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401Y1 -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 Google Patents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401Y1
KR930004401Y1 KR2019910003460U KR910003460U KR930004401Y1 KR 930004401 Y1 KR930004401 Y1 KR 930004401Y1 KR 2019910003460 U KR2019910003460 U KR 2019910003460U KR 910003460 U KR910003460 U KR 910003460U KR 930004401 Y1 KR930004401 Y1 KR 930004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utting blade
workpiece
turn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835U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이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권 filed Critical 이일권
Priority to KR2019910003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401Y1/ko
Publication of KR920017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01Y1/ko

Links

Landscapes

  • Sa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20 : 회전테이블
30 : 왕복대 50 : 지지부
40 : 절단날 80 : 가이드봉
90 : 작업대 100 : 덮개
110 : 가이드앵글 53 : 가이더
54 : 조절나사봉
본 고안은 절단가공이 필요한 피 가공물을 필요에 따라서 선회가 가능한 회전테이블에 고정시켜 상,하와 수평, 또는 경사방향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여줄 뿐만 아니라, 절단날의 상부에 별도의 작업대를 형성하여 켜는 작업을 부수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르기 및 켜기겸용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원반톱, 또는 절단용 그라인더를 모터로 회전시켜 가공물을 절단시키는 절단기들은 여러가지 형태의 것들이 알려져 있으며; 그것들중에는, 본인의 선출원 등록실용신안(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89-7424호)도 포함된다.
상기 선출원 등록실용신안은 알미늄 새시와 같이, 대부분의 가공물을 절단하는데 별어려움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었으나, 피 가공물을 절단할 때, 회전되는 톱을 수평으로 당겨지게 하는 방법으로 켜는 절단작업이 이루워지도록 함에 따라, 왕복대가 로울러에 의하여 원활하게 이동가능케 지지되었다 하더라도 신체 특성상 물체를 당기는데 상당한 노력과 주의를 필요로 하게됨은 물론, 당기는데 가해지는 힘의 균형을 잡기가 난이하여 절단에 필요한 힘과 위치이동을 하는데는 많은 숙련과 노력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방법, 즉 절단날을 수평이동을 하여 피 가공물을 켜는 절단방법은 가공물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수단에 의해 정확히 고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의 소요와,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되며, 가공물의 길이 내지는 크기에 가공할 수 있는 정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크고, 긴 가공물의 경우는 원활하게 가공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은 절단날을 이동하여 자르기및 켜는 작업을 행하는 것과는 별도로 절단날의 상부면을 이용하여 가공물의 크기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히 켜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그 작업의 다양성과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앵글 골조로 된 프레임(10)의 상부면에 회전테이블(20)을 선회가능케 지지설치하고, 그 회전테이블(20)의 일측으로는 모터(M)가 탑재되며 원형의 절단날(40)이 이 지지부(50)로 연결되게 형성된 왕복대(30)가 안내틀(60)의 안내로 수평이동 가능케 된 것은 선출원 공고 고안과 거의 유사하다.
상기 회전테이블(20)은 그 외주면에 파여진 홈부에 수개의 로울러(11)들이 지지되어 선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그 중앙에는 절단날(40)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절결홈(21)을 길게 뚫어 절단작업시 회전테이블(2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그 상부면의 외주면을 따라 눈금을 형성하여 회전테이블(20)의 선회 위치나, 각도를 측정하여 정확한 회전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피가공물의 경사진 절단각도를 설정토록 하였다.
모터(M)가 탑재된 왕복대(30)는 상기 안내틀(60)에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위치고정 되는 로울러(61)의 안내로 왕복대(30)의 양측에 파여진 홈부(31)가 지지안내된 상태로 수평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워진다. 따라서 왕복대(30)의 선단에는 수평이동시 사용자의 취급을 위해, 레버손잡이(62)가 고정설치되어 피가공물을 절단날(40)이 수평이동하며 절단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레버손잡이(62)를 파지한 후 당기게 되면 왕복대(30)의 수평 이동이 이루워지는 것이다.
왕복대(30)의 일측에 힌지부(70)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탑재되는 모터(M)는 밸트로 동력을 회전축의 위치로 전달되게 한후, 다시 상기 회전축의 동력전달로 절단날(40)이 회동되게 하여 피가공물에 접할 경우 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절단날(40)은 그 외측 상부방향은 커버(41)로 감싸지게 하였으며, 밸트를 감싸는 보호커버(42)와 커버(41) 사이로 위치되는 지지부(50)로 절단날(40)이 회전토록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과 동시 모터(M)와 절단날(40)을 견고히 지지하여 일체로 상,하 동작가능케 하였다.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50)의 우측으로 그 상부에는 모터(M)가 탑재되고, 하부면은 힌지부(70)에 회동가능케 유설되어 상기 힌지부(70)를 중심으로 절단날(40)이 상,하 작동되는 것이다.
