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031B1 -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 Google Patents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031B1
KR930006031B1 KR1019900014326A KR900014326A KR930006031B1 KR 930006031 B1 KR930006031 B1 KR 930006031B1 KR 1019900014326 A KR1019900014326 A KR 1019900014326A KR 900014326 A KR900014326 A KR 900014326A KR 930006031 B1 KR930006031 B1 KR 93000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ignal
message
board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85A (ko
Inventor
한운영
이성재
강선무
김성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1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031B1/ko
Publication of KR92000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제1도는 본 발명의 메세지 전달부 전체 시스팀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구성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단말보드의 구성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와 신호단말보드들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STG-버스의 구성도.
제5도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에서 관리하는 신호단말보드의 상태 천이도.
제6도는 STG-버스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폴링 절차도.
제7도는 STG-버스의 메세지 포맷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호단말 20 : 레벨 3기능제어부
30 : 메모리 보드 40 :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
50 : STG-버스 60 : VME-버스
70 : B-버스
본 발명은 국산 전전자 교환기인 TDX-1("등록상표임") 계열에 공통선 신호방식(No.7)에 의한 망간 프로토콜을 이식하기 위한 메세지 전달부(MTP : Message Transfer Part)의 시스팀 구성에 관한 것이다.
각종 다양한 서비스의 통합제공을 실현시켜, 향후 도래할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종합정보통신망의 구축을 위하여 통신선진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서비스, 교환, 전송, 단말 등 각 분야에 걸쳐 폭넓게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는 단계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주요한 시점에서 이미 설치·운용되고 있는 국산 전전자교환기인 TDX-1 계열에 메세지 전달부 기능을 부가하여 공통선 신호방식에 의한 망간 프로토콜을 구현함에 있어서, 기반기술을 확보하고, 공통선 신호방식에 대한 통신기술의 자립화는 물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조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전자 교환기의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에 있어서, VME-버스, 상기 VME-버스에 연결되며 신호망 기능을 담당하는 레벨 3기능제어수단, 상기 VMR-버스에 연결된 메모리 수단, 상기 VME-버스에 연결되어 레벨 3기능제어수단으로 부터의 메세지를 VME-버스를 통해 전달받아 해석하여 송출하고 외부로 부터의 수신 메세지를 레벨 3기능제어수단으로 전달하도록 이중포트 램을 내장한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 상기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과, 사용자부(DTLP)간을 연결하는 프로세서간 통신채널 B-버스, 신호망기능(레벨 3)과 신호링크기능(레벨 3)을 연결하는 시스팀 내부의 프로세서간 통신채널 STG-버스, 및 상기 STG-버스를 통해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에 연결되어 레벨 3과 레벨 2 사이의 내부 신호메세지에 대해 신호단말 상태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상대측 레벨 3모듈과 통신하기 위해 DLC에 연결된 신호단말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메세지 전달부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10은 신호전달, 20은 레벨 3기능제어부, 30은 메모리 보드, 40은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 50은 STG-버스, 60은 VME-버스, 70은 B-버스이다.
레벨 3기능제어부(20)는 신호망기능을 담당하는 제어보드이며, VME-버스(60)에 의해 메모리보드(30)와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0)와 연결된다. 메세지 전달부는 사용자부(제1도의 DTLP)와 B-버스(70)를 통해서 메세지를 송·수신한다. STG-버스(50)는 신호망기능(레벨 3)과 신호링크기능(레벨 2)을 연결하는 시스팀 내부의 프로세서간 통신을 위한 버스이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0)에 최대 8대까지 접속될 수 있는 신호단말(10)은 TDX-1("등록상표임") 계열 교환기의 트렁크 모듈을 중계로 하여 상대측 신호단말과 신호데이타링크(레벨 1)를 설정하며, 이를 위해 신호단말보드(10)는 DLC(Data Link Concentrator) 인터페이스의 접속기능을 갖는다. 레벨 3기능제어부(20)는 신호망기능을 수행하고 VME-버스(60)를 통해 메세지 입· 출력전담보드(40)내의 DP-RAM(Dual Port-RAM)을 엑세스하여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0)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부(DTLP) 및 신호단말(10)과 메세지를 송·수신한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0)는 레벨 3기능제어부(20)에서 VME-버스(60)를 통해 전달된 메세지를 해석하여 B-버스를 통해 사용자부(DTLP)로 전송하거나, STG-버스를 통해 레벨 2기능을 수행하는 각 신호단말(10)로 전달한다. B-버스(70)는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TDX-1 계열의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채널이며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0)의 B-버스 접속기능은 신호단말(10)로 부터의 메세지 및 사용자부(DTLP)로부터 수신한 메세지를 DP-RAM을 통해 레벨 3기능제어부(20)로 전달한다.
