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309Y1 - 비교신호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비교신호 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309Y1
KR930004309Y1 KR2019900009995U KR900009995U KR930004309Y1 KR 930004309 Y1 KR930004309 Y1 KR 930004309Y1 KR 2019900009995 U KR2019900009995 U KR 2019900009995U KR 900009995 U KR900009995 U KR 900009995U KR 930004309 Y1 KR930004309 Y1 KR 930004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cpn
comparis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9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538U (ko
Inventor
이기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9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309Y1/ko
Publication of KR920003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differential amplifiers or compara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교신호 발생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비교신호 발생회로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폭수단 20 : 지연수단
30 : 비교전압발생수단 40 : 마이콤
본 고안은 비교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DC전압 형태로 튜너의 검파단에서 발생되는 시그널미터(SIGNAL METER)의 출력을 복수개의 기준전압으로 치환하여 전압레벨에 따라 순서를 선택하여 자동선국시에나 자동메모리 저장시 활용할 수 있는 비교신호 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튜너의 검파단에서 발생되는 시그널미터의 출력전압을 이용하여 방송을 자동선국하는 장치는 제1도에서 시그널미터 출력전압(Vi)을 증폭하는 증폭부(10)와 마이콤(40)을 구비한다. 상기 증폭부(10)에서 레벨업(UP)된 입력전압은 마이콤(40)내에 저장된 A/D변환기(콘버터)가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PLL회로를 제어하여 소망의 방송을 선국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A/D변환기(콘버터)가 내장되지 않은 마이콤으로 튜너의 검파단에서 발생되는 시그널미터의 출력을 특정의 전압들로 세분시켜 자동선국 또는 자동메모리저장을 할 수 있도록 비교신호를 발생하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튜너의 검파단에서 출력도는 시그널미터의 출력전압을 레벨업하는 증폭수단(10); 및 상기 레벨업된 전압을 각각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지는 복수개의 기준전압과 각각 비교하여 특정레벨로 변경된 전압을 발생하는 비교전압발생수단(30)을 포함하여 상기 비교전압 발생수단(30)은 상기 증폭수단(10)에서 출력된 전압과 서로 다른 복수개의 기준전압을 각각 입력으로 하여 비교하는 복수개의 비교기(CP1~CPn); 및 상기 비교기(CP1~CPn)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원전압(Vcc)을 세분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비교기(CP1~CPn)들의 출력단자의 공통접속점사이에 각각 접속하는 출력단자저항(R6~Rn)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교신호 발생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면에서 증폭수단(10)은 튜너의 검파단에서 발생하는 시그널미터 출력전압(Vi)을 입력으롤 하여 레벨업하도록 증폭기(OP1)와 이 증폭기(OP1)의 증폭도를 결정하는 저항(R1~R4)입력신호의 교류성분을 제거하는 캐패시터(C1)로 구성된다,
지연수단(20)은 증폭수단(10)의 출력단과 후술하는 비교전압발생수단(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속도를 조절하도록 저항(R5)과 커패시터(C2)로 구성된다.
비교전압발생수단(30)은 증폭되고 지연된 시그널미터의 출력전압과 서로 다른 기준전압으로 비교하는 복수개의 비교기(CP1~CPn)와, 상기 비교기(CP1~CPn)의 출력측에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원(i1~in)과 상기 비교기(CP1~CPn)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6~Rn)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동작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증폭수단(10)의 입력단에 시그널미터 출력전압(Vi)이 인가되면 증폭기(OP1)의 출력전압(VA)은
가된다.
상기 증폭수단(10)에서 출력되는 전압(VA)은 저항(R5) 및 커패시터(C2)를 통해 속도가 조절된 후 비교전압 발생수단(30) 내의 각 비교기(CP1~CPn)의 반전단자(-)에 인가된다. 이와같이 비교기(CP1~CPn)에 출력전압(VA)이 공급되면 각 비교기(CP1~CPn)은 "온" 또는 "오프"된다. 즉, 3개의 비교기를 사용할 경우 기준전압(Rer1~Ref3)은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각 비교기(CP1~CPn)의 기준전압(Ref1~Refn)을 특정한 레벨로 설정하면 마이콤(40)에 공급되는 자동선국전압(VS)은 다음과 같다.
