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237B1 -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237B1
KR930006237B1 KR1019900019159A KR900019159A KR930006237B1 KR 930006237 B1 KR930006237 B1 KR 930006237B1 KR 1019900019159 A KR1019900019159 A KR 1019900019159A KR 900019159 A KR900019159 A KR 900019159A KR 930006237 B1 KR930006237 B1 KR 93000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remote
remote recording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169A (ko
Inventor
이석규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김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김용선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237B1/ko
Priority to US07/791,230 priority patent/US5249217A/en
Publication of KR92001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1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dictation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1Conversation record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양방항 녹음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녹음 동작시작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통화중에 녹움 중단 및 통화 끝에 녹음 중단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원격 제어 녹음 시작처리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원격 제어 녹음 시작처리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원격 제어 녹음 중단처리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원격 제어 녹음 중단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제1,2송수신완충부 20,21 : 제1,2고주파증폭부
30,31 : 제1,2중간주파증폭 및 혼합부 40,41 : 제1,2음성증폭부
50,51 : 제1,2신호증폭부 60,61 : 제1,2CPU
70,71 : 제1,2송신전력증폭부 80,81 : 제1,2송신변조부
90,91 : 제1,2신호증폭부 100 : 링신호검출부
110 : 표시부 120 : 키패드부
130 : 다이얼부 140 : 재생부
150 : 응답메세지 녹음 및 송출부 160 : 용건메세지 녹음부
본 발명은 무선응답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중에 녹음할 필요성이 있을 때 휴대장치에서 원격제어하여 상대방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에 녹음버튼이 있어서 통화중에 녹음필요사항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휴대장치에 위치한 녹음버튼을 선택해줌에 따라 송출되는 원격녹음데이타를 고정장치에서 감지하여 국선을 통해 인가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녹음부에서 녹음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에 녹음중지버튼이 없어서 사용자가 녹음필요사항에 따른 녹음이 이루어지던 중에 녹음을 중단하고 싶어도 사용자가 고정장치와 멀리 떨어져서 녹음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키지 못하였거나, 녹음부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 고정장치의 녹음부는 계속 구동되어 불필요하게 테이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통화도중에 녹음버튼을 이용하여 녹음할 경우에 녹음시점을 표시하여 주는 기능이 없어서 언제 전화가 녹음되었는지 알 수 없었다(이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회로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휴대장치 및 고정장치의 부피가 부피가 증가하고 원가가 상승함에 의해서 제품적용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도록 무선전화기 사용중 녹음필요사항이 있을 때 유대장치에서 원격제어하며 상대방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통화중 동작버튼에 의해 원격녹음키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이 녹음키이면 원격녹음시작데이타를 송출하여 녹음시작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인가되는 데이타에 의해 녹음모드동작 및 플래그를 세트하여 원격녹음시작데이타를 녹음시작 처리과정에 인가하는 과정과, 통화중 해제버튼에 의해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녹음중단키 입력이면 원격녹음중단데이타 송출하여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인가되는 데이타를 읽어 원격 녹음중단데이타 인가를 판단하여 이 데이타이면 원격녹음상태를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 블럭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 블럭도로서, 일부 구성 및 동작이 같으므로 하기에 함께 설명한다.
송수신 고주파신호를 분리하는 제1,2송수신완충부(10,11)와, 상기 제1,2송수신완충부(10,11)에서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증폭하는 제1,2송수신완충부(20,21)와, 국부발진주파수와 상기 제1,2고주파증폭부(20,21)의 고주파를 혼합하여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는 제1,2중간주파증폭 및 혼합부(30,31)와, 상기 중간주파신호에서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증폭하는 제1,2음성증폭부(40,41)와, 상기중간주파신호에서 데이타신호를 검출하는 제1,2데이타검출부(50,51)와,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제1,2CPU(60,61)와, 마이크와 제1,2CPU(60,61)의 제어하에 인가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제1,2신호증폭부(90,91)와, 상기 제1,2신호증폭(90,91)에서 증폭된 신호를 송신주파수의 신호로 변조시키는 제1,2송신변조부(80,81)와, 상기 제1,2송신변조부(80,81)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증폭하는 송신전력증폭부(70,71)와, 국선에 인가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2CPU(61)에 상태정보를 주는 링신호검출부(100)와, 제1CPU(60)에 접속하여 현재 동작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부(110)와, 상기 제1CPU의 동작 및 기능을 정의하는 키패드(Key Pad) 부(120)와, 제2CPU(61)에 접속하며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다이얼부(130)와, 고주파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t)와, 국선과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를 신호적으로 연결하는 하이브리드(HB)와,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Mic)와, 전기적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키는 스피커(SPK)와, 응답메세지 및 용건메세지를 재생하는 재생부(140)와, 제2CPU(61)의 제어에 의해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에 대해 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응답메세지 녹음 및 송출부(150)와, 제2CPU(61)의 제어를 받아 상대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용건메세지녹음부(160)로 구성한다.