신호단말보드(10)는 STG-버스(50)에서 들어오는 메세지를 해석하여 레벨 3과 레벨 2 사이의 내부신호 메세지에 대해서 신호단말 상태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상대측 레벨 3 모듈로 전송해야 할 메세지 (MSU : Message Signal Unit)는 TDX-1 계열 교환기의 트렁크(Trunk) 모듈인 DLC(Data Link Concentrator)로 2.048Mbps PCM의 특정한 채널(64kbps)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DLC에서 수신된 메세지는 신호단말의 신호링크 기능에서 STG-버스를 통해 레벨 3모듈로 전송된다.
제2도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세부 구성 블록도로서, 도면에서 101은 VME-버스, 102는 내부 버스, 103은 리세트회로, 104는 어드레스 버퍼, 105는 데이타 신호버퍼, 106는 이중포트 램(DP-RAM), 107은 제어신호 버퍼, 108은 이중포트 램(DP-RAM) 엑세스 제어부, 109는 인터럽트 제어부, 110은 인터럽트 인식부, 111은 마이크로프로세서(MPU), 112는 프로그램 가능한 롬(PROM), 113은 정적 램(SRAM), 114는 버스에러 인식 및 발생부, 115는 클럭발생 및 분주부, 116는 어드레스 디코우더, 117은 DMAC, 118은 DUSCC, 119는 신호루프제어부, 120은 MFP, 121은 상태인식 레지스터, 122는 상태제어 레지스터, 123은 B-버스 접속제어부를 각각 나타낸다.
레벨 3기능제어부는 신호단말, 또는 사용자부의 메세지 교환이 필요할 때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이중포트 램(DP-RAM)(106)을 읽어내거나(read-수신), 정보를 이중포트 램(DP-RAM)에 쓰게 되고(write-송신),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이를 위해 VME-버스에 의해 이중포트 램(DP-RAM)(106)을 엑세스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데이타, 제어신호를 버퍼(104,105,107) 후단에서 이용한다. 이중포트 램(DP-RAM)액세스 제어부(108)는 VME-버스의 어드레스 신호를 사용하여 레벨 3기능제어부에서 이중포트 램(DP-RAM)(106)을 엑세스할 수 있는 영역을 결정하고, VME-버스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이중포트 램(DP-RAM)을 엑세스할 수 있는 제어신호로 변환하며 레벨 3기능제어부와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MPU(Micro Processor Unit)가 동시에 같은 이중포트 램(DP-RAM) 영역을 엑세스할 때의 데이타 손실을 방지하는 제어신호도 발생시킨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상기 DP-RAM(106)을 통해 메세지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때 메세지의 유무를 계속적으로 또는 일정시간의 주기로 확인하는 방법은 전반적으로 성능을 저하시킬 것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송·수신에 인터럽트 방식을 도입하여 레벨 3기능제어부로 송신할 메세지가 있을때 DP-RAM(106)에 메세지를 채운 다음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메세지가 있음을 알리고 수시에서 인터럽트 인식후 DP-RAM(106)내의 메세지를 읽어 낸다. 인터럽트 제어부(109)는 이를 위한 회로부이다.
인터럽트 인식부(110)는 레벨 3기능제어부로 부터의 인터럽트 및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내의 여러 인터럽트를 받아들여 엔코우딩하여 MPU(111)로 보내고 MPU(111)에서 인터럽트를 인식한 후에 응답신호를 만들어 인터럽트를 발생한 디바이스(device)로 보낸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내의 각 디바이스의 선택신호는 어드레스 데코우더 (116)에서 MPU(111)의 어드레스 신호와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되며, 리세트회로(103)는 전원이 공급될 때와 리세트 스위치에 의한 리세트 신호를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로 동시에 보내어 동작상의 동기를 유지하게 한다. 클럭(clock) 발생 및 분주부(115)는 클럭에 발생 및 분주회로로 구성된다.
