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45B1 - 연속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45B1
KR930004545B1 KR1019830002978A KR830002978A KR930004545B1 KR 930004545 B1 KR930004545 B1 KR 930004545B1 KR 1019830002978 A KR1019830002978 A KR 1019830002978A KR 830002978 A KR830002978 A KR 830002978A KR 930004545 B1 KR930004545 B1 KR 930004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onveyor device
band
contain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404A (ko
Inventor
엠. 하인즈 챨스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더블유. 벅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토마스 더블유. 벅맨 filed Critical 일리노이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7/00Other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for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B17/02Joining articles, e.g. cans, directly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transport, or handling
    • B65B17/025Joining articles, e.g. cans, directly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transport, or handling the articles being joined by a top carri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7/00Other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for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B17/02Joining articles, e.g. cans, directly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transport, or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연속 포장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연속 포장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 대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라인 방향에서 취한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용기 배열에 적용된 보조 포장부재의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의 5-5라인 방향에서 취한 장치의 확대 측면도.
제6도는 제2도의 6-6라인 방향에서 취한 확대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7-7라인 방향에서 취한 확대 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8-8라인 방향에서 취한 장치의 앞부분에 대한 확대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의 9-9라인 방향에서 취한 장치의 뒷부분에 대한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속 포장 장치 14 : 캐리어 스트립 공급 장치
16 : 제1컨베이어 장치 18 : 신장 컨베이어 장치
20 : 용기 컨베이어 장치 22 : 릴
28 : 안정 로울러 32, 33 : 기둥
40 : 체인 컨베이어 42 : 가이드 프레임
52 : 죠오 스테이션 58 : 체인
59 : 러그 60 : 스트립 아암
65 : 톱니 휠 66 : 송입 컨베이어
70 : 보조 포장부재 72 : 핸들
75 : 주포장 캐리어
본 발명은 연속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 포장 장치에 대한 종전 기술의 예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3,383,828호와 제3,775,935호 및 제4,079,571호가 있다. 상기 장치들은 고속의 포장 장치로서 캔의상부를 맞물리게 하여 다수의 캔을 하나의 꾸러미로 포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기 배열체의 외주면에 탄성 밴드를 감아 포장하는 장치의 예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3,404,505호와 제3,714,756호가 있다. 상기 특허 제4,079,571호의 장치는 12캔을 4×3배열체로 포장하는 것이고,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269,308호의 장치는 본 발명에서 참조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안정된 포장을 수행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배열체가 장치로부터 계속 공급되는 동안 용기 배열체 주위에 밴드를 감아 포장하고, 장치에서 신장 경로의 길이를 최소화시키면서, 밴드에 과도한 응력을 가하지 않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용기 배열체 주위에 밴드를 감아 연속 포장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장치의 이점은 용기 배열체와 포장부를 상호 길이가 신축될 수 있게 결합함과 더불어 포장하고자 하는 용기 배열체를 장치의 포장부쪽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다수의 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치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포장 장치는 캐리어 스트립 공급장치(14)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2)과, 제1캐리어 스트립 가이드 컨베이어장치(16; 이하 제1컨베이어 장치라함), 제2캐리어 스트립이송 및 신장 컨베이어 장치(18; 이하 신장 컨베이어 장치라함) 및, 용기의 배열체를 유입단부(13)에서 유출 단부(15)로 장치를 관통하여 연속 이동시키는 용그 컨베이어 장치(20)를 포함하고 이다.
캔(11)은 송입 컨베이어(66)에 의해 유입 단부(13)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진다. 이러한 캔(11)들은 주 포장 캐리어(75)에 의해 3열 4행 배열의 12캔으로 포장되는데, 주포장 캐리어(75)는 미합중국 특허 제4,269,308호에 서술된 바와같은 단일 캐리어 또는 한쌍의 캐리어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같이,용기 배열체를 포장하게 되는 밴드 또는 보조 포장부재(70)는 용기 배열체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안정되게 일체화된 포장물(74)을 만들어내게 된다.
