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152Y1 - 관 이음매 - Google Patents

관 이음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152Y1
KR930004152Y1 KR2019890008529U KR890008529U KR930004152Y1 KR 930004152 Y1 KR930004152 Y1 KR 930004152Y1 KR 2019890008529 U KR2019890008529 U KR 2019890008529U KR 890008529 U KR890008529 U KR 890008529U KR 930004152 Y1 KR930004152 Y1 KR 930004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hose
socket
joint bod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970U (ko
Inventor
하루끼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유겐 가이샤 닛다. 무어컴퍼니
아시자와 가쯔하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겐 가이샤 닛다. 무어컴퍼니, 아시자와 가쯔하루 filed Critical 유겐 가이샤 닛다. 무어컴퍼니
Priority to KR2019890008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152Y1/ko
Publication of KR910000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1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 이음매
제1도는 본 고안의 관음애의 일예를 도시한 일부파단측면도.
제2도는 그 요부의 동작설명을 위힌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종래의 관이음매의 일부파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음매본체 11 : 본체부
12 : 삽입부 13 : 연결헤드
20 : 소켓 30 : 캡너트
본 고안은, 유압기기, 공압기기등의 유체를 이용하는 기기와, 이 기기에 유체를 공급하는 호오스를 연결하는 관이음매에 관한 것이다.
유압기기등에유체를 송급하는 호오스는, 관이음매를 개재해서 유압기기등에 부착된다. 종래의 관이음매를 제3도에 도시한다. 이 관이음매는, 강철제파이프를 사용한 이음매파이프(50)의 일단부에, 유압기기등과 연결되는 기기연결부(60)가 장착되고, 타단부에 호오스와 연결되는 호오스연결부(70)가 장착되어있있다.
기기연결부(60)는, 이음매파이프(50)의 일단부에 밖에서 끼워진 연결헤드(61)와, 이 연결헤드(61)의 선단삽입부(61a)에 밖에서 끼워지고, 연결해야할 기기에 장착되는 캡너트(62)를 가진다. 연결헤드(61)는, 이음매파이프(50)단부에 납땜, 용접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캡너트(62)는 기단부가 연결헤드(61)의 선단삽입부(61a)에 코오킹되어 고정되어 있다.
한편, 호오스연결부(70)는, 이음매파이프(50)의 단부에 일단부가 밖에서 끼워진 니플(71)을 가진다. 이 니플(71)은 이음매파이프(50)의 단부에 납땜, 용접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이 니플(71)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켓(72)이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 소켓(72)은, 니플(71)의 기단부에 그 일단부가 코오킹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이소켓(72)과 니플(71)과의 사이에는, 연결해야할 호오스(40)(이점쇄선으로 나타냄)가 끼워맞추어진다. 그리고, 소켓(72)을 호오스(40)및 니플(71)과 함께 코오킹함으로서, 이 호오스(40)가 니플(71)을 개재해서 이음매파이프(50)와 연결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종래 관이음매는, 이음매파이프(50)와 기기연결부(60)및 호오스연결부(70)가 별체로 형서되어서, 이음매파이프(50)에, 납땜이나 용접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이때문에, 조립시의 납땜이나 용접등의 접착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게다가, 접착부로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접착부를 확실하게 시일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그 시일상태의 확인이나, 접합시에 있어서의 가열에 의해서 연결부의 강도가 저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필요도 있다.
이와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관이음매가 개발되어 있다. 이 관이음매는 예를들면 알루미늄제 파이프를 사용한 이음매본체(80)의 일단부를 압축가공해서, 원추대 형상의 삽입부(81)를 형성하고, 이 삽입부(81)를 접속해야할 기기에 장착되는 캡너트(91)내에 끼워맞춤해서, 이캡너트(91)를 이음매본체(80)의 단부에 고정하고 있다. 이음매본체(80)의 다른쪽 단부에는, 외주면을 절삭가공한 삽입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부(8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켓(93)과 이음매본체(80)의 삽입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부(8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켓(93)이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소켓(93)은, 기단부를 이음매본테(80)에 코오킹해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소켓(93)과 이음본테(80)의 삽입부(82)와의 사이에 호오스(40)의 단부를 끼워맞춤하고, 소켓(93)을 코오킹함으로서, 소켓(93),호오스(40) 및 이음매본체(80)의 삽입부(82)가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이와같은 관이음매는, 삽입부(82)의 외주면을, 끼워맞춤된 호오스(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또, 호오스(40)와 삽입부와의 시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절삭가공되어 있고, 이 삽입부(82)가 얇아서, 소켓(93) 및 호오스(40)단부와의 코오킹시에 이 삽입부(82)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삽입부(82)를 두껍게 하면, 내부를 통류하는 유체의 압력손실이 커진다.
