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378B1 -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378B1
KR100948378B1 KR1020030055536A KR20030055536A KR100948378B1 KR 100948378 B1 KR100948378 B1 KR 100948378B1 KR 1020030055536 A KR1020030055536 A KR 1020030055536A KR 20030055536 A KR20030055536 A KR 20030055536A KR 100948378 B1 KR100948378 B1 KR 10094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oltage
transistor
curren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253A (ko
Inventor
윤원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37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는 스위치부, 베이스 전류 인가부 및 소비 전류 조절부를 포함한다.
스위치부는 베이스단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온/오프가 결정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이 게이트 구동부에 인가되도록 스위칭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베이스 전류 인가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 RC 시정수에 따라 지연된 제1 전압을 인가한다. 소비 전류 조절부는, 모스 트랜지스터(MOSFET)에 의한 전류 미러(Current Mirror)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 연결된다.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류 특성은 드레인 소스간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이 되면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게 되며, 상기 포화 영역에서의 전류의 크기는 드레인 소스간의 전압에는 관계없이 게이트 소스간의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의 소비 전류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에 의해, 스위치부의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별 소비 전류 산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게이트 온 전압, 게이트 오프 전압,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Driv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위치부 20: 베이스 전류 인가부
30: 소비 전류 조절부 100: 액정 패널
200: 게이트 전압 발생부 300: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
400: 게이트 구동부 500: 소스 구동부
Q1, Q2 : 트랜지스터 M1, M2 : 모스 트랜지스터
AVDD : 아날로그 전원 전압 VDD: 전원 전압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이트 온 전압 지연부의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별 소비 전류 산포 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 신호를 얻는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기판 위에는 서로 평행한 복수의 게이트선과 이 게이트선에 절연되어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이 형성되며, 이들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이 하나의 화소를 규정한다. 각 화소의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화소에 화상 데이터를 인가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타이밍 제어부가 화상 데이터를 제공받은 다음에 일정한 타이밍에 맞추어 게이트 구동부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로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선으로 주사 신호인 게이트 온 신호를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에 연결된 TFT를 순차적으로 턴온시키고, 이와 동시에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게이트선에 대응하는 화소 행에 화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보다 구체적으로 계조 전압)를 각 데이터선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데이터선에 공급된 화상 신호는 턴온된 TFT를 통해 각 화소에 인가된다. 이 때, 한 프레임 주기동안 모든 게이트선들에 순차적으로 게이트 온 신호를 인가하여 모든 화소 행에 화상 데이터를 인가함으로써, 결국 하나의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별도의 게이트 전압 발생부로부터 TFT를 온/오프 시키기 위하여 생성된 구동 전압인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을 공급 받게 되는데, 파워 시퀀스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에 인가되는 게이트 구동 전압은, 먼저 게이트 오프 전압을 인가받고, 이어서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받도록 정해져 있다.
이 타이밍 순서가 바뀌거나, 신호간 마진이 부족한 경우에는, 게이트 구동부의 내부 회로에서 래치 업(Latch-Up)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결과적으로, 게이트 구동부는 동작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오프 전압과 게이트 온 전압은 하나의 DC-DC 컨버터에서 발생되어 동시에 파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 오프 전압과 게이트 온 전압의 발생 시점 차이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 오프 전압 발생 시점보다 일정 시간 지연시켜 게이트 구동부에 입력하는 별도의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는 스위칭(Switching) 트랜지스터(Q1), 패싱(Passing)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NPN 트랜지스터이고, 패싱 트랜지스터(Q2)는 PNP 트랜지스터이다.
아날로그 전원 전압(AVDD)이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되고, 이 분압된 전압이 캐패시터(C)와 저항(R2)을 토대로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방전되어 저항(R3)을 통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패싱 트랜지스터(Q2)는 에미터단에 게이트 온 전압이 인가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또는 턴오프에 따라 스위칭이 결정되어, 턴온되면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을 통과시킨다.
한편,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패싱 트랜지스터(Q2)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이므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조절 회로를 사용할 경우, 소비 전류가 많다.
