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187Y1 -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 Google Patents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187Y1
KR930006187Y1 KR2019880014017U KR880014017U KR930006187Y1 KR 930006187 Y1 KR930006187 Y1 KR 930006187Y1 KR 2019880014017 U KR2019880014017 U KR 2019880014017U KR 880014017 U KR880014017 U KR 880014017U KR 930006187 Y1 KR930006187 Y1 KR 930006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ransistor
terminal
output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4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943U (ko
Inventor
박웅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4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187Y1/ko
Publication of KR900005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1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5Synchronising circuits with arrangements for extending range of synchronisation, e.g. by using switching between several time const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ZD1, ZD2 : 제너다이오드 Q1, Q2, Q3 : 트랜지스터
IC1, IC2 : 스위칭소자 D1 : 다이오드
본 고안은 멀티 동기 모니터(Multi sync monitor)에 있어서, 가기 다르게 인가되는 수평 주파수를 구별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해 주는 공급단에 입력 수평주파수에 맞는 전압레벨을 인가시켜 주어 수평 주파수를 구별해주도록 한 전압변화에 따를 전압 분배회로에 관한 것이다.
멀티 동기 모니터에는 15KHZ, 22KHZ, 30KHZ의 각기 다른 수평주파수가 인가될 때 이를 수평주파수를 전압변화시킨 출력전압을 각각 분배시켜 수평 주파수를 구별하는 공급단에 인가시킴으로써 수평 주파수는 맞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여 주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평 주파수를 주파수-전압 변환기에 전압 변화시킨 출력전압을 제1도에서와 같이 구성시킨 오피앰프(OP1-OP6)의 일축단자에 인가되게 하고 오피앰프(OP1-OP6)의 타측단자에는 기준전압(+16V)으로 고정시킨 전압이 인가되게 하여 서로 비교되게 하므로써 수평주파수를 구별하는 도시되지 아니한 공급단의 각 입력단자(①②⑬⑭)에 입력 수평주파수에 따라 각기 다른 전압레벨이 인가되게 하여 수평 주파수를 구별해 주는 것이었다.
즉 수평주파수를 전압 변화시켜 기준압이 인가되는 오피앰프프(OP1-OP6)의 일측단자에 인가시킴으로써 오피앰프(OP1-OP6)의 출력측에 연괸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②⑬⑭)에는 입력 수평주파수에 따라 각기 다른 전압레벨이 인가되게 되므로 공급단에서는 이러한 저압레벨을 감지하여 수평 주파수에 맞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이었다.
이같이 오프앰프를 사용하여 전압레벨을 선택해 주는 방식은 고가의 집적소자를 사용하게 되어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수평 주파수를 공급단에 인가시켜 주어 이를 구별하게 하는 전압레벨을 출력시키는 기능은 같으나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회로를 구성해 주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로써 본 고안은 각기 다른 수평 주파수를 전압 변화 시킨후 이를 분배시켜 도시되지 아니한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②⑬⑭)에 입력수평 주파수에 맞는 전압레벨을 인가시켜 주므로써 공급단에서 수평 주파수에 맞는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시되지 아니한 주파수-전압변환기에서 인가되는 입력전압은 각기 다른 채널 전압을 갖는 제너다이오(ZD1)(ZD2)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상기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출력전압은 스위칭 소자(IC1)(IC2)의 콘트롤 전압으로 인가되게 구성한다.
여기서 주파수 전압 변환기에서 변화시킨 입력 전압은 수평 주파수가 15KHZ일 때 6V. 22KHZ일 때 8.2V, 30KHZ일 때 11.5V로 인가되어지고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은 9,1V,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은 7.5V용을 사용한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IC1)(IC2)는 전자 스위치로 구성되어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출력전압이 인가될 경우 '턴온'되어 전원(Vcc)을 각각 트랜지스터(Q1)(Q3)의 베이스에 인가시키게 동작된다.
