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560B1 -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560B1
KR100504560B1 KR10-2002-0008774A KR20020008774A KR100504560B1 KR 100504560 B1 KR100504560 B1 KR 100504560B1 KR 20020008774 A KR20020008774 A KR 20020008774A KR 100504560 B1 KR100504560 B1 KR 10050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tton
push bar
cas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291A (ko
Inventor
이정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5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개선하여 배전반의 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배전반 내에서 장치가 차지하는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배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반의 도어를 관통하여 끼워진 환형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도어 외측부에 구비되어 회전 및 누름이 가능한 버튼과, 상기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싱의 중공을 통해 도어 바깥쪽에서 도어 안쪽으로 삽입된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버튼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과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조작봉의 도어 안쪽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작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버튼이 트립위치로 조작되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푸시바와, 상기 조작봉의 상기 푸시바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바가 버튼과 함께 회전된 후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푸시바가 수평상태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Circuit Breaker trip device of switchgear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비상시 배전반을 개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외부에서 간단히 차단기를 트립조작할 수 있도록 된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철재 외함 내부에 차단기를 비롯한 각종 전기기기를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전장품의 일종으로서, 상기 배전반의 전면에는 통상 작업자가 필요시 상기 배전반 내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기를 점검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전기기기 중 차단기는 선로에 사고 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차단시켜 선로 및 부하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트립되기 이전이라도 작업자가 사고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한 경우에는 도어에 설치된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이용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비상시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차단기를 신속하게 차단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럼, 여기서 상기한 배전반의 종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 장치는 배전반 도어(1)를 관통하여 끼워진 부싱(2)과, 상기 도어(1)의 안쪽면에 부싱(2)을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부싱 취부판(6)과, 상기 부싱(2)의 중공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끼워진 링크(5)와, 상기 링크(5)의 도어(1) 바깥쪽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핸들(3)과, 상기 링크(5)의 도어(1) 안쪽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바(push bar)(7)와, 상기 푸시바(7)와 부싱 취부판(6) 사이에 탄력 설치된 스프링(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5)의 상부에는 핸들(3)과 푸시바(7)가 상방으로 회동시 걸림되면서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먼저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로서, 장치가 조작되기 전 상태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어(1)의 바깥쪽에 구비된 핸들(3)이 직하방을 향해 접혀져 있고, 또한 도어(1)의 안쪽에서 상기 링크(5)에 결합된 푸시바(7)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일정각도만큼 처진 상태이다.
즉, 상기 푸시바(7)는 부싱 취부판(6)에 스프링(8)으로 연결된 점을 감안할 때, 상기 푸시바(7)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바(7)가 스프링(8)에 의해 구속되어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도 1의 핸들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도로서, 이 때에는 상기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선로에 사고의 징후를 발견한 경우 도어(1)의 외측에 구비된 핸들(3)을 잡고, 상기 핸들(3)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90°만큼 회동시킨 상태이다.
