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810B1 -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810B1
KR930004810B1 KR1019910006931A KR910006931A KR930004810B1 KR 930004810 B1 KR930004810 B1 KR 930004810B1 KR 1019910006931 A KR1019910006931 A KR 1019910006931A KR 910006931 A KR910006931 A KR 910006931A KR 930004810 B1 KR930004810 B1 KR 930004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adapter
branch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0117A (ko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김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환 filed Critical 김두환
Priority to KR101991000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810B1/ko
Priority to US07/769,788 priority patent/US5240290A/en
Publication of KR92002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0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extremity of the pipe being screwed in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제1도는 본발명의 분리사시도.
제2a도는 아답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b도는 아답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의 (a)는 접속구의 정면도.
제3도의 (b)는 접속구의 측면도.
제3도의 (c)는 접속구의 측단면도.
제3도의 (d)는 접속구의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각 부재를 조립한 상태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발명의 사용상태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및 30 : 제1, 제2 및 제3오―링 50 : 아답터
40 : 접속구 70 및 90 : 조절밸브
80 : 원파이프 100 : 아답터 조립체
본 발명은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조파이프 없이도 원파이프에 접속하여 또다른 파이프 또는 조절밸브를 연결, 분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미 가설되어 있는 가스, 유류등과 같은 유체의 흐름을 위한 파이프에 또다른 장소로 그 흐름을 분기시키는 별도의 보조파이프를 연결할 필요성이 발생된다.
이 경우, 가설된 파이프의 일정부분을 제거한다음, 파이프의 절단부에 T형관의 양 수평 단부를 결합하고, 수직단에는 또다른 파이프 또는 조절밸브를 결합함으로서 파이프를 분기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T형관 등의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원파이프를 분기시키는 직업은 파이프의 절단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며, 또한, 다수의 위치로 분기시킬 경우에는 그필요 만큼의 T형관 및 파이프 절단작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파이프 분기작업시 발생하는 이와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행하지 않고서도 원파이프에 아답터 조립체를 연결시켜 분기파이프 또는 조절밸브를 연결할 수 있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제1오―링(10), 접속구(40), 제2오―링(20) 및 아답터(50)와 제3오―링(30)으로 구성된다.
고무재질의 제1오―링(10), 제2오―링(20) 및 제3오―링(30)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아답터(50)의 구성을 제1도 및 제2a도를 통하여 설명하면, 제2a도는 아답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아답터(50)는 선단의 삽입부(51), 본체(52) 및 연결부(53)로 구분되며, 각부분의 내부는 중공으로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선단의 삽입부(51)는 중공의 원통형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나사부(54)를 구성한다. 삽입부(51)의 나사부(54)는 선단에서 본체(52) 연접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Taper) 형태를 갖는다. 나사부(54) 표면에는 나사형성수단(55)이 구성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삽입부(51) 표면에는 동일직경의 제1구멍(55A), 제2구멍(55B), 제3구멍(도시되지 않음) 및 제4구멍(55D)이 형성된다. 제1구멍(55A)과 제3구멍,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은 부재의 중심을 지나는 지름선상에 각각 형성되며,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 및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은 서로 수직(+자)을 이룬다. 따라서 각 구멍의 중심은 삽입부(51) 원주면 표면상에서 서로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은 제2구멍(55B)와 제4구멍(55D)보다 각 구멍의 반지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삽입부(51) 선단에 구성된다. 즉,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의 중심을 지나는 삽입부(51) 표면의 연장선과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의 후단 접선의 삽입부(51) 표면 연장선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본체(52)와 인접한 삽입부(51)의 후단은 나사부가 아닌 평면 원통부(56)로 구성한다. 삽입부(51) 후미의 본체(52)는 그 표면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본체(52) 후미의 연결부(53)는 나사부(53A)로 구성되어 조절밸브(70 또는 분기파이프)와 나사결합한다. 한편, 본체(52)와 연접하는 연결부(53)의 외주면에는 소정깊이의 홈(53B)을 구성하여 제3오-링(30)을 끼우게 된다.