상기 스위칭소자(IC1)의 출력단 출력전압은 바이어스용 다이오드(D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⑭)에 전압을 인가시키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를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⑬)에 전압을 인가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스위칭소자(IC2)의 출력단 출력전압은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게 구성하고 상기 트랜지스트(Q3)의 콜렉터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②)에 전압을 인가시키게 구성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R1 R6는 바이어스용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평 주파수의 입력에 따라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②⑬⑭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이 다음의표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표 1]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입력단자(⑭, ①)에는 30KHZ일 때 로우레벨 상태가 되게하고 이외의 주파수에서는 하이레벨 상태가 되게 하며, 입력단자(②)에는 30KHZ일 때 하이레벨 상태가 되게하고 그 이외의 주파수에서는 로우레벨 상태가 되게 하며, 입력단자(⑬)에는 30KHZ일때 하이레벨 상태가 되게 하고 그 이외의 주파수에서는 로우레벨 상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만족 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의 입력측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은 수평주파수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인가되는 것으로 수평주파수는 도시되지 아니한 주파수-전압변환기에서 15KHZ일때에는 6V로 인가되고 22KHZ일때에는 8.2V인가되며 30KHZ일때에는 11.5V로 인가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제너다이오드(ZD1)의 제너전압은 9.1V이고 제너다이오드(ZD2)의 제너전압은 7.5V이며 각 스위칭소자(IC1)(IC2)는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출력전압이 인가될 때 스위칭 온되어 전원(Vcc)을 출력단의 출력전압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첫째, 수평 주파수가 15KHZ로 인가될 경우 이때에는 주파수전압변환기에서 변환시킨 입력전압이 6V로 인가되므로 9.1V제너다이오드(ZD1)와 7.5V제너다이오드(ZD2)를 통과하지 못하므로써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출력전압 없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IC1)(IC2)의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출력단 출력전압이 없게 된다.
스위칭 소자(IC2)의 출력전압이 없게 되면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의 향상태가 되어 공급단의 입력단자(②)에는 하이레벨이 인가된다.
그리고 스위칭소자(IC1)의 출력전압이 없게 되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의향되게 되고 트랜지스터(Q1)의 '턴오프'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의 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⑭)로 인가되는 전압은 하이레벨이 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⑬)로 인가되는 전압은 로우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15KHZ인가시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단의 입력단자사(①②⑬⑭)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의 조건을 만족시켜 주므로 15KHZ수평 주파수를 구별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둘째, 수평주파수가 22KHZ인가 될 경우 이때에는 입력전압이 8.2V로 인가되므로 9.1V 제어다이오드(ZD1)는 통과하지 못하고 7.5V 제너다이오드(ZD2)는 통과하게 되어 스위칭 소자(IC1)에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스위칭 동작되지 않게 되고 스위칭 소자(IC2)에는 제너다이오드(ZD2)의 출력전압이 인가되어 스위칭 동작하게 된다.
스위칭 소자(IC2)가 스위칭 동작하면 전원(Vcc)이 출력단 출력전압으로 나타나게 되어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키게 되므로써 공급단의 입력단자(②)에는 로우레벨이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칭소자(IC1)에는 9.1V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되지 아니하므로 스위칭 소자(IC1)의 출력전압이 나타나지 않아 15KHZ의 수평 주파수 인가시와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Q1)는 '턴온' 의향되고 트랜지스터(Q2)는 '턴온'의향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레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⑭)로 인가되는 전압은 하이레벨이 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⑬)로 인가되는 전압은 로우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22KHZ인가시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②⑬⑭)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의 조건을 만족시켜 주므로 22KHZ수평 주파수를 구별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셋째, 수평주파수가 30KHZ인 경우 이때에는 입력전압이 11.5V이므로 9.1V와 7.5V 제너다이오드(ZD2)를 모두 통과하게 되어 스위칭 소자(IC1)에는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출력전압이 인가되므로써 스위칭 소자(IC1)(IC2)는 스우칭 동작되어 전원(Vcc)을 출력단 출력전압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스위칭 소자(IC1)(IC2)가 출력단 출력전압이 나타나면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3)는 모두 '턴온'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②)에 인가되는 전압은 로우레벨이 되고 이때 트랜지스터(Q1)의 '턴온'으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온'의향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⑭)에 인가되는 전압은 로우레벨이 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측에서 공급단의 입력단자(⑬)에 인가되는 전압은 하이레벨이 된다.