지지부(50)의 우측 상부면에 위치고정된 모터(M)는 힌지부(70)의 중심보다 우측으로 치우쳐 그 중심이 어긋나 있으므로, 비교적 무거운 하중의 모터중량에 의해 절단날(40)은 제2도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시는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지부(50)의 좌측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손잡이(51)를 인위적으로 하강시키도록 압압할 때 지지부(50)의 좌측에 지지고정된 절단날(40)은 하강하고, 그리고 이와 반대측의 지지부(50) 상부면에 위치된 모터(M)가 동시에 상승되어 회전테이블(20) 위에 얹혀져 고정된 피가공물을 절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도록 절단작업을 완료한 후 절단날(40)을 원위치 시키기 위해 상승토록 하는 힌지부(70)에 탄성스프링과 같은 복원장치의 설치없이도 모터(M)의 탑재위치를 조절하므로서, 그 복원이 가능한 것이다.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왕복대(30)의 상부면에 가이드봉(80)을 회동가능하게 유설하고 지지부(50)에는 상기 가이드봉(80)을 감싸지게 안내하는 가이더(53)를 고정설치하여 상기 가이더(53)에 나사결합 되어진 조절나사공(54)으로 가이드봉(80)의 임의의 위치에 절단날(40)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피가공물을 절단하기 위해 상,하 이동되는 절단날(40)을 작업자의 편리한 높이나, 가공물의 절단깊이 등을 감안한 높이로 고정설치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봉(80)은 일정길이로 봉박대 형상으로 되고, 그 저면은 구(球)형의 볼(81)이 일체로 형성되어 왕복대(30)의 상부면에 볼트등으로 고정된 그랜드(83)에 의해 가이드봉의 하단에 위치되는 볼(81)을 자유롭게 회동가능토록 지지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회전테이블(20)에 위치되는 피가공물을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절단날(40)을 하강시키는 절단작업시 상기 가이드봉(80)의 안내로 지지부(50)에 설치된 가이더(53)는 상,하로 이동되며 위치를 안내하고 보다 정확한 위치에 절단날(40)이 하강되는 것을 보조한다.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절단날(40)을 감싸는 커버(41)의 상부면에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넓은 작업대(9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작업대(90)의 윗면으로 절단날(40)의 일부가 노출되게 하여 이를 날개(101)가 양측으로 펼쳐진 덮개(100)로 보호토록 하므로서, 필요시 작업대(90)를 이용해 켜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작업대(90)는 상부면이 평활하게 펼쳐진 장방형으로 그 표면은 매끄로워 피가공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연의 내측을 따라 수개의 고정구멍(91)을 뚫어 피가공물이 진행되는 것을 안내키 위해 작업대(90)의 윗면에 얹혀지는 가이드앵글(110)이 볼트와 너트등과 같은 고정수단(120)에 의해 고정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앵글(110)은 제2도에서 예시한 것과 같이 프레임(10)의 일측상단에 상기 고정수단(120), 즉 볼트와 너트로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절단날(40)의 상부면을 이용한 켜는 작업을 수행코자 할 때,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절단에 필요한 폭을 감안한 위치에 가이드앵글(110)을 나사결합의 방법으로 피가공물의 진행을 안내하는 가이드앵글(110)을 부착게 된다. 가이드앵글(110)의 일측면은 작업대(90)에 부착되는 면으로 작업대에 뚫어진 고정구멍(91)과 동일위치에 장공(111)이 뚫어지며, 또 이에 직각으로 꺽여진 절곡면은 일직선으로 편하게 되어 피가공물의 진행을 안내하게 된다. 고정수단(12)이 조립되기 위한 고정구멍(91)과 장공(111)은 절단날(40)과 가이드앵글(110)의 사이의 간극을 미세히 조절하기 위해 2개중 적어도 한개만 장공으로 뚫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가이드앵글(110)에 장공이 뚫어지지 않게 하고, 작업대(90)에 뚫어지는 고정구멍(91)을 횡으로 장공을 뚫어지게 하는 것도 무방하다. 여기서 절단날(40)과 가이드앵글(110)사이에 미세조정되는 간극은 가공되는 물체의 절단폭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가이드앵글(110)의 부착위치에 따라 피가공물의 진행 기준면이 다르게 되므로, 작업자는 켜고자 하는 피가공물의 폭과 기준면의 방향등을 결정하여 작업대(90)에 가이드앵글(110)의 부착 작업을 행하여야 된다.
이와같이 작업대(90)을 이용해 켜는 작업을 행할 경우 절단날(40)이 상,하로 유동될 경우 정상적인 절단작업 수행이 불가능하므로, 상기에 기재된 바와같이 가이드봉(80)에 조절나사봉(54)를 조여지게 하는 방법으로 절단날(40)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된다.
절단날(40)의 고정높이는 작업대(90)의 경사정도와 피가공물의 진행길이와 크기, 작업자의 신체조건등을 감안하여 작업자가, 선택한 후 임의의 적정 위치에서 모터(M)가 회전되게 동력을 연결하여 절단날(40)이 회전되면 피가공물을 가이드앵글(110)에 안내되게 진행시키는 방법에 의해 켜는 작업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테이블(20)이 선회하거나, 왕복대(30)가 수평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로울러들로 지지안내하는 구성 및 작동, 그리고 절단면을 경사지게 가공하고, 수평 이동되며 전단부를 파여지게 하는 작동등은 본인의 선출원 고안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프레임의 윗면에 위치되는 회전테이블의 한정된 작업공간과 가공범위에서 벗어나, 절단날(40)의 상부면에 별도로 형성된 작업대를 이용해 피가공물의 크기의 길이에 제한없이 어떠한 가공물도 켜는 방법에 의해 가공할 수 있으며, 작업자로 하여금 절단작업에 필요한 경사각도등을 자유롭게 조절하며 켜는 작업과 자르는 작업을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별도의 켜는 용도의 절단기가 필요없게 되는 등 경제적이고, 작업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부여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절단날을 감싸는 커버의 상부면에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넓은 작업대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작업대의 윗면으로 절단날의 일부가 노출되게 하여 이를 날개가 양측으로 펼쳐진 덮개로 보호토록 하므로서, 작업대를 이용해 켜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르기 및 켜기겸용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그 외주연부 내측을 따라 고정구멍을 수개 일정간격 뚫어지게 하여 동일 간격으로 장공이 뚫어진 가이드앵글을 고정수단으로 고정부착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르기 및 켜기겸용 절단기.
KR2019910003460U 1991-03-15 1991-03-15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KR930004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60U KR930004401Y1 (ko) 1991-03-15 1991-03-15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60U KR930004401Y1 (ko) 1991-03-15 1991-03-15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835U KR920017835U (ko) 1992-10-17
KR930004401Y1 true KR930004401Y1 (ko) 1993-07-14