제2b도는 아답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제2a도에 도시된 나사형성수단(55)과 구성이 다른 나사형성수단(65)을 도시한다. 서로 연통하는 삽입부(51), 본체(52) 및 연결부(53)로 이루어진 구성 및 삽입부(51) 표면 나사부(54)의 테이퍼 형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삽입부(51) 표면의 나사형성수단(65)의 구성에는 차이가 있다. 즉, 삽입부(51) 표면의 나사부(54)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이루어진 1쌍의 제1홈 및 제2홈(65A, 65B)을 구성한다.
제1홈(65A)과 제2홈(65B)은 삽입부(51) 중심을 지나는 지름선상에 위치한다(상세한 구성 및 기능설명은 후술하기로 함). 접속구(4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3도의 (a)는 접속구의 정면도, 제3도의 (b)는 접속구의 측면도, 제3도의 (c)는 접속구의 측단면도, 제3도의 (d)는 접속구의 평면도를 표시한다.
접속구(40)는 양단이 개방된 원형부재로서, 후면부(42)는 평면으로, 전면부(41)는 상하로 만곡지게 구성한다. 물론, 전면부(41)의 만곡부는 원파이프(제1도의 80) 표면의 만곡상태에 따라 그 정도를 변화시켜야 한다.
한편, 전면부(41) 및 후면부(42)의 각 표면에는 링을 수용할 수 있는 링수용부(41A, 42A)을 각각 구성한다. 즉, 접속구(40) 전면부(41)의 내경외곽 원주면상에는 일정폭 및 깊이를 갖는 링수용부(41A)를 구성하며, 후면부(42)의 내경 외곽원 주면상에도 일정폭 및 깊이를 갖는 링수용부(42A)를 구성한다.
각 링수용부(41A, 42A)의 깊이는 수용되는 링두께의 약 1/2정도가 바람직하다. 접속구(40)의 상부면(43) 및 하부면(44)은 평면으로 구성하고, 양측면(45)은 만곡면으로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각 부재로 이루어진 본발명은 원파이프에 결합하는 방법을 제1도 및 제2a도, 제3도의 (a) 내지 (d)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파이프(80)의 분기하고자 하는 위치에 분기구(81)를 형성한다. 이 분기구(81)의 직경은 아답터(50) 선단의 삽입부(51) 외경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구(40)의 만곡된 전면부(41) 내경 원주면상에 구성된 링수용부(41A)에는 제1오-링(10)을 수용한 상태로 전면부(41)를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에 대응 밀착시킨다. 따라서, 제1오-링(10)은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 연변에 밀착되며, 전면부(41)의 만곡형태로 인하여 제1오-링(10)은 원파이프(80) 표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접속구(40)의 상, 하부면(43, 44)에 구성된 평면부를 스패너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원파이프(80)에 고착시킨 상태에서 아답터(50)의 삽입부(51)를 접속구(40)를 관통시켜 분기구(81)에 대응시킨다. 이때 삽입부(51) 후단의 평면원통부(56)에는 제2오-링(20)이 끼워져 있다.
아답터(50)의 삽입부(51) 단부와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 내경선단이 접촉한 상태에서 아답터(50)를 본체(52)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을 시킨다. 본체(52)의 형태는 다각형으로서, 스패너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답터(50)를 회전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삽입부(51)의 외주면은 테이퍼진 나사부(54)로 구성되어 있어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삽입부(51)가 분기구(81)내에 억지끼워 맞추어지며, 분기구(81)는 그 직경이 점차로 증가함과 동시에 그 내주면에는 삽입부(51) 외주면의 나사부(54)에 의하여 1차적으로 나선이 형성된다.
삽입부(51)의 구성부재에는 열처리를 별도로 실시하여 원파이프(80)보다 경도(Hardness)를 강하게 함으로서, 삽입부(51) 회전에 따라 분기구(81) 내주면에 나선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아답터(50)의 계속적인 회전에 따라 삽입부(51)가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내로 점차적으로 삽입되면, 삽입부(51) 표면의 제1구멍(55A)과 제3구멍(도시되지 않음) 각 측면부는 1차적으로 형성된 분기구(81) 내부 선단의 나선에 대응하게 된다.
