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486B1 -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86B1
KR930006486B1 KR1019910010490A KR910010490A KR930006486B1 KR 930006486 B1 KR930006486 B1 KR 930006486B1 KR 1019910010490 A KR1019910010490 A KR 1019910010490A KR 910010490 A KR910010490 A KR 910010490A KR 930006486 B1 KR930006486 B1 KR 93000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volume
volume control
membership function
fuzz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726A (ko
Inventor
정태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486B1/ko
Publication of KR93000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조절장치도.
제2도는 제1도중 밝기 멤버쉽 펑션부(20)의 테이블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중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의 테이블 구성도.
제4도는 제1도중 퍼지룰 저장부(50)의 테이블 구성도.
제5도는 제1도중 멤버쉽 펑션처리부(70)의 테이블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의 음량 조절장치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8도는 제6도중 마아크로 프로세서(3)내의 메모리 룩업 테이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센서 20 : 밝기 멤버쉽 펑션부
30 : 타이머 40 : 클럭 멤버쉽 펑션부
50 : 퍼지룰저장부 60 : 퍼지처리부
70 : 멤버쉽 펑션 처리부 80 : 메모리
90 : 음성신호처리부
본 발명은 음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퍼지(FUZZY) 이론은 이용하여 전원온시 주변의 밝기 및 시간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나 오디오와 같은 시스템은 가변저항이나 볼륨 조절회로에 의해 음량의 크기를 가변시켜조절 하였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음량을 조절하여 사용 중에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면 조정된 음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전원을 七시킬때 전원이 오프 되기 이전의 음량이 출력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주위의 소음으로 인해 음량을 크게 조정하여 사용한후 전원을 오프 시킨 상태에서 다시 사용하기 위해 전원을 온시켰을 경우 큰 음성이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어린이가 있을때 깜짝 놀라는 경우가 발생되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량 조절장치에서 전원온시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주변밝기 및 시간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변의 밝기와 현재시간을 감지하여 퍼지룰을 적용하여 적절한 음량으로 가변시켜 음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10)와, 현재의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30)와, 상기 광센서(10)로 부터 주변의 밝기 감지신호를 받아 밝기정도를 판단하는 위한 밝기 멤베쉽 펑션부(20)와, 상기 타이머(30)로 부터 현재 시간을 입력하여 시간에 따른 밝기 정도를 판단하는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와, 주변의 밝기 및 시간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퍼지룰(FUZZY Rule)을 저장하는 퍼지룰 저장부(50)와, 상기 밝기 멤버쉽(20)와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에서 판단된 밝기신호를 받아 상기 퍼지룰 저장부(50)의 룰에 따라 음량 조절값을 결정하는 퍼지처리부(60)와, 상기 퍼지처리부(60)에서 결정된 음량 조절값을 레벨값으로 변환 출력하는 멤버쉽 펑션처리부(70)와, 상기 멤버쉽 펑션부(70)의 변환된 레벨값을 저장하는 메모리(80)와, 오디오 신호를 받아 상기 메모리(80)에 저장된 음량 조절값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신호 처리부(90)와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중 밝기 멤버쉽 펑션부(20)의 테이블 구성도이고 제3도는 제1도중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의 테이블 구성도이며, 제4도는 제1도중 퍼지룰 저장부(50)의 베모리 멥 구성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광센서(10)에서는 주변 밝기에 해당하는 전압이 검출된다.
이때 상기 광센서(10)는 주변이 어두우면 저항치가 커지고 밝으면 저항치가 작아지게 되어 주변의 밝기가 전압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광센서(10)에서 검출된 전압은 밝디 멥버쉽 펑션부(20)로 인가되어 제2도와 같은 멤버쉽 펑션 테이블에 의해 주변의 밝기정도가 판단되어 퍼지처리부(60)로 인가된다. 또한 타이머(30)의 현재 시간을 입력하는 클럭 멤버쉽 펑션부(40)는 제3도와 같은 멥버쉽 펑션 테이블에 의해 시간에 따라 밝기정도를 판단하여 퍼지처리부(60)로 인가된다.