Family

ID=1931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460U KR930004401Y1 (ko) 1991-03-15 1991-03-15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4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835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1696A (en) Power tool apparatus and method
US2850054A (en) Tilting arbor saw
CA1328597C (en) Adjustable support for cutting apparatus
JP3566313B2 (ja) 丸のこ装置
US4245533A (en) Motorized circular miter chop saw
EP0654324A2 (en) Position and angle of polar adjustable vice
US4007657A (en) Saw tables
US4601619A (en) Routing apparatus
US4078474A (en) Three dimensional duplicator assembly
KR930004401Y1 (ko) 자르기및 켜기겸용 절단기
JPH05237834A (ja) 石又は同様のワークに用いる輪郭ロープのこ
KR930004400Y1 (ko) 절단기의 높이 조절장치
US4896647A (en) Cutting tool system for cutting stone and method of cutting same
US2627881A (en) Band saw and guide therefor
US4527602A (en) Duplicating attachment for lathe
CN212287973U (zh) 智能木工工作台
US4591305A (en) Milling fixture with a manual top spindle molder
US4524663A (en) Power hacksaw
US3209798A (en) Saw workpiece guide
KR102335070B1 (ko) 경사홈 가공을 위한 지그장치
KR950007728Y1 (ko) 홈 가공장치가 부착된 절단기
CA2136489A1 (en) Pin router apparatus
CN218053085U (zh) 可摆角加工台装置
US74555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inding a saw chain
KR0121722Y1 (ko) 공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