계속하여 아답터(50)를 회전시키면, 삽입부(51) 표면의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은 분기구(81) 내부면의 나선을 보다 정확하게 가공하게 된다. 즉, 제1구멍(55A)과 제3구멍측면은 삽입부(51) 표면에 구성된 나사부(54)의 절개면이 단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1구멍(55A)과 제3구멍연변의 나사 절개단부가 분기구(81) 내부면에 1차적으로 형성된 나선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아답터(50)의 회전에 따라 제 1, 3구멍(55A) 연변의 나사부 절개단면이 분기구(81) 내부면의 나선을 타고 회전함으로서 암나사부의 2차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아답터(50)의 삽입부(51)가 분기구(81)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의 후미에 형성된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에 의하여 분기구(81) 내부면의 나선은 완전한 3차 가공이 이루어진다.
분기구(81) 내에서 삽입부(51) 표면의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이 1/2정도 이송된 뒤,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 선단이 분기구(81) 선단에 접속하면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결국, 삽입부(51)의 제1구멍(55A)과 제3구멍의 후미 1/2정도와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의 선단 1/2정도가 중복되는 상태에서 분기구(81) 내부면의 나선을 따라 이송되면 따라서 분기구(81) 내부면에는 완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아답터(50)가 회전함에 따라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 내면에는 완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므로, 아답터(50) 선단의 삽입부(51)와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완전히 결합된다. 아답터(50) 선단의 삽입부(51)와 원파이프(80)의 분기구(81)를 이용하여 아답터(50)와 원파이프(80)를 나사결합하게 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파이프(80), 제1오-링(10), 접속구(40) 및 제2오-링(20), 아답터(50)가 적층식으로 일체화된다(제4도의 상태).
제1오-링(10)은 접속구(40) 전면의 만곡부(41) 내경 외곽 원주면에 구성된 오-링 수용부(41A)에 수용된 상태에서 분기구(81) 연변에 밀착된다. 접속구(40) 전면의 만곡부(41)는 그 만곡진 형태로 인하여 그 전면(全面)이 원파이프(80) 표면에 밀착되므로 제1오-링(10)은 분기구(81)와 접속구(40)간을 완전히 밀봉시킨다. 한편, 제2오-링(20)은 아답터(50)의 삽입부(51) 후단(본체(52)와의 연접부)에 구성된 평면원통부(56)에 끼워진 상태에서 아답터(50)의 완전결합후, 접속구(40) 후단(42)의 내경외곽 원주면상에 구성된 링 수용부(42A)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2오-링(20)은 접속구(40)와 아답터(50)의 본체(52)간을 완전히 밀봉시켜 유체의 외부유출을 방지한다.
여기서, 삽입부(51) 후단의 본체(52)와의 연접부를 평면원통부(56)로 구성한 이유를 설명하면, 삽입부(51) 후단에는 제2오-링(20)이 끼워지기 때문에 제2오-링(20) 내주면이 평면원통 원주면상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이는 나사부가 구성된 면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얻어지는 밀봉효과 보다 우수한 밀봉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4도에서 보면, 아답터(50)의 본체(52) 선단에서부터 제2구멍(55B) 또는 제4구멍(55D) 후단까지의 간격 t2를 접속구(40)의 중심폭 t1보다 크게 구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답터(50)의 삽입부(51)를 원파이프(80) 분기구(제1도의 81)를 통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제1구멍(55A), 제2구멍(55B) 및 제3구멍(55C), 제4구멍(55D)이 원파이프(80)내에 위치함으로서 각 구멍(55A, 55B, 55C 및 55D)을 통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파이프(80)내에 수용되는 제1구멍(55A)과 제3구멍(55C)을 원파이프(80)의 길이방향(유체의 흐름방향)과 수평을 이루게 위치킴으로서, 석유와 같은 점도가 높은 유체는 그 일부가 제1구멍(55A)과 제3구멍(55C)을 통하여 흐름으로서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원파이프(80), 제1오-링(10), 접속구(40), 제2오-링(20) 및 아답터(50)를 적층으로 결합한 뒤, 아답터(50) 후미의 연결부(53)와 조절밸브(70)를 나사결합한다.
