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721B1 -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721B1
KR930005721B1 KR1019890011802A KR890011802A KR930005721B1 KR 930005721 B1 KR930005721 B1 KR 930005721B1 KR 1019890011802 A KR1019890011802 A KR 1019890011802A KR 890011802 A KR890011802 A KR 890011802A KR 930005721 B1 KR930005721 B1 KR 930005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workpiece
clip
unfolding
sl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422A (ko
Inventor
그라함. 바커 빅터
Original Assignee
고스펠 리소우스 리미티드
이안 라우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펠 리소우스 리미티드, 이안 라우더 filed Critical 고스펠 리소우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0000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7/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nnection with rolling of multi-layer sheets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1/00Other methods for working sheet metal, metal tubes, metal profiles
    • B21D31/04Expanding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B21D1/00 - B21D28/00, e.g. for making expand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3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locksmith's goods, e.g.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18Expanded meta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61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aperture or c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
제1도와 제2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박판 고정클립의 일부 및 전체 완성단계의 개략 평면도.
제3도와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붕 박판 고정클립을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형태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5도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붕 박판 고정클립을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형태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5도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붕 박판 고정클립을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형태로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제5 및 제 6실시예에 대한 개략도.
제10도와 제11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6,7,15 : 슬릿부 8,11 : 연결편
9,12 : 경계선 10,13 : 자유단
16 : 선단슬릿부 17 : 종단 슬릿부
18 : 횡단슬릿부 19 : 삼각형 슬릿부
20 : 절단부 21 : 아치청 슬릿
A,B : 선단부위
본 발명은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구조물에서 2개의 금속 박판이 필요한 경우, 종종 2개의 재료 부품을 결합하여 단일화 함으로써 단일 스탬핑(stamping) 또는 프레싱 작업을 통해 동시에 제조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부품들은 복합구조물에서 본질적으로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 비기능적 부분에 있는 중간 매개물에 의해 일정 공간 만큼 떨어져 있는 단일부재의 기능을 가진 부위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러한 부재의 제조를 단순화 하기 위해 하나의 기능을 가진 부위로부터 다른 부위까지 연장하기에 충분히 큰 가공물을 이용하는 것이 통례였고, 완성된 부재내에 기능적 부위와 일체로 되어 있으면서, 한쪽에서부터 다른쪽까지 연장되고 금속박판 또는 스트립(strip)을 내재한 재료를 방치해두는 것이 통례였다.
이와같은 문제를 가진 대표적인 부재는 지붕용 금속 박판의 내장된 부속물에 사용되는 고정클립이다. "클립-록(KLIP-LOK)"이라는 상표명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공지의 지붕용 박판은 박판 길이 방향으로 뻗은 채널형 단면으로 된 3개의 리브(rib)를 갖춘 피복된 강철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 박판의 각 양단에 1개씩의 리브가 있고, 박판의 중심선과 실제로 일치하는 부분에 중간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지붕 박판은 스트립형 클립에 의해 지붕의 마룻대 등에 고정되며, 상기 클립은 각 단부에 지붕 박판의 리브를 스냅 결합하거나 스냅 결합되어지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바, 이와같은 배열로 함으로써 그 한쪽 선단을 이미 설치된 박판의 가장자리 리브위에 맞추어 그립고정 시키고, 다른쪽 선단은 그 다음에 설치되는 박판의 중심 리브내에서 맞물리게 하는 지점까지 길이가 길게 뻗은 클립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클립은 클립의 각 단부 근처에 형성된 부속구멍을 통하여 못이나 그와 유사한 것을 이용해 천정덱크(deck)용 지지목에 고정되며, 다음 박판에도 클립을 그와 같이 사용하여 가장자리 리브 및 중심리브가 클립의 각 단부에 스냅 결합된다. 따라서, 일단 클립이 지붕의 마룻대에 적용되고 나면, 단부 구조들의 중간에 있는 자재는 기능상의 목적을 끝마치게 된다. 