제3,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의 녹음동작시작 및 녹음중단, 통화끝에 녹음중단 설명도이고, 제5,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 및 고정장치의 원격제어녹음시작 처리흐름도이며, 제7,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 및 고정장치의 원격제어녹음중단 처리흐름도로서, 상술한 구성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무선응답전화기는 휴대장치 및 고정장치간을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상호 통화 및 부재시 대리응답 및 녹음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이 수행과정은 제1,2도의 구성에 의해 처리되는 과정이므로 이 처리되는 과정을 제3,4도를 보며 설명한다.
우선 현재 휴대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외부와의 통화중 메모사항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휴대장치의 동작버튼(양방향 녹음버튼)을 누르면, 휴대장치의 제1CPU(60)는 이를 감지하여 (1A)단계에서 원격녹음키 인가를 판단한후, 원격녹음키가 아니면 (1A)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원격녹음키이면 원격녹음키에 세팅된 데이타를 키패드부(120)에서 만들어 제1CPU(60)의 제어하에 신호증폭부(90)로 인가한다. (2A단계) 상기 신호증폭부(90)는 인가된 원격녹음데이타를 일정량만큼 증폭시켜서 송신변조부(80)로 출력하고, 상기 송신변조부(80)는 송신하기에 적절한 신호로 변조시킨다. 상기 송신변조기(80)에서 변조된 신호는 데이타검출부(50)에 의해 변조된 신호의 위상이 검출되고, 상기 송신변조부(80)의 출력은 송신전력증폭부(70)로 입력되어 일정량만큼 증폭된후 송수신완충부(10)를 통해서 안테나(At)로 송출된다. (3A단계) 이때 고정장치는 데이타가 포함된 고주파신호를 안테나(At)로 수신한다. (4A단계) 상기 (4A)단계에서는 수신된 데이타를 있을 때(제 5A단계) 제2송수신완충부(11)에서 송신주파수와 분리된후 제2고주파증폭부(21)로 입력되어 일정량만큼 증폭된다. 그다음 증폭된 신호가 제2중간주파증폭 및 혼합부(31)에서 국부발진주파수와 혼합된 후 중간주파신호를 검출하고, 중간주파신호에서 검파하여 제2데이타검출부(51)에서 데이타신호를 분리해낸다.
상기 제2데이타검출부(51)의 출력 데이타신호를 입력한 고정장치의 제2CPU(61)는 (5A)단계에서와 같이 데이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데이타가 있을 때, 상기 수신된 데이타에 원격녹음데이타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없으면 상기의 과정이 다시 수행되도록 제2CPU(61)의 메인루프로 귀환하고, 원격녹음데이타가 있으면 용건메세지녹음기능, 즉, 용건메세지녹음부(160)에 제2CPU(61)로부터 제1제어신호(S1)를 인가하여 현재 통화중인 상태의 음성패스(Path)를 연결해 준다.(6A단계) 그래서 (7A)단계에서는 녹음모드로 동작하게 되어 (8A)단계에서 제2CPU(61)가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완료했다는 원격녹음시작데이타를 송출한다. 상기 응답메세지녹음 및 송출부(150)에서 송출하는 데이타는 신호증폭부(91)에서 일정량만큼 증폭되어 제2송신변조부(81)에서 고주파 변조된후 제2송신전력증폭부(71) 및 제2송수신완충부(11)를 통해 안테나(At)로 방사한다. (8A 단계) 이때 송신변조부(81)에서 변조되는 신호는 데이타검출부(51)의 위상제어를 받으며, 상기 (8A)단계에서 송출된 데이타는 휴대장치의 안테나(At)로 수신되어 제1송수신완충부(10)를 거쳐 제1고주파증폭부(20)에서 증폭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제1중간주파증폭 및 혼합부(30)를 통해 제1데이타검출부(50)로 인가하여 검파작용에 의해 추출된 데이타가 (9A)단계에서와 같이 제1CPU(60)에서 원격녹음시작데이타 인가를 비교한다. 