연속 포장 장치(10)에 적용되는 보조 포장부재(70)는 끝과 끝이 접합되는 구조로 상호 연결되면서 릴(22)상에 장착되어 캐리어 스트립 공급 장치(14)를 매개로 제1컨베이어장치(16)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어 스트립 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안내 신장 및 안정 로울러(24)와, 보조 포장부재의 연속적인 스트립으로부터 캐리어를 분리시키는 일련의 파지 로울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로울러(26, 27)와 같이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른 차동 속도 로울러에 의해 이루어지며, 로울러(27)는 로울러(26)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져 있어, 두 로울러 사이에 신장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립에 형성된 절단 자국에 의해 캐리어를 차례로 서로 쉽게 분리시키게 된다. 각각의 캐리어는 분리된 후, 안정 로울러(28)를 통해 제1컨베이어 장치(16)로 공급된다.
제1컨베이어 장치(16)는 분리된 캐리어를 후술하는 신장 죠오로 균일하게 안내하도록 되고, 다수의 쌍으로된 기둥(32, 33)을 갖춘 무한 체인(30)으로 되어 있으며, 화살표(A)방향인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쌍으로된 기둥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각 쌍에서의 앞기둥(32)이 보조 포장부재(70)의 개구부 전단에 끼워져 이를 포장 장치의 유입 단부(13)쪽으로 당겨주며, 뒷기둥(33)은 보조 포장부재(70)의 개구부 후단에 삽입되게 된다.
제2도에서와 같이 뒷기둥(33)은 캐리어 스트립 공급 장치(14)에 의해 캐리어가 제1컨베이어 장치(16)로 공급될 때, 이 제1컨베이어 장치(16)에 의해 운반되는 다음 캐리어를 정지시키는 스토퍼 역할도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32, 33)은 캐리어를 포장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게만 할뿐, 제4도에 도시된 일반적인 스트립 형상을 변경하거나 가압하는 작용은 하지 않는다. 이들 기둥은 보조 포장부재(70)의 상하 모서리부를 물어잡아 이들 보조 포장부재를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는 트레이(34)와 조합되게 사용되지만, 트레이에 형성된 홈(36)에 의해 그 길이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조 포장 부재(70)가 공급 장치로부터 포장 장치의 유입 단부를 향해 가볍고 느슨한 상태로 이송되는 동안에, 신장 컨베이어 장치(18)가 동작되면서 죠오(jaw) 스테이션(52)이 보조 포장부재와 신축자재한 배열관계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에따라 죠오 스테이션(52)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포장 장치의 중심선 양측에 위치된 쌍으로 이루어진 체인 컨베이어(40)상에 장착되게 된다.
체인 컨베이어(40)는 화살표 B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높이가 변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높이 변경은 가이드 프레임(42)에 의해 결정되며, 가이드 프레임(42)은 제2도에서와 같이 죠오를 제1높이로부터 비산장된 보조 포장부재와 신축자재하게 결합되도록 상승시키는 송입부(44)와, 상단부(47)를 포함하는 신장 및 안정화부(46), 유입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장치의 유출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캐리어의 이동 방향을 변경시켜주는 굴곡부(48) 및, 하부 신장부(49)를 포함하고 있다.
각 죠오 스테이션은 4개의 원호형 직립 죠오(jaw)와 이들을 이송하는 죠오 운반부(55)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죠오는 슬라이드와 캠 피동 장치(56)에 의해 죠오 운반부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은 캠 피도장치는 한쌍의 캠 트랙(57)에 의해 제어되어, 중심선쪽으로 죠오를 근접시켜 폐쇄위치를 형성하거나 죠오를 중심선으로부터 이격시켜 개방 위치를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하부 신장부(49)에 존재하게 되는 개방 위치는 캐리어가 공급되지 않는 부위(50)를 통해 형성 유지된다.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죠오는 대체로 장방형의 4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죠오 스테이션(52)의 개방 위치는 포장하고자 하는 용기 배열체의 치수보다 약간더 큰 치수로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269,309호에 서술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 포장부재(70)에는 일체식 핸들(72)이 구비되어 있다. 핸들(72)은 캔의 상부와 대응하는 즉, 상향 또는 하향의 어느 한쪽을 지향하도록 된 칼날형 밴드 지향 또는 가이드 막대(63)가 장치의 유입 단부(13)의 입구와 굴곡부(48) 및 하부 신장부(49)에 인접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5도에서와 같이 가이드 막대(63)는 보조 포장부재가 평면상태로부터 캔 배열체의 원주부의 원호형 죠오 표면에 대하여 평평한 상태로 변화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으로 일정하게 지향되어 있다.