즉 그 자재가 처음부터 존재하는 목적은 순수하게 클립을 제조하는데 도움을 주고, 기능적 단부들이 정확히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계 하며, 지붕을 까는 사람이 클립의 취급과 설치가 용이하게 하여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클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이하 기술되지만, 본 발명과 클립은 기능 부위간의 공간을 두면서 부재를 단 한개인 것처럼 제조하고 취급할 수 있도륵 하는 각기 기능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부위를 갖춘 형태의 여러가지 박판부재에도 일반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부재의 제조에 있어서, 완성된 부재의 중간부위에 해당하는 가공물 부분의 크기를 줄이므로써 상기 부재의 재료를 절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부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부재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갖는 가공물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부재의 비기능적 부위에 부합하는 상기 가공물의 일정 면적을 슬릿팅(slitting)하여 상기 비기능적 부위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슬릿팅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물의 잔류부를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형상 단계 및, 비기능적 부위를 잡아당겨 펼침으로써 완성시키는 펼침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중간부위에 의해 일정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두개의 기능부위로 구성된 금속 박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상기 각 기능부위를 완성된 부재에서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짧은 중간부위를 갖는 가공물에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짧은 중간부위를 연장할 수 있도륵 슬릿팅하는 단계 및 상기 슬릿팅한 짧은 중간 부위를 잡아당겨 펼침으로써 부재의 전체 길이가 필요한 소정 길이로 되게 하는 펼침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재조되는 모든 부재에 관련되는 바, 즉 슬릿팅하고 비기능적 부위를 잡아당겨 펼치는 펼침단계는 여러가지 슬릿팅 패턴과 그에 해당하는 펼침방식을 이용하는 많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비기능적 부위의 펼침은 가공물의 잔류부가 원하는 부재에 맞는 형태로 만들어지기 전 또는 후에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릿팅은 비기능적 부위의 세로방향으로 즉, 비기능적 부위가 펼쳐져야 하는 방향으로 뻗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편의 범위를 한정하여 주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각 연결편 경계선에 대해 연결편을 접거나 펼침으로써 비기능적 부위의 펼침 방향이 결정되계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팅이 가로방향으로 뻗어 상호 연결된 다수의 스트립의 범위를 한정하도륵 되어 있고, 가공물을 잡아당겨 늘림으로써 스트립의 기능부위에서 금속이 변형되도륵 하여 상기 스트립이 길이 방향으로 최소한 그 일부가 재배치되도륵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기능적 형태로 된 클립의 선단부위 A 및 B는 본 발명의 중요한 부분은 아닌 것으로서. 단지 일부분만 도시하였다. 각 실예에서 A,B 사이의 면적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박판기능적 중간부위를 구성한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의 중간부위는 그 안으로 절단된 한개의 U형 슬릿부(5)와 그 안에 절개된 두개의 L형 슬릿부(6.7)를 가지며, 이들 슬릿부(5.6,7)는 각각의 선단부위 A,B를 프레스 성형으로 동시에 제조할 수 있고, 상기 U형 슬릿부(5)는 경계선(9)에서 자유단(10)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1연결편(8)의 범위를 한정한다.
상기 제1연결편(8) 안쪽에는 경계선(12)에서부터 자유단(13)까지 연장되어 있는 폭이 좁은 제2연결편(11)이 형성되며, 이 연결편(11)의 자유단(13)은 클립의 기능부위인(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완성 또는 잡아당겨 펼쳐진 형태의 클립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연결편(8)이 경계선(9)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접혀 있고, 제2연결편(11)은 경계선(12)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접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편(8)은 원래의 중간부위에서부터 돌출되고, 그에 상응하여 폭이 좁은 제2연결편(11)은 제1연결편(8)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의 클립은 제1도 및 제2에 도시된 클립을 변형시킨 것으로서, 제1도의 중간부위 전체에 슬릿트 형상을 각 절반씩 2배로 중복, 형성시켰다. 각각의 절반 부분에 있는 슬릿 형상은 서로 대칭형이며, 한쪽 절반의 폭이 좁은 제2연결편은 제2도에서와 같이 기능부위에 대신하여 다른쪽 절반의 폭이 좁은 제2연결편과 일체로 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중간부위 각 절반의 연결편들은 제1도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는 대신 a,b를 끝에 붙였으며,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할 필요가 없으리라 본다.
제5도 및 제6도의 클립은 제1도 및 제2도의 클립을 더욱 변형시킨 것으로서, 상기의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중간부위에 형성시킨 슬릿패턴을 적당한 간격으로 더욱 더 많이 형성시켜 제2단으로 펼칠 수 있게 하였다. 제5도 및 제6도의 참조 부호도 제1도 및 제2도의 참조부호와 일치하면서 적당한 접미부호를 갖는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도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또한 그밖의 유사한 실시예로서, 이와같은 슬릿패턴을 더욱 반복하며 가공물의 단일부위에 3개 또는 그 이상의 연장부위를 만들수도 있다.
