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565B1 - 라벨발행장치 - Google Patents

라벨발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565B1
KR930005565B1 KR1019900013511A KR900013511A KR930005565B1 KR 930005565 B1 KR930005565 B1 KR 930005565B1 KR 1019900013511 A KR1019900013511 A KR 1019900013511A KR 900013511 A KR900013511 A KR 900013511A KR 930005565 B1 KR930005565 B1 KR 93000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label
sheet
hand scanner
label issu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877A (ko
Inventor
다께시 다시로
가즈히로 후시미
가즈아끼 스기모도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고바야시 쥰 filed Critical 도오꾜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06K1/1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by printing cod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by transferring data from a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벨발행장치
제1도는 본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프린터와 핸드스캐너의 사시도.
제2도는 프린터의 손잡이를 세운 상태를 도시한 프린터의 상부의 사시도.
제3도는 그 손잡이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프린터의 상부의 사시도.
제4도는 핸드스캐너와 프린터의 부착부분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핸드스캐너를 프린터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6도는 프린터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프린터의 정면도.
제8도는 전지를 고정하는 밴드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9도는 그 밴드의 사시도.
제10도는 전원스위치와 손잡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그 일부의 종단 측면도.
제12도는 그 일부의 종단 정면도.
제13도는 핸드스캐너의 전자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14도는 프린터의 전자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제15도는 프린터 본체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린터 2 : 핸드스캐너
22 : 인쇄부 24 : 대지이송부
26 : 용지통로 27 : 라벨박리체
30 : 대지수납부 31 : 전지수납부
36 : 전지 55 : 전원스위치
56 : 손잡이 63 : RAM
64 : 판독소자 65 : 발광소자
66 : CPU
본 발명은 라벨에 소정사항을 인쇄하여 발행하도록 라벨발행장치에 관하여, 특히 바코드등의 데이타를 핸드스캐너로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그 판독한 데이타를 프린터에 전송하도록 한 라벨 발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스트 프린터에 의하여 작성한 바코드등의 데이타를 다른 프린터에 케이블로 전송하고, 이 전송된 데이타에 의거하여 프린터에 의하여 라벨에 인쇄하는 수단이 있다.
또, 스탠드어론 프린터와 같이 프린터와 키이보드를 케이블로 접속하고, 키이보드에 의하여 입력한 데이타를 프린터에 전송하여 이 전송된 데이타에 의거하여 프린터에 의하여 라벨에 인쇄하는 수단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어느것이나 데이타를 케이블에 의하여 프린터에 전송하므로, 프린터를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이 방해가 되어 조작성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조작성이 뛰어난 라벨발행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핸드스캐너에 의하여 판독한 데이타를 정확히 프린터에 전송할 수 있는 라벨발행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핸드스캐너에 의하여 판독한 데이타에 수정이나 추가를 가할 수 있는 라벨발행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부품점수가 적고 조립작업이 용이한 라벨 발행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독대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광학판독부와, 이 광학 판독부에서 판독한 데이타를 격납하는 기억부와, 이 기억부에 격납된 데이타를 광신호로서 출력하는 발광부를 가진 핸드스캐너를 설치하고, 이 핸드스캐너의 발광부가 발하는 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와, 이 수광부에서 수광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기변환수단과, 이 광-전기변환수단으로 변환된 전기신호에 의거하는 인쇄제어를 행하는 인쇄제어부와, 이 인쇄제어부에 따라 라벨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가 순차접속된 프린터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핸드스캐너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기억부에 격납되고, 인쇄할 때에 기억부로부터 호출되어 발광부에서 광신호로서 출력되어, 프린터에 전송된다. 즉, 핸드스캐너의 발광부와 프린터의 수광부가 대향하는 위치에서, 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가 수광에 수광된다.
그리하여 수광부에 광신호가 수광되면, 이 광신호는 광-전기변환수단에 의하여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이 변환된 전기신호에 의거한 인쇄제어신호가 인쇄제어부에 의하여 발해져서 인쇄부의 동작이 제어되고, 핸드스캐너에서 판독된 판독대상의 복제가 라벨에 인쇄된다.