또한, 제품별로 소비 전류 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다음의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전압(VDD)을 기준으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조절 회로에 의한 소비 전류 증가분은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소비 전류 증가분 = (Von/VDD) * Ic = (Von/VDD) *β*Ib
상기 소비 전류 증가분은 수학식 1에서와 같이 β값에 의존하므로, BJT의 공정 산포에 따라 100~600 정도의 차이가 나는 β값에 의해, 제품마다 소비 전류 산포가 매우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 장치의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의 공정 산포에 따라 발생되는 소비 전류 편차를 줄이고,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는, 다 수의 게이트선, 상기 다수의 게이트선에 절연되어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가지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되어 형성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게이트 온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트 전압 발생부; 제1 전압이 RC 시정수에 따라 지연되어 방전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전류 인가부와, 상기 베이스 전류 인가부의 인가 전류를 토대로 온/오프가 결정되어,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이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소비 전류를 조절하는 소비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 상기 게이트선에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소스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의 소비 전류 조절부는, 제2 전압의 인가에 따라 포화 영역으로 동작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소비 전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베이스 전류 인가부의 전류 인가에 따라 온/오프가 결정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이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인가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비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 는 것이 바람직하며, 게이트와 드레인이 커플링되어 제2 전압을 인가받고, 소스는 접지된 제1 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커플링되고, 소스는 접지된 제2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제2 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한편,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PNP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00), 게이트 전압 발생부(200),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300), 게이트 구동부(400), 소스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100)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게이트선(G)과 이 게이트선(G)과 절연되어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선(D)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선과 하나의 데이터선이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행렬 형태의 각각 화소 영역에 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 개의 화소에 대한 등가회로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게이트선(G)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데이터선(D)에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액정 패널의 하부 기판에 형성된 화소 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 부 기판에 대향하여 형성된 상부 기판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압 발생부(200)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로부터 게이트 클럭(CPV)과 게이트 온 인에이블 신호(OE)를 입력받아 이 두 신호에 동기하는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상기 게이트 구동부(400)로 공급한다.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300)는 상기 게이트 온 전압(Von)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상기 게이트 구동부(40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상기 게이트선(G)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상기 게이트 온 전압(Von) 및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인가한다.
소스 구동부(500)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게이트 구동부(400)의 구동에 동기하는 데이터 신호를 모든 데이터 선에 인가한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30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300)는 스위치부(10), 베이스 전류 인가부(20) 및 소비 전류 조절부(3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10)는 일단이 베이스 전류 인가부(20)에 연결된 저항(R3)과, 베이스단이 상기 저항(R3)의 타단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이 상기 소비 전류 조절부(30)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일단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트랜지스터(Q2)에 연결되는 저항(R4)과, 베이스단이 상기 저항(R4) 타단에 연결되고, 에미터단과 상기 베이스단은 저항(R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에미터단에는 게이트 온 전압(Von)이 인가되는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Q2)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성되며, 각각 NPN, PNP 트랜지스터이다.
베이스 전류 인가부(20)는, 제너 다이오드(ZD), 저항(R1, R2)과, 상기 저항(R2)과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로 이루어진다.
소비 전류 조절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스 트랜지스터(MOSFET)에 의한 전류 미러(Current Mirror)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단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게이트단은 서로 커플링되고, 각각의 소스단은 접지되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모스 트랜지스터(M1, M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스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단과 게이트단은 커플링되며, 제1 모스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단은 저항(R6)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VDD)을 인가 받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아날로그 전원 전압(AVDD)이 제너 다이오드(ZD)에 의해 일정 전압으로 클램핑 되고,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다. 이 분압된 전압은, 상기 캐패시터(C)와 저항(R2)을 토대로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전원 전압(AVDD)보다 일정 시간 경과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전류공급을 하게 된다.
여기서, 아날로그 전원 전압(AVDD)은 DC-DC 컨버터의 전원 전압(VDD)에 의해 생성된 전압이며,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Voff)과 동일한 시점에서 생성된 전압이다.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단에 인가된 전류에 의해 스위칭이 결정되며, 제1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면 제2 트랜지스터(Q2)도 턴오프되고, 제1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상기 제2 트랜지스터(Q2)도 턴온된다.
즉, 상기 캐패시터(C)와 저항(R2)을 토대로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 상기 아날로그 전원 전압(AVDD)보다 일정 시간 경과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에 전류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Q2)도 상기 아날로그 전원 전압(AVDD)이 인가되는 시점에서 일정 시간 경과되어 턴온된다.
따라서, 제2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면, 제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 인가되는 게이트 온 전압(Von)은 소정 시간 지연되어 콜렉터단에 인가되어, 지연된 게이트 온 전압(Delayed-Von)이 상기 게이트 구동부(400)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소비 전류 조절부(30)의 제1 및 제2 모스 트랜지스터(M1, M2)의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ID1, ID2)는 다음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3029610117-pat00001
Figure 112003029610117-pat00002
여기서, VGS1 과 VGS2 는 각각 제1 및 제2 모스 트랜지스터(M1, M2)의 게이트 소스간 전압이고, β1 과 β2 는 각각 제1 및 제2 모스 트랜지스터(M1, M2)의 트랜스컨덕턴스 파라미터(trans-conductance parameter)로 공정 특성에 의존하는 정수값이고, VTHN 은 모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다.
소비 전류 조절부(30)의 제1 및 제2 모스 트랜지스터(M1, M2)의 게이트단은 서로 커플링되고, 소스단은 모두 접지된 구조로, 상기 제1 및 제2 모스 트랜지스터(M1, M2)의 게이트 소스간의 전압은 같게 되며, 전류 ID1, ID2는 다음 수학식 4를 만족한다.
