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930Y1 -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 Google Patents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930Y1
KR930004930Y1 KR2019880020242U KR880020242U KR930004930Y1 KR 930004930 Y1 KR930004930 Y1 KR 930004930Y1 KR 2019880020242 U KR2019880020242 U KR 2019880020242U KR 880020242 U KR880020242 U KR 880020242U KR 930004930 Y1 KR930004930 Y1 KR 930004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tape cassette
pulse
circuit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2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13095U (en
Inventor
유석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930Y1/en
Publication of KR9000130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095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30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Automatic Loading Circuit of Video Tape Cassette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도이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n automatic loading circuit diagram of a video tape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FF1: 플립플롭 SW1: 클럭신호 발생용 스위치FF 1 : Flip-flop SW 1 : Clock signal generation switch

D1-D4: 다이오드 Q1-Q4: 트랜지스터D 1 -D 4 : Diodes Q 1 -Q 4 : Transistors

IC1: 로딩모터 구동회로 M : 로딩모터IC 1 :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M: Loading motor

MICOM : 마이컴MICOM: Micom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는 이젝트 스위치(Eject Switch)를 이용하여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자동적으로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시키기 위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tape recorder (VT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deo tape cassette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a video tape cassette using an eject switch in a video tape recorder. It relates to an automatic loading circuit.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로딩시키는 방식은 사용자가 카세트를 도어내에 수동으로 삽입하면, 소정의 센서가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상태를 감지하여 로딩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테이프의 로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었던바,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시킬 경우, 일일이 수동으로 밀어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모든 기능을 원격조정하기 위한 리모콘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시키는 것만은 사람이 수동으로 수행해야만 하였으므로 엄격히 말해서 완전한 전자동 시스템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In general, a method of loading a video tape cassette into a video tape recorder is that when a user inserts a cassette into a door manually, a predetermined sensor senses the insertion state of the tape cassette to drive the loading motor so that the tape is loaded. This approach was cumbersome in that the user manually pushed the tape cassette when loading the tape cassett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 video tape recorder for remotely controlling all the functions of the video tape recorder, the loading of the tape cassette only has to be performed manually by a person, and thus is not strictly a fully automatic system.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어넣는 대신에 자동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로딩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deo tape cassette autoloading circuit for automatically loading a video tape cassette instead of a user manually pushing i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시 소정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펄스신호 생성부와, 발생된 펄스에 의해 동작하여 로딩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is composed of a pulse signa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tape cassette,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loading motor by operating by the generated pulse It is done.

본 고안에 따르면, 펄스신호 발생부는 클럭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소정상태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T형 플립플롭과, 플립플롭에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수동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플립플롭에서 발생되는 펄스의 상태는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변화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ulse signal generator comprises a T-type flip-flop for generating a pulse in a predetermined state each time a clock signal is input, and a manual switch for providing a clock signal to the flip-flop. Therefore, the state of the pulse generated in the flip-flop chang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또한, 펄스신호 발생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을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해 플립플롭에 인가되는 클럭신호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자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 경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리모콘방식이어야 한다.In addition, the pulse signal generat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n automatic switch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 off the clock signal applied to the flip-flop in order to remotely control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tape cassette. Should be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도를 표시한 것인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과 언로딩을 수행하도록 한 스위치(SW1; 이 스위치는 기존의 이젝트(Eject) 스위치에 해당하지만, 본 고안에서 이 스위치는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임)와, 리모콘(도시하지 않았음)에서 발생된 로딩 및 언로딩 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포토 트랜지스터(QPh)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포토 트랜지스터(QPh)의 에미터 단자에는 전류제한용저항(R1)과 스위치(SW1)의 한측단자가 공접되어 소정의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T형 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와 연결되어 있다.FIG. 1 shows an automatic loading circuit diagram of a video tape 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 switch (SW 1 ) configured to perform loading and unloading of a tape cassette is represented by an existing eject. ) Switch,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is for performing the automatic loading function of the tape cassette) and a photo transistor (Q Ph) for receiv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signals gen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not shown). ) Is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T-type flip-flop which emits a predetermined pulse signal by connecting the current limiting resistor R 1 and one terminal of the switch SW 1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photo transistor Q Ph . It is connected to the clock terminal CLK of (FF 1 ).

소정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D1)(D2)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각각 연결되고,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3)(D4)를 통과한 마이컴(MICOM)의 신호(TUL)(TL)에 의해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3)(Q4)의 콜렉터가 각각 연결된다.Output terminals of the flip-flop FF 1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are connected to the bases of the transistors Q 1 and Q 2 via diodes D 1 and D 2 , respectively, and transistors Q 1 and Q. The collectors of 2 ) are connected to the collectors of transistors Q 3 and Q 4 respectively operated by the signal TUL TL of the microcomputer MICOM passing through the diodes D 3 and D 4 .

그리고, 트랜지스터(Q1)(Q3)와 (Q2)(Q4)의 에미터 단자에는 저항(R2)(R3)과 로딩모터 구동회로(IC1)의 입력단자(INP1)(INP2)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바, 로딩모터 구동회로(IC1)의 출력단자(OUT1)(OUT2)에는 로딩모터(M)가 연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C1, C2는 콘덴서를 표시한다.Then, the transistor (Q 1) (Q 3) and (Q 2) an input terminal (INP 1) of the (Q 4) the emitter terminal of the resistor (R 2) (R 3) and (IC 1) to the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of the (INP 2 )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e loading motor (M)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1 ) (OUT 2 ) of the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IC 1 ).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C 1 and C 2 denote capacitor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전에 스위치(SW1)를 한번 작동시킬 경우를 카세트 언로딩(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카세트 삽입용 도어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라 하고, 스위치(SW1)를 한번더 작동시킬 경우를 카세트 로딩(테이프 카세트가 도어쪽에서 안착부로 이동하는 것)이라 한다. 또한, 카세트 언로딩전에 비디오 헤드에 위치된 테이프가 폴 베이스(pole base)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로 이동하는 것을 테이프 언로딩이라 하고 카세트 로딩 완료후 테이프 카세트에 있는 테이프가 폴 베이스에 의해 비디오 헤드로 이동하는 것을 테이프로딩이라 정의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operating the switch SW 1 once is referred to as cassette unloading (moving toward the cassette insertion door while the tape cassette is seated on the seat), and the switch SW 1 is Further operation is referred to as cassette loading (taking the tape cassette from the door to the seat). In addition, moving the tape placed on the video head to the tape cassette by the pole base before cassette unloading is called tape unloading and the tape in the tape cassette is moved to the video head by the pole base after the cassette loading is completed. This is defined as tape loading.

우선, 삽입된 상태(테이프 로딩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이젝트 시키고자 할경우, 사용자는 스위치(SW1)를 누른다. 스위치(SW1)가 순간적으로 눌려졌다가 오프될 경우, 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에는 클럭신호가 공급됨과 동시에 마이컴(MICOM)은 스위치(SW1)가 한번 눌러졌다가 오프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단자(TUL)에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제어단자(TL)에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각각 발생시켜 다이오드(D3)(D4)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에 각각 인가한다.First, when the tape cassette is to be ejected in the inserted state (tape loaded state), the user presses the switch SW 1 . When the switch SW 1 is momentarily pressed and turned off, a clock signal is supplied to the clock terminal CLK of the flip-flop FF 1 and the microcomputer MICOM is pressed once after the switch SW 1 is turned off. And a high state signal to the control terminal TUL and a low state signal to the control terminal TL, respectively, and sense the transistor Q 3 and Q 4 via the diode D 3 and D 4 . Apply to each base).

한편, 플립플롭(FF1)은 그의 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로우상태의 신호를 각각 발생시켜 다이오드(D1)(D2)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인가한다.Meanwhile, the flip-flop FF 1 outputs a high state signal through its output terminal Q. ) By way of the respectively generated by the diode (D 1) (D 2) a signal of low level it is applied through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1) (Q 2) .

이때 트랜지스터(Q1)(Q3)는 그들의 베이스단자에 하이상태의 신호가 각각 인가됨에 따라 턴온되는 반면, 트랜지스터(Q2)(Q4)는 로우상태의 신호가 베이스 단자에 각각 인가됨에 따라 턴오프된다. 따라서 로딩모터 구동회로(IC1)의 입력단자(INP1)에는 하이신호가, 입력단자(INP2)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어 구동회로(IC1)의 출력단자(OUT1)에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그의 출력단자(OUT2)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로딩모터(M)에 인가된다. 이때 로딩모터(M)는 역방향 회전을 하여 폴베이스(도시하지 않았음)를 작동하여 비디오 헤드(도시하지 않았음)에 접촉되어 있던 테이프를 카세트 안으로 후퇴시킨다. 즉 테이프 언로딩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ransistors Q 1 and Q 3 are turned on as high signals are applied to their base terminals, while transistors Q 2 and Q 4 are applied as low signals to the base terminals. Is turned off. Therefore, a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P 1 of the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IC 1 and a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P 2 , so that a high signal is output at the output terminal OUT 1 of the driving circuit IC 1 . The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UT 2 thereof and applied to the loading motor M. At this time, the loading motor M rotates in reverse to operate a pole base (not shown) to retract the tape that has been in contact with the video head (not shown) into the cassette. That is, tape unloading.

테이프 언로딩이 완료되면 로딩모터(M)는 카세트 홀더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았음)을 구동시켜 테이프 카세트를 안착부(도시하지 않았음)로 부터 도어쪽으로 이동시켜 카세트 언로딩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tape unloading is completed, the loading motor M drives the cassette holder driving mechanism (not shown) to move the tape cassette from the seating portion (not shown) to the door to perform cassette unloading.

그리고, 이젝트된 상태(즉 테이프 카세트가 도어에 위치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다시 삽입시키고자할 경우, 기존의 방식은 사용자가 손으로 카세트를 직접 밀어 넣어야만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tape cassette is to be reinserted in the ejected state (that is, the tape cassette is positioned in the door), the conventional method requires that the user push the cassette directly by hand,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rovide such inconvenience. To remove it, do the following:

즉, 이젝트된 테이프 카세트를 다시 삽입할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SW1)를 다시한번더 누른다. 이때 마이컴(MICOM)은 테이프 카세트가 이젝트된 상태에서 스위치(SW1)가 눌러졌다가 다시 오프되었음을 감지하여 그의 출력단자(TUL)에서는 로우신호를, 출력단자(TL)에서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각각 출력시켜 다이오드(D3)(D4)를 경유하여 트랜지스터(Q3)(Q4)의 베이스에 인가한다.That is, when reinserting the ejected tape cassette, the user presses the switch SW 1 again. At this time, the MICOM detects that the switch SW 1 is pressed and then turned off while the tape cassette is ejected, and then outputs a low signal at its output terminal TUL and a high signal at the output terminal TL. The output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 3 (Q 4 ) via the diode D 3 (D 4 ).

한편, 테이프 카세트가 이젝트된 상태에서 스위치(SW1)가 눌러졌을 경우, 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에서는 하이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바, 이들 신호들은 트랜지스터(Q1)(Q3)의 베이스에 각각 인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SW 1 is pressed while the tape cassette is ejected, the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Q of the flip-flop FF 1 , and the output terminal ( In this case, high signals are generated, and these signals are applied to the bases of the transistors Q 1 and Q 3 , respectively.

이때 트랜지스터(Q2)(Q4)는 베이스에 하이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턴온되지만 트랜지스터(Q1)(Q3)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로딩모터 구동회로(IC1)의 입력단자(INP1)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되고, 입력단자(INP2)에는 하이신호가 인가되어 그의 출력단자(OUT1)에서는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단자(OUT2)에서는 하이신호가 각각 출력되어 로딩모터(M)에 인가된다. 즉, 로딩모터(M)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ransistor Q 2 (Q 4 ) is turned on as the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base, but the transistor Q 1 (Q 3 ) is turned off. Therefore, a low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P 1 of the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IC 1 , a high signal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P 2 , and a low signal i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 OUT 1 thereof . The high signal is output from the terminal OUT 2 and applied to the loading motor M, respectively. That is, the loading motor M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로딩모터(M)가 정향으로 회전할시 로딩모터(M)는 카세트 홀더구동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구동시켜 테이프 카세트를 홀더로부터 안착부에 있는 릴에 정확히 위치시켜 카세트 로딩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loading motor M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oading motor M drives the cassette holder driving mechanism (not shown) to accurately position the tape cassette from the holder to the reel at the seat to perform cassette loading. .

이러한 카세트 로딩동작이 완료되면 로딩모터(M)는 폴베이스(도시하지 않았음)를 작동시켜 카세트내에 있는 테이프를 비디오헤드에 접촉시키는 테이프 로딩동작을 수행한다.When the cassette loa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loading motor M operates a pole base (not shown) to perform a tape loading operation of contacting the tape in the cassette with the video head.

지금까지 설명한 회로의 동작은 사용자가 일일이 스위치(SW1)를 눌러야 카세트의 로딩/언로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지만 이러한 방식은 종래의 카세트를 밀어넣는 방식과 거의 유사하므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The operation of the circuit described so far is to allow the user to press the switch SW 1 in order to load / unload the cassette.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almost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pushing the casset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eans. I took a look.

즉, 리모콘 방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 포토 트랜지스터(QPh)를 스위치(SW1)와 병렬로 연결시킴으로써 스위치(SW1)와 동일한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설명하기 전에 리모콘(도시하지 않았음)에는 스위치(SW1)의 기능을 수행하는 키이(EJECT/TAPE IN)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That is, was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remote control method by a video tape recorder connected to the photo transistor (Q Ph) in parallel with the switch (SW 1) switch (SW 1).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fore describing this, it is assumed that a key (EJECT / TAPE IN)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switch SW 1 is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ler (not shown).

테이프 로딩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이젝트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에 있는 키이(EJECT/TAPE IN)를 한번 눌렀다가 오프시키면 리모콘에서는 이 키이(EJECT)에 해당하는 신호를 PCM코드로 변환시켜 그의 투광부(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소정의 적외선을 발광시킨다. 이때, 포토트랜지스터(QPh)는 적외선의 수광시 작동하여 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에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동시에 마이컴(MICOM)은 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에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감지하여 그의 출력단자(TUL)에는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단자(TL)에는 로우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바, 이후의 회로동작은 스위치(SW1)를 한번 누른 경우와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If you want to eject the tape cassette while it is in tape loading mode, press the key on the remote control (EJECT / TAPE IN) once and turn it off.The remote control converts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is key (EJECT) into Predetermined infrared light is emitted through a miner (not shown). At this time, the phototransistor Q Ph operates when receiving infrared light and applies a signal to the clock terminal CLK of the flip-flop FF 1 . At the same time, the MICOM detects that the signal is input to the clock terminal CLK of the flip-flop FF 1 and generates a high signal at its output terminal TUL and a low signal at the output terminal TL. Since the subsequent circuit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when the switch SW 1 is pressed once, it will be omitted.

만약에 이젝트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를 로딩시킬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에 있는 키이(EJECT/TAPE IN)를 한번 더 눌렀다가 오프시킨다. 이때의 동작 역시 스위치(SW1)를 다시 한번 더 눌렀을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f you load the tape cassette in the ejected state, the user presses the key (EJECT / TAPE IN) on the remote control once more and turns it off. The operation at this time is also the same as when the switch SW 1 is pressed agai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리모콘방식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경우 스위치 또는 포토트랜지스터의 조작으로 플립플롭에서 발생된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자동으로 로딩 밍 언로딩시켜 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type video tape recorder provides convenience for use by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a tape cassette using a pulse signal generated from a flip-flop by operating a switch or a phototransistor.

Claims (4)

테이프 카세트 홀더를 구동시키는 로딩모터와, 상기의 로딩모터를 제어하는 로딩모터 구동회로를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시 소정의 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펄스 신호생성부와, 상기의 펄스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의 로딩모터 구동회로에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 생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A video tape recorder having a loading motor for driving a tape cassette holder, and a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for controlling the loading motor, comprising: a pulse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when loading and unloading a tape cassette;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perating the pulse to provide a control signal to the loading motor driving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펄스신호생성부는 클럭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소정상태의 펄스를 발생시키는 플립플롭과,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수동스위치로 구성되어 상기의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상기의 플립플롭에서 출력되는 펄스의 상태를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The pulse signal generator of claim 1, wherein the pulse signal generator comprises a flip-flop for generating a pulse in a predetermined state each time a clock signal is input, and a manual switch for providing a clock signal. An automatic loading circuit of a video tape cassette, characterized by changing a state of a pulse output from a flip-flop.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 및 언로딩을 원격으로 조정하기 위해 클럭신호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자동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4. The automatic loading of a video tape cassett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ulse signal generator includes an automatic switch for automatically turning on / off a clock signal to remotely control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tape cassette.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어신호생성부는 상기의 플립플롭의 출력상태에 따라 동작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자동 로딩회로.2. The automatic loading circuit of a video tape casset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control signal generator comprises at least two transistors operating according to the output state of said flip-flop to generate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KR2019880020242U 1988-12-08 1988-12-08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KR9300049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242U KR930004930Y1 (en) 1988-12-08 1988-12-08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242U KR930004930Y1 (en) 1988-12-08 1988-12-08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095U KR900013095U (en) 1990-07-05
KR930004930Y1 true KR930004930Y1 (en) 1993-07-26

Family

ID=1928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242U KR930004930Y1 (en) 1988-12-08 1988-12-08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930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095U (en) 199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930Y1 (en) Video cassette tape autoloading circuit
US4792867A (en) Synchronizing circuit for dubbing apparatus
US4542490A (en) Radio - cassette tape recorder/player system
KR910005511Y1 (en) Automatic replaying apparatus
KR100194492B1 (en) Automatic recording system by light switch of camcorder
KR0165261B1 (en) Device for auto loading of tape eject
US4737807A (en) Film rewinding device for camera
KR850001425Y1 (en) Automatic music selecting device for tape recorders
KR900009028Y1 (en) Starting system for tape dubbing
JPH0355197Y2 (en)
KR900004610Y1 (en) Recording time extension circuit during timer's recording
KR910004444Y1 (en) Automatic eject circuit on recording end
KR910005807Y1 (en) Video camera receiving circuit
KR890007190Y1 (en) Recording control circuit of recording reproducer
KR890004231Y1 (en) Automatic tape scanning circuit
KR900010114Y1 (en) Some protion repeat recording circuit for video tape recorder
KR850001359B1 (en) Repeating circuit of cassette tape recorder
KR900000075Y1 (en) Mode changing circuit of vtr
KR870001159Y1 (en) Driving circuit of double cassette tape recorder
KR910000204Y1 (en) Driving control circuit of vtr
KR100264806B1 (en) Magnetic recoder and/or regenerator
KR950006956B1 (en) Auto repeating apparatus for vcr
KR900003164Y1 (en) Melody-reproducing circuit
KR840001336Y1 (en) Trigger circuit for record state control in video cameta
JPH051665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