이와 같이, 핸드스캐너로부터 프린터에로의 데이타 전송은 광학적인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데이타전송을 위한 케이블이 생략된다.
따라서, 핸드스캐너 및 프린터를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1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프린터(1) 및 핸드스캐너(2)의 전체의 외관구성을 도시하였다.
최초에 상기 프린터(1)의 외관구성을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터의 프린터 케이스(3)는 서로 대향하는 프론트커버(8)와 리어커버(9)를 결합함과 동시에, 앞면에 패널(10)이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끼워넣어진 톱커버(11)를 이들의 프론트커버(8)와 리어커버(9)와의 상부에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커버(8)의 윗가장자리에는 상기 패널(10)의 아래 가장자리 사이에서 공간을 두고 대향하는 가로로 긴 배지구(12)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10)의 앞면에는 가로로 긴 라벨발행구(13)가 형성되며, 상기 톱커버(11)의 앞면의 한쪽에는 수광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수광구멍(14)의 안쪽의 개구면은 후술하는 수광부(73)에 대향하는 투명한 판(8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이 투명한 판(80)은 방진 및 방수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톱 커버(11)와는 별체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굴절의 왜곡이 없어 광의 투과도 균일하다.
한편, 상기 프린터케이스(3)에는 상변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숄더벨트(4)가 부착되고, 양측변에 손잡이(6)가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양측벽에는 상기 숄더벨트(4)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구(5)와, 상기 손잡이(6)의 양단을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1쌍의 지지구(7)가 고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구(7)에는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두께방향에 따르는 홈(7a)이 형성되고, 이들 홈(7a)에 상기 손잡이(6)의 양단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핀이 미끄럼운동 및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서, 상기 지지구(7)에 상기 손잡이(6)가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손잡이(6)의 핀을 상기 홈(7a)의 단부에 이동시켜, 그 손잡이(6) 자체를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양쪽에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손잡이(6)를 콤팩트에 접을 수 있는 구조이다.
이어서, 상기 핸드스캐너(2)의 외관구성을 제1도, 제4도 및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핸드스캐너(2)의 스캐너케이스(15)에는 그 선단에 상기 톱커버(11)의 앞면 왼쪽에 형성된 수광구멍(14)에 삽입되는 통부(16)가 형성되고, 그 윗면에 키이보드(17)와 디스플레이(18)가 배열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프린터(1)의 내부구조를 제6도 내지 제1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상부구조와 중앙부 및 하부구조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상부구조로서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상부에는 인쇄부(22)와 대지이송부(24)와 용지통고(26)와 라벨박리체(27)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인쇄부(22)는 플라텐(19)과 펄스모우터(40)와 기어군(41)과 더멀헤드(21)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플라텐(19)은 상기 프린터 케이스(3)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원주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이 플라텐(19)에는 기어군(41)을 통하여 펄스모우터(40)가 연결되고, 이 펄스모우터(40)에 의하여 상기 플라텐(19)이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있다.
또, 상기 더멀헤드(21)는 1라인상에 배열된 도시하지 않은 다수개의 발열소자를 가지며, 판스프링(20)에 의하여 상기 플라텐(19)에 눌려있다. 그리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모우터(40)와 기어군(41)은 프린터케이스(3)의 상부의 한쪽에 지지되어있다.
상기 대지이송부(24)는 상기 플라텐(19)과 이 플라텐(19)에 압접하여 종동하는 핀치로울러(23)로 이루어진다. 즉, 이 핀치로울러(23)가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 로울러프레임(90)이 설치되고, 이 로울러프레임(90)은 상기 핀치로울러(23)가 상기 플라텐(19)과 축심방향을 일치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 플라텐(19)에 접리하도록 상기 프린터 케이스(3)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로울러프레임(90)의 회전중심이 되는 지지축(91)의 주위에는 한끝이 상기 프린터케이스(3)쪽에 고정되고 다른 한끝이 상기 로울러 프레임(90)쪽에 고정된 토숀스프링(92)이 비틀린 상태로 감겨져 있다.