상기 (9A)단계에서는 비교된 데이타가 원격녹음시작데이타이면 (10A)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삐"하는 단음으로 상태를 알려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수행이 끝나면 상대방의 음성이 녹음되는 동작이 수행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녹음중에 불필요한 통화녹음을 중지할때는 사전에 정의된 해제버튼(동작버튼과 동일한 버튼을 토글형태로 다시 누르거나)을 누르면, 해제데이타가 동작데이타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장치의 제2CPU(61)에 전달되어 고정장치는 녹음상태를 중지하고 이 중지상태를 휴대장치로 통보하는 방법과 상호 통화중단에 의해 휴대장치가 통화대기모드로 전환될 때 녹음을 중단하는 상태로 들어가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음동작이 수행되던 중에 키가 입력되면, 제1CPU(60)에서는 원격녹음중단키인가를 판단하여(1B)단계, 녹음중단키이면 원격녹음중단데이타를 송출한다.(2B단계) 상기 (1B)단계를 수행하고, 통화중이던 (4B)단계에서 원격녹음중단데이타를 송출한후 (5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B)단계에서는 대기데이타를 송출한다. 상기 2B단계와 5B단계에서 원격녹음중단데이타 및 대기데이타가 송출하면, 고정장치에서는 원격녹음데이타가 수신됐을 때와 같은 방법으로 원격데이타를 안테나(At)로 수신한다.(6B단계) 상기 데이타가 수신되면 제2CPU(61)에서는 (7B)단계에서와 같이 데이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없으면 다시 (6B)단계를 수행하고 있으면 (8B)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8B)단계에서는 원격녹음중지데이타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없으면 상기 과정이 반복수행되도록 제2CPU(61)의 메인루프로 귀환하고, 데이타가 있으면 (9B)단계에서와 같이 녹음중지루틴이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Soft ware)에 의해 처리되는 흐름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외부와의 통화중 녹음하고 싶은 사항이 있을때 사용자가 휴대장치의 동작버튼을 누른다. 상기 동작버튼에 의해 휴대장치의 제1CPU(60)는 (1C)단계에서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 통화중이 아니면 대기모드처리루틴을 처리하고, 통화중이면 키입력인가를 판단하여(2C 단계) 키입력이 아니면 다른 동작 진행 및 관련처리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키입력이면 (3C)단계에서 원격녹음키 입력인가를 판단하여 원격녹음키 입력이 아니면 각 키에 예약된 동작처리 루틴을 수행하고, 원격녹음키이면 (4C)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C)단계에서는 원격녹음상태플래그(Flag)를 세트(Set)하고, (5C)단계에서 원격녹음데이타를 송출하여 (6C)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C)단계에서는 데이타를 송신하고 일정시간 이후까지 답신상태 처리루틴이 된다. 그다음 (7C)단계에서는 에러가 발생했나를 체크하여 에러발생이면 재송출이나 에러처리루틴을 행한다. 상기 에러발생이 아니면 (8C)단계를 수행하여 부저나 스피커(SPK)에 "삐"음을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녹음시작을 알린다.
이때 고정장치의 제2CPU(61)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D)단계에서 원격데이타 수신버퍼를 읽어 (2D)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D)단계에서는 데이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없으면 대화모드에서 키체크등 다른 루틴을 수행하고, 데이타가 있으면 (3D)단계를 수행하여 원격녹음데이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원격녹음데이타가 아니면 다른 데이타처리루틴을 수행하고, 원격녹음데이타이면 (4D)단계를 수행한다.