Figure 112003029610117-pat00003
즉, 제1 모스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류는 상기 저항(R6)에 따라 결정되고, 제2 모스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류는 상기 제1 모스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모스 트랜지스터(MOSFET)의 전류 특성은 드레인 소스간 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이 되면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게 되며, 상기 포화 영역에서의 전류의 크기는 드레인 소스간의 전압에는 관계없이 게이트 소스간의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게이트 소스간의 전압은 전원 전압(VDD)과 저항(R6)값에 의해 고정되며, 제2 모스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소스간 전압이 증가하여도 전류는 포화 영역에서 동작하므로, 소비 전류는 일정 량을 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모스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류가 5mA 일경우, 제2 모스 트랜지스터(M2)는 0mA~5mA로 드레인 전류가 제한되므로, 제2 모스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단에 연결된 상기 스위치부(10)에서 소모되는 전류도 일정 량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4에서, 공정 산포에 의존하는 β값의 비로 전류를 설정할 수 있어,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300)의 제품간 산포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에 의한 소비 전류를 줄일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의 공정 산포에 따라 발생되는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에 의한 소비 전류 편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7)

  1. 다수의 게이트선, 상기 다수의 게이트선에 절연되어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에 연결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데이터선에 연결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가지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기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에 대향되어 형성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는 액정 패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게이트 온 전압 및 게이트 오프 전압을 생성하는 게이트 전압 발생부;
    상기 게이트선에 상기 게이트 오프 전압 및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제1 전압이 RC 시정수에 따라 지연되어 방전되도록 구성된 베이스 전류 인가부와, 상기 베이스 전류 인가부의 인가 전류를 토대로 온/오프가 결정되어,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이 상기 게이트 구동부로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소비 전류를 조절하는 소비 전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 및
    상기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소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게이트 온 전압 조절부의 소비 전류 조절부는,
    제2 전압의 인가에 따라 포화 영역으로 동작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소비 전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베이스 전류 인가부의 전류 인가에 따라 온/오프가 결정되는 제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게이트 온 전압이 상기 게이트 구동부에 인가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소비 전류 조절부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소비 전류 조절부는,
    게이트와 드레인이 커플링되어 제2 전압을 인가받고, 소스는 접지된 제1 모스 트랜지스터;
    드레인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 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커플링되고, 소스는 접지된 제2 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단에 흐르는 전류는
    상기 제2 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7. 제3항에서,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NPN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PNP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20030055536A 2003-08-11 2003-08-11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94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536A KR100948378B1 (ko) 2003-08-11 2003-08-11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536A KR100948378B1 (ko) 2003-08-11 2003-08-11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253A KR20050017253A (ko) 2005-02-22
KR100948378B1 true KR100948378B1 (ko) 2010-03-22

Family

ID=3722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536A KR100948378B1 (ko) 2003-08-11 2003-08-11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0663A (zh) * 2011-10-17 2012-05-02 机械科学研究总院先进制造技术研究中心 一种抓取高温钢板的柔性可调式机械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960A (ko) * 1999-12-31 2001-07-06 김영남 전류미러를 이용한 전계방출표시기의 캐소드 구동회로
KR20030015033A (ko) * 2001-08-14 2003-02-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원 시퀀스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35096A (ko) * 2001-10-30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960A (ko) * 1999-12-31 2001-07-06 김영남 전류미러를 이용한 전계방출표시기의 캐소드 구동회로
KR20030015033A (ko) * 2001-08-14 2003-02-2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원 시퀀스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30035096A (ko) * 2001-10-30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0663A (zh) * 2011-10-17 2012-05-02 机械科学研究总院先进制造技术研究中心 一种抓取高温钢板的柔性可调式机械手
CN102430663B (zh) * 2011-10-17 2015-01-21 机械科学研究总院先进制造技术研究中心 一种抓取高温钢板的柔性可调式机械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253A (ko)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7864B2 (en)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of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0747684B1 (ko) 전원 시퀀스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297140B1 (ko) 저전력소비와 정밀한 전압출력을 갖는 액정 표시용 구동 회로
US20110121741A1 (en) Planar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US7012587B2 (en) Matrix display device, matrix display driving method, and matrix display driver circuit
US6373479B1 (en) Power supply apparatus of an LCD and voltage sequence control method
JP4290680B2 (ja) 容量性負荷充放電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Lin et al. AM PWM driving circuit for mini-LED backlight in liquid crystal displays
KR10114638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게이트전압 제어장치 및 방법
US6943786B1 (en) Dual voltage switch with programmable asymmetric transfer rate
KR10094837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170107138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10111820A (ko) 킥백 전압 보상을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구동 회로
US5835999A (en) Low power regenerative feedback device and method
KR10096582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206566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전압 발생 회로
KR10076737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0840317B1 (ko) 게이트 구동 전압 발생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806904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KR10076551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회로.
KR100304264B1 (ko) 액정표시장치의 파워 시퀀스 제어장치
KR10078370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JP4217296B2 (ja) 表示装置用駆動回路
KR19980054998A (ko) 액정표시소자용 구동회로
KR20030058739A (ko) 액정표시장치의 전원관리 및 게이트 펄스 조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