분에 배치된 자석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분의 내면은 상기 소정의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잠금오목부(124,126,128,13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걸이못은 상기 칼날 맞물리개로부터 돌출한 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칼날 맞물리개는 상기 제어걸이못이 상기 복수의 잠금 오목부들중의 하나에 배치되는 제1칼날 맞물림위치와 상기 제어걸이못이 상기 복수의 잠금오목부들로부터 변위되는 제2칼날맞물림위치 사이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어걸이못이 상기 잠금 오목부들중의 하나의 위치에 있는 그 위치에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과 제어걸이못은 스프링 부분(156)을 통하여 상기 미끄럼이동부재에 탄성적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상기 팁과 제어걸이못은 상기 제1 및 제2위치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칼날 맞물림위치에 각각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분은 제어홈(48)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칼날 맞물리개의 상기 제1위치와 상기 몸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칼날 맞물리개의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제어걸이못이 상기 제어홈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은 상기 저장부 부분과 상기 미끄럼부분에 끼워진 슬리이브 부재(14)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부재가 상기 저장부 부분과 상기 미끄럼부분에 끼워질 때 상기 칼 몸체를 제공하도록 상기 저장부 부분과 상기 미끄럼부분이 결합된 형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부재는 C자형의 단면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저장부 부분과 상기 미끄럼부분상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부분과 상기 미끄럼부분은 직경감소분(12)을 갖춘 몸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는 상기 직경감소부분보다 크며, 상기 슬리이브 부재는 상기 직경감소부분에는 끼워지고 상기 몸체에는 끼워지지 않는 내부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맞닿음턱(32)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슬리이브 부재가 상기 직경감소 부분을 갖춘 상기 저장부 부분 및 상기 미끄럼부분상에 끼워지면서 상기 슬리이브 부재가 상기 맞닿음턱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칼.
KR1019870008693A 1986-08-08 1987-08-08 슬라이드식 덮개를 가진 다용도칼 KR930006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94,676 1986-08-08
US894676 1986-08-08
US06/894,676 US4813132A (en) 1986-08-08 1986-08-08 Utility knif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630A KR880002630A (ko) 1988-05-10
KR930006789B1 true KR930006789B1 (ko) 1993-07-23

Family

ID=2540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693A KR930006789B1 (ko) 1986-08-08 1987-08-08 슬라이드식 덮개를 가진 다용도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813132A (ko)
EP (1) EP0255951B1 (ko)
JP (1) JPS6349185A (ko)
KR (1) KR930006789B1 (ko)
AT (1) ATE75986T1 (ko)
AU (1) AU595914B2 (ko)
CA (1) CA1303343C (ko)
DE (1) DE3779004D1 (ko)
DK (1) DK394087A (ko)
NZ (1) NZ2212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79B1 (ko) * 2006-12-01 2010-04-12 조원상 안전커터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260A (en) * 1986-08-08 1990-07-17 James Castelluzzo Utility knife
US5012581A (en) * 1989-04-07 1991-05-07 Hyde Manufacturing Co. Universal utility knife
US5060387A (en) * 1990-11-13 1991-10-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ade handle
GB2269128B (en) * 1992-07-08 1996-10-23 Michael Darren Edwards A knife with an automatic blade changing mechanism
US5285574A (en) * 1992-11-06 1994-02-15 Cosco Industries, Inc. Carton opener
US6007553A (en) 1996-02-07 1999-12-28 Hellenkamp; Johann F. Automatic surgical device control assembly for cutting a cornea
US20070244496A1 (en) * 1996-02-07 2007-10-18 Hellenkamp Johann F Automatic surgical device and control assembly for cutting a cornea
US7166117B2 (en) * 1996-02-07 2007-01-23 Hellenkamp Johann F Automatic surgical device and control assembly for cutting a cornea
US6446340B1 (en) 2000-11-14 2002-09-10 Great Neck Saw Manufacturers, Inc. Utility knife
US6513246B2 (en) 2000-11-14 2003-02-04 Great Neck Saw Manufacturers, Inc. Utility knife
US6966113B2 (en) * 2001-07-23 2005-11-22 Repetto Llc Utility knife
US6957491B2 (en) * 2001-10-31 2005-10-25 The Stanley Works Combination utility and sporting knife
CN100486549C (zh) * 2003-04-07 2009-05-13 泰克诺拉斯眼科系统有限公司 微型角膜刀的连杆驱动系统