버스에러인식 및 발생부(114)는 제어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로 인하여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의 메모리 영역을 벗어난 메모리 엑세스에 대해서 버스에러를 인식하고 이를 NPU(111)에 알림으로써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심각한 동작 오류에 대해 시스팀의 정상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기능 블럭이다.
상태인식레지스터(121) 및 상태제어레지스터(122)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동작 상태를 해석하고,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16비트(bit)레지스터이다.
신호루프제어부(119)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내의 시리얼 I/O(serial input/output)를 위한 신호와 외부신호(B-버스와 STG-버스와의 접속지점에 위치하여 상태제어레지스터(122)의 제어에 의해 보드에서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와 차단하고 내부로 루프백(loopback) 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어 제1도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와 연계되는 다른 보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체시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B-버스 접속제어부(123)는 TDX-1 계열의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 채널인 B-버스에 접속하여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블록으로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갖는다.
균등한 기회로 B-버스를 점유하여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기 위해 수신된 전송클럭을 카운트하여 임의의 값으로 카운터를 초기화할 수 있다. 그리고 B-버스에 접속된 상대측 프로세서에서 버스를 점유했을 때 점유상태를 인식하고, 점유상태에서만 유효데이타가 수신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B-버스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서에 버스의 점유를 균등히 제공해 주어야 하고, 동작 오류에 의해 통신 채널의 동작 불능을 유발하지 않기 위해 일정시간 이상의 버스점유를 금지하는 하드웨어 타이머(timer)를 두고 이를 감시한다.
그리고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B-버스에서 종속적으로 동작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수신되는 동작클럭 및 동기클럭에 따라 동작하여, 클럭의 수신 상태를 감시하며, 클럭수신 상태를 감시하는 도중 클럭의 수신이 불능일 때는 B-버스의 이중화 구조에서 사용버스를 전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전술한 각 기능 블록이외에 다음과 같은 주요 IC로 구성된다. MPU(111)는 내부 버스(102)를 통해 보드내의 소자드를 엑세스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000을 사용하였다. PROM(112)은 내부 버스(102)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롬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2K 바이트의 EPROM(150ns) 2개를 사용하였다
SRAM(113)은 상기 내부 버스(102)에 연결되어 있는 정적 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2K 바이트의 SRAM(120ns) 2개를 사용하였다.
DMAC(117)는 상기 내부 버스(102)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세지의 송·수신을 위해 독립된 4개의 처리 채널을 갖고 있는 DMA 컨트롤러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450을 사용하였다.
DSUCC(118)는 상기 내부 버스(102) 및 상기 DMAC(117)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세지의 송·수신을 위해 독립된 송·수신용 2채널을 갖는 다기능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562를 사용하였다.
MFP(120)는 상기 내부 버스(102)에 연결되어 있으며, 비동기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 3개의 타이머, 입·출력 포트, 내부의 여러 원인의 인터럽트 우선순위 결정 모듈등을 내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901을 사용하였다.
제3도를 통해서 신호단말보드의 기능블록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211은 MPU, 212는 PROM, 213은 SRAM, 214는 버스에러 인식 및 발생부, 215는 클럭발생 및 분주부, 216은 리세트회로, 217은 어드레스 디코우더, 218은 인터럽트 제어부, 219는 DMAC, 220은 DSUCC, 221은 신호루프 제어부, 222는 MFP, 223은 상태인식 레지스터, 224는 상태제어 레지스터, 225는 DLC(Data Link Concetrator) 접속제어부를 각각 나타낸다.
MPU(211)는 내부 버스를 통해 보드내의 소자들을 엑세스하여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000을 사용하였다. PROM(212)는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롬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2K 바이트의 EPROM(150ns) 2개를 사용하였다.
