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497Y1 -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497Y1
KR930005497Y1 KR2019910009768U KR910009678U KR930005497Y1 KR 930005497 Y1 KR930005497 Y1 KR 930005497Y1 KR 2019910009768 U KR2019910009768 U KR 2019910009768U KR 910009678 U KR910009678 U KR 910009678U KR 930005497 Y1 KR930005497 Y1 KR 930005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s
heat sinks
rectifying bridge
diodes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영
Original Assignee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정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정해영 filed Critical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9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97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류브릿지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류브릿지의 정면도.
제3도는 A-A선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을 보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브릿지 (Rectifier bridge)
2 : 마이너스 방열판 (Heatsink negative)
3 : 플러스 방열판 (Heatsink positive)
4, 4' : 절연체 (Insulator) 5, 5' : 공동리벳 (Hollow Rivet)
6 : 구리판
7 : 터미널 어셈블리 (Terminal assembly)
8, 8' : 트리오 다이오드 (Trio Diode) 9, 9' : 블록
10, 10', 11, 11' : 다이오드 12 : 콘덴서 (Capacitor)
13 : 밧데리 단자(stud)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전발전기용 정류브릿지(Rectifier bridge)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정류브릿지는 방열판의 재질의 구리(Cu)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면에 도금 또는 페인팅을 해야하며, 전체적으로 중량이 무겁고 가격또한 고가이다.
또한 터미날이 각각 분리구성되어 있어서 작업공수가 많음을 부정할 수 없고, 콘덴서(Capacitor)를 장착키 위해서는 별도의 납땜 공정을 거쳐야 하는 폐단이 있었는바,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난점을 일소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 보기로 한다.
제1, 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류브릿지(1)의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상하로 마이너스 방열판(Heatsink negative)(2), 플러스 방열판(Heatsink positive)(3)은 수개의 절연체(Insulator)(4, 4')를 사이에 두고 공동 리벳(Hollow Rivet)(5, 5')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 방열판(2, 3)은 알루미늄(Al)으로 제작되어 표면을 니켈(Ni) 무전해 도금처리를 함으로서 중량이 종래의 방열판 보다 훨씬 가벼우며, 가격 또한 저렴하고 내식성과 납땜성이 우수하다.
하측의 플러스 방열판(3)에는 내부에 얇은 구리판(6)을 삽입하여 합성수지제로 성형한 터미널 어셈블리(Terminal assembly)(7)가 상기의 공동리벳(5, 5')으로 두 방열판(2, 3)과 동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터미날 어셈블리(7)에는 트리오 다이오드(8, 8')를 삽입할 수 있는 블록(9, 9')이 일체로 성형되어 블록(9, 9')내부에는 트리오 다이오드(8, 8')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하의 두 방열판(2, 3)하측에는 각기 4개씩 다이오드(10, 10', 11, 11')가 부착되며, 정류브릿지(1) 일측에는 다이오드(10, 10', 11, 11')가 스윗칭시 발생한 노이즈(noise)를 제거시켜 주며 정류된 파형을 평활화시켜 라디오 등의 잡음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콘덴서(12)가 부착되는데, 이는 밧데리 단자(stud)(13)가 플러스 방열판(3)에 강제 압입될때 동시에 고정하여 기존의 납땜 또는 용접의 공정을 제거토록 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8개의 다이오드(10, 10', 11, 11') 중 6개의 다이오드는 발전기의 고정자선과 결합되어 3상 전파 정류회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2개는 고정자의 중성점과 연결되어 고회전시에 더 높은 출력을 내는 특성을 지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트리오 다이오드(8, 8')는 전압조정기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자로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류브릿지(1)는 다이오드(10, 10', 11, 11')가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시킬시 발생되는 고열을 상하의 마이너스, 플러스 방열판(2, 3)을 통해 에어플로우에서 발생되는 공기로 강제공냉시키며, 상기 두 방열판(2, 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Al) 재질로 구성되어 표면에 니켈(Ni)무전해 도금처리를 함으로써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납땜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잇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터미널 어셈블리(7)는 내부에 얇은 구리판(6)을 내장하고 트리오 다이오드(8, 8')가 삽입 설치 될 수 있는 블록(9, 9')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서, 결선 및 부품조립시의 작업공수를 현격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다기능 일체화 시킬 수 있고, 정류브릿지(1) 일측의 콘덴서(12) 역시 밧데리 단자(13)가 마이너스 방열판(3)에 강제 압입될때 동시에 고정하므로서 공정수를 줄이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져 하는 기술의 범위가 언급될 것이나, 단순한 구성의 변경 역시 본 고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알루미늄(Al)재질로 구성되고 표면에 니켈(Ni) 무전해 도금처리된 상, 하 플러스, 마이너스 방열판(2, 3)과 이의 상간에 수개의 절연체(4, 4') 및 플러스 방열판(3) 하측에 구리판(6)이 몰딩되고 트리오 다이오드(8, 8') 삽입 블록(9, 9')이 형성된 터미널 어셈블리(7)를 공동리벳(5, 5')으로 일체로 고정하여 정류브릿지(1)를 구성하며;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 방열판(2, 3) 하측에는 수개의 다이오드(10, 10', 11, 11')가 장착되며; 상기 정류 브릿지(1) 일측에는 밧데리단자(13)를 플러스 방열판(3)에 강제 압입하며, 밧데리 단자(13) 압입시에 콘덴서(12)도 동시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지.
KR2019910009768U 1991-06-25 1991-06-25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KR930005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768U KR930005497Y1 (ko) 1991-06-25 1991-06-25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768U KR930005497Y1 (ko) 1991-06-25 1991-06-25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497Y1 true KR930005497Y1 (ko) 1993-08-20

Family

ID=1931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768U KR930005497Y1 (ko) 1991-06-25 1991-06-25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4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8564A (en) Rectifier heat dissipation
CN107408554B (zh) 电力转换装置
US5737210A (en) Bridge rectifier configuration and mounting for supplying exciter current in an AC generator
US6784576B2 (en) Integrally formed rectifier for internal alternator regulator (IAR) style alternator
US5866963A (en) Bridge rectifier with insulating support having expandable legs
US20040174081A1 (en) Diode interconnection in an alternator rectifier
US5838544A (en) Heat dissipating structure for rectifiers of car alternators
KR930005497Y1 (ko) 자동차의 충전 발전기용 정류브릿치
JP2002165453A (ja) 二バッテリ搭載型車両用降圧型dc−dcコンバータ装置
US5892676A (en) Rectifier bridges assembly having improved heat dispersing characteristics and an arcing-free design
US6970357B2 (en) Rectifier bridge assembly
JPS58141645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US6411536B1 (en) Rectifier device, having a cooling body, for a three-phase dynamo of a motor vehicle
JP2002369528A (ja) Dc−dcコンバータ装置
CN207166363U (zh) 一种五相整流桥
US7116021B2 (en) Bridge rectifier for charging system alternator
US6456515B1 (en) Three-phase H-bridg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GB1468685A (en) Semi-conductor rectifier heat sink assembly
KR0112017Y1 (ko)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정류장치
US6713937B2 (en) Minitab rectifier for alternators
Dimitrov Analysi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Efficiency Improvement of Automotive Onboard Battery Charger Based on MOSFETs Ideal Rectifier for Active Boost PFC
KR200272503Y1 (ko) 교류발전기의 정류자와 전압 조정기 결합구조
JPS6230460Y2 (ko)
KR200148306Y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JP4100889B2 (ja) ショート式電圧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