그러므로 30KHZ의 수평 주파수 인가시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②⑬⑭)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의 조건을 만족시켜 주므로 30KHZ수평 주파수를 구별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멀티 동기 모니터에서는 수평 주파수가 변화되어 입력될 때 이를 구별하여 입력 수평 주파수에 맞는 화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평 주파수를 구별하기 위한 공급단에 수평 주파수에 따라 각기 다른 전압레벨을 인가시켜 주기 위하여 고가의 오피앰프들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해 주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저가의 트랜지스터와 스위칭소자를 사용하여 종래의 똑같은 기능을 행하도록 하므로써 가격 하락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평동기 주파수 입력에 따라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②⑬⑭)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변화시키는 멀티 동기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 동기 주파수를 주파수 전압 변환기에서 변환시킨 입력 전압을 검출하고 각기 다른 제너전압을 갖는 제너다이오드(ZD1)(ZD2)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ZD2)의 출력 전압인가시 스위칭 동작되어 전원(Vcc)을 출력전압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소자(IC1)(IC2)와, 상기 스위칭 소자(IC1)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구동되고 공급단의 입력단자(①⑭)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와 역구동되게 연결되고 공급단의 입력단자(⑬) 전압레벨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스위칭 소자(IC2)의 출력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고 공급단의 입력단자(②) 전압 레벨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3)를 연결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변화에 따른 전압분배회로.
KR2019880014017U 1988-08-26 1988-08-26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KR930006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017U KR930006187Y1 (ko) 1988-08-26 1988-08-26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017U KR930006187Y1 (ko) 1988-08-26 1988-08-26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43U KR900005943U (ko) 1990-03-09
KR930006187Y1 true KR930006187Y1 (ko) 1993-09-15

Family

ID=1927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4017U KR930006187Y1 (ko) 1988-08-26 1988-08-26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1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943U (ko) 199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762B2 (ja) パ−セント表示装置
JP2000122028A (ja) 液晶表示装置の電源供給装置及び電圧シ―ケンス制御方法
JPH09311310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イアス電圧発生装置及びバイアス電圧発生方法
KR930006187Y1 (ko) 전압변화에 따른 전압 분배회로
KR100206566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 발생 회로
KR100759343B1 (ko) Lcd 구동 회로
JP4161226B2 (ja) 液晶テレビジョン装置
KR960003441B1 (ko) 액정 디스플레이(lcd) 구동회로
KR0164527B1 (ko) 동기신호의 입력 극성 제어 회로
KR10094837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0125009Y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전원 절환회로
KR900010298Y1 (ko) 액정 모니터의 수평 드라이버회로의 칩 인에이블 신호 발생회로
KR910005523Y1 (ko) 아날로그 스위칭 ic 제어회로
KR860000729Y1 (ko) 채널 선국 표시회로
KR910004787Y1 (ko) 모우드 변환시 과도 현상 방지회로
KR950007512Y1 (ko) 입력신호 자동 선택회로
KR880002128Y1 (ko) 전자식 동기신호 전환회로
SU9208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ым индикатором
KR890004072Y1 (ko) 디지탈식 전원 공급회로
KR890004961Y1 (ko) 16/64 칼라 및 수직/수평 스위칭 절환회로
KR880001278Y1 (ko) 원격조정수상기에 있어서 화면문자발생데이타 스윗칭 회로
KR930008077Y1 (ko) Lcd 문자표시 구동장치
JP2951191B2 (ja) 液晶駆動回路
KR910008623Y1 (ko) 마이컴을 내장한 텔레비젼의 주전압 제어회로
KR890004968Y1 (ko) 16/64 칼라 및 수직/수평 스위칭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