버스에러 인식 및 발생부(214)는 상기 MPU(2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소프트웨어의 동작 오류로 인하여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의 메모리 영역을 벗어난 메모리 엑세스에 대해서 버스에러를 인식하고 이를 MPU에 알림으로써 만일의 경우에 대비하여 심각한 동작 오류에 대해 시스팀을 정상적으로 복구하기 위한 것으로서, MPU(21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하여 일정시간 이상 동작에 멈추어 있을때 상기의 오류가 발생한 제어 루틴을 초기화한다.
리세트 회로부(216)는 전원이 공급될때와 리세트 스위치에 의한 리세트 신호를 본 발명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로 동시에 보내어 동작상의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며, 클럭발생부 및 분주부(215)는 공지의 클럭발생회로 및 분주회로로 구성되어 본 발명 보드에 클럭신호를 제공한다.
어드레스 디코우더(217)은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MPU(211)가 보드내의 각 소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PU(211)의 어드레스 신호와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신호를 제공하도록 PAL(Programmable Array Logic)로 구현하였다.
인터럽트 제어부(218)는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메세지의 송·수신 과정의 처리를 위해 인터럽트를 인식하고, MPU(211)의 인터럽트 응답사이클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DMAC(219)는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메세지의 송·수신을 위해 독립된 4개의 처리 채널을 갖고 있는 DMA 컨트롤러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450을 사용하였다.
DSUCC(220)는 상기 내부 버스 및 상기 DMAC(218)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세지의 송·수신을 위해 독립된 송·수신용 2채널을 갖는 다기능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CM68562을 사용하였다.
신호루프 제어부(221)는 상기 DSUCC(220)와 STG-버스 및 DLC 접속제어부(225)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신호단말내의 시리얼 I/O(Seria Input/Output)를 위한 신호와 외부신호(STG-버스와 DLC인터페이스)와의 접속지점에 위치하여 상태제어 레지스터(224)의 제어에 의해 신호단말보드에서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와 차단하고 내부로 루프백(loopback)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어 제1도에서 신호단말과 연계되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 DLC 인터페이스, 및 다른 신호단말보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체시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MFP(222)는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비동기 시리얼 통신 컨트롤러, 3개의 타이머, 입·출력전담보드, 내부의 여러 원인의 인터럽트 우선순위 결정 모듈등을 내장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68901을 사용하였다.
상태 인식 레지스터(223) 및 상태제어 레지스터(224)는 각각 상기 내부 버스 및 MFP(222)와 DLC 접속제어부(225)에 연결되어 보드내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메세지 송·수신 과정에서의 각종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신호단말보드의 동작 상태를 해석하고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16비트 레지스터로 구성하였다.
DLC 접속제어부(225)는 TDX-1 계열의 전전자 교환기에서 트렁크 모듈로의 접속기능을 제공하여 다른 교환국의 메세지 전달부와 신호망 메세지를 교환하는 기능블록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기능을 갖는다.
첫째, 신호단말보드내의 선택스위치의 설정값(0~31)에 따라 2.048Mbps의 PCM중의 특정한 채널을 선택한다.
둘째, DLC 인터페이스의 접속에서 종속적으로 동작하여 DLC 인터페이스의 프레임 동기신호와 클럭신호를 추출하여 속도정합에 필요한 제어신호 및 분주클럭을 발생시킨다.
세째, 국제권고안에 따른 데이타 신호링크 설정을 위해 64kbps로 송·수신하며 DLC 인터페이스의 특정한 채널에서 메세지를 추출 또는 삽입하기 위해 속도정합 기능을 갖는다.
레벨 3과 레벨 2 사이의 송·수신은 STG-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제4도~제7도의 도면을 사용하여 STG-버스의 구성, 메세지 포맷, 및 동작방식을 설명한다. STG-버스는 1Mbps 반이중(half duplex) 통신모우드의 폴링(polling) 방식으로 구현된다.