즉, ①출력전압(VA)〈기준전압(Refn)인 경우 각 비교기(CP1~CPn)의 출력은 "하이"임피던스가 되므로 VS=Vcc가 되다.
②기준전압(Refn)≤출력전압(VA)〈기준전압(Ref2)인 경우 비교기(CPn)의 출력은 "하이"가 되고 다른 비교기(CP1~CPn-1)은 "로우"상태가 되므로,
가 된다.
③기준전압(Vref2)≤출력전압(VA)〈기준전압(Ref1)인 경우
④기준전압(Ref2)≤출력전압(VA)인 경우 각 비교기(CP1~CPn)의 출력은 "하이"임피던스가 되므로, VS=0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비교기(CP1~CPn)의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6~Rn)을 원하는 전압에 대응하도록 조정하면, 임의의 전압으로 인가되는 시그널미터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몇개의 특정전압으로 변환시켜 마이콤(40)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을 채용한 시스템, 즉 자동선국장치나 자동메모리저장 및 장치로 입력되는 임의의 전압을 제어하여 특정 레벨로 변경하여 공급하므로 A/D변환기를 내장하지 않은 마이콤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튜너의 검파단에서 출력도는 시그널미터의 출력전압을 레벨업하는 증폭수단(10); 및 상기 레벨업된 전압을 각각 서로 다른 레벨을 가지는 복수개의 기준전압과 각각 비교하여 특정레벨로 변경된 전압을 발생하는 비교전압 발생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비교전압 발생수단(30)은 상기 증폭수단(10)에서 출력된 전압과 서로 다른 복수개의 기준전압을 각각 입력으로 하여 비교하는 복수개의 비교기(CP1~CPn); 및 상기 비교기(CP1~CPn)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원전압(Vcc)을 세분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비교기(CP1~CPn)들의 출력단자의 공통 접속점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출력단자저항(R6~Rn)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신호 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10)에서 출력되어 비교전압발생수단(30)에 공급되는 레벨업된 전압의 공급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증폭수단(10)과 비교전압 발생수단(30)사이에 지연수단(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신호 발생회로.
KR2019900009995U 1990-07-07 1990-07-07 비교신호 발생회로 KR930004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995U KR930004309Y1 (ko) 1990-07-07 1990-07-07 비교신호 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9995U KR930004309Y1 (ko) 1990-07-07 1990-07-07 비교신호 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538U KR920003538U (ko) 1992-02-25
KR930004309Y1 true KR930004309Y1 (ko) 1993-07-10

Family

ID=1930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9995U KR930004309Y1 (ko) 1990-07-07 1990-07-07 비교신호 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3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538U (ko) 199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4303A (en) Automatic volume adjusting apparatus
US5502410A (en) Circuit for providing a voltage ramp signal
US4884141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272789A (en) Pulse-forming circuit for on/off conversion of an image analysis signal
CA1065408A (en) Automatic range selection circuit
JPS5746573A (en) Picture signal processing device
KR960006641B1 (ko) 필터조정장치
KR930004309Y1 (ko) 비교신호 발생회로
US3679986A (en) Non-linear feedback gain control and peak detector system
US5146224A (en) Ac signal generating apparatus for voltage and current standard
KR910010831A (ko) 오디오 장치의 마지막 단의 출력왜곡을 감지하기 위한 회로
US8364109B2 (en) Receiver
WO1979000728A1 (en) Signal translator with squelch
JPH08116226A (ja) 自動利得制御装置
KR890002538B1 (ko) 교류전압에 따라 직류제어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
KR920004814Y1 (ko) Rf자동이득제어회로
KR870000754B1 (ko) 자동주파수 제어신호 발생회로
KR930000434Y1 (ko) 출력 레벨 균등 회로
KR0151100B1 (ko) 다중 동기용 수평 전압 제어 발진 회로
KR950010063B1 (ko) 영상신호의 자동 이득 조절 및 클램핑 회로
KR950010889B1 (ko) 주파수 선택회로
US5907300A (en) A/D conversion device with dynamic input control
KR890008435Y1 (ko) 채널 선국회로
KR0120585B1 (ko) 스탠더드/롱 플레이(sp/lp) 판별회로
JPS55112027A (en) Automatic sweep channel sel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