제1도에 도시된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조절밸브(70, 일측단부에는 또다른 파이프가 결합되어 있음)을 아답터(50)의 연결부(53)에 결합하기전에 제3오-링(30)을 아답터(50)의 연결부(50) 선단외주면(본체(52)와의 연접부)에 구성된 홈(53B)에 끼우며, 이로서 연결부(53)와 조절밸브(70)가 결합시 제3오-링(30)은 아답터(50)의 본체(52)와 조절밸브(70)간을 밀봉시킨다. 이때 홈(53B)의 깊이는 끼워지는 제3오-링(30) 두께의 1/2정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제2b도에 도시된 아답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아답터(50) 역시 상호 연통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삽입부(51), 본체(52) 및 연결부(53)로 구성되며, 제2a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삽입부(51) 표면에 다수의 구멍이 아닌 1쌍의 제1홈(65A) 및 제2홈(65B)을 구성한 것이다.
각 홈(65A, 65B)은 나사부(54)가 형성된 삽입부(51) 중심을 지나는 지름선상에 구성되며, 또한 삽입부(51)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일정깊이를 갖는다.
각 홈(65A, 65B)의 연변에는 나사부(54)의 절개면이 단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삽입부(51)가 원파이프(제1도의 80)의 분기구(81) 내에서 회전, 이송될 때 각 홈(65A, 65B) 연변의 나사부 단면이 분기구(81) 내주면을 절삭하여 나선을 형성시키게 된다.
초기에 형성된 나선은 삽입부(51)가 점차적으로 회전, 삽입되면서 각 홈(65A, 65B)의 길이만큼의 절삭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어 삽입부(51)가 분기구(81)를 통하여 원파이프(80)내로 완전히 삽입되면, 분기구(81) 내주면에는 완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삽입부(51)와 분기구(51)는 나사결합 상태가 된다(원파이프(80)와 제1오-링(10), 접속구(40), 제2오-링(20), 아답터(50) 및 제3오-링(30), 조절밸브(70)의 결합방법 및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여기서, 전술한 각 홈(65A, 65B)의 후단과 본체(52) 선단간의 간격 t3는 접속구(40)의 중심두께 t1(제3도의 (b) 및 제4도에 표시)보다 길게 구성하며, 이로서 아답터(50)가 원파이프(80)와 결합할 시, 각 홈(65A, 65B)의 전구성부가 원파이프(80)내에 수용됨으로서, 각 홈(65A, 65B)을 통한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51) 후단의 평면원통부(56), 연결부(53)의 나사부(63A) 및 그 선단(본체(52)와의 연접부)의 전원 주면에 구성된 홈(63B)의 구성 및 기능은 제2a도에 도시된 아답터(50)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각 부재를 결합한 뒤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편의상 좌측부는 단면처리하였다. 분기구를 통하여 원파이프(80)와 결합된 아답터(50)의 상태를 도시한다.
아답터(50)의 삽입부(51)는 원파이프(80)내에 수용되며, 원파이프(80) 표면에는 제1오-링(10)이 위치하며, 접속구(40), 제2오-링(20) 및 아답터(50)의 본체(52), 제3오-링(30), 조절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적층식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원파이프(80) 내의 유체는 삽입부(51) 측단의 개방부(57) 및 각 표면에 구성된 제1구멍(55A), 제2(55B), 제3(55C) 및 제4구멍(55D)을 통하여 아답터(50) 내부로 유입되어 조절밸브의 개방에 따라 사용장소로 유동하게 된다.