즉, 이 토숀스프링(92)의 복귀력에 의하여 상기 핀치로울러(23)가 상기 플라텐(19)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울러프레임(90)이 힘이 붙어있다. 그리고, 이 로울러프레임(90)에는 상기 패널(10)의 안쪽에 위치시키고 글립(9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지통로(26)는 복수매의 라벨(25a)이 일정간격으로 첩부되어 로울상으로 감겨진 길다린 대지(25)를 상기 플라텐(19)과 상기 더멀헤드(21) 사이에 안내하는 안내판(28)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안내판(28)의 입구부근에는 상기 대지(25)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투과형의 센서(29)가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서(29)의 수광소자 또는 발광소자의 한쪽은 상기 안내판(28)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라벨박리체(27)는 상기 라벨발행구(13)의 안쪽에 배치되고, 상기 대지이송부(24)에 당겨진 상기 대지(25)를 예각으로 굴곡시켜, 이 대지(25)로부터 라벨(25a)을 박리하는 부재이다.
다음에, 상기 프린터(1)의 중앙부 및 하부구조로서, 상기 프린터 케이스(3)의 중간부에는 상기 대지(25)를 수납하는 대지수납부(30)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전지수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지수납부(30)는 상기 리어커부(9)의 내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한 만곡벽(32)과 리어커부(9)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끼워 넣은 용지커버(33)의 내면에 형성한 원호형상의 복수의 리브(34)와의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만곡벽(32)의 상부에는 상기 플라텐(19)의 하부로부터 상기 배지구(12)를 향하여 경사지는 대지 안내면(35)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자수납부(31)에는 Ni-Cd등 고수명 타입의 전지(36)와 프린트 배선기판(37)이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리어커버(9)의 하부에는 전지수납부(31)를 개폐하는 전지커버(38)가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끼워넣어지고, 상기 전지수납부(31)내에는 전지(36)의 한쪽면과 윗면을 덮는 간막이판(39)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의 전지커버(38)와 간막이판(39)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전지(36)가 지지되고, 이 전지(36)에 인접시켜 상기 프린트 배선 기판(37)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36)의 지지구조를 제8도 및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지(36)를 지지하는 밴드(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밴드(42)는 전지(36)의 한면에 압접되는 압접편(43)과, 상기 리어커버(9)의 하부내면에 압접되는 압접편(44)을 상부에 가지며, 길이가 다른 복수의 다리(45, 46)를 하부에 가지는 것이고, 나일론 등과 같이 탄성과 굴요성을 가진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상기 압접편(43)에는 개구(50)가 형성되고, 다른쪽의 상기 압접편(44)에는 상기 리어커버(9)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47)에 걸어맞추어지는 걸림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다리(45, 46)에는 중간부에 위치하여 사람의 손가락에 대하여 미끄럼방지로서 작용하는 凹凸부(49)와, 선단에서 굴곡한 클릭(51, 52)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전지수납부(31)의 상기 간막이판(39)에는 다리(45)의 클럭(51)에 걸어맞추는 걸림구멍(53)과 다리(46)의 클릭(52)에 걸어맞추는 걸림구멍(5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프린터(1)의 내부구조의 중량배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대지(25)는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비되어 중량이 변화하였더라도 상기 프린터(1) 전체의 중량배분을 변동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전지(36)는 약 450g의 중량을 가지며,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37)은 약 150g의 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하부에는 약 600g의 중량이 배분된다.
또, 상기 인쇄부(22)와 상기 대지이송부(24)와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등의 매카니칼한 기구부분은 약 500g의 중량을 가지며, 펄스모우터(40)는 약 100g의 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상부에도 약 600g의 중량이 배분된다.
이러한 전체의 중량배분에 의하여 상기 프린터(1)는 상하좌우 모두 중량 밸런스가 균형된다.