이 때, 상기 링크(5)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3)을 상방(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90°만큼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핸들(3)이 링크(5)의 걸림턱에 걸려 더이상 회동되지 못하고 수평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핸들(3)이 배전반 내로 삽입된 상태도로서, 상기 도 2와 같이 핸들(3)이 수평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핸들을 부싱(2)의 중공을 통해 도어(1) 내부로 밀어 넣으면, 이 때 상기 핸들(3)과 결합된 링크(5) 및 상기 링크(5)의 핸들(3) 반대쪽 일단에 결합된 푸시바(7)도 점점 더 도어 안쪽(도면상 좌측)으로 진입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푸시바(7)가 점점 더 도어(1) 안쪽으로 진입되면, 이 때 상기 푸시바(7)는 그 일측에 연결된 스프링(8)에 의해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결국 상기 푸시바(7)가 일정량 도어(1) 내부로 진입된 시점에서 상기 푸시바(7)가 링크(5)의 걸림턱에 걸려 수평한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상기 푸시바(7)는 도어(1) 안쪽으로 더 진입되더라도 걸림턱에 의해 계속적으로 수평한 상태가 유지됨은 이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진입하던 푸시바(7)는 일순간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차단기의 트립버튼(도면에는 미도시)을 눌러주게 되므로 결국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트립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배전반 도어에 핸들이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배전반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의 조작 전에는 도어 안쪽에서 항상 푸시바가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는 결국 상기 푸시바가 배전반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배전반의 깊이를 충분히 확보하여야만 하는 부담이 있었으므로 이로 인해 배전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종래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개선하여 배전반의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면서도 배전반 내에서 장치가 차지하는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배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의 도어를 관통하여 끼워진 환형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도어 외측부에 구비되어 회전 및 누름이 가능한 버튼과, 상기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싱의 중공을 통해 도어 바깥쪽에서 도어 안쪽으로 삽입된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버튼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과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조작봉의 도어 안쪽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작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버튼이 트립위치로 조작되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푸시바와, 상기 조작봉의 상기 푸시바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바가 버튼과 함께 회전된 후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푸시바가 수평상태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로서, 장치가 조작되기 전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버튼이 일방향으로 회전조작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 장치는 배전반의 도어(1)를 관통하여 끼워진 환형의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도어(1) 바깥쪽부분에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버튼(101)과, 상기 버튼(101)과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싱(100)의 중공을 통해 도어(1) 바깥쪽에서 도어(1) 안쪽으로 삽입된 조작봉(102)과, 상기 조작봉(102)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케이싱(100)과 버튼(101)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103)과, 상기 조작봉(102)의 도어(1) 안쪽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바(104)와, 상기 조작봉(102)의 푸시바(104)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바(104)가 회동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하는 걸림부재(105)로 구성된다. 이 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싱(100)의 도어(1) 내측부에는 버튼(101)이 일정범위 이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푸시바(104)를 걸림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 장치를 조작하기 전 상태로서, 이 때에는 조작봉(102)의 도어(1) 안쪽에 결합된 푸시바(104)가 우측 하방으로 접혀져 도어(1)와 근접한 상태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때 작업자가 선로의 이상상태를 발견하면 배전반 도어(1)상에 구비된 버튼(101)을 손으로 조작하여 차단기를 트립하면 된다.
즉, 이 때에는 먼저 작업자가 도어(1)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101)을 손으로 잡고 좌측(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버튼(101)이 일정량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버튼(101)과 일체로 결합된 조작봉(102) 및 상기 조작봉(102)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푸시바(104)도 상기 버튼(101)과 함께 동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이 때 상기 케이싱(100)의 도어(1) 안쪽부분에는 각각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버튼(101)을 일정각도 회전시키면 도어(1) 안쪽의 푸시바(104)가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므로 버튼(101)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된다.
계속해서 버튼(101)이 상기와 같이 일정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봉(102) 및 푸시바(104)도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푸시바(104)가 상방을 향해 수직한 상태가 되는데, 이 때 상기 푸시바(104)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걸림부재(105) 또한 조작봉(102)과 함께 회전되므로 결국 푸시바(104)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때에는 푸시바(104)가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와 같이 회동된 푸시바(104)는 그 직하방에 위치된 걸림부재(105)에 걸림되어 회동이 제한되므로 결국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바(104)가 수평한 상태가 된다.
곧이어 상기와 같이 푸시바(104)가 수평하게 펴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버튼(101)을 눌러주면, 상기 버튼(101)이 케이싱(100) 내부로 인입되면서 그 인입량만큼 상기 버튼(101)과 일체로 결합된 조작봉(102) 및 상기 조작봉에 결합된 푸시바(104)도 함께 동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진입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푸시바(104)가 차단기의 트립버튼을 눌러 차단기를 트립시키게 된다.
