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280Y1 -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280Y1
KR930006280Y1 KR2019900010328U KR900010328U KR930006280Y1 KR 930006280 Y1 KR930006280 Y1 KR 930006280Y1 KR 2019900010328 U KR2019900010328 U KR 2019900010328U KR 900010328 U KR900010328 U KR 900010328U KR 930006280 Y1 KR930006280 Y1 KR 930006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resistor
wafer
diode
variable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430U (ko
Inventor
서현모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0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280Y1/ko
Publication of KR920003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4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SR : 무접점 계전기 DIAC : 다이액
TRIAC : 트라이액 VR1, VR2 : 가변저항
D1-D4 : 다이오드 C1, C2 : 콘덴서
LP : 램프
본 고안은 웨이퍼 마커(Wafer Marker)의 램프 제어회로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퍼 마커의 램프 수명 및 주변회로에 무리가 없도록 준비상태(STANBY)에서는 소비전력이 낮고, 웨이퍼마킹 작업시에는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웨이퍼 마커의 램프제어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이퍼 마커는 반도체소자의 제조공정에서 웨이퍼의 마킹(Marking)작업을 하는 것으로, 웨이퍼 마커의 램프는 마킹동작을 할때 풀(Full)로 턴온되어 마킹작업을 하고, 다음 웨이퍼 마킹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 아이들(Idle) 상태로 턴온을 유지한다.
제1도는 종래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도로서, 준비상태인 아이들상태에는 전원전압(AC)이 저항(R)을 통해 램프(LP)에 공급되고, 마킹동작에서는 제어신호(C1,C2)에 의해 턴온되는 무접점계전기(Solid State Relay; SSR)를 통해 상기 전원전압(AC)을 램프(LP)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웨이퍼 마커의 램프제어회로는, 준비상태에서 저항(R, 약 10Ω100w)을 통해 램프(LP)가 구동되므로 어두운 밝기로 턴온된다. 그리고, 마킹하고자 하는 웨이퍼가 마킹준비가 완료되면, 웨이퍼 마커의 시스템 콘트롤러가 제어신호(C1,C2)를 출력하여 무접점계전기(SSR)를 온 시키므로 램프(LP)는 전원전압(AC)을 무접점계전기(SSR)를 통해 인가받아 웨이퍼 마킹에 필요한 밝기로 턴온된다.
그러나, 웨이퍼 마킹작업을 계속으로 반복 수행하는 웨이퍼 마커는 하나의 웨이퍼 마킹이 끝나면 다음 웨이퍼가 준비될때까지 저항(R)을 통해 램프(LP)를 아이들상태로 턴온시키므로 저항(10 100w)에서 소비전력이 많이 발생됨과 아울러 램프(LP)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아이들 상태의 램프구동을 위상제어를 통해 제어하고, 마킹동작의 램프구동은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웨이프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를 웨이퍼 마커의 램프제어회로도로서, 이를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LP)의 일측을 무접점계전기(SSR)의 일측(a)에 연결함과 아울러 트라이액(TRIAC)을 통해서 전원전압(AC)단자에 연결하고, 저항(R1)을 통해서는 콘덴서(C1)를 통해, 저항(R2)을 통해서는 역방향 다이오드(D1)를 통해, 저항(R3)을 통해서는 다이오드(D4)를 통해, 가변저항(VR1)을 통해서는 콘덴서(C2)를 통해 상기 전원전압(AC)단자에 공통연결하며, 시스템 콘트롤러의 제어신호(C1,C2)를 인가받는 상기 무접점계전기(SSR)의 타측(b)을 가변저항(VR2)을 통한후 상기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2)의 접속점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다이액(DIAC)을 통해서 상기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단자에, 다이오드(D2)를 통해서는 상기 저항(R2)과 역방향 다이오드(D1)의 접속점에, 역방향 다이오드(D3)를 통해서는 상기 저항(R3)과 다이오드(D4)의 접속점에 공통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접점 계전기(SSR)의 일측(a)과 타측(b)단자가 오프상태에 있는 즉, 아이들상태의 램프(LP) 구동의 경우에는 전원전압(AC)이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잡음이 제거된 후 저항(R2) 및 역방향 다이오드(D1)을 통해 전원전압(AC) 위상의 반파만 공급받아 구동되고, 저항(R3)을 통한 후 다이오드(D3)를 통해서 및 가변저항(VR1)을 통해서 콘덴서(C2)가 충전을 시작하는데, 이 콘덴서(C2)의 충전량이 일정치 이상이 되면, 다이오드(D3)는 턴오프되고 다이오드(D2)는 턴온되면서 역방향 다이오드(D1)0를 턴오프시키므로 전원전압(AC)의 교류신호중 일측 위상이 반파는 차단되고, 타측 위상의 반파만 저항(R3) 및 다이오드(D4)를 통해 전원전압(AC)이 공급되어 램프(LP)는 아이들 상태의 턴온유지를 한다. 여기서, 저항(R3)을 통한후 다이오드(D3)를 통해서 및 가변저항(VR1)을 통해 콘덴서(C2)에 충전되면서 발생하는 그 접속점 전위는 다이액(DIAC)을 턴온시키지 못하여 트라이액(TRIAC)은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변저항(VR1)을 조절하여 콘덴서(C2)의 충전전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아이들상태의 램프(LP) 밝기를 최소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퍼 마킹 동작의 램프(LP) 구동은 웨이퍼 마커의 시스템 콘트롤러가 제어신호(C1,C2)를 제어출력하여 무접점 계전기(SSR)를 온 시키게 된다. 즉 무접점 계전기(SSR)의 일측(a)0과 타측(b)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저항(VR1), (VR2)이 병렬연결 상태가 되어 저항값이로 작아지므로, 빛의 밝기를 크게하기 위해서 상기 가변저항(VR2)를 조절하면 콘덴서(C2)의 충전전위는 크게되어 그 충전전위가 다이액((DIAC)을 턴온시켜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바이어스를 가해 그 트라이액(TRIAAC)을 턴온시킨다.