또한, 제10도 내지 제12도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1)의 전원스위치(55)를 조작하는 손잡이(56)의 부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원스위치(55)는 예컨대, 상기 리어커버(9)의 내면쪽에 부착되어 있다. 이 전원스위치(55)는 접점절환시에 노브(57)가 중립위치를 경계로 반전함으로써 접전의 접촉상태의 신뢰성이 높은 시이소우 타입의 스위치이다. 한편, 상기 리어커버(9)의 외면에는 저부에 슬릿(59)을 가진 凹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56)는 그 凹부(58)내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손잡이(56)에는 상기 슬릿(58)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6)를 슬라이드시켜 상기 설편(舌片)(60)으로 상기 전원스위치(55)의 노브(57)를 누름으로써, 그 전원스위치(55)의 절환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6)는 그 두께가 凹부(58)의 깊이보다 약간 얇기 때문에, 상기 리어커버(9)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은 없다.
이에 의하여 이 리어커버(9)의 외면에 인체나 기타의 부분이 접촉하더라도 상기 손잡이(56)가 함부로 움직이는 일은 없다.
또, 상기 핀(62)은 상기 리어커버(9)의 내면에 선접촉하므로, 그 접촉면적이 작아서 상기 손잡이(56)의 조작력을 작게할 수 있다.
이어서, 제13도에 상기 핸드스캐너(3)의 전자회로를 도시한다.
CPU(66)가 설치되고, 이 CPU(66)에는 기억부로서의 RAM(63)과 판독소자(64)와, 발광소자(65)와, 상기 키이보드(17)와 상기 디스플레이(18)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CPU(66)와 상기 판독소자(64)로 바코드등의 판독대상을 광학적인 수단에 의하여 판독하는 광학판독부(94)가 구성되고, 상기 CPU(66)와 상기 발광소자(65)로 상기 RAM(63)에 격납된 데이타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발광부(95)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CPU(66)내에는 상기 키이보드(17)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RAM(63)에 격납된 데이타에 수정 또는 추가를 가하는 데이타 보정수단(9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8)에는 상기 RAM(63)에 격납된 데이타에 의거한 화상이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RAM(63)가 상기 CPU(66)는 상기 스캐너케이스(15)에 내장되고 상기 판독소자(64)와 상기 발광소자(65)는 상기 스캐너케이스(15)의 선단에 형성된 상기 통부(16)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부(16)가 상기 프린터(1)의 수광구멍(14)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발광소자(65)가 상기 수광부(73)에 대항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14도에 상기 프린터(1)의 전자회로를 도시한다.
이 프린터(1)의 총합적인 제어를 행하는 CPU(67a)에는 프로그램이 입력된 ROM(68)과, 가변데이타가 입력되는 RAM(69)과, 리세트 IC(70)과, 오프티칼인터페이스드라이버(71)와, 타이머(72)와, I/O포오트(74)가 접속되어 있다.
이 I/O포오트(74)에는 상기 펄스모우터(40)가 접속된 드라이버(75)와, 상기 더멀헤드(21)와, 이 더멀헤드(21)와 상기 센서(29)가 접속된 스위치(78)에 의하여 그 더멀헤드(21)의 온도데이타와 상기 센서(29)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탈 콘버어터(76)와, 키이키보드나 각종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79)가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전지(36)의 출력이 상기 더멀헤드(21)와 상기 드라이버(75)에 공급됨과 동시에, 그 전지(36)의 출력이 레귤레이터(77)에 조절되어 상기 CPU(67a)나 상기 ROM(68), 상기 RAM(69)등이 전자부품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프티칼인터페이스드라이버(71)는 상기 수광부(73)가 수광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기변환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상기 CPU(67a) 및 상기 ROM(68)은 광-전기변환수단으로 변환한 전기 신호에 의거한 인쇄제어신호를 발하는 인쇄제어부(67)로서 기능한다.
