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69Y1 - 다층 건물용 배수구 - Google Patents

다층 건물용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69Y1
KR930004969Y1 KR2019910011152U KR910011152U KR930004969Y1 KR 930004969 Y1 KR930004969 Y1 KR 930004969Y1 KR 2019910011152 U KR2019910011152 U KR 2019910011152U KR 910011152 U KR910011152 U KR 910011152U KR 930004969 Y1 KR930004969 Y1 KR 930004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trap
drain trap
draina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796U (ko
Inventor
박종홍
Original Assignee
박종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홍 filed Critical 박종홍
Priority to KR2019910011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969Y1/ko
Publication of KR930002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7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층 건물용 배수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덮개판 사용상태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구 2 : 뚜껑체
2a : 관체 3 : 덮개판
4 : 배수공 5 : 내통
6 : 돌륜부(하향경사면) 7 : 배수트랩
7a : 외통 7b : 저수용 요입부
8 : 수직벽 9 : 요홈
10 : 걸림턱 11 : 고정편
12 : 못구멍 13 : 물분산축
14 : 지지간 15 : 덮개판
16 : 요환부 17 : 배수관
본 고안은 다층건물의 옥상 베란다등의 바닥벽에 매입시공되어 옥상베란다등의 바닥면에 고여진 빗물 오수등을 배수관으로 배수처리하는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배수구의 콘크리트내 매입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배수구와 배수구관으로 떨어지는 물소리로 인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배수구는 콘크리트내에 매입시공할 시 배수구내에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내에 신문지등을 넣어서 배수구내 구멍을 막은 후 베니어판등을 덮고서 콘크리트 시공을 하였으나 시공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베니어판 신문지 등이 움직여서 배수구내에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 굳는 경우에는 시공후 배수구내에 굳은 콘크리트를 떼어내기 위한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고, 배수구의 매입시공후에는 배수구 및 배수관으로 떨어지는 물소리가 요란하여 비오는 날 밤에는 물 떨어지는 소음으로 인하여 잠을 설치게되는 폐단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배수구에 부합되는 덮개판을 상품화하여 배수구와 함께 일체적으로 판매함으로써 배수구의 시공 작업시 배수구에 덮개판을 간편하게 덮어 시공할 수 있게 하여 배수구의 시공 과정에서 배수구 콘크리트가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배수구의 구조 개량을 통하여 배수구와 배수관으로 떨어지는 물소리가 보다 작게 나도록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주면에 못구멍(12)을 갖는 고정편(11)과 다수의 걸림턱(10)이 환설되며 내부 상측에 다수의 요홈(9)을 갖는 수직벽(8)이 입설되고, 상기 수직벽(8)과 외통(7a) 사이에 저수용 요입부(7b)가 환설된 배수트랩(7)의 수직벽(8)에 관체형의 내통(5)을 삽설하고, 내통(5) 상단에, 관체(2a)외주면에 다수의 배수공(4)을 갖는 덮개판(3)이 환설된 뚜껑체(2)를 덧씌워서 된 통상의 다층 건축물용의 배수구(1)에 있어서, 본 고안은 내통(5)의 내주면에 내향으로 하향 경사진 돌환부(6)를 형성하고 배수트랩(7)의 하단 내측 중심에 지지간(14)을 갖는 원뿔형 물분산용축(13)을 형성하여 못구멍(12)을 갖는 고정편(11)을 배수트랩(7)외주면에 최하단에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15)는 배수구(1) 매설작업용의 덮개판으로서 배수트랩(7) 상단에 삽탈자재되는 것이며, (16)는 배수관(17) 삽설용의 요환부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1)는 다층건물의 옥상 베란다 등의 바닥면에 매입시공되어 배수구(1)의 상하단부 관체내에 각층을 연결하는 배수관(17)을 연결함으로써 각층의 빗물 오수등을 배수구(1)를 통하여 하수구로 배수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바닥면의 시공시에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체적으로 시공되는 것이다.
배수트랩(7)을 시공할 때에는 먼저 콘크리트 양생용 거푸집에 덮개판(15)을 덮은 배수트랩(7)을 재치하고 고정편(11)의 못구멍(12)을 통하여 못을 타삽하므로써 거푸집에 배수트랩(7)을 고정시킨 후 배수트랩(7)의 덮개판(15)상단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콘크리트가 굳으면 거푸집과 함께 덮개판(15)을 벗겨낸 후 배수트랩(7)의 수직벽(8)에 내통(5)을 삽착하고 내통(5) 상단에 뚜껑체(2)를 안치한 다음 배수트랩(7) 하단의 요환부(16)와 뚜껑체(2) 상단의 관체(2a)내에 배수관(17)을 삽설한다.