또한편, 외부와의 통화중 불필요한 통화녹음을 중지할때의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를 보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전에 정의된 해제버튼을 누른다.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 제1CPU(60)에서는 (1E)단계에서 원격녹음플래그의 세트여부를 판단하여 세트가 아니면 리턴하고 세트이면 (2E)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E)단계에서는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키입력이면 (3E)단계에서 원격녹음중단데이타를 송출하여 (6E)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이 아니면 (4E)단계에서 통화가 끝났는가늘 판단하여 통화가 끝나지 않았으면 리턴하고, 끝났으면 (5E)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E)단계에서는 통화끝 대기모드데이타를 송출하여 (6E)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고정장치에서 원격제어녹음플래그가 세트된 상태에서 통화끝/대기모드 전환 데이타를 받으면 통화모드해제와 동시에 원격제어녹음플래그 리세트(Reset)한다.
상기 (6E)단계에서는 데이타를 송출하고 체크루틴이 된다. 그다음 (7E)단계에서 에러가 발생됐나를 체크하여 에러발생이면 재송출이나 에러처리루틴을 수행한다. 상기 오류발생이 아니면 (8E)단계에서 원격녹음상태플래그를 리셋트한다.
이때 고정장치의 제2CPU(61)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F)단계에서 원격녹음플래그의 세트여부를 판단하여 세트가 아니면 리턴하고, 세트이면 (2F)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F)단계에서는 원격데이타 수신버퍼를 읽어 (3F)단계에서 데이타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타가 없으면 다른 동작상태 진행 및 관련처리루틴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타가 있으면 (4F)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F)단계에서는 원격녹음중지데이타 여부를 판단하여 이 데이타가 아니면 (5F)단계를 수행하고, 이 데이타이면 (7F)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F)단계에서는 통화끝/대기모드 데이타인가를 판단하여 아니면 리턴하고, 이 데이타이면 (6F)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6F)단계에서는 해당처리루틴을 수행하여 (7F)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F)단계에서는 녹음동작중지루틴을 처리하여 (8F)단계에서 원격녹음상태플래그를 리세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무선응답전화기의 하드웨어에 별도의 추가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 통화중에 녹음필요사항이 있을 때 휴대장치에서 원격제어하여 상대방 음성을 녹음하고 통화중 불필요한 통화녹음을 중지할 수 있어 제품이 실용적이면서 구성이 간간하고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무선전화기에서의 통화녹음방법에 있어서, 통화중 동작버튼에 의해 원격녹음키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이 녹음키이면 원격녹음시작데이타를 송출하여 녹음시작을 알리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인가되는 데이타에 의해 녹음모드 동작 및 플래그를 세트하여 원격녹음시작데이타를 제1과정에 인가하는 제2과정과, 통화중 해제버튼에 의해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녹음중단키 입력이면 원격녹음중단데이타를 송출하여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셋트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인가되는 데이타를 읽어 원격녹음중단데이타인가를 판단하여 이 데이타이면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통화중인 상태 및 원격녹음키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녹음키 입력이면 원격녹음상태를 플래그를 세트하여 원격녹음데이타를 송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데이타를 송신하고 체크루틴상태이면 에러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에러발생이 아니면 녹음시작을 알리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원격데이타 수신버퍼를 읽어 원격녹음데이타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원격녹음데이타이면 녹음모드동작 및 플래그를 세트하여 원격녹음시작데이타를 송출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원격녹음 플래그 세트 및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여부를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이면 원격녹음중단데이타를 송출하여 에러발생이 아닐경우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제7단계와, 상기 원격녹음중단키 입력이 아니면 통화가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끝났으면 통화끝/대기모드 데이타를 송출하여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원격녹음플래그가 세트인가를 판단하여 세트이면 원격데이타 수신버퍼를 읽어 원격녹음중지 데이타인가를 판단하는 제9단계와, 상기 원격녹음중지데이타이면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세트하는 제10단계와, 상기 원격녹음중지데이타가 아니면 통화끝/대기모드 데이타인가를 판단하여 이 데이타이면 해당 루틴을 처리하여 원격녹음상태 플래그를 리셋트하는 제11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KR1019900019159A 1990-11-23 1990-11-23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KR93000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159A KR930006237B1 (ko) 1990-11-23 1990-11-23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US07/791,230 US5249217A (en) 1990-11-23 1991-11-13 Both way recording method of a wire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9159A KR930006237B1 (ko) 1990-11-23 1990-11-23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69A KR920011169A (ko) 1992-06-27
KR930006237B1 true KR930006237B1 (ko) 1993-07-09

Family

ID=1930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159A KR930006237B1 (ko) 1990-11-23 1990-11-23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49217A (ko)
KR (1) KR930006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4749B1 (en) * 1992-11-09 2006-06-20 Adc Technology Inc. Portable communicator