유체의 흐름시 제1오-링(10), 제2오-링(20) 및 제3오-링(30)으로 인하여 원파이프(80)의 분기구와 접속구(40), 접속구(40)와 아답터 본체(52), 아답터 본체(52)와 조절밸브간이 결합부분이 완전 밀봉되어 유체의 유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사시도로서, 조절밸브(70) 또는 수도밸브(90)가 결합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원파이프(80) 표면에 분기구를 통하여 아답터 조립체(100)을 결합한 뒤, 아답터(50)의 연결부(53)에 일반적인 가스밸브(70)를 나사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도밸브(9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공압 밸 등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원파이프(80)와 유체의 사용장소간에 거리가 있을 경우 내주면에 나사부가 구성된 또다른 파이프를 연결하여 그 단부에 밸브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발명은 가설되어 있는 파이프를 절단하지 않고 분기구를 곧바로 형성한 다음 결합함으로서, 작업공수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오-링을 사용하여 각 구성부재간을 완전하게 밀봉시킴으로서 유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어 아답터의 기능을 최대한으로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표면에 분기구(81)가 형성된 원파이프(80)에 접속하기 위한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원파이프(80) 표면에 구성된 분기구(81) 연변에 밀착되는 제1오-링(10)과, 전면부(41)는 상기 원파이프(80) 표면에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구성하고, 후면부(42)는 평면부로 구성하되, 상기 전면부(41)에는 상기 제1오-링(10)을 밀착 수용할 수 있는 링수용부(41A)를, 상기 후면부(42)에는 링수용부(42A)를 구비한 중공형 접속구(40)와, 상기 접속구(40) 후면부(42)의 링수용부(42A)에 대응하여 밀착, 수용되는 제2오-링(20)과, 중공형 부재로서, 표면에 후단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진 나사부(54)가 형성되어 상기 분기구(81)에 대한 회전시, 그 내부로 강제 삽입하기 위한 나사형성수단을 가진 삽입부(51), 다각형태의 본체(52) 및 표면에 링수용용 홈(53B) 및 나사부(53A)가 형성된 밸브연결용 연결부(53)로 구성된 아답터(50)와, 상기 아답터(50)의 연결부(53)에 형성된 링수용용 홈(53B)에 대응하여 밀착, 수용되는 제3오-링(30)으로 이루어져, 사용시 상기 제1오-링(10), 접속구(40), 제2오-링(20), 아답터(50) 및 제3오-링(30)이 순차로 체결되는 조립체(100)를, 상기 아답터(50)의 강제회전에 따른 삽입부(51)와 분기구(81)간의 강제적인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원파이프(80)에 삽입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조립체(100)의 아답터(50)에 형성된 밸브연결용 연결부(53)에 예정된 목적의 조절밸브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40)는 그 표면 주위에 적어도 2면이상의 고정용 평면부(43, 44)를 각각 구성하여, 그로 인하여 상기 조립체(100)를 상기 분기구(81)에 결합할 시에 상기 고정용 평면부(43, 44)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구(40)를 상기 원파이프(80) 표면에 고착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체(100)를 상기 분기구(81)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50)의 삽입부(51)에 구성된 나사형성수단은, 예정된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1구멍(55A), 제2구멍(55B), 제3구멍(55C) 및 제4구멍(55D)을 상기 나사부(54)가 형성된 상기 삽입부(51)의 표면상에 구성하되, 상기 제1구멍(55A)과 제3구멍(55C)의 중심을 잇는 연장선과 상기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의 중심을 잇는 연장선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하며, 그로인하여 사용시 상기 1쌍의 구멍(55A, 55C)이 상기 원파이프(80)내에 상기 원파이프(80)의 길이방향과 수평을 이루게 위치됨으로서 상기 원파이프(80)내의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단(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55A)과 제3구멍(55C)은 상기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보다 그 직경의 1/2정도의 간격을 두고 상기 삽입부(51) 선단에 구성되어, 그로 인하여 상기 삽입부(51)의 상기 원파이프(80) 분기구(81)내로의 회전, 삽입시 상기 제1구멍(55A)과 제3구멍(55C) 연변 나사단면이 상기 분기구(81) 내주면에 1차 나선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 연변 나사단면이 상기 분기구(81) 내주면에 1차 형성된 나선을 2차 가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멍(55B)과 제4구멍(55D)은 상기 삽입부(51)의 상기 원파이프(80)내로의 삽입시 상기 각 구멍(55B, 55D)이 상기 원파이프(80)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50)의 삽입부(51)에 구성된 나사형성수단은 상기 삽입부(51)의 표면 나사부(54)에 상기 삽입부(51) 길이 방향으로 일정폭 및 깊이로 이루어진 제1홈(65A)과 제2홈(65B)을 상기 삽입부(51) 지름선상에 구성하여, 그로인하여 상기 삽입부(51)의 상기 분기구(81)내로의 회전, 삽입시 상기 각 홈(65A, 65B) 연변의 나사단면에 의하여 상기 분기구(81)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수단(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65A)과 제2홈(65B)을 상기 삽입부(51)의 상기 원파이프(80)내로의 삽입시, 상기 각 홈(65A, 65B) 전체길이가 상기 원파이프(80)내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50)는 상기 본체(52)와 연접하는 삽입부(51) 후단의 원주면을 평면원통부(56)로 구성하여, 그로인하여 상기 삽입부(51)의 