한편 퍼지룰 저장부(50)에서는 제4도와 같이 주변의 밝기가 밝으면 음량을 크게하고 주변의 밝기가 어두우면 음량을 작게 하며, 시간에 따른 밝기가 밝으면 음량을 크게하고 시간에 따른 밝기가 어두우면 음량을 작게하며 전원오프전 음량값이 퍼지처리된 값보다 작으면 전원오프전 음량값을 출력하고 전원오프전 음량값이 퍼지처리한 값보다 크면 퍼지처리한 음량값을 출력시킨다는 퍼지룰을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퍼지처리부(60)에서는 상기 밝기 멤버쉽 펑션부(20)에서 판단된 주변밝기 신호와 상기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에서 판단된 시간에 따른 밝기신호를 받아 상기 퍼지룰 저장부(50)의 퍼지룰에 의해 음량의 조절값을 결정하여 멤버쉽 펑션처리부(70)로 출력하게 된다.
이로인해 상기 멤버쉽 펑션처리부(70)에서는 제5도와 같은 멤버쉽 펑션 테이블에 의해 레벨값으로 변환출력하게 된다. 상기 멤버쉽 펑션처리부(70)에서 레벨값으로 변환된 음량 조절값은 메모리(80)에 저장되며 또는 음성신호 처리부(90)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음성신호처리부(90)는 오디오신호를 받아 스피커로 출력할때 상기 메모리(80)에서 출력된 음량 조절값으로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주위의 밝기와 현재시간의 상태에 따라 음량이 조절되어 어두우면 음량이 작고 밝으면 음량이 큰상태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퍼지처리부(60)에서 음량 조절값을 결정할때 전원오프전 음량과 퍼지처리한 음량값을 비교하게 되는데 상기 메모리(80)에 저장된 전원오프전의 음량값을 퍼지처리부(60)로 입력하여 상기 밝기 멤버쉽 펑션부(20)와 클럭 멤버쉽(40)에 의해 판단된 밝기로 퍼지처리된 음량 조절값과 비교하여 음량값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퍼지처리부(60)에서는 전원오프전 음량값이 퍼지처리한 값보다 크면 퍼지처리한 값을 출력하고 전원오프전 음량값이 퍼지처리한 값보다 크면 처리한 음량값을 출력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1)와, 현재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2)와, 상기 광센서(1)에서 감지된 주변밝기 신호와 상기 타이머(2)의 현재시간을 입력하여 주변 밝기 및 현재 시간에 따라 음량 조절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와, 오디오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서 결정된 음량 조절값에 의해 음량을 조절하는 음성신호 처리부(4)로 구성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릅도로서, 주변밝기, 현재시간의 정보데이타를 읽어들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룩업 테이블을 읽어들여 음량 조절값을 결장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8도는 제6도중 마이크로 프로세서(3)내 메모리 룩업 테이블 구성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6-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광센서(10)에서는 주변 밝기에 해당하는 전압이 검출된다.
이때 상기 광센서(10)는 주변이 어두우면 저항치가 커지고 밝으면 저항치가 작아지게 되어 주변의 밝기가 전압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타이머(2)는 현재 시간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로 인가한다. 상기 광센서(10)에서 검출된 주변밝기신호와 상기 타이머(2)의 현재 시간을 입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상기 각 입력신호에 따라 제8도와 같은 룩업테이블을 읽어들여 음량 조절값을 결정하여 음성신호처리부(4)로 인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4)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서 결정된 음량 조절값으로 음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에서 음량 조절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제7도ㅇ의 흐름도에서 살펴보면 (7a)단계에서 주변밝기와 현재시간에 대한 데이타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데이타가 입력되면 (7b)단계를 수향한다.