제4도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와 신호단말보드들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STG-버스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41은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 42~49는 신호단말보드이다. 제4도에서 처럼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에서 동작클럭을 공급하고(MS-CLK), 데이타선(MS-DATA,SM-DATA)은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와 최대 8대의 신호단말보드에 같이 연결되어 있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1)에서 신호단말로(42~49)의 전송에서는 메세지 포맷내의 수신 어드레스로 구분되며, 신호단말(42-49)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41)로의 전송에서는 데이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단말보드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로부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특정 프리미티브(POLL-req)를 받고 데이타를 전송한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리미티브를 나타낸 것으로서, "※"는 길이 바이트의 확장 인디케이터이고, "F"는 수신버퍼가 완전히 채워져 있을때(FULL) 송신중단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1"은 포화상태(FULL), "0"는 불포화상태(NOT FULL)이다. 그리고 M은 마스터(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 S는 슬레이브(신호단말보드)이다.
제5도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와 신호단말을 관리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초기시에 뒷 패널(panei)에 장착된 신호단말을 폴링(Folling)하기 시작하여 일정시간마다 신호단말보드의 장착상태를 점검하여 새로이 슬롯에 장착된 신호단말을 비정상보드그룹(group)에 추가하며, 신호단말보드를 크게 세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첫째는 보드가 슬롯에 장착되지 않은 탈장보드그룹이며, 둘째는 슬롯에 장착되어 있지만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POLL-req신호(표 1참조)에 응답하지 못하는 비정상보드그룹이며, 셋째로는 슬롯장착 보드그룹에서 정상동작을 행하고 있는 정상보드그룹이다. 장착보드와 탈장 보드의 구분은 신호단말들로부터 뒷 패널을 통하여 연결된 장착보드점검바이트(8비트-8대의 신호단말보드)를 읽어들여 각 비트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탈장보드에 대해서는 폴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정상보드그룹에서 일정 횟수이상 계속해서 폴링에 응하지 않는 신호단말은 비정상보드그룹으로 이전시켜 더 이상의 폴링을 실시하지 않는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에서 일정시간마다 비정상보드에 대해 폴링을 시행하여 응답하는 신호단말보드를 정상보드그룹으로 옮겨 계속적인 폴링을 시행하며, 제5도는 이러한 상태천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6도는 STG-버스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폴링 절차도로서, 'Y'는 POLL-ack 또는 DATA-ind 신호(표 1참조)가 일정시간내에 수신될때의 경로이고,'H'은 그렇지 않은 경우이다. 그리고 'Ci'는 조건이 'N'일때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NB-i'는 i번째의 신호단말보드(정상보드), 'AB-j'는 j번째의 신호단말보드(비정상보드)이며, 'RD-OB'는 뒷 패널의 장착상태 점검 바이트를 읽는 단계이고, 'OB-CH'는 장착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며, 'T-OVR'은 비정상보드를 폴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타이머를 종료하는 것이다.
제6도를 사용하여 폴링 방식을 설명하면, 초기시에 모든 장착보드를 정상보드로 간주하고 신호단말보드를 폴링하며 정상보드그룹에 대한 폴링은 폴링주기마다 한 신호단말에 비해 한번씩 실시한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에서 POLL-req (표 1참조)로 요구되고 일정시간동안 패킷이 입력되기를 기다리며, 신호단말보드에서는 전송메세지가 없을때 POLL-ack(표 1참조)로 응답하고, 메세지가 있을 때는 DATA-ind(표 1참조)로 응답한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패킷을 받고 다음의 신호단말보드로 넘어간다. 만일 연속해서 여섯번의 폴링 주기동안 응답이 없을시에는 해당 신호단말보드를 정상보드그룹으로부터 비정상보드그룹으로 옮긴다. 패킷의 전송은 각 신호단말보드로의 폴링 순서와는 상관없이 한 신호단말보드와의 폴링이 완료될 때 마다 즉 새로운 신호단말보드에 폴링을 실시하기 전에 확인하여 전송할 패킷이 있을 경우에 이루어지며, 신호단말보드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에서 메세지를 수신하고 DATA-ack(표 1참조)를 보내야 한다. 비정상보드그룹으로 처리된 신호단말보드들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주기로 한 신호단말보드에 대해 한번씩 폴링을 실시하여 비정상상태의 신호단말로부터 POLL-ack(표 1참조)를 받고 정상보드그룹으로 이관한다.