본 고안은 배수구(1)의 매설작업시 덮개판(15)이 배수트랩(7)에 긴밀히 삽착되어 배수트랩(7)내로의 콘크리트 유입을 막아줌으로써 배수트랩(7)으로의 콘크리트 유입을 막기 위하여 배수트랩(7)내에 신문지등을 충진시키고 베니어판을 덮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매설작업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신문지 베니어판 등이 유동되는 경우에 배수트랩(7)내로 콘크리트가 유입됨으로써 배수트랩(7)의 시공후 배수트랩(7)내에 유입된 콘크리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가 있으며, 고정편(11)이 배수트랩(7)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있어서, 배수트랩(7)의 매설작업시 배수트랩(7)의 고정편(11)이 거푸집에 밀착되기 때문에 거푸집에 의한 배수트랩의 고정 작업(못타설작업)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배수구(1)는 물이 배수구 내통(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내통(5)의 중심부를 지나는 물은 수직 낙하하여 배수트랩(7)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원뿔형의 물분산측(13)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어 낙하하고 내통(5)의 가장자리를 지나는 물은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돌환부(6)에 의하여 배수트랩(7)의 중앙부로 모여지면서 물분산축(13)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어 낙하함으로써 내통(5)을 통과하여 낙하하는 모든 물덩어리는 물분산축(13)에 의하여 보다 세분화된 상태로 분산되어 떨어지기 때문에 물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물상호간의 마찰음이나 물과 배수판(17) 및 배수구(1)와의 마찰음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배수구(1)를 형성함에 있어서, 못구멍(12)을 갖는 고정편(11)을 배수구(1) 배수트랩(7)의 최하단에 형성하고 배수트랩(7)에 덮개판(15)을 착탈자재케 하여 배수구(1)의 콘크리트내 매설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배수구(1) 내통(5)에 내향 경사진 돌환부(6)를 형성하고 배수트랩(7) 하측 중앙에 원뿔형 물분산축(13)을 형성하여 떨어지는 물덩어리를 보다 세분화함으로써 물떨어지는 소음을 저하시키는 데 그 실용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저수용 요입부(9)를 갖는 배수트랩(7) 내부 상단의 수직벽(8)에 악취 발산 방지용의 내통(5)을 삽착하고 내통(5) 상단에 다수의 배수공(4)을 갖는 뚜껑체(2)를 삽착하여서 된 공지의 배수구에 있어서, 배수트랩(7)의 중앙 하단부에 물분산용의 원뿔형 중심축(13)을 지지간(14)에 지지되게 장설하고 배수트랩(7)의 외통(7a)상단에 덮개판(15)을 결합하여서 된 배수구.
KR2019910011152U 1991-07-16 1991-07-16 다층 건물용 배수구 KR930004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152U KR930004969Y1 (ko) 1991-07-16 1991-07-16 다층 건물용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152U KR930004969Y1 (ko) 1991-07-16 1991-07-16 다층 건물용 배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796U KR930002796U (ko) 1993-02-25
KR930004969Y1 true KR930004969Y1 (ko) 1993-07-26

Family

ID=1931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152U KR930004969Y1 (ko) 1991-07-16 1991-07-16 다층 건물용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9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796U (ko) 199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00070A (en) Floor drain
US3066802A (en) Floor drain
KR930004969Y1 (ko) 다층 건물용 배수구
JPH0137008Y2 (ko)
NL1025765C2 (nl) Goot met stankafsluiter.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JPH0533592Y2 (ko)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KR930008417Y1 (ko) 베란다용 배수트랩
KR100451895B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JPH0526145Y2 (ko)
JPH0732617Y2 (ja) 雨水浸透桝
KR810002524Y1 (ko) 베란다용 빗물 배수트랩
KR100377636B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678432B2 (ja) 排水溝用蓋
JPH0439340Y2 (ko)
KR100566098B1 (ko) 배수트랩
JPH0743219Y2 (ja) トラップ付排水枡に使用する集排水器具
JPH0115745Y2 (ko)
JPS5835744Y2 (ja) 排水トラツプ
KR101073851B1 (ko) 층상 배수관 장치
KR940000287Y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관의 배수전
JPH0424020Y2 (ko)
KR20020078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910005050Y1 (ko) 발코니용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