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346Y1 -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346Y1
KR930004346Y1 KR2019910009157U KR910009157U KR930004346Y1 KR 930004346 Y1 KR930004346 Y1 KR 930004346Y1 KR 2019910009157 U KR2019910009157 U KR 2019910009157U KR 910009157 U KR910009157 U KR 910009157U KR 930004346 Y1 KR930004346 Y1 KR 930004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cutting
fixed
movable
cu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451U (ko
Inventor
서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기공
서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기공, 서진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기공
Priority to KR2019910009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346Y1/ko
Publication of KR9300004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4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2007/0012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r special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D2007/0018Trays, reservoirs for waste, chips or cut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제1도는 본고안의 전체 외관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고안에 있어 수지시이트 파지(把持)인출부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에 있어 파지수단의 작동 일예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고안에 있어 수지시이트의 절단부위 만을 나타낸 것으로, 제4a도는 칼날체가 슬라이드 실린더에 장착된 것을 정면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제4b도는 제4a도의 I-I선 방향에 다른 일부생략 수직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이트 자동절단기 4,4′ : 레일
6 : 기체(機體) 8,8′ : 지지대
12,12′ : 수평바아 14 : 안내로울러
16 : 시이트파지 인출부 18 : 시이트 절단부
86,86′ : 시이트파지 수단 168 : 시이트 절단수단
본 고안은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더욱 상세하게는 기대 레일상에 전, 후 이동 가능케 배치한 기체에 수지시이트를 파지(把持)하여 인출하는 파지인출부와, 인출된 수지시이트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갖추어, 기다란 성형품 제조용 수지시이트 또는 필름을 일정크기로 간편하게 연속 절단 할 수 있도록한 열가소성수지 시이트의 지동절단기(Auto-Cutt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기존 로울(Roll)상으로 권취된 수지시이트 도는 필름을 일정크기로 절단함에는 수조작에 의해 절단작업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 저하와 아울러 생산성이 저하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즉, 기존 절단기는 피 절단용 작업물을 일일히 손으로 잡아서 절단기의 칼날체에 위치케한 후 다시 수조작에 의해서 칼날체로 하여금 피절단용 작업물인 시이트 또는 필름을 소정 규격으로 절단시키고 있는바, 일일히 사람손을 거쳐야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특히 항시 작업자가 대기해야만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개량 고안인 것으로, 기다란 피절단 작업물인 수지시이트나 도는 필림을 일정크기로 절단부에 위치시키는 작업부터 절단부로 하여금 피절단 작업물을 절단하는 일련의 작업수단을 하나의 기체에 착설하여, 시이트나 도는 필름을 사람손이 닿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절단되게 함을 제공함에 주 목적이 있다.
또, 본원고안의 목적은 자동절단부가 갖추어진 기체를 기대상의 레일상에서 이동시키어 위치를 조정가능토록한 것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원 고안의 목적은 시이트나 필름 파지에서부터 절단작업을 자동화한 것에 의해 작업인원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작업능률을 향상시킴을 제공함에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키 위한 수단으로, 통상 구조의 수동식 절단기에 있어서, 기대(基臺)의 레일 위에는 절단된 시이트가 놓여지게 되는 적재함을 갖는 기체를 전. 후 이동 가능케 배치하고, 기체 양측 상부의 지지대상에 배치된 수평 바아에는 안내로울러측으로 도입된 피절단용 시이트를 파지후 적당 길이로 인출하는 파지 인출부를 전. 후진흐잔 가능케 착설성하며, 그 파지인출부의 앞측에는 상기 파지인출부로 하여금 위치설정된 시이트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고착하며, 상기 안내로울러에서 파지인출부에 위치된 시이트 또는 필름을 절단부로 하여금 자동절단되게 하여, 기체내의 적재함내에 낙하되어 적재되게 구성한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이다.
상기의 특징과 그 밖에 잇점들은 다음 첨부도면에 따른 실시예에 의거 더욱 명료하게 얻어진다.
다음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이 결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면부호(1)은 본 고안의 자동절단기를 표시한 것으로, 자동절단기(1)를 대별(大別)하면 다음과 같다.
저부에의 기대(基臺)(2)상에 배설된 레일(4)(4′)위에는 내부에 적재함(10)을 보유하는 기체(機體)(6)가 이동륜(20)을 개재하여 전, 후로 이동가능케 배치된다.
개체(6) 상부 양측에 고착된 지지대(8)(8′)상에는 수평바아(12)(12′)가 배치되며, 그 수평바아(12)(12′)에 걸쳐서는 기체(6) 앞측 상부에 수개 배치된 안내로울러(14)를 통하여 도입된 피절단물(시이트 또는 필름)을 파지(把持)하여 뒷쪽으로 이동하면서 인출하는 파지 인출부(16)가 그 수평바아(12)(12′)를 다라서 전. 후로 이동가능케 배치되고, 그 파지인출부(16)의 바로 앞쪽으로 되는 지지대(8)(8′)상에는 파지인출부(16)에 의해서 견고하게 파지된 피절단물을 절단하는 시이트 절단부(18)가 상.하 작동 가능케 착설되어, 피절단물을 일정크기로 연속절단한다.