제7도는 STG-버스상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며, 'BOF','EOF'는 프레임의 처음과 끝을 나타내며(2진수 : 01111110), '송신(수신) 어드레스'는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의 어드레스로서 16진수로 10값을 가지며, j번째 신호단말보드 어드레스는 "j-1"이다(0<=j<=7). 'COMTY'는 STG-버스상의 프리미티브(표 1참조)이고, '길이'는 SEQ-NO, 송신어드레스와 정보영역을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 것으로 정보영역이 없을 경우는 2이며, 256 바이트 이상은 COMTY 바이트의 LXI를 사용한다. 'SEQ-NO'는 메세지의 순서번호이고, '정보영역'은 레벨 3기능제어부와 신호단말보드간의 순수한 송수신 메세지이며, 'CRC'는 CCITT-16 다항식(polynomial)으로서 "S16+X12-X5-+1"을 사용한다. 각 구성요소의 용도에 따른 메세지의 송·수신과정을 살펴보면 메세지 포맷내에 순서번호를 두어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와 신호단말보드 사이의 메세지 전송에서 전송채널에서의 에러를 복구한다. STG-버스의 데이타 송신측은 순서번호(SEQ-NO)를 0로, 수신측은 16진수 FF로 초기화하고 수신측은 메세지의 순서번호를 자체관리 순서번호와 비교하여 다를때 DATA-ack(표 1참조)에 수신된 순서번호를 실어 보내고, 자체관리 순서번호와 같으면 송신측이 DATA-ack(표 1참조)를 받지 않았거나, DATA-ack(표 1참조)내의 순서번호에 에러가 발생하여 재송신한 경우이므로 수신메세지를 무시하고 동일한 순서번호로 DATA-ack(표 1참조)를 보낸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POLL-req(표 1참조)를 보내고 수신대기 시간이 종료하면 다음의 신호단말보드로 POLL-req(표 1참조)를 전송하여 해당 신호단말보드에서 메세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며, 버스상의 데이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 신호단말보드는 POLL-req(표 1참조)를 받고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측의 수신대기 종료시간이내에 POLL-ack(표 1참조) 또는 DATA-ind(표 1참조)을 보내야 한다. STC-버스의 각 신호단말보드는 수신버퍼가 모두 채워졌을때(full) DATA-ack 프레임내의 COMTY 바이트의 F비트를 세트("1")하여 상대측에 수신불능 상태를 알리며, 재송신(수신가능상태)를 요구하기 위해 POLL-req(표 1참조) 또는 POLL-ack(표 1참조)의 F비트를 리세트("0")한다.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특정신호단말보드의 수신불능 상태를 인식하면 해당 신호단말보드로 레벨 3에서 레벨 2의 동작 상태 확인을 위한 관리정보만 송신한다. 또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는 각 신호단말보드로 부터의 메세지 중에서 F비트의 변화를 인식하고 레벨 3기능제어부로 F비트상태(특정한 STB의 수신불능 상태)를 보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통선 신호방식의 메세지 전달부 기능을 국산 전전자 교환기인 TDX-1 계열에 이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접속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중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에서 신호망기능을 갖는 레벨 3기능제어부의 메세지 입·출력에 관련된 프로세서의 부담을 줄여주며 신호단말보드에서 신호데이타링크(레벨 1) 설정 및 신호링크기능(레벨 2)을 전담하고 STG-버스를 통해 프로세서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메세지 전달부의 전반적인 처리성능을 높여 준다.