상기 클립은 모두 상기 제1실시예에 속하고, 반면에 아래에서 설명되는 클립은 모두 제2실시예에 속한다.
제7도에 도시된 클립은 기능상 제1도 및 제2도의 클립과 같다고 볼 수 있는바, 이것은 중산부위에 의해 분리된 기능부위 A,B를 포함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조하는 동안에 상기 중간부위를 슬릿부가 밀접한 간격의 평행선으로 배열 슬릿트를 형성시키고, 상기 각 평행선에서의 각 슬릿부(15)는 서로 엇갈리면서 중복된다. 상기 슬릿트가 형성시키는 모든 두번째 선은 원 가공물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뻗어있는 절반길이의 단부 슬릿부(16)로 끝난다.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공물을 슬릿팅 한 후에, 가공물의 기능부위 A,B를 잡고 잡아당겨 미리 정한 범위로 펼쳐서 중간부위를 확장시키는데, 이 경우 상기 중간 부위의 각 슬릿부 사이의 자재는 구부러지거나 펴져서 한쪽의 기능부위로부터의 타단의 기능부위까지 뻗어 확장된 격자형태가 된다.
제8도에 도시된 클립은 제7도의 클립을 변형 시킨것으로서, 중간부위가 슬릿부(17)에 의해 세로로 분할 되며, 그 각 절반은 제7도의 일단에 형성된 슬릿부(16)와 유사하게 가로로 다수개의 슬릿(18)이 형성된다.이러한 구조는 횡방향의 슬릿패턴이 앞의 실시예보다 단순하게 되고, 양 기능부위를 분리시켜 중간부위를 확장시키는 경우, 횡단 슬릿부(18)에 의해 범위가 결정되는 스트립(strip)은 90°만큼 다른 위치로 재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실질적으로는 이루기 어렵고 이보다 작은 정도로 잡아 늘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의 클립은 슬립패턴을 더욱 단순화 한 것으로서, 이러한 도면에 관한 설명은 일반적인 서술어 비추어 볼때 부가적으로 필요치 않으며 이 실시예도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다고 본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완성된 상태의 클립은 어느 정도 이상적인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잡아 늘이는 단계에 이어 개개의 스트립 중 높게 되어있는 확장된 중간부위를 평평하게, 예를들면 프레싱, 롤링 또는 그와 유사한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 및 제11도의 클립은 삼각형의 절단부(20), 아치형의 슬릿부(21)와 더불어 거의 삼각형 구조의 슬릿부(19)를 사용한 것인 바. 양 기능부위를 분리하여 중간부위를 확장하는 경우에 슬릿부(19), 절단부(19), 및 슬릿부(21)에 의해 범위가 한정된 스트립은 제11도에 명확히 나타낸 바와같은 방향으로 재배치되게 된다.
제7도, 제8도 및 제9도의 클립에 관해서는 잡아늘이는 단계에 뒤어어 확장된 중간부위를 평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단의 기능부위에서 타단의 기능부위까지 뻗어있는 비기능적 중간부분의 의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두개의 기능부위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본 발명에 의한 부재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기능부위 및 그에 해당하는 다수의 비기능적 중간부위를 가질 수도 있다. 그와같은 경우에 각 중간부위는 반드시 공통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아니고, 독립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능부위는 다른 동일 기능부위와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도 있으며 또한, 단지 부재의 잔류부에 대해 위치만을 정하여 주는데 필요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면적이 감소되고 특이한 형태의 가공물을 만들고 뒤이어 그것의 일 부분을 본 발명에 따라 슬릿팅하고 펼쳐서 완성된 부재에 맞도록 그것의 모양을 변형시키고 면적을 확장할 수도 있다.