다음은 대별한 상기 각 구성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에서 시이트 파지인출부(16)는 수평바아(12)(12′)를 따라서 전.후로 접동(摺動)가능케 배치된 양측 슬라이드 실린더(26)(26′)를 연결지지하는 하부 고정파체(36)와, 하부 고정판체(36)의 양측으로부터 수직 입설된 수직바아(46)(46′)의 상단을 연결 지지하는 상부 고정판체(56)와, 상부 고정판체(56)에 지지된 실린더(66)에 의해 상.하 작동 가능케 수직바아(46)(46′)에 지지된 가동틀체(76)와, 가동틀체(76)의 전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부착시킨 파지수단(86)(86′)으로부터 구성된다.
상기 파지수단은 (86)(86′)은 가동틀체(76)로부터 앞쪽으로 연장설치된 고정판(106)(106′)과, 고정판(106)(106′)의 저부에 고착된 구동모우터(M)(M′)에 희전가능케 일측 단부위가 핀(106)(106′)으로 추지된 “”자상 회동편(126)(126′)과, 회동편(126)(126′)이 회동시 그 회동편(126)(126′)의 일측면과 맞닿아 도입된 시이트의 가장자리부를 파지토록 상기 회동편(126)(126′)과 동일 형태로하여 고정판(106)(106′)에 고착시킨 고정편(136)(1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부(18)는 지지대(8)(8′)상에 수직 입설한 수직바아(118)(118′)의 상단부위를 연결 지지하는 지지틀체(108)와, 지지틀체(108)에 고착된 실린더(218)에 의해 상,하동 가능케 양단 부위가 수직바아(118)(118′)에 지지되며, 저면 전길이에 걸쳐서는 상부 안내구(構)(128)가 요설되 가동체(138)와, 상기 가동체 (138)에 대응하여 직하방인 지지대(8)(8′)상에 고착되며, 상기 안내구(128)와 동일 규격의 하부 안내부(148)가 형성된 하부 고정체(158)와, 상기 가동체(138)가 고정체(158)에 당접시 그 사이에 위치하는 피절단물을 절단토록 상기 고정체(158)의 안내구(148) 사이에 배치한 절단수단(16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절단수단(168)은 고정체(158)의 하부안내구(148)에 칼날부(178)를 약간 돌출시 상태로 배치한 칼날체(188)와, 그 칼날체(188)를 안내구(148)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케 칼날체(188)에 대응하는 기체(6)내부에 배치한 슬라이드 실린더(208)에 착탈 가능케 연결시키고 있는 연결체(218)로 이루어진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C)는 콘트롤박스를, (55)는 기대(2)의 레일상(4)(4′)상에 배치된 기체(6)가 움직이지 않게끔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S)는 시이트 또는 필름의 피절단물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평상시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있는 본고안 자동절단기(1)에 수지성형품 제조용 시이트나 또는 필름의 단부가 안내로울러(14)에 안내를 받음과 아울러 절단부(18)의 가동체(138)와 고정체(158) 사이를 통하여 파지 인출부(16)의 파지수단(86)(86′)에 위치하게 되면, 제2,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파지수단(86)(86′)의 구동모우터(M)(M′)자동으로 인해 회동편(126)(126′)은 핀(116)(116′)을 지점으로하여 가상선 위치로 회동되어져 그 회동편(126)(126′)의 일측면 부위가 인접 고착된 고정편(136)(136′)의 단면과 맞닿게 되는바, 파지수단(86)(86′)에 인접되게 위치해 있던 피절단물(S)의 양단 연부는 회동편(126)(126′)과 고정편(136)(136′)사이에서 견고하게 협지된 상태로 파지된다.
파지수단(86)(86′)에 의해 피절단물(S)이 견고하게 파지되는 작업완료의 아울러 제1,2,도에 표시한 상태로 있던 실린더(66)가 상승 작동되어 그 실린더(66)에 중앙부위가 고착된 가동틀체(76)와 가동틀체(76)에 일체로 부착된 파지수단(86)(86′)은 수직바아(46)(46′)를 따라 상승이동 된다.
이때 파지수단(86)(86′)에 파지된 피절단(S) 역시 파지수단(86)(86′)에 파지된 상태로 되어 일단부가 위쪽으로 올라간 상태로 된다.