US7131204B2 (en) * 2003-11-10 2006-11-07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Utility knife with actuator for moving blade carrier and for releasing blade therefrom, and related method
US7434317B2 (en) * 2004-09-23 2008-10-14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Slide assembly device for a snap-off blade utility knife
US7107688B1 (en) 2005-04-18 2006-09-19 Cooper Brands, Inc. Releasable blade locking mechanism for utility knife
US7797836B2 (en) * 2005-08-02 2010-09-21 The Stanley Works Compact utility knife
US7520059B2 (en) * 2005-08-02 2009-04-21 The Stanley Works Compact utility knife
TW200736020A (en) * 2006-03-23 2007-10-01 Chi Whi Ind Inc Utility knife
CA2653389C (en) * 2006-04-04 2013-12-31 Acme United Corporation Cutting implement with cartridge
US8201336B2 (en) 2008-05-02 2012-06-19 Olympia Tools International, Inc. Retractable utility knife
US8695221B2 (en) * 2008-08-21 2014-04-15 Wen Hao Utility knife with extended travel carriage
US20100223793A1 (en) * 2009-03-04 2010-09-09 The Stanley Works Utility knife
US10800052B1 (en) 2019-06-13 2020-10-13 Repetto Llc Utility knife, blade, and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481A (en) * 1948-02-13 1949-04-19 Chester J Huff Utility knife
US3577637A (en) * 1968-09-24 1971-05-04 Philip Morris Inc Retractable blade knife
US3660896A (en) * 1970-04-10 1972-05-09 Russell Harrington Cutlery Inc Utility knife
US4005525A (en) * 1975-08-29 1977-02-01 Allway Tools Inc. Retractable cutting implement
DE2736395C2 (de) * 1977-08-12 1979-07-12 Martor-Argentax E.H. Beermann Kg, 5650 Solingen Messer mit einer längsverschieblich geführten zugfederbelasteten Messerklingenhalterung
JPS5751010Y2 (ko) * 1978-02-13 1982-11-08
US4196515A (en) * 1978-06-30 1980-04-08 Kai Cutlery Center Co., Ltd. Cutter knife
US4292738A (en) * 1979-01-20 1981-10-06 Kai Cutlery Center Co., Ltd. Knife
US4242795A (en) * 1979-02-02 1981-01-06 The Stanley Works Knife handle
CH637057A5 (de) * 1979-05-25 1983-07-15 Stephan L Szabo Messer mit einer ein- und ausfahrbaren klinge.
US4517741A (en) * 1982-05-19 1985-05-21 Castelluzzo James M Knife with plural replaceable blade storage and means for single blade extension
JPS6123973U (ja) * 1984-07-16 1986-02-13 エヌティー株式会社 マガジン式カツタナイ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579B1 (ko) * 2006-12-01 2010-04-12 조원상 안전커터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21205A (en) 1989-10-27
AU595914B2 (en) 1990-04-12
DK394087A (da) 1988-02-09
DE3779004D1 (de) 1992-06-17
EP0255951B1 (en) 1992-05-13
DK394087D0 (da) 1987-07-28
CA1303343C (en) 1992-06-16
EP0255951A1 (en) 1988-02-17
ATE75986T1 (de) 1992-05-15
US4813132A (en) 1989-03-21
JPS6349185A (ja) 1988-03-01
KR880002630A (ko) 1988-05-10
AU7627887A (en) 198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789B1 (ko) 슬라이드식 덮개를 가진 다용도칼
US6161290A (en) Utility knife
US4941260A (en) Utility knife
US4955138A (en) Utility blade scraper
US4233734A (en) Retractable blade knife
US4558517A (en) Scraper hand tool
TWI466763B (zh) The blade automatically retracts the utility knife
US4517741A (en) Knife with plural replaceable blade storage and means for single blade extension
JP2879279B2 (ja) 縦移動可能に案内されるナイフ刃保持体を持つナイフ
US4226020A (en) Knife and blade advance and locking mechanism therefor
CA1318195C (en) Letter opener
CA2392260A1 (en) Knife
CA1249496A (en) Combination food peeler and slicer
US7100285B1 (en) Self-opening handle for a heavy duty artistic knife
CA1328990C (en) Wedge lock for pocket knife blade
TW201029815A (en) Dual front utility knife with interlock
EP0048077B1 (en) Refillable blade type knife
AU626259B2 (en) Improvements in utility knives
EP0015883A1 (en) Device with a self-locking effect for uniting two panels
CN211983558U (zh) 一种伸缩刀具
JPS5920870Y2 (ja) クリツク止めロツク式ステツプ・スライド形カツタナイフ
JPH0669513B2 (ja) バリカン
JP3797443B2 (ja) カルコ
JPS6232519Y2 (ko)
JPS5812702Y2 (ja) 繰出し替え刃ナイ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