신장된 밴드, 즉 보조 포장부재(70)들은 가능한한 짧은 거리로 또 급격한 신장이 발생치 않도록 캔 배열체와 결합되고, 보조 포장부재를 이송하는 죠오 및 포장하고자 하는 캔 배열체는 포장 장치의 유출 단부쪽을 향하여 연소겆ㄱ으로 이동하는 동안 서로를 향하여 상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 컨베이어 장치(20)가 신장 컨베이어(18)를 향하여 상향 방향으로 그 높이를 변경할 때 이와 동시에 죠오 컨베이어 수단의 해당부위(50)는 용기 컨베이어 장치(20)를 향해 아래 방향으로 그 높이를 변경하게 된다. 동시에 캔(11) 배열체는 톱니 휠(65)에 의해 유입 단부에서 계수된 후,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캔 배열체는 경사부(64)에 의해 유입단부로부터 이송되던 그 높이가 변경되어 상승하게 된다.
체인 장치로 이루어진 별도의 컨베이어 수단, 즉 체인(58)이 캔의 이동 통로에 인접하여 장치의 길이 방향 통로 양측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체인(58)은 복수의 러그(59)를 갖추고 있으며, 러그(59)는 죠오 스테이션(52) 사이에서 포장 작업에 요구되는 간격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거리로 캔 배열체를 상호 이격시키도록 되어 있다. 캔 배열체가 죠오 스테이션과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러그를 갖춘 체인(58)은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그러나. 포장하고자 하는 캔 또는 캔 배열체를 운반하는 용기 컨베이어 장치(20)는 이 컨베이어 바로 윗쪽의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에 갖춰진 죠오 스테이션의 선형 속도 즉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속도 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이동된다. 따라서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와 체인(58)간의 속도 차이에 따른 조합 효과에 의해, 캔 배열체가 러그(59)에 접촉하면서 각 캔 배열체 상부에서 연속 이동되는 신장된 캐리어에 대하여 캔 배열체가 적절하게 정렬되게 된다.
보조 포장부재(70)는 밴드는 상당히 신장되기 때문에, 죠오(54)부재와 신장된 포장부재 사이에는 상당량의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비록 이러한 죠오들이 고도로 폴리싱가공된 것이라 하더라도 보조 포장부재가 캔 배열체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하게 되면 죠오로부터 상기 보조 포장부재를 벗겨내기 위하여 해제수단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 러그를 갖춘 체인(58)은 러그 갯수와 동수인 복수의 밴드 해제 수단, 즉 스트립 아암(60)을 갖추는 바, 이들 스트립 아암(60)은 보조 포장부재(70)의 상부 모서리와 접촉하여 캔의 상부에 대해 하향으로 상기 보조 포장부재를 밀어내리기 위해 점진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스트립 아암(60)의 회동 동작은 길이 방향 통로 양측면 프레임에 고정된 캠 표면(62)과, 아암(60) 각각의 외단부 끝에 형성된 캠 사이의 접촉에 의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즉,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와 같은 스트립 아암의 회동 동작은 죠오 스테이션으로부터 탄성 재질인 보조 포장부재를 정확히 해제하여(벗겨내려) 캔 배열체 주위에 탄성 신장 상태로 감아주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4×3배열로 일체화되어 12개의 캔으로된 캔 배열체를 포장하는데 적용한 특정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와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 포장 장치를 사용하여 6×2 배열로된 12개의 캔 배열체를 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최상부쪽 제1컨베이어 장치(16)는 보조 포장부재가 신장 죠오와 결합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제어를 하기는 하나, 직접 죠오 스테이션으로 주의깊게 보조 포장부재를 공급함으로써 이 제1컨베이어를 생략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지지 프레임(12)과; 연속 롤로부터 계속해서 공급되는 밴드를 별개의 포장 밴드로 분리시키는 캐리어 스트립 공급 장치(14)와, 폐쇄되면서 변형되지 않은 형상으로부터 개구가 형성되면서 신장되어 캔 배열체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분리된 밴드를 점진적으로 변형시키기에 적합한 일련의 죠오 