제15도는 상기 프린터케이스(3)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리어커버(9)에는 프레임(81)이 부착된다. 이 프레임(81)은 상기 인쇄부(22), 상기 대지이송부(24), 상기 라벨박리체(27), 상기 펄스모우터(40), 상기 기어군(41)등을 지지하는 것이고, 양쪽의 일부를 리어커버(9)에 걸어맞추어, 프레임(81)의 윗면 중앙으로 통한 나사(82)를 리어커버(9)에 끼워넣은 너트(83)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또, 이 리어커버(9)의 내면 양쪽에는 원통상의 기둥(8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들 기둥(84)으로 통한 나사(85)를 상기 프론트커버(8)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프론트커버(8)와 리어커버(9)가 결합된다.
또한, 2매의 상기 프린터 배선기판(37)은 복수개의 나사(86)와 파이프(87)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유니트되고, 복수개의 나사(88)에 의하여 리어커버(9)의 내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바코드등의 판독대상(도시않음)을 핸드스캐너(2)에서 판독하려면 핸드스캐너(2)의 키이보드(17)를 조작하여 판독모드를 선택하고, 판독대상을 따라 광학판독부(94)의 판독소자(64)를 이동시킨다. 그러면, 그 판독대상이 광학판독부(94)에서 판독되어, RAM(63)에 전기신호로서 격납된다.
이어서, 핸드스캐너(2)에서 판독한 판독대상을 프린터(1)에서 라벨(25a)에 인쇄하려면, 손잡이(56)를 조작하여 프린터(1)의 전원스위치(55)를 온으로 하고, 한편에서는 핸드스캐너(2)의 발광소자(65)를 프린터(1)의 수광부(73)에 대항시켜, 핸드스캐너(2)의 키이보드(17)를 조작하여 데이타전송모드로 절환하고, RAM(63)에 격납된 데이타를 지정하여 호출한다. 그러면, 이 데이타는 발광부(95)의 발광소자(65)로 부터 광신호로서 출력되어, 프린터(1)의 수광부(73)에 수광된다고 하는, 광신호에 의한 데이타전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광부(73)에서 수광된 광신호는 오프티칼 인터페이스 드라이버(71)에 의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CPU(67a)의 제어에 의하여 더멀헤드(21)에 인쇄신호로서 출력된다.
다른 한편에서는, 펄스모우터(40)에 구동되는 플라텐(19)의 동작에 의하여 대지(25)가 대지수납부(30)로부터 인출되어, 대지(25)위에 라벨(25a)에 더멀헤드(21)에 의하여 인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라텐(17)과 더멀헤드(21)사이에서 송출된 대지(25)는 대지 이송부(24)에 느슨하지 않게 당겨져서 라벨박리체(27)의 부분에서 예각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이 굴곡부분에서 인쇄된 라벨(25a)이 대지(25)로부터 박리되어 라벨발행구(13)로부터 발행된다.
그리고, 라벨(25a)이 박리된 부분의 대지(25)는 대지안내면(35)으로 안내되어 배지구(12)로부터 배지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에 의하면 핸드스캐너(2)에서 판독된 바코드등의 판독대상에 의거한 화상이 인쇄된 라벨(25a)이 발행된다.
한편, 핸드스캐너(2)로부터 프린터(1)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키이보드(17)를 조작하여 RAM(63)에 격납된 판독데이타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또는 판독데이타에 다른 데이타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데이타의 수정 또는 추가의 상태는 라벨(25a)이 발행된다.
한편, 핸드스캐너(2)로부터 프린터(1)에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키이보드(17)를 조작하여 RAM(63)에 격납된 판독데이타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또는 판독데이타에 따른 데이타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데이타의 수정 또는 추가의 상태는 핸드스캐너(2)의 디스플레이(18)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정이나 추가를 위한 조작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RAM(63)에 격납된 데이타의 수정 또는 추가는 키이보드(17)로부터의 신호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CPU(66)내의 데이타 보정수단(96)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핸드스캐너(2)로부터 프린터(1)에의 데이타의 전송은 광신호에 의하여 행하여지므로, 데이타 전송용의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되어, 핸드스캐너(2)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특히, 프린터(1)와 핸드스캐너(2)를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경우에, 양자의 조작성의 향상이 현저하다.
