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117Y1 - 프린터의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117Y1
KR930005117Y1 KR2019890019907U KR890019907U KR930005117Y1 KR 930005117 Y1 KR930005117 Y1 KR 930005117Y1 KR 2019890019907 U KR2019890019907 U KR 2019890019907U KR 890019907 U KR890019907 U KR 890019907U KR 930005117 Y1 KR930005117 Y1 KR 930005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paper
tractor
lev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89U (ko
Inventor
은종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117Y1/ko
Publication of KR9100111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터의 급지장치
제1도는 용지를 밀어 넣어주는 방식으로 전환된 상태도.
제2도는 용지를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전환된 상태도.
제3도는 낱장지를 사용할 때의 방식으로 전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텐 2 : 마찰로울러
4 : 트랙터 5 : 회전축
6 : 레버 7 : 아이들러
8 : 안내구 8b1, 8b2, 8b3 : 정류홈
본 고안은 프린터용 급지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급지방식을 플라텐에 밀어 넣는 방식과 플라텐으로 부터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서로 전환 가능하고 또한 낱장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연속용지가 트렉터에 장전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낱장지를 장전, 인자할 수 있게 한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급지장치는 플라텐으로 용지를 밀어서 끼워넣는 방식과 플라텐으로 부터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대별되며, 이 같은 급지방식은 통상 주문자(사용자)의 선택사양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서로 다른 이들 급지방식은 기구적으로 독특한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애당초 정해진 방식대로만 사용이 가능하며, 본래의 선택기능에 다른 형태의 기능을 추가하려면 그에 따른 구동장치를 교환가능한 형식으로 서치해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은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조를 갖춰야 하므로 비용면에서도 불리할 뿐더러 기구적으로도 매우 복잡성을 띄어 합리하다. 더욱이, 밀어넣는 방식의 경우에는 연속지가 장전된 상태에서는 낱장지를 장전하여 사용할 수 없는 구주로 되어 있어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밀어 넣는 방식과 끌어당기는 방식의 변환이 가능한 복합구조를 갖춘 급지장치에서 밀어넣는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트렉터에 연속 용지를 장전한 상태에서 낱장기록 용지를 삽입하여 플인팅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플라텐(1)의 하측에는 동일한 축방향으로 설치된 마찰로울러(2)가 상기 플라텐(1)과 선택적으로 접속 및 이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라텐(1)은 플라텐기어(1a)와 접속된 여러 중계기어(G1) (G2)(G3)(G4)(G5)를 통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며 트랙터(4)는 중계기어(G1) 또는 플라텐기어(1a)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구동력을 전달받아 용지를 급지한다.
여기서, 마찰로울러(2)의 회전축(5)의 일단에는 ㅗ자형 레버(6)의 회전중심 이 고정축 끼움되어 있고, 이 레버(6)의 일단(6a)에는 아이들러(7)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6b)은 상기 마찰로울러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한 호상안내면(8a)과 이 안내면상에 위치별로 고정시키기 위한 정류홈(8b1)(8b2)(8b3)을 가진 안내구(8)에 안내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 안내구(8)는 본체의 프레임(도시없음)상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버(6)의 일단(6a)에 부착된 아이들러(7)는 그 축이 링크(9)를 통해서 트래컷(4)와의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고 또한 언제나 트랙터(4)의 구동기어(10)에 접속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레버의 작동에 따른 위치변화시의 활동에 여유를 갖게 하기 위하여 레버(6)의 일단(6a)에 형성한 축공(6c)은 장공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트랙터(4) 역시 레버(6)의 조작에 따라 급지안내 자세에 변화가 가능하도록 피봇(11)으로 헐겁게 지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버(6)가 우측으로 편향 조작된 상태에서는 아이들러(7)가 최초의 중계기어(G1)에 접속되어 트랙터(4)측의 구동력을 플라텐(1)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접속되며, 트랙터(4)의 용지안내 통로가 플라텐(1)의 하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으므로 트랙터(4)를 통과한 용지는 플라텐(1)의 하측으로 인입되어 도시하지 않은 안내구에 안내되어져 플라텐의 주면을 휘돌라 나가게 된다. 이 상태는 레버(6)의 타단(6b)이 안내구(8)의 상단 정류홈(8b1)에 머물러 있는 동안 그대로 지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밀어넣기 방식으로 연속 용지를 급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동력원으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중계기어(G1)으로 부터 중계기어(G2,G3,G4,G5)를 통해 플라텐기어(1a)가 회전함에 따라 플라텐(1)이 회전하며, 동시에 플라텐기어(1a)와 치합된 아이들러(7)가 구동하면서 트랙터(4)를 구동시키므로써 트랙터(4)가 연속용지를 플라텐(1)측으로 밀어넣게 되어 연속용지를 급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제2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그림은 레버(6)가 좌측으로 편향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트랙터(4)와 아이들러(7)는 동시에 상된 위치에 있다.
즉, 트랙터(4)는 피봇축(11)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우선회하여 수평을 이루고 아이들러(7)는 최초 중계기어(G1)에서 이완되어 상향이동하여 플라텐기어(1a)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트랙터(4)의 용지통로가 플라텐(1)의 윗쪽 접선과 통하고 있으므로 용지는 플라텐(1)을 돌아서 트랙터(4)의 용지통로로 진입, 통과하며, 마찰 로울러(2)와의 접촉은 전혀 없게 되며 이때에는 모터의 구동력이 중계기어들 (G1,G2,G3,G4)을 거쳐 플라텐기어(1a)를 구동시킴에 따라 플라텐기어(1a)의 구동력이 아이들러(7)를 거쳐 트랙터구동기어(10)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용지를 끌어당기에 되며 급지한다.
제3도는 낱장급지를 할 수 있는 상태로써 레바(6)의 일단(6b)이 안내구(8)의 중간홈(8b2)에 걸림상태로써 타단(6a)에 축지된 아이들러(7)가 플라텐기어(1a)와 중계기어(G1)로 부터 이완된 상태를 유지하며 플라텐(1) 하측에 설치된 마찰로울러(2)가 플라텐(1)에 밀착된다.
이때 레바(6)의 작동에 따른 자세변화에 따라 마찰로울러(2)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완하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를 따라 진입된 용지는 플라텐의 하측에서 마찰로울러와의 사이로 인입되어 플라텐(1)을 휘감아 진행될 수 있게 되며 이때 낱장용지의 이송은 중계기어(G1,G2,G3,G4,G5)를 통해 플라텐기어(1a)가 구동함에 따라 플라텐(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용지가 마찰로울러(2)의 압력에 따라 마찰력에 의해 이송하게 된다.
이때 밀어넣기 방식으로 사용되던 트랙터(4)에 연속용지가 장정된 상태에서 낱장급지로 바꾸고자할 때에는 레버(6)의 변환에 따라 모터가 역회전하면 기어(G1)에 접속하고 있던 아이들러(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트랙터(4)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플라텐(1)에 감겨있던 연속용지를 뒤로 배출한다. 이때 플라텐(1)에 주변에 설치된 센서(S)가 용지의 선단을 감지하여 소정거리만큼만 용지가 이동하여 용지지 선단이 트랙터(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모타의 구동시간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것이므로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낱장공급을 할 수 있게 되는것이며 이후 낱장용지의 프린팅이 완료된 후 연속용지를 사용한 경우 레바의 위치를 변환시키면 바로 연속용지를 급지할 수 있게 도니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고안에 의하면 일단에 아이들러를 가진 레버를 마찰로울러의 회전축상에 설치하고 이 아이들러의 축을 링크로 트랙터에 연결하여 레바의 좌 또는 우측편향 조작 및 중립위치 조작으로써 플라텐에의 급지방식에 전환을 가져오는 것으로서, 레버와 아이들러 그리고 링크 등 적은 요소의 추가 설치만으로 급지방식의 선택이 자유롭고, 또한 3가지 급지방식의 동시 수용에도 부룩하고 구조는 매우 단순하며 이에 수반되는 비용부담은 경미하여 실용적 가치가 크다.