상기 실린더(66)의 상승이동 완료에 이어 수평바아(12)(12′)에 설치된 공지의 슬라이드 실린더(26)(26′)가 제2도에 표시한 화살표 방향의 후진 작동됨에 의해 슬라이드 실린더(26)(26′)에 지지된 시이트 피지인출부(16)전체가 그 수평바아(12)(12′)를 따라서 후측으로 이동되며, 이때 피절단물(S)은 파지수단(86)(86′)에 파지된 상태로 되어 피절단물(S)공급부에서 부터 뒷쪽으로 길게 인출되는 상태로 된다.
시이트 파지인출부(16)가 슬라이드 실린더(26)(26′)에 의해 후측으로 이동 완료 되면, 실린더(66)가 상승이동되어 윗쪽으로 위치해있던 가동틀체(76)는 실린더(66)의 하강작용으로 가동틀체(76) 및 피전단물(S)을 파지하고 윗쪽으로 파지수단(86)(86′)이 제2도의 원래위치로 하강되어 피절단물(S)을 기체(6)에 대하여 편평하게 인출시킨 상태로 놓이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절단부(8)의 지지틀체(108)에 고정된 실린더(218)를 작동하면, 실린더(218)의 하강 작동으로 그 실린더(218)에 고착된 가동체(138)가 수직바아(118)(118′)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져 하부에 설치된 고정체(158)에 상.하부 안내부(128)(148)가 상호 맞닿게 되는 상태로 되며, 그 사아에 위치하고 있던 피절단물(S) 제4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동체(138) 및 고정체(158)사이에서 협지되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고정체(158) 저부의 기체(6) 내부에 있는 공지의 슬라이드 실린더(208)가 작동되면, 제4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안내부(128)(148) 사이에 위치되어 피절단물(S)의 일측에 위치해 있던 칼날체(188)는 상.하부 안내구(128)(148)를 다라서 일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되는바, 피절단물(S)은 칼날체(188)의 칼날부(178)에 의해 절단되고, 이어서 그때까지 피절단물(S)을 파지하고 있던 파지수단(86)(86′)의 구동모우터(M)(M′)가 작동되어 가상선으로 위치해 있던 회동편(126)(126′)을 원래 위치로 회동시키는바, 회동편(126)과 고정편(136) 또는 (126′),(136′)사이에서 협지되어 있던 피절단물(S)은 해체되면서 하부로 자동 낙하되어 기체(6)내의 적재함(10)에 쌓이게 된다. 피절단물(S)이 절단되면 기체(6)의 후측에 위치해 있던 시이트 파지인출부(16)는 슬라이드 실린더(26)(26′)작동으로 제1도및 제2도의 상태로 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절단부(18) 또한 실린더(218)작동으로 가동체(138)와 고정체(158)로부터 상승 이동되어 제1도의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새로운 절단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을 기다란 피절단물(S)이 공급되는한 반복 실시되며, 모든 작동은 콘트롤 박스(C)에서 제어된다.
상기에서 절단수단(168)의 칼날체(188)는 슬라이드 실린더(208)에 의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작동된다. 즉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동체(138)와 고정체(158)에 피절단(S)이 협지되는 순간 제1도면에서 보아 왼쪽에 위치해 있던 칼날체(188)는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절단(S)를 절단한 후 멈추게되고, 다음 절단 작업시에 우측에 위치해 있던 칼날체(188)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피절단물(S)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피절단물(S)의 절단길이 조정은 시이트 파지인출부(16)가 이동되는 수평바아(26)(26′) 길이를 크게하거나 또는 작게 함에 의해서 조정된다.
또, 상기예에서는 성형품 제조전의 피절단물(S)절단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성형된 시이트등을 절단함에도 사용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은 기다란 피절단물(S) 공급되면 피절단물(S)의 파지에서부터 인출작업, 절단작업등을 전연 사람의 손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계속 행할 수가 있어 절단작업의 능률 향상과 아울러 불필요한 기술인력을 줄일 수가 있던, 전체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꾀하게 된다고 하는 특징을 갖는 고안이다.