일본국 실개소 610-166291호 공보에는, 압력손실에 관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음매본체에 대해서 삽입부의 내경이 작아진 관이음매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관이음매는, 이음매본체에 있어서의 삽입부가, 유체의 압력손실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그러나, 이 삽입부에 호오스의 단부를 밖에서 끼우고, 또한 이 호오스단부에 소켓을 밖에서 끼워서 코오킹하면, 이 삽입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파손되거나, 삽입부의 변형에 의해서 내부유체의 시일효과를 방해할 염려가 있다. 특히, 알루미늄등의 재질로는, 삽입부의 직경축소만으로는 충분한 강동를 얻을수 없어, 코오킹시에 삽입부가 파손될 염려가 크다. 또, 삽입부는, 본체실린더부와는 완만한 경사부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어, 이경사부를 제작하는 일이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걸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연결해야할 호오스단부를 소켓과 함께 코오킹하였을 경우에도, 이음매본체의 삽입부가 파손될 염려가 없고, 또한 제작이 용이한 관이음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고안의 관이음매는, 소정의 내경 및 외경을 가진 관형상의 본체부, 및 이 본체부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연장설치되고, 접속해야할 호오스단부가 밖에서 끼워지는 삽입부를 가진 이음매본체와, 이 이음매본체의 삽입부에 밖에서 끼워지는 호오스단부에 밖에서 끼워지는 호오스단부 및 삽입부와 함께 코오킹되는 소켓을 구비한 관이음매로서, 상기 이음매본체의 삽입부는, 상기 소켓과의 코오킹시에 변형되지 않는 고경도가 되도록 압축가공에 의해서 이 이음매본체의 본체부보다도 외경이 작아져 있고, 이 이음매본체의 본체부와는, 단계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연장설치부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이에 의해서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고안의 관이음매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강철파이프를 사용한 이음매본체(10)와, 이 이음매본체(10)의 일단부에 장착된 소켓(20)과, 이 이음매본체(10)의 타단부에 장착된 캡너트(30)를 가진다.
이음매본체(10)는, 예를들면 중간쯤에서 거의 직각으로 굴곡되고, 내경 및 외경이 측방향에 걸쳐서 일정하게 된 본체부(11)와, 이본체부(11)의 일단부 소켓(20)의 장착측단부에 연장설치된 삽입부(12)와, 이 본체부(11)의 다단부에 연장설치된 연결헤드(13)를 가진다.
이 이음매본체(10)는 비커어스경도로 100∼140정도의 강철제이고, 이 이음매본체(10)의 삽입부(12)는, 이 이음매본체(10)의 본체부(11)의 외경보다도 작은 원통형상이고, 또한 비커어스경도로 150이상의 경도를 가지도록, 압축가공되어있다. 이 삽입부(12)와 이음매본체(10)의 본체부(11)와의 연장설치부(14)는, 예를들면, 2단계로 단계적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설치부(14)는, 삽입부(12)가 소정의 경도로 되도록, 예를들면 2단계에 걸쳐서 압축가공함으로서 제작된다. 특히, 이음매본체가 강철제의 경우에는, 삽입부(12)를 직경을 축소해서 조정의 고경도로 하기 위해서는, 복수회에 걸친 압축가공이 실시된다. 또, 복수회의 압축가공을 행할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있는 2단형상의 압축공구를 사용함으로서 1회의 압축가공으로 삽입부(12)를 고경도로 할수 있다. 이 삽입부(12)는, 본체부(11)외경의 90%정도의 외경으로 되고, 예를들면 본체부(11)의 외경이 12mm, 두께가 2.5mm일 경우에는, 그외경은, 10.6mm정도로 되고, 그리고 이부분의 두께는 2.5mm이상으로 된다. 이 삽입부(12)의 외주면에는, 이삽입부(12)에 밖에서 끼워지는 호오스(40)(제1도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냄)의 단부를 이탈방지하고, 또한 이 호오스(40)단부와의 시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둘레방향으로 흠형상의 절삭가공이 실시되고, 이 절삭가공후의 외경은 압축가공하였을 때의 직경인 약 10.6mm로 되어 있다. 이치수는 호오스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고, 호오스의 이음매로서 필요한 치수이다.
이 삽입부(12)에는, 원총형상의 소켓(2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밖에서 끼워져 있다. 이 소켓(20)은, 일단 부가 이음매본체(10)의 삽입부(12)와 연장설치부(14)를 내부에 수납해서 본체부(110의 단부에 코오킹되어서, 이 이음매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소켓(20)의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환형상홈(2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매 본체(10)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연결헤드(13)는, 예를 들면 이음매본체(10)를 구성하는 강철제파이프를 축방향으로 압축함으로서, 원추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헤드(13)는 캡너트(30)내에 끼워넣어져 있고, 연결헤드(13)를 이캡너트(30)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이 연결헤드(13)가 이탈방지되도록 캡너트(30)를 코오킹해서, 이 캡너트(30)가 이음매본체(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캡너트(30)는, 호오스(40)와 연결해야할 소정의 기기에 장착된다.
이같은 구성의 관이음매는, 다음과같이 사용된다. 먼저, 이음매 본체(10)의 연결헤드(13)에 부탁된 캡너트(30)를 호오스(40)를 연결해야할 소정의 유압기기등에 장착한다. 이 경우, 캡너트(30)내의 원추대형상으로된 연결헤드(13)의 외주면에 이 캡너트(30)와 나사맞춤하는 유압긱쪽 부재의 테이퍼면이 접촉해서, 이 연결헤드(13)의 단부가 시일된다. 한편, 이음매본체(10)의 삽입부(12) 외주면과 소켓(20)내주면과의 사이에, 연결해야할 호오스(40)의 단부를 끼워맞춤시키고, 소켓(20)을 외주측에서부터 코오킹한다. 이에 의해서, 제2도의 도시한 바와같이, 호오스(40)단부는 소켓(20)과 이음매본체(10)의 삽입부(12)에 의해서 좁혀져서 이 삽입부(12)에 고정된다.
이때, 삽입부(12)는, 고경도가 되도록 조임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20)의 코오킹에 의해서 이 삽입부(12)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염려가 없다.
본 고안의 관이음매는, 이와같이, 이음매본체에 있어서의 삽입부가 고경도로 되도록 압축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매본체 전체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고, 또 이음매본체 전체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이 삽입부에 호오스단부 및 소켓을 밖에서 끼워서 코오킹하여도, 이 삽입부가 변형 또는 파손될 염려가 없고, 이 삽입부의 변형에 의한 시일효과를 방해할 염려도 없어 호오스단부와 확실하게 연결된다. 삽입부가 압축가공에 의해서 필요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해야할 부분이 어 가공성이 향상된다. 하나의 파이프이기때문에, 납땜이나 용접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었다. 이음매본체에 있어서의 본체부와 삽입부는, 단계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연장설치부를 개재해서 연결되고 있고, 이 연장설치부는, 삽입부의 압축가공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다.