본 발명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는 종래 장치와 대비하여 배전반 도어에 노출되어 있던 핸들을 버튼으로 대체함으로써 배전반의 외관을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뿐만 아니라, 버튼의 회전에 따라 푸시바가 선택적으로 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배전반 내에서 장치가 차지하는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배전반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유익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로서, 장치가 조작되기 전 상태도
도 2는 도 1의 핸들이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도
도 3은 도 2의 핸들이 도어 내로 삽입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로서, 장치가 조작되기 전 상태도
도 5는 도 4의 버튼이 일방향으로 회전조작된 상태도
도 6은 도 5의 버튼이 누름조작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100: 케이싱
101: 버튼 102: 조작봉
103: 스프링 104: 푸시바
105: 걸림부재

Claims (2)

  1. 배전반의 도어를 관통하여 끼워진 환형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도어 외측부에 구비되어 회전 및 누름이 가능한 버튼과, 상기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싱의 중공을 통해 도어 바깥쪽에서 도어 안쪽으로 삽입된 조작봉과, 상기 조작봉의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싱과 상기 버튼 사이에서 탄성력을 부과하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조작봉의 도어 안쪽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작봉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버튼이 트립위치로 조작되면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푸시바와, 상기 조작봉의 상기 푸시바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바가 버튼과 함께 회전된 후 자중에 의해 회동되는 푸시바가 수평상태로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도어 내측부에는 버튼이 일정범위 이내에서만 회전하도록 스토퍼를 더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KR10-2002-0008774A 2002-02-19 2002-02-19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KR10050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774A KR100504560B1 (ko) 2002-02-19 2002-02-19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774A KR100504560B1 (ko) 2002-02-19 2002-02-19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291A KR20030069291A (ko) 2003-08-27
KR100504560B1 true KR100504560B1 (ko) 2005-08-03

Family

ID=3222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774A KR100504560B1 (ko) 2002-02-19 2002-02-19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5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248U (ko) * 1986-08-25 1988-03-07
JPH0488303U (ko) * 1990-11-30 1992-07-31
JPH04328218A (ja) * 1991-04-26 1992-11-17 Fuji Electric Co Ltd 閉鎖配電盤の電気機器駆動軸保持装置
JPH0670406U (ja) * 1993-03-08 1994-09-30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協約形寸法の分電盤用補助継電ユニット
JP2001266728A (ja) * 2000-03-23 2001-09-28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248U (ko) * 1986-08-25 1988-03-07
JPH0488303U (ko) * 1990-11-30 1992-07-31
JPH04328218A (ja) * 1991-04-26 1992-11-17 Fuji Electric Co Ltd 閉鎖配電盤の電気機器駆動軸保持装置
JPH0670406U (ja) * 1993-03-08 1994-09-30 大崎電気工業株式会社 協約形寸法の分電盤用補助継電ユニット
JP2001266728A (ja) * 2000-03-23 2001-09-28 Fuji Electric Co Ltd 回路しゃ断器の外部操作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291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112B2 (ja) 真空回路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
US7148435B2 (en) Build-in LOTO device on equipment breaker panel
WO2019080761A1 (zh) 一种插入式断路器的固定及解锁机构
US5319168A (en) Circuit breaker retractable handle mechanism
WO2019080760A1 (zh) 一种断路器操作装置的锁定装置
JP6334660B2 (ja) リングメインユニット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CN106876223A (zh) 一种手柄锁定装置及断路器
KR100504560B1 (ko) 배전반의 비상용 차단기 트립장치
KR20045218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 록 장치
US11972919B2 (en) Plug-in circuit breaker
US98122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KR100885849B1 (ko) 컨택트 온 기구를 가지는 배선용 차단기
US7458482B2 (en) Protective cover
CN109712832B (zh) 一种防误操作系统及插接箱
KR200474553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외부 조작 핸들장치
US4688145A (en) Removable fuse assembly for pad mounted underground distribution switchgear
CN206893579U (zh) 利用电动斥力快速脱扣的断路器结构
US3054866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KR200492963Y1 (ko) 계전판넬용 푸쉬핸들 오프너기구
CN216958964U (zh) 一种高压开关柜挂锁装置
KR200224237Y1 (ko) 배선용차단기용트립버튼의작동구조
KR20037645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액세서리 작동 레버
KR20170033488A (ko) 차단기의 셔터장치
US3259705A (en) Operating mechanism for enclosed circuit interrupters
KR200208224Y1 (ko) 진공차단기의 2차 플러그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