Claims (5)

  1. 통상 구조의 수동식 절단기에 있어서, 기대(2)의 레일(4)(4′)상에는 내부에 절단된 피절단물(S)이 쌓이게 되는 적재함(10)이 형성된 기체(6)를 전, 후 이동가능케 배치하고, 기체(6)양측 상부의 지지댜(8)(8′)상에 착설한 수평바아(12)(12′)에는 안내로울러(14)측으로 도입되는 피절단물(S)을 파지후 일정길이로 인출하는 파지 인출부(16)를 전.후진 이동가능케 착설하며, 상기 파지 인출부(16)의 앞측으로되는 지지대(8)(8′)상에는 파지인출부(16)로 하여금 위치설정된 피절단물(S)을 절단하는 절단부(18)를 고착하며, 상기 안내로울러(14)에서 파지인출부(16)에 길게 위치된 피절단물(S)을 절단부(18)로 절단되게 하여, 그 절단된 피절단물(S)이 기체내의 적재함(10)내에 낙하되어 적재되어 적재되게 구성한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인출부(16)는 수평바아(12)(12′)에 전.후동 가능케 배치된 슬라이드 실린더(26)(26′)를 연결지지하는 하부 고정판체(36)와, 하부 고정판체(36)에 수직입설된 수직 바아(46)(46′)의 상단을 상호 연결고정하는 상부 고정판체(56)와, 고정판체(56)에 부착된 실린더(66)에 의해 상.하동 가능케 수직바아(46)(46′)에 양단이 지지된 가동틀체(76)와, 가동틀체(76)의 전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착설한 파지수단(86)(86′)으로부터 구성되는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86)(86′)은 가동틀체(76)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된 고정판(106)(106′)과, 고정판의 저부에 고착시킨 구동모우터(M)(M′)에 회전가능케 일측단이 핀(116)(116′)으로 추지된 “ㄱ”자상 회동편(126)(126′)과, 회동편이 회동시 그 회동편의 일측면과 맞닿아서 피절단물(S)의 가장자리를 파지토록 하고져, 상기 회동편과 동일형태로 하여 고정판(106)(106′)에 인접 부착시킨 고정편(136)(1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절단부(18)는 지지대(8)(8′)상에 수직입설한 수직바아(118)(118′)의 상단 부위를 연결지지하는 지지틀체(108)와, 지지틀체에 고착된 실린더(218)에 의해 상.하동 가능케 양단 부위는 상기(118)(118′)수직바아에 지지되며, 저면 전 길이에 걸쳐서는 안내구(溝)(128)가 요설된 가동체(138)와, 상기 가동체에 대응하는 바로 밑에 고착되며, 상기 안내구(128)와 동일 규격의 안내구(148)가 형성된 하부고정체(158)와, 상기 가동체(138)가 고정체(158)에 당접시 그 사이에 협지되는 피절단물(S)을 절단토록 상기 고정체(158)의 안내구(148)에 배치한 절단수단(168)으로부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168)은 고정체(158)의 하부 안내구(148)에 예리한 칼날부(178)를 약간 돌출시킨 상태로 배치한 칼날체(188)와, 칼날체(188)를 안내구(148)에서 좌.우 또는 우.좌로 이용가능케 기체 내부에 배설한 슬라이드 실린더(208)에 착탈가능케 연결시킨 연결체(228)로부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KR2019910009157U 1991-06-19 1991-06-19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KR930004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157U KR930004346Y1 (ko) 1991-06-19 1991-06-19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157U KR930004346Y1 (ko) 1991-06-19 1991-06-19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51U KR930000451U (ko) 1993-01-20
KR930004346Y1 true KR930004346Y1 (ko) 1993-07-12

Family

ID=1931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157U KR930004346Y1 (ko) 1991-06-19 1991-06-19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34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451U (ko) 199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3629A (en) Device for cutting pieces of fabric from fabric rolls
CN105484008A (zh) 一种布料定量裁剪机
CN111824840A (zh) 一种塑料薄膜生产制造分切机及加工工艺
CN210025570U (zh) 一种过滤网自动送料切割装置
JPH09217267A (ja) 生地裁断機
CN112238166B (zh) 一种上压刀可调式折弯机
KR930004346Y1 (ko) 열가소성 수지시이트의 자동절단기
CN112474935A (zh) 一种折弯机上压刀自由调节装置
CN113021951B (zh) 一种风电叶片主梁铺设方法
CN215699829U (zh) 一种板料切割用工作台和板料切割机
CN211945537U (zh) 一种卷取落布自动裁切机构
CN214448696U (zh) 一种风电叶片主梁用拉挤板材后处理生产线斜切装置
CN205398924U (zh) 一种新型印刷用切线装置
CN210031282U (zh) 一种带自动测量组件的升降竖裁装置
CN112847544A (zh) 全自动横竖直切机
CN112848403A (zh) 一种风电叶片主梁用拉挤板材后处理生产线斜切装置
CN109986653B (zh) 一种过滤网自动送料切割装置
CN112848406A (zh) 一种风电叶片主梁用拉挤板材后处理生产线开卷装置
CN112848401A (zh) 一种风电叶片主梁用拉挤板材后处理生产线开卷机构
CN112848404A (zh) 一种风电叶片主梁用拉挤板材后处理生产线脱膜布方法
CN111633844A (zh) 一种建筑板材装修防火板表层加工设备及加工工艺
CN217343762U (zh) 一种高精准剪板机
CN212920439U (zh) 一种可调节的贴膜用压紧装置
CN214872835U (zh) 一种风电叶片主梁用拉挤板材后处理生产线倒角装置
CN214529885U (zh) 一种高效率的坯布裁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