Claims (8)

  1. 전전자 교환기의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에 있어서 ; VME-버스(60), 상기 VME-버스에 연결되며 신호망 기능을 담당하는 레벨 3기능제어수단(20), 상기 VME-버스에 연결된 메모리 수단(30), 상기 VME-버스에 연결되어 레벨 3기능제어부수단(20)으로 부터의 메세지를 VME-버스를 통해 전달받아 해석하여 송출하고 외부로 부터의 수신 메세지를 레벨 3기능제어수단으로 전달하도록 이중포트 램을 내장한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 상기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과, 사용자부(DTLP)간을 연결하는 프로세서간 통신채널 B-버스(70), 신호망 기능(레벨 3)과 신호링크기능(레벨 3)을 연결하는 시스팀 내부의 프로세서간 통신채널 STG-버스(50), 및 상기 STG-버스를 통해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에 연결되어 레벨 3과 레벨 2 사이의 내부 신호메세지에 대해 신호단말 상태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고 상대측 레벨 3모듈과 통신하기 위해 DLC에 연결된 신호단말수단(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수단(10)은 최대 8대까지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에 접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은 VME-버스(101)에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안정되게 제공하기 위한 버퍼수단(104,105,107), 상기 버퍼수단(104,105)에 연결된 이중포트 램(DP RAM)(106), 내부 버스(102)를 통해 상기 DP RAM(106)에 연결된 MPU(111), 상기 버퍼수단(104,107), DP RAM(106), 및 내부 버스(102)에 연결된 DP RAM 엑세스 제어수단(108), 상기 VME-버스(101)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공급시 및 리세트 요구시 보드내 각 소자의 동작상 동기를 유지시키는 리세트 수단(103), 상기 VME-버스(101) 및 내부 버스(102)에 연결된 인터럽트 제어수단(109), 상기 MPU(111)에 연결되어 요구된 인터럽트를 엔코우딩하여 MPU(111)로 보내고 상기 MPU에서 인터럽트를 인식한 후 응답신호를 해당 인터럽트 발생소자로 보내는 인터럽트 인식수단(110), 상기 MPU(111)에 연결되며 MPU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하여 동작 오류에 의한 버스에러를 인식하고 이를 MPU(111)로 알려 시스팀을 정상으로 복구하는 버스 에러 인식 및 발생수단(114), 상기 내부 버스(2)에 연결된 PROM(112) 및 SRAM(113), 보드내의 각 소자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클럭발생 및 분주수단(115),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MPU(111)가 보드내의 각 소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디코우딩 수단(116), 상기 내부 버스(102)에 연결된 DMA 콘트롤 수단(117), 상기 내부 버스(102) 및 DMA 콘트롤 수단(117)에 연결되며 독립적인 메세지의 송·수신 기능을 보유하는 시리얼 통신 콘트롤 수단(DSUCC)(118), 상기 시리얼 통신 콘트롤 수단(118) 및 STG-버스간에 연결되어 에러 발생시 보드내에서 외부를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와 차단하고 내부를 루프백시켜 에러 위치를 확인하는 신호루프 제어수단(119),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된 MFP(120), 상기 내부 버스(102) 및 MFP(120)에 연결되어 보드내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인식 레지스터(121), 상기 내부 버스 및 MFP(122)에 연결되어 보드내의 동작 상태를 적절한 상태로 제어하는 상태제어 레지스터(122), 상기 시리얼 통신 콘트롤 수단(118), MFP(120), 상태인식 레지스터(121) 및 상태제어 레지스터(122)에 연결되어 있고 B-버스에 접속되는 B-버스 접속제어수단(12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단말수단(10)은 내부 버스를 통해 보드내의 소자들을 엑세스하여 제어하는 MPU(211),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능한 ROM(212),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정적 RAM(213), 상기 MPU(211)에 연결되어 있고 MPU의 상태를 모니터하여 제어소프트웨어의 동작오류로 인한 버스에러를 인식하고 이를 MPU(211)에 알려 시스팀을 정상으로 복구하는 버스에러 인식 및 발생수단(214), 전원 공급시 리세트 요구시 보드내 각 디바이스의 동작상 동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리세트 회로수단(216), 보드내의 각 디바이스의 클럭신호를 공급하는 클럭발생 및 분주수단(215),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MPU(211)가 보드내의 각 소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디코우딩 수단(217),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되어 메세지 송·수신 과정의 처리를 위해 인터럽트를 인식하고, 인터럽트 응답사이클이 수행되도록 하는 인터럽트 제어수단(218),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된 DMA 콘트롤 수단(219), 상기 내부 버스 및 DMA 콘트롤 수단(219)에 연결되며 독립적인 메세지의 송·수신 기능을 보유하는 시리얼 통신 콘트롤 수단(DSUCC)(220), 상기 시리얼 통신 콘트롤 수단(220) 및 STG-버스간에 연결되어 보드내에서 외부를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와 차단하고 내부를 루프백시키는 기능을 갖는 신호루프제어수단(221), 상기 내부 버스에 연결된 MFP(222), 상기 내부 버스 및 MFP(222)에 연결되어 보드내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인식 레지스터(223), 상기 내부 버스 및 MFP(222)에 연결되어 보드내의 동작 상태를 적절한 상태로 제어하는 상태제어 레지스터(224), 및 상기 신호루프 제어수단(221), MFP(222), 상태인식 레지스터(223) 및 상태제어 레지스터(224)에 연결되어 트렁크 모듈로의 접속 기능을 제공하여 타 교환국의 메세지 전달부와 신호망 메세지를 교환하는 DLC 접속제어수단(22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과 다수의 신호단말수단(10)은 각각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으로 부터의 동작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클럭선(MS-CLK)과.