또, 데이타의 전송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드스캐너(2)의 통부(16)를 프린터(1)의 수광구멍(14)에 끼워넣어 행한다.
이 상태에서는 발광소자(65)와 수광부(73)가 매우 근접한 상태에서 대향하므로, 광로가 정확히 정해져서 확실한 전송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핸드스캐너(2)로부터 손을 떼어둘 수도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수광구멍(14)의 안쪽의 개구면은 투명한 판(8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으므로, 방진성 및 방수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핸드스캐너(2)를 잡고 발광소자(65)를 프린터(1)의 수광부(73)에 대향시켜서 데이타전송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핸드스캐너(2)의 통부(16)에는 판독소자(64)와 발광소자(65)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스캐너(2)에 의하여 판독대상을 판독한 직후에 그 판독 데이타에 의거한 프린트 아웃을 하는 경우에는, 판독대상의 판독시와 데이타 전송시에 핸드스캐너(2)를 바꾸어 잡을 필요가 없어져서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프린터(1)는 숄더벨트(4)와 손잡이(6)를 가지고 있으므로, 목적에 따라 나누어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휴대성이 좋아지며, 더욱이 부근에 프린터(1)를 얹어놓을 적당한 테이블이 없는 경우에는, 숄더벨트(4)를 어깨에 건 상태에서 라벨을 발행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6)는 프린터(1)의 옆에 설치되고, 숄더벨트(4)는 프린터(1)의 상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변에 조작부(79)를 배치함으로써 손잡이(6)에 방해되지 않고 조작부(79)를 조작할 수 있다.
더욱이, 프린터(1)의 내부에서는 로울상으로 잠긴 대지(25)가 중앙부에 배치되고, 기능부품이 그 주변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 좌우에 균등하게 중량이 배분되어 있다.
따라서, 프린터(1)의 휴대성이 좋아서 휴대하고 프린터(1)를 사용할 때에 그 조작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특히, 로울상으로 감긴 대지(25)는 소비되어감으로써 가벼워지게 되나, 이 대지(25)는 프린터(1)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소비에 따라 대지(25)의 중량이 변화하여도 프린터(1) 전체의 중량밸런스가 깨어지지 않고, 조작성을 악화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대지이송부(24)에서 배지되는 대지(25)를 대지수납부(30)에 수납된 대지(25)에 접촉시키지 않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실시예에서는 그 수단으로서 대지안내면(35)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대지이송부(24)를 지난 대지(25)는 대지안내면(35)으로 안내되어, 대지수납부(30)에 수납된 대지(25)에 접촉하지 않고 유연하게 배지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와 같이 대지(25)를 유연하게 배치시키는 대지안내면(35)은 리어커버(9)의 내면중앙에 형성된 만곡벽(3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의 감소와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전지수납부(31)의 밴드(42)는 압접편(43, 44)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하여 서로 떨어지기 때문에 압접편(43)은 전지(36)을 간막이 판(39)의 측면에 압접한다.
또, 짧은 다리(46)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만곡되므로, 그 반력으로 전지(36)를 간막이판(39)의 측면과 윗면에 압접한다.
따라서, 전지(46)는 일반적으로 외경치수의 불균일이 큰 것이나, 압접편(43, 44) 및 다리(46)의 탄성적인 굴요작용에 의하여 진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전지(36)의 교환에 있어서는, 리어커버(9)로부터 전지커버(38)를 벗긴다.
이 상태에서는 밴드(42)의 凹凸부(49)에 손가락을 대고 밴드(42)를 윗쪽으로 밀면서 전지(36)쪽으로 누르면, 압접편(44)의 걸림구멍(48)과 리어커버(9)의 돌기(47)와의 걸어맞춤이 벗어진다.