Claims (10)

  1. 제조하고자 하는 부재의 면적보다 더 작은 면적을 갖는 가공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부재의 비기능적 부위에 해당하는 상기 가공물의 면적을 상기 비기능직 부위를 잡아당겨 펼칠 수 있도록 슬릿팅(slitting)하는 단계, 상기 가공물의 잔류부를 소요형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비기능적 부위를 펼치는 단계로 구성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의 잔류부가 상기 비기능적 부위의 각 단부에 하나씩 총 두개의 기능부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면적의 슬릿팅 및 펼침 단계전의 상기 비기능적 부위가 상기 부재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더 짧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의 잔류부를 만든 후에 펼쳐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팅이 상기 비기능적 부위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연결편의 범위를 한정하고, 각 연결편은 경계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기능적 부위가 세로방향으로 펼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펼쳐지는 동작이 경제선에 대해 상기 연결편을 접거나 펼침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팅이 가로방향으로 뻗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스트립(strip)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이티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펼쳐지는 동작이 스트립의 상호 연결되는 곳에서 스트립을 변형시켜 상호 연결된 스트립이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 재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비기능적 부위를 잡아 늘임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기능적 부위가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평평하게 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판 클립의 제조방법.
KR1019890011802A 1988-09-29 1989-08-18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 KR930005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J0672 1988-09-29
AUPJ067288 198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22A KR900004422A (ko) 1990-04-12
KR930005721B1 true KR930005721B1 (ko) 1993-06-24

Family

ID=377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802A KR930005721B1 (ko) 1988-09-29 1989-08-18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60352A (ko)
EP (1) EP0361660A3 (ko)
JP (1) JPH02147130A (ko)
KR (1) KR930005721B1 (ko)
BR (1) BR8904191A (ko)
MX (1) MX171899B (ko)
ZA (1) ZA895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4410A (en) * 1994-01-31 1996-06-11 National Gypsum Company Framing components of expanded metal, and method of making such components
FR2792231B1 (fr) * 1999-04-16 2001-06-15 Andreas Kogler Materiau de garnissage
DE10259307A1 (de) * 2002-12-18 2004-07-08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Flächiges Metallelement und Profilelement
WO2011094744A1 (en) * 2010-02-01 2011-08-04 Anderson Jeffrey 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 framing member
DE102015009342A1 (de) * 2015-07-23 2016-10-27 I.G. Bauerhin Gmbh "Zuschnitt für ein rahmenartiges Element eines Sitzkissen oder ein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221A (en) * 1916-08-22 Method
US3111204A (en) * 1959-08-24 1963-11-19 British Uralite Ltd Structural element and a method of making a structural element
CA964941A (en) * 1970-04-30 1975-03-25 Hideyo Watanab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xpanded structural members and its product
GB1355391A (en) * 1970-07-16 1974-06-05 Jury & Spiers Pty Ltd Truss-like metal member
GB1356278A (en) * 1970-08-24 1974-06-12 Jury & Spiers Pty Ltd Expanded metal product
GB2078276A (en) * 1980-06-12 1982-01-06 Expanded Metal Partition Stud
US4545170A (en) * 1983-12-21 1985-10-08 Donn Incorporated Expanded metal products
GB2199066B (en) * 1986-12-16 1991-05-15 Silent Channel Prod Ltd A strip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71899B (es) 1993-11-23
JPH02147130A (ja) 1990-06-06
US5060352A (en) 1991-10-29
KR900004422A (ko) 1990-04-12
EP0361660A3 (en) 1990-12-27
ZA895832B (en) 1990-04-25
EP0361660A2 (en) 1990-04-04
BR8904191A (pt) 199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18205A (en) Cellular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AU2002339548B2 (en) Support for information display unit with at least one display surface
CN101506449B (zh) 形成弯曲结构的装置和方法
US20060112655A1 (en) Ceiling system with replacement panels
KR930005721B1 (ko) 박판 금속클립의 제조방법
US4377060A (en) Wall construction
US4871006A (en) Dual fluted shade
CA203342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xpanded mesh sheet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method
US5555695A (en) Extrusions providing for low deformability
EP1690997A2 (en) Ceiling system with replacement panels
US20060246312A1 (en) Planar metal element and profile element
US4004334A (en) Method of making a structural member
US4803128A (en) Lattice
US3112533A (en) Wall construction
US3046638A (en) Method of producing hollow sheetmetal panel structures
CA1280067C (en) Honeycomb structure
KR960040882A (ko) 에어백
US4745848A (en) Bellows
CA2431217C (en) Flanged honeycomb co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210849A (en) Metal lath.
DE6012884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ühleinsatzes
JP2007513298A (ja) ブラケットストリッピングの改良
ITNA20000048A1 (it)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profilati curvabili facilmente a mano,che possono essere irrigiditi senza l'ausilio di ulteriore materiale
US2384475A (en) Staple and method of making same
ATE167415T1 (de) Gitter, insbesondere flächiges gitter (gittermat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