Claims (1)

  1. 프린터의 용지를 삽입하기 위한 트랙터의 자세를 변환시켜 기록 용지를 밀어넣기 방식 및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플라텐(1)에 외접되는 마찰로울러(2)의 회전축(5)에 ㅗ자형 레버(6)를 고정축 끼움하고, 상기 레버(6)의 일단(6a)에 축공(6C)울 형성하여 아이들기어(7)를 설치하며, 타단(b)를 호상안내구 (8)에 형성된 정류홈(8b1,8b2,8b3)에 선택적으로 접촉 안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급지장치.
KR2019890019907U 1989-12-27 1989-12-27 프린터의 급지장치 KR930005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907U KR930005117Y1 (ko) 1989-12-27 1989-12-27 프린터의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907U KR930005117Y1 (ko) 1989-12-27 1989-12-27 프린터의 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89U KR910011189U (ko) 1991-07-29
KR930005117Y1 true KR930005117Y1 (ko) 1993-08-09

Family

ID=1929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907U KR930005117Y1 (ko) 1989-12-27 1989-12-27 프린터의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1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89U (ko) 199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7116A2 (en) Printer system for enabling user to select various forms-feed modes
JP5124245B2 (ja) 固体インクプリンタ及びその固体インク送給系
US4602883A (en) Powered paper bail release and paper feeding mechanism
EP0566159B1 (en) Sheet feeding device in a printer
US5149217A (en) Selectively actuatable multiple medium feed mechanism for a micro printer
US4682904A (en) Paper feed mechanism for printer
KR930005117Y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JPH0655539B2 (ja) 印字装置の多色インクリボン切替機構
KR0135429Y1 (ko)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US5123583A (en) Paper feeder for printers
JPH06179273A (ja) 印字装置
KR960001970B1 (ko) 프린터의 용지 자동 이송장치
US5184904A (en) Paper feeder
KR100290174B1 (ko) 사무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3636B1 (ko) 소형프린터의 리본 구동장치
US5183348A (en) Printer having tractor unit attachable to one of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platen
JPH0756200Y2 (ja) プリンタにおける紙送り装置
KR940003983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US20050242495A1 (en) Paper discharge device for printer
JPH0378272B2 (ko)
KR900010804Y1 (ko) 복사기 및 레이저 프린터의 급지장치
JPS6325954B2 (ko)
JP2545771Y2 (ja) 用紙押えローラ開閉機構
JPS63246264A (ja) 用紙送り装置
KR920008550Y1 (ko) 프린터의 낱장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