이때, 압접편(43, 44)의 상부를 전지수납부(31)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면, 일단의 클릭(51)이 간막이판(39)의 걸림구멍(53)에 걸어맞추는 다리(45)가 스스로의 탄성에 의하여 신장하여 전지(36)을 전지수납부(31)의 바깥쪽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전지(36)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전지(36)의 장착은 전지꺼내기 조작과는 반대의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Claims (10)

  1. 판독대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광학판독부, 상기 광학판독부에서 판독한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타를 광신호로서 출력하는 발광부를 가진 핸드스캐너, 상기 발광부가 발하는 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부,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기변환수단, 상기 광-전기변환수단으로 변환한 전기신호에 의거한 인쇄제어를 행하는 인쇄제어부, 및 상기 인쇄제어부에 따라 라벨에 인쇄를 하는 인쇄부가 순차 접속된 프린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라벨의 대지로서 로울상으로 감긴 길다란 대지를 설치하고, 상기 대지를 프린터의 내부의 중앙부에 배치하고, 상기 프린터의 기능부품을 이 프린터의 내부의 주변부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프린터의 상하좌우의 중량배분이 균등하게 되는 위치에 기능부품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숄더벨트와 손잡이를 프린터의 다른 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핸드스캐너의 선단부에 발광부의 발광소자를 배치하고, 프린터에 상기 핸드스캐너의 선단부가 붙이고 떼기 자유롭게 끼워넣는 수광구멍을 형성하여, 이 수광구멍의 안쪽에 수광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수광구멍을 투명한 판으로 밀폐적으로 닫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핸드스캐너의 선단부에 광학판독부의 판독소자와 발행부의 발광소자를 인접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키이보드와 이 키이보드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기억부에 격납된 데이타에 수정 또는 추가를 가하는 데이타 보정수단을 핸드스캐너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기억부에 격납된 데이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핸드스캐너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라벨의 대지로서 로울상으로 감긴 길다란 대지를 설치하고, 이 대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대지수납부를 프린터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 대지수납부와 인쇄부의 사이에 상기 대지를 반송하는 대지이송부를 배설하고, 이 대지이송부와 상기 인쇄부의 사이에 상기 대지로부터 상기 라벨을 박리하는 박리체를 배설하고, 상기 대지이송부로부터 상기 프린터의 배지구를 향하여 뻗어나온 대지안내면을 상기 대지수납부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발행장치.
KR1019900013511A 1989-09-08 1990-08-30 라벨발행장치 KR930005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34169 1989-09-08
JP1234169A JPH0397082A (ja) 1989-09-08 1989-09-08 ラベル発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877A KR910006877A (ko) 1991-04-30
KR930005565B1 true KR930005565B1 (ko) 1993-06-23

Family

ID=1696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511A KR930005565B1 (ko) 1989-09-08 1990-08-30 라벨발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65002A (ko)
EP (1) EP0416853B1 (ko)
JP (1) JPH0397082A (ko)
KR (1) KR930005565B1 (ko)
DE (1) DE6902399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4202A (en) * 2005-08-16 2008-05-28 Sung-Gyu Kim Cap having auxiliary vi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2659B2 (ja) * 1991-02-27 1999-07-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US5361871A (en) * 1991-08-20 1994-11-08 Digicomp Research Corporation Product information system for shoppers
DE9113324U1 (ko) * 1991-10-26 1992-02-13 Fasolo, Gianni, 3575 Kirchhain, De
US5362949A (en) * 1992-07-06 1994-11-08 Gulick Gilbert G Packing house control system
US5493107A (en) * 1993-05-07 1996-02-20 Digicomp Research Corporation Shelf price label and product placement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382779A (en) * 1993-05-07 1995-01-17 Digicomp Research Corporation Shelf price label ve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7249075A (ja) * 1994-03-10 1995-09-26 Fujitsu Ltd 顧客管理用端末装置,顧客管理方法および顧客管理用媒体