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에서 신호단말수단으로의 데이타선(MS-DATA), 및 신호단말수단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으로의 데이타선(SM-DATA)으로 연결되고,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에서 다수의 신호단말수단(10)으로의 전송시는 전송 메세지 포멧내의 수신 어드레스로 구분되며, 다수의 신호단말수단(10)에서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으로의 전송시를 데이타의 충돌 방지를 위해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으로부터 특정 프리미티브(POLL-req)를 받고 난 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은 상기 신호단말수단(10)을 탈장보드그룹, 비정상보드그룹, 및 정상보드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입·출력전담수단(40)은 각 신호단말수단(10)에 레벨 3기능제어수단(20)으로 메세지를 송신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일정시간내에 응답을 받고 다음의 신호단말수단으로 송신기회를 부여하도록 폴링(polling)을 시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TG-버스(50)상의 데이타 포맷은 'BOF' 1바이트, '수신어드레스' 1바이트, 'COMTY' 1바이트, '길이' 1바이트, 'SEQ-NO' 1바이트, '송신어드레스' 1바이트, 'CRC' 1바이트, 및 'EOF' 1바이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 시스팀.
KR1019900014326A 1990-09-12 1990-09-12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KR93000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4326A KR930006031B1 (ko) 1990-09-12 1990-09-12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4326A KR930006031B1 (ko) 1990-09-12 1990-09-12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85A KR920007485A (ko) 1992-04-28
KR930006031B1 true KR930006031B1 (ko) 1993-07-01

Family

ID=1930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326A KR930006031B1 (ko) 1990-09-12 1990-09-12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0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85A (ko)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0720A (en) Packet communication exchange including dummy packet transmission
EP0366935B1 (en) High-speed switching system with flexible protocol capability
EP0254472B1 (en) Data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local area network
US4439856A (en) Bimodal bus accessing system
US20030091059A1 (en) Master-slav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a network element
JPH0448010B2 (ko)
EP0060517A1 (en) Multiple access system of terminals on a digital telephone line
WO1986003642A1 (en) Idle period signalling in a packet switching system
US7209477B2 (en) Multi-subshelf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network element
EP0026329B1 (en) Communications controller for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US5511230A (en)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master system and multiple slave systems in time division mode where a next slave is serviced upon receipt of final acknowledgement
KR930006031B1 (ko) 공통선 신호방식(CCS No.7) 메세지 전달부(MTP) 시스팀
US6912210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ed
US67512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first and second pairs of transceivers communicating on a common communications link
KR0135912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제어장치 정합 서브 시스팀
KR9500056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조립 및 분해 제어기
KR950000969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을 위한 메세지처리 보드
JP2962062B2 (ja) プロセッサ監視方式
KR970000069B1 (ko) 이중화된 통신용 보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팀 내부 통신망의 망 접속장치
KR930006032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 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을 위한 메세지 입출력전담보드
KR930002191B1 (ko) 공통선신호방식(CCS No.7) 메세지전달부(MTP)의 레벨 1 및 2 기능구현을 위한 신호단말보드
KR930006893B1 (ko) 신호단말 제어장치의 삼중화 송신회로
JP2669356B2 (ja) Pds伝送システム
KR950000968B1 (ko) 공통선 신호방식(CCS No. 7) 메세지 전달부(MTP)의 레벨 1 및 2 기능구현을 위한 신호 단말보드
KR950000970B1 (ko) 공통선 신호방식 메세지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을 위한 b-버스 입출력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