스테이션(52)을 갖춘 무한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와; 밴드가 장치를 통해 연속 이동되는 동안에 연속적인 포장 작업을 수행하도록 개구가 형성되면서 분리된 밴드와 연속적인 신축자재한 배열관계가 되도록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아래에 소정 높이로 분리된 용기 배열체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도록 되면서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평행부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이동되는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와; 상기 컨베이어 장치(18)의 이동 속도와 대체로 동일하고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의 이동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의 양측면상에 갖춰진 일련의 쌍으로된 대향 러그(59)를 이송하는 체인(58)을 포함하면서, 유입 단부(13)와 유출 단부(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으로 공급된 밴드를 분리하는 장치(14)로부터 각각의 분리된 밴드를 신장 컨베이어(18)장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컨베이어 장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16)와 신장 컨베이어장치(18)는 무한 체인으로서 제1컨베이어 장치(16)는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와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와 제1컨베이어장치(16)는 제1컨베이어 장치(16)의 최하부가 신장 컨베이어장치(18)의 최상부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컨베이어 장치(18)는 동일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죠오 스테이션(52)을 포함하며, 각각의 죠오 스테이션은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이동 경로내에 한정된 길이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어져 개방되기에 적합한 다수의 대향된 쌍으로된 죠오(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죠오(54)는 장치의 중심선 양쪽상의 무한 체인 통로에 인접한 캐 트랙(57)에 의해 제어되는 죠오의 이동에 따라 장치의 길이방향 중심선으로 향하거나 그로부터 떨어지도록 선형적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기부내에 슬라이딩식으로 갖춰진 일체식 캠 피동 장치(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최하부의 유입구에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며, 용기 배열체와 결합하여 신장되기 전에 죠오 스테이션상의 밴드를 확실하게 지향시키도록 하는 칼날형 밴드 가이드 막대(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와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최하부가 장치의 유출구역에 인접하여 수렴되어, 신장 밴드와 포장하고자 하는 용기 배열체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비교적 짧은 이송 경로에서 신축자재한 결합을 이루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와 신장 컨베이어 장치(18)의 평행 부위가, 장치의 유입 단부에서 유출 단부를 향해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롤로부터 밴드를 분리시키는 캐리어 스트립 공급장치(14)가,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른 파지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 장치(16)는 밴드를 측면 모서리면 구역을 안내 및 지지하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그를 관통하도록 이동가능한 길이 방향 홈(36)을 구비하는 트레이와 조합되게 사용되어, 폐쇄 상태인 분리된 밴드의 내측끝에 인접하여 삽입되도록 일련의 쌍으로된 기둥(32, 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열체상에서 신장된 밴드의 상부 모서리부와 접촉하여 죠오(54) 부재로 부터 밴드를 하향으로 밀어내려 확실하게 해제하도록, 장치의 출구에는 용기 컨베이어 장치(20)상의 양쪽 측면에서 길이 방향의 고정 위치에 캠으로 작동되는 스트립 아암(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포장장치.