US5775820A (en) * 1994-05-27 1998-07-07 Kabushiki Kaisha Tec Thermal printer having a press releasing mechanism
US5726431A (en) * 1996-06-20 1998-03-10 Bass, Inc. Apparatus for printing a shelf tag
US5939695A (en) * 1997-05-20 1999-08-17 Lucent Technologies, Inc. Product identification system using hand-held customer assistant unit with a code reader
US5861817A (en) * 1997-07-02 1999-01-19 Douglas A. Palmer System for, and method of, displaying prices on tags in supermarkets
JP4801441B2 (ja) * 2005-12-28 2011-10-26 株式会社キングジム ラベル印刷システム、ラベル印刷方法及びラベル印刷プログラム
US8011408B2 (en) * 2007-09-07 2011-09-06 Avery Dennison Corporation Labeling apparatus
CN111476051A (zh) * 2020-04-05 2020-07-31 武汉永鼎光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光模块生产条码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318A (en) * 1970-04-15 1972-10-31 Mohawk Data Sciences Corp Skew control apparatus for feeding a wide-web ribbon in a high speed printer
US4180204A (en) * 1978-11-08 1979-12-25 The J. C. Penney Corporation, Inc. Automatic inventorying system
US4268179A (en) * 1979-10-29 1981-05-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identification characters
SE419908B (sv) * 1980-01-17 1981-08-31 Micronic Ab Kommunikationslenk
US4415065A (en) * 1980-11-17 1983-11-15 Sandstedt Gary O Restaurant or retail vending facility
DE3109286C2 (de) * 1981-03-11 1985-02-0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Optische Leseeinrichtung zum manuellen Abtasten und zum Auswerten optisch lesbarer Zeichencodeschriften
ATE46405T1 (de) * 1982-07-15 1989-09-15 Thomson Brandt Gmbh Strichcodeleser fuer hochfrequenzempfangsgeraete.
JPS59162079A (ja) * 1983-03-04 1984-09-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リボンカセツト
DE3568869D1 (en) * 1984-04-17 1989-04-20 Tokyo Electric Co Ltd Printing apparatus
JPH07115516B2 (ja) * 1985-02-15 1995-12-13 株式会社サト− カ−ボンリボンの移送案内装置
JPS61259938A (ja) * 1985-04-26 1986-11-18 株式会社サト− サ−マルラベルプリンタ
JPS6256178A (ja) * 1985-09-05 1987-03-11 Toshiba Corp インクリボンの巻取装置
JPH0753458B2 (ja) * 1987-06-30 1995-06-07 株式会社テック ラベルプリン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4202A (en) * 2005-08-16 2008-05-28 Sung-Gyu Kim Cap having auxiliary vi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97082A (ja) 1991-04-23
DE69023993T2 (de) 1996-08-01
EP0416853A3 (en) 1993-04-28
EP0416853A2 (en) 1991-03-13
KR910006877A (ko) 1991-04-30
US5065002A (en) 1991-11-12
EP0416853B1 (en) 1995-12-06
DE69023993D1 (de) 199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565B1 (ko) 라벨발행장치
US5307297A (en) Data processor with wireless auxiliary input apparatus
US7367372B2 (en) Printer
US8616699B2 (en) Hand-held portable printer
US5539194A (en) Modular hand-held data entry system
JPH0546113Y2 (ko)
US6388774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5447379A (en) Portable tag or label printer
EP0249142B1 (en) Electronic hand labeler
US11287289B2 (en) Digital encoder with screen
SE443462B (sv) Elektroniskt kassaregister med tre skrivstationer
NO774431L (no) Innretning for optisk tegngjenkjennelse
JPH03294980A (ja) ラベル発行装置
KR940005172B1 (ko) 광학식 데이타 전송장치
JPH04301482A (ja) 電子タイプライタ
KR930007623B1 (ko) 가격표 인자 유니트 및 가격표 인자장치
KR930002019B1 (ko) 수동주사형 인자장치
KR910005250Y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명령 입력장치
KR900002205B1 (ko) 마이콤식 전자레인지의 요리 안내 장치
JP2000011794A (ja) 押しボタン
CN1121194A (zh) 用于时间模拟显示和附加数字显示的时钟机构
WO1999052028A1 (en) Interactive keyboard cartridge containing scrollable keyboard menus made on a roll of positive photographic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