Claims (2)

  1. 소정의 내경 및 외경을 가진 관형상의 본체부(11)및 이 본체부(11)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연장설치되고, 접속해야할 호오스(40) 단부가 밖에서 끼워지는 삽입부(12)를 가진 이음배본체(10)와, 이 이음매 본체(10)의 삽입부(12)에 밖에서 끼워지는 호오스(40) 단부에 밖에서 끼워져서 이 호오스(40) 단부 및 삽입부(12)와 함께 코오킹되는 소켓(20)을 구비한 관이음매로서, 상기 이음매본체(10)의 삽입부(12)는 상기 소켓(20)과의 코오킹시에 변형되지 않는 고경도가 되도록 압축가공에 의해서 이이음매본체(10)의 본체부(11)보다도 외경이 작아져있고, 이 이음매본체(10)의 본체부(11)와는, 단계적으로 직경이 축소된 연장설치부(14)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본체(10)가 강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매.
KR2019890008529U 1989-06-21 1989-06-21 관 이음매 KR930004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529U KR930004152Y1 (ko) 1989-06-21 1989-06-21 관 이음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529U KR930004152Y1 (ko) 1989-06-21 1989-06-21 관 이음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70U KR910000970U (ko) 1991-01-23
KR930004152Y1 true KR930004152Y1 (ko) 1993-07-02

Family

ID=1928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529U KR930004152Y1 (ko) 1989-06-21 1989-06-21 관 이음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1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91U (ko) * 2016-11-02 2018-05-10 이광복 접이식 초미립자 약액 분무방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91U (ko) * 2016-11-02 2018-05-10 이광복 접이식 초미립자 약액 분무방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970U (ko) 199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3341B1 (en) Flat-face tube connector
US5961160A (en) High-pressure connection system
FI77723B (fi) Dysroeranslutning.
KR101103177B1 (ko) 물림식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온수 장치
US2987329A (en) Corrugated metal hose connections
US2517669A (en) Hose end
CA1319718C (en) Hose coupling
CA2224788C (en) Flare-tube assembly
US3830532A (en) Compression type tube end connection
KR100322637B1 (ko) 관이음부
US4917407A (en) Plastic part provided with a metal threaded element
KR930004152Y1 (ko) 관 이음매
US4664425A (en) Pipe-flange coupling with irreversible screwing at rotation
US11141042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endoscope and such an endoscope
JP2572633B2 (ja) 細径配管接続用接手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2007170658A (ja) 管継手
JPH0422155Y2 (ko