KR1019830002978A 1982-07-01 1983-06-30 연속 포장 장치 KR930004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420082A 1982-07-01 1982-07-01
US394200 1982-07-01
US394,200 1989-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404A KR840005404A (ko) 1984-11-12
KR930004545B1 true KR930004545B1 (ko) 1993-06-01

Family

ID=2355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978A KR930004545B1 (ko) 1982-07-01 1983-06-30 연속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JP (1) JPS5974018A (ko)
KR (1) KR930004545B1 (ko)
AU (1) AU562956B2 (ko)
BE (1) BE897191A (ko)
DE (1) DE3323792A1 (ko)
FR (1) FR2531405B1 (ko)
GB (1) GB2122966B (ko)
HK (1) HK47986A (ko)
IT (1) IT1164280B (ko)
MX (1) MX156462A (ko)
NL (1) NL8302357A (ko)
NZ (1) NZ204764A (ko)
SE (1) SE8303639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489A (ja) * 1984-10-12 1986-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図鑑装置
US4802324A (en) * 1988-04-14 1989-02-07 Minnesota Automation, Inc. Vertical cartoning assembly and method
US5070680A (en) * 1990-05-31 1991-12-10 Fuji Seal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 flat tube and fitting same on a container or the like
DE4125098C2 (de) * 1991-07-29 1995-05-04 Carl Luedorf & Co Johannes Maschine zur Bündelung einer Gruppe von Gegenständen mittels eines Gummiringes
US5483783A (en) * 1991-11-07 1996-01-16 Automated Label Systems Company High speed sleev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4212A (en) * 1955-05-31 1958-12-16 Bruce Engineering Corp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US3714756A (en) * 1970-12-21 1973-02-06 Owens Illinois Inc Machine for assembling groups of containers
US3742677A (en) * 1971-07-21 1973-07-03 Owens Illino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arrier to a cluster of containers
DE2535950C2 (de) * 1975-08-12 1983-01-05 Motorenfabrik Hatz Gmbh & Co Kg, 8399 Ruhstorf Selbsttätiges Regelventil für die Kurbelgehäuseentlüf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4070850A (en) * 1977-02-24 1978-01-31 Grip-Pak, Inc. Assembly machine for interconnected carrier devices
US4269308A (en) * 1980-02-14 1981-05-26 Illinois Tool Works Inc. Multi-unit container package
US4354333A (en) * 1980-04-14 1982-10-19 Illinois Tool Works Inc. Packaging apparatus
US4357186A (en) * 1980-06-17 1982-11-02 The Mead Corpo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and applying carrying straps to article cart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897191A (nl) 1984-01-02
GB2122966B (en) 1986-01-15
AU1638683A (en) 1984-01-05
SE8303639L (sv) 1984-01-02
AU562956B2 (en) 1987-06-25
SE8303639D0 (sv) 1983-06-27
NL8302357A (nl) 1984-02-01
IT1164280B (it) 1987-04-08
GB8317619D0 (en) 1983-08-03
MX156462A (es) 1988-08-24
IT8321887A1 (it) 1985-01-01
DE3323792A1 (de) 1984-01-05
KR840005404A (ko) 1984-11-12
IT8321887A0 (it) 1983-07-01
FR2531405A1 (fr) 1984-02-10
GB2122966A (en) 1984-01-25
FR2531405B1 (fr) 1986-12-26
JPS5974018A (ja) 1984-04-26
HK47986A (en) 1986-07-04
NZ204764A (en) 198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21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ackage making
US4443995A (en) Metering device and method
EP1227040B1 (en) Method and machine for packing reams of sheets
US3742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arrier to a cluster of containers
CA1076948A (en) Bottle packaging machine
US3881645A (en) Apparatus for the groupwise packaging of bags
US4285185A (en) Article carrier feeding and control apparatus
US36981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bottled products in basket-style carriers
EP1007432B1 (en) Packaging and packaging machines therefor
US57618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flat partition elements between flanked articles
KR930004545B1 (ko) 연속 포장 장치
US4689934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pplying wrap to article clusters
US42376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containers
US20050060954A1 (en) Device for closing the side ends of a package enclosing one roll or rolls of material in a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GB2082139A (en) Apparatus for tightly wrapping rigid articles
JPH0355383B2 (ko)
US4854108A (en) Automatic wrapping machine
US5056298A (en) Machine for metering and loading groups of articles
US4953342A (en) Multi package containers
EP0004744B1 (en) Apparatus for forming packages
SU63346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ывани клапанов упаковки
US3881299A (en) Device for opening and filling an envelope
US4214742A (en) Device for feeding sheets to boxing machines
US3338026A (en) Packaging machines
US4633647A (en) Wrap for article clusters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pply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