따라서 상기 트라이액(TRIAC)을 통하는 풀파워(전원전압(AC))가 램프(LP)로 흐르게 되어 웨이퍼 마킹작업에 충분한 밝기로 램프(LP)를 구동시킨다. 즉 가변저항(VR1)을 조절하여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 바이어스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가변저항(VR2)를 조절하여 마킹 동작의 램프(LP) 턴온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 상태의 램프(LP) 구동은 저항(R2) 및 역방향 다이오드(D1)를 통하는 반파 위상의 전원전압(AC) 또는 저항(R3) 및 다이오드(D4)를 통하는 반파위상의 전원전압(AC)만을 공급받아 램프(LP)를 구동함과 아울러 가변저항(VR1)을 통해 최소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마킹 동작의 램프(LP)를 구동은 시스템 콘트롤러의 제어(C1,C2)를 받는 무접점 계전기(SSR)의 제어에 따라 가변저항(VR1)을 통해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 바이어스를 조절하여 그 트라이액(TRIAC)을 통해 램프(LP)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가변저항(VR2)을 통해서는 그 램프(LP)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웨이퍼 마커의 램프 구동제어를 아이들상태에서는 위상제어를 통해 제어하므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고 가변저항을 통해 바이어스를 조절하는 트라이액을 통해 마킹동작의 램프구동을 시키므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전압(AC)을 타측으로 인가받는 램프(LP)의 일측을 무접점계전기(SSR)의 일측(a)에 접속함과 아울러 트라이액(TRIAC)을 통해서 상기 전원전압(AC)단자에 접속하고, 상기 램프(LP)의 일측을 저항(R1)(R2)(R3) 및 가변저항(VR1)의 일측에 각기 접속하여 상기저항(R1)(R2)(R3) 및 가변저항(VR1)의 타측을 콘덴서(C1), 역방향 다이오드(D1), 다이오드(D4) 및 콘덴서(C2)를 각기 통해 전원전압(AC)단자에 접속하며 시스템 콘트롤러의 제어신호(C1)(C2)를 인가받는 상기 무접점계전기(SSR)의 타측(b)을 가변저항(VR2)을 통해 상기 가변저항(VR1)과 콘덴서(C2)의 접속점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다이액(DIAC)을 통해서 상기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단자에 다이오드(D2)를 통해서 상기 저항(R2)과 역방향다이오드(D1)의 접속점에 역방향 다이오드(D3)를 통해서 상기 저항(R3)과 다이오드(D4)의 접속점에 공통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마커의 램프제어회로.
KR2019900010328U 1990-07-13 1990-07-13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KR930006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328U KR930006280Y1 (ko) 1990-07-13 1990-07-13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328U KR930006280Y1 (ko) 1990-07-13 1990-07-13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430U KR920003430U (ko) 1992-02-25
KR930006280Y1 true KR930006280Y1 (ko) 1993-09-17

Family

ID=1930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328U KR930006280Y1 (ko) 1990-07-13 1990-07-13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2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430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6746A (en) Power control circuit
US4475065A (en) Method of operating HID sodium lamp to minimize lamp voltage variation throughout lamp life
US4380730A (en) Electrical power regulating apparatus and method
KR930006280Y1 (ko) 웨이퍼 마커의 램프 제어회로
CN111698809A (zh) 低调光快速驱动系统、方法及控制器
US4479077A (en) Sewing machine with a universal motor
JP3378768B2 (ja) 電源切換回路
JP2003158299A (ja) Led電源制御回路
JPH0326640Y2 (ko)
JP2746271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318013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기동전류 제어회로
JP3346786B2 (ja) 電源投入制御用スイッチング回路および電源投入制御方法
JPH0143580Y2 (ko)
JPH0974346A (ja) タイマー回路
JPH04311199A (ja) 遠隔制御スイッチ装置
JPH0427074Y2 (ko)
KR860001005Y1 (ko) 광전식 자동 점멸기
KR920007037Y1 (ko) 승강기의 비상등 구동회로
JPH0540591Y2 (ko)
KR870001301Y1 (ko) 전원전압절환회로
JPS5843195Y2 (ja) 遅れ機構付調光器
JPH01294397A (ja) 螢光灯点灯装置
JPH0331040Y2 (ko)
JPH01117690A (ja) 送風機制御装置
DE3887888D1 (de) Primärgetaktetes Schaltnetzte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