JP3073625B2 (ja) * 1993-05-10 2000-08-07 株式会社東芝 構内交換システム
KR960002355B1 (ko) * 1993-05-31 199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폰시스템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방법
US7769364B2 (en) * 2001-06-01 2010-08-03 Logan James D On demand voice mail recording system
FR2765064A1 (fr) * 1997-06-24 1998-12-24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telephonique comportant une station de base et au moins un dispositif de combine et procede pour la mise en communication d'un tel appareil
US6222909B1 (en) 1997-11-14 2001-04-24 Lucent Technologies Inc. Audio note taking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devices
NO307860B1 (no) * 1997-12-18 2000-06-05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Õte for Õ forbedre opptegningen av informasjon under en pÕgÕende telefonsamtale
US6804638B2 (en) * 1999-04-30 2004-10-12 Recent Memory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 recall and preservation of events prior to decision to record the events
US6661879B1 (en) 2000-07-19 2003-12-09 Xtend Communications Corp.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US8938256B2 (en) 2000-08-29 2015-01-20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using location aware devices for producing notification messages operating under rule-based control
GB2369266A (en) * 2000-10-25 2002-05-22 Joseph Abrahams Telephone call management
US7136630B2 (en) * 2000-12-22 2006-11-14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of recording voice signals in a mobile set
US6778639B2 (en) 2002-06-26 2004-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orizing recording of a message
US6658092B1 (en) 2002-06-26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horizing re-recording
US7072684B2 (en) * 2002-09-27 2006-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crib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US20040081292A1 (en) * 2002-10-23 2004-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el telephony recording
US20090119100A1 (en) * 2007-11-07 2009-05-07 Raji L Akella Associating annotation recording with a cell phone number
JP6146827B2 (ja) * 2015-09-10 2017-06-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話交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566634B (zh) * 2018-03-30 2021-06-25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降低蓝牙音箱连续唤醒延时的方法、装置及蓝牙音箱
CN112306909B (zh) * 2020-10-27 2022-08-05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缓存淘汰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493B1 (ko) * 1982-06-08 1984-12-31 김용원 무선전화기의 녹음기 원격제어장치
US4881259A (en) * 1989-01-06 1989-11-14 Dynascan Corporation Answering machine with cordless telephone
US5029198A (en) * 1990-01-17 1991-07-02 Geary A. Walpole Telephone call respon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5044010A (en) * 1990-03-29 1991-08-27 At&T Bell Laboratories Arrangement and method for selecting an available communication channel for a cordless telephone
US5138649A (en) * 1990-11-16 1992-08-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handset with remot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69A (ko) 1992-06-27
US5249217A (en) 199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237B1 (ko) 무선전화기의 양방향 녹음방법
JPH11205443A (ja) 分離型移動電話機及びその通話方法
JP3326206B2 (ja) 電話装置
KR0171440B1 (ko) 통화중 통화 메세지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 무선전화기 및 그의 메세지 저장 방법
JP2838881B2 (ja)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WO2022230349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0122448B1 (ko) 무선자동응답전화기에서 휴대장치에 구비된 재생용 스피커를 통한 자동응답메시지 원격재생방법 및 장치
KR100189638B1 (ko) 무선전화기의 dtmf를 이용한 데이타통신 방법
JP2525477Y2 (ja) 呼出し機能付き無線電話装置
JP3030997B2 (ja) 複合機能付電話装置
JPH0241224B2 (ko)
KR100238523B1 (ko)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고정장치 제어방법
JPH05218965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JPH039641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899444B2 (ja) 無線電話装置
JP3437612B2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JP3887952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7131516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14274A (ja) Dtmfレシーバ搭載無線通信端末装置
JPS6232647B2 (ko)
JPS60119143A (ja) コ−ドレステレホン装置
JPH04134952A (ja) 携帯電話装置
KR950001529B1 (ko) 무선전화기의 채널탐색 방법 및 장치
JPH0262148A (ja) 留守番電話装置
KR0159776B1 (ko) 자동응답 무선전화기에서의 자동 스크린 호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