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787Y1 -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787Y1
KR930006787Y1 KR2019910007351U KR910007351U KR930006787Y1 KR 930006787 Y1 KR930006787 Y1 KR 930006787Y1 KR 2019910007351 U KR2019910007351 U KR 2019910007351U KR 910007351 U KR910007351 U KR 910007351U KR 930006787 Y1 KR930006787 Y1 KR 930006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door
handle
switchboard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212U (ko
Inventor
윤기남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7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787Y1/ko
Publication of KR920022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2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상태도.
제4도는 핸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를 결합한 작동상태도.
제6도는 종래 장치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1a : 장공
2 : 고정편 3 : 핸들
4 : 걸림핀 5 : 가동편
6 : 가이드편 8 : 덮개
9 : 프레임 10 : 삽입편
본 고안은 배전반을 외부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어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반 내부의 아-크 사고시 공기 팽창에 의한 압력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거나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내부의 아-크 단락시, 아-크 주(柱)의 온도는 대기중에서 4000∼7000k에 용이하게 도달하게 되고, 이에따라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잠겨있던 도어가 이탈되거나 순간적으로 열리게 되므로 아-크 단락으로 인해 배전반 내부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되더라도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의 설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어(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2)의 끝단에 걸림편(13)이 고정되어 있고 걸림편(13)에는 걸림편(13)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한쌍의 걸림봉(14a)(14b)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편(13)의 끝단이 프레임(15)에 걸려 도어(11)가 쇄정됨과 동시에 걸림편(13)에 결합된 걸림봉(14a)(14b)이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5)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므로 도어(11)가 배전반의 내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11)를 걸림편(13)과 걸림봉(14a)(14b)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어 배전반 내부에 아-크 사고로 인해 내부 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면 그 압력에 의해 프레임(15)의 내측면에 걸려있던 걸림편(13)과 걸림봉(14a)(14b)이 휘어져 배전반에서 도어(11)가 개방되므로 이로 인해 작업자가 도어(11)에 부딪쳐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배전반 내부에 공기가 팽창되더라도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장공이 형성된 도어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고정편의 차례로 설치하고 그 일측으로는 핸들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걸림핀의 고정된 가동편을 가이드편에 안내되게 설치함과 함께 프레임에는 고정편과 결합되는 삽입편을 설치하여서 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5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4도는 핸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어(1)의 내측면에 요입홈(2a)을 가진 다수개의 고정편(2)이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고정편(2)에는 삽입공(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일측으로는 핸들(3)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걸림핀(4)이 고정된 가동편(5)이 가이드편(6)에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때 걸림편(4)은 각 고정편(2)에 근접되도록 가동편(5)에 형성된 절곡부(5a)에 연결핀(7)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1)의 전면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들(3)이 승강할 수 있도록 장공(1a)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3)의 내측으로는 장공(1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8)가 설치되어 있으며 핸들(3)은 가동편(5)과 나사끼우기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배전반의 프레임(9) 내측면에 각 고정편(2)의 요입홈(2a)에 결합되는 삽입편(10)이 고정편(2)과 동일한 갯수로 설치되어 있고 삽입편(10)에는 삽입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제5도는 제4도를 결합한 작동 상태도로서, 먼저 제3a도와 제5a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핸들(3)이 장공(1a)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 즉 가동편(5)이 상승하여 걸림핀(4)이 고정편(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도어(1)를 배타적으로 부터 분리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핸들(3)은 가동편(5)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겨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전판의 내부 보호할 수 있도록 도어(1)를 잠그기 위해 도어(1)를 제5a도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닫으면 도어(1)에 설치된 각 고정편(2)의 요입홈(2a)에 삽입편(10)이 결합되어 삽입공(2b)(10a)이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후, 제5a도와 같이 장공(1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던 핸들(3)을 장공(1a)의 하방으로 내리기위해 가동편(5)과 잠겨져 있던 핸들(3)을 풀고 덮개(8)을 화살표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다음 핸들(3)을 직하방으로 내리면 되는데, 이때 덮개(8)를 180도 회전시키는 이유는 핸들(3)을 180도 회전시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장공(1a)을 폐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핸들(3)을 먼저 직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덮개(8)를 회전시켜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핸들(3)을 장공(1a)의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핸들(3)과 나사끼우기로 결합된 가동편(5)이 가이드편(6)에 안내되면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에따라 가동편(5)과 연결편(7)으로 연결된 걸림핀(4)도 하방으로 이동되어 삽입공(2b)(10a)에 제3b도와 같이 끼워지게 되므로 도어(1)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장치는 도어(1)와 프레임(9)에 고정된 고정편(2)과 삽입편(10)을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핸들(3)을 하강시켜 가동편(5)에 연결편(7)으로 고정된 걸림핀(4)을 삽입공(2b)(10a)에 끼워 도어(1)를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배전반 내부의 아-크 단락으로 발생된 강력한 압력을 도어(1)가 견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1)의 순간적인 개방으로 야기될 수 있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공(1a)이 형성된 도어(1)의 내측면에 다수개의 고정편(2)을 차례로 설치하고 그 일측으로는 핸들(3)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걸림핀(4)이 고정된 가동편(5)을 가이드편(6)에 안내되게 설치함과 함께 프레임(9)에는 고정편(2)과 결합되는 삽입편(10)을 설치하여 고정편(2)과 삽입편(1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3)의 승강 조작에 의해 걸림핀(4)이 삽입공(2b)(10a)에 끼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1)의 장공(1a)과 핸들(3) 사이에 덮개(8)를 설치하여 장공(1a)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도어 잠금 장치.
KR2019910007351U 1991-05-23 1991-05-23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KR930006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351U KR930006787Y1 (ko) 1991-05-23 1991-05-23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351U KR930006787Y1 (ko) 1991-05-23 1991-05-23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212U KR920022212U (ko) 1992-12-19
KR930006787Y1 true KR930006787Y1 (ko) 1993-10-06

Family

ID=1931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351U KR930006787Y1 (ko) 1991-05-23 1991-05-23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7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212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95954A (en) Releasable window guard assembly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EP2112674A2 (en) Safety switch apparatus
KR930006787Y1 (ko) 배전판의 도어 잠금장치
KR100852436B1 (ko) 진공차단기의 도어 및 투입 인터록장치
KR100795523B1 (ko) 배전반용 문의 잠금장치
SE424100B (sv) Trycksekert lasbar dorr for kopplade kopplingsgrupper i medel- och hogspenningsstellverk
US2877919A (en) Enclosure
HU224565B1 (hu) Ajtózár
KR20200126081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KR200180777Y1 (ko) 회전식 가이드 스토퍼
US4308441A (en) Handle assembly for manual operation of electric switches
US4982310A (en) Switchgear enclosure with improved electronic control access door and lock
JPH0442711A (ja) 外部操作方式閉鎖形配電盤
EP0897167A2 (en) Locking apparatus for use in game machine
KR102553430B1 (ko) 배전반 도어의 내아크의 성능을 가지는 잠금장치
KR200280769Y1 (ko) 열반형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장치
KR200291651Y1 (ko) 도어핸들용 날개 회동구조
KR930006409Y1 (ko) 에스컬레이터의 기계실 안전커버장치
KR970001676Y1 (ko) 분전반
KR100504560B1 (ko)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KR0134827Y1 (ko) 승강기용 비상구출구의 안전장치
RU1795218C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агрегата
JPH08289419A (ja) 配電盤
KR0128758Y1 (ko) 전자통신장비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