상기 (7b)단계에서는 주변밝기, 현재시간의 데이타를 읽어들여 해당 룩업 테이블의 정보를 찾기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7d)단계를 수행한다. 상기(7d)단계에서는 제8도의 같은 룩업테이블에서 해당 어드레스에 대한 각 정보를 읽어들이고 (7e)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e)단계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로 입력되는 각 신호에 해당하는 음량 조절값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량 조절장치에서 전원온시 주변밝기나 시간에 따라 퍼지 이론을 이용하여 싸운드(sound)량을 조절함으로써 초기동작시 고음량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놀라는 경우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광센서(10)와, 현재의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30)와, 상기 광센서(10)로 부터 주변의 밝기 감지신호를 받아 밝기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밝기 멤버쉽 펑션부(20)와, 상기 타이머(30)로 부터 현재 시간을 입력하여 시간에 따른 밝기정도를 판단하는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와, 주변의 밝기 및 시간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퍼지룰(FUZZY Rule)을 저장하는 퍼지룰 저장부(50)와, 상기 밝기 멤버쉽 펑션부(20)와 클럭 멤버쉽 펑션부(40)에서 판단된 밝기신호를 받아 상기 퍼지룰 저장부(50)의 퍼지룰에 따라 음량 조절값을 결정하는 퍼지처리부(60)와, 상기 퍼지처리부(60)에서 결정된 음량 조절값을 레벨값으로 변환 출력하는 멤버쉽 펑션처리부(70)와, 상기 멤버쉽 펑션부(70)의 변환된 레벨값을 저장하는 메모리(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지룰 저장부(50)는 주변 밝기 및 시간변화에 따른 밝기와 전원오프전의 싸운드 값에 따라 음량 조절값을 설정하기 위한 퍼지룰을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3.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방법에 있어서, 주변밝기, 현재시간의 정보데이타를 읽어들여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발생된 어드레스에 의해 룩업 테이블은 읽어들여 음량 조절값을 결정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방법.
KR1019910010490A 1991-06-24 1991-06-24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KR93000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490A KR930006486B1 (ko) 1991-06-24 1991-06-24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0490A KR930006486B1 (ko) 1991-06-24 1991-06-24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726A KR930001726A (ko) 1993-01-16
KR930006486B1 true KR930006486B1 (ko) 1993-07-16

Family

ID=1931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490A KR930006486B1 (ko) 1991-06-24 1991-06-24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4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726A (ko) 199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599B1 (ko) 칼라텔레비젼의 화면 조정 회로 및 방법
KR950006237B1 (ko) 계조보정장치
JPWO2010044256A1 (ja) 輝度補正装置及び輝度補正方法
KR20030059624A (ko) 휴대용컴퓨터의 볼륨제어시스템 및 볼륨제어방법
KR920022877A (ko) 계조 보정 장치
US20050117062A1 (en) Device for automatic display adjustment
KR930006486B1 (ko) 퍼지 이론을 이용한 음량 조절장치 및 방법
US20040160411A1 (en) Optical input device with various illuminations in detecting a movement thereof
KR20040015614A (ko)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US59233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ris according to brightness variation of input signal
KR950015097B1 (ko) 주위명암적응식 자동영상제어장치와 그 방법
KR0165233B1 (ko) 선명도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246396B1 (ko) 티브이 수상기의 영상 및 음성제어 장치 및 방법
JP2595021Y2 (ja) パルス幅調整装置
KR100331829B1 (ko) 티브이의 시청환경 제어장치 및 방법
KR0155747B1 (ko) 디지탈기기의 모드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281722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920005173B1 (ko) 텔레비젼의 영상 및 음성제어 값의 기억, 재생에 의한 영상 및 음성제어방법
JPH04167024A (ja) 音量の自動調整する携帯用端末装置
JPH05341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自動音量制御方法
KR960002019B1 (ko) 음량 설정장치
KR950002444A (ko) 사운드 뮤팅시 볼륨조절방법
KR950022720A (ko) 팩시밀리의 회상농도 조정방법
KR19980045814U (ko) 자동 명도 조절장치
KR19980031653A (ko) 모니터에서 볼륨을 선형적으로 조절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