분기구(81)내로의 회전, 삽입시 상기 제2오-링(20)이 상기 평면원통부(56) 원주상에 위치하여 상기 접속구(40)의 후면부(42) 및 상기 아답터(50)의 본체(53)간을 완전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KR1019910006931A 1991-04-30 1991-04-30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KR930004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931A KR930004810B1 (ko) 1991-04-30 1991-04-30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US07/769,788 US5240290A (en) 1991-04-30 1991-10-02 Adapter assembly for branching a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6931A KR930004810B1 (ko) 1991-04-30 1991-04-30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0117A KR920020117A (ko) 1992-11-20
KR930004810B1 true KR930004810B1 (ko) 1993-06-08

Family

ID=1931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931A KR930004810B1 (ko) 1991-04-30 1991-04-30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40290A (ko)
KR (1) KR930004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427A (ja) * 2000-06-19 2002-01-09 Rinnai Corp ガス管の接続構造
DE20214631U1 (de) * 2002-09-20 2004-02-19 Voss Automotive Gmbh Adapter-Zwischenring für ein Einschraubteil eines Fluid-Stecksystems
WO2007127447A2 (en) * 2006-04-27 2007-11-08 Ina Acquisition Corp. Reinstatement of an existing connection in a lined conduit
US20090289451A1 (en) * 2008-05-21 2009-11-26 Ina Acquisition Corp. T-Nut Assembly For Sealing An Existing Connection In A Lined Conduit
DE202009000243U1 (de) * 2009-01-09 2009-03-12 Acument Gmbh & Co. Ohg Durchflussschraube
CA2735083C (en) * 2010-03-24 2014-12-23 Ina Acquisition Corp. Plug, installation/removal apparatus and method of plugging a lateral l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98926A (fr) * 1964-04-03 1965-05-14 Ct De Rech S De Pont A Mousson Raccord perfectionné de branchement pour prise sur canalisation métallique
US3349792A (en) * 1965-02-24 1967-10-31 Phillips Petroleum Co Tapping t and valve
US3606398A (en) * 1969-05-19 1971-09-20 Franco Bocceda Pipe union device of rapid application for fluid feedline offtakes
FR2178460A5 (ko) * 1972-03-31 1973-11-09 Pont A Mousson
GB1447796A (en) * 1972-12-01 1976-09-02 R S Andersson Assembly for fitting a branch pipe to an opening in a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40290A (en) 1993-08-31
KR920020117A (ko) 199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8721C (zh) 管接头
US4635674A (en) Diverter valve assembly and method
US6352288B1 (en) Thrust and torque resistant pipe joint
EP1042631A1 (en) Piping joint and integrated valve with it
KR930004810B1 (ko) 파이프 분기용 아답터 조립체
JPS59155685A (ja) 管継手
GB2033036A (en) Connecting branch pipes to mains
FI59857C (fi) Foerfarande foer lagning eller eliminering av skador pao roerledningar samt ersaettningsstycke foer utfoerande av foerfarandet
US7021677B2 (en) Seal retainer with metal seal members for undersea hydraulic coupling
EP0022097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fluid to a rotating member
US8827610B2 (en) Hydraulic coupling system for coupling a shell mill to an adapter
JPS5913182A (ja) 溶接不要の導管接合装置
US6648375B1 (en) Pilot insert seal for a tube fitting
US4062569A (en) Pipe joints
US39372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right angle service line to a main
JP2019138309A (ja) 封止プラグ
US3958593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main to a plurality of sizes of service lines
EP0819879B1 (en) Non-orienting multiple bore hub
JP4376583B2 (ja) 回転ヘッダー
KR20160095603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20160095571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JPH10185060A (ja) 分岐継手
WO1997047910A1 (en) Connector for tubular members
KR200227722Y1 (ko) 압력배관 천공용 플랜지 및 원터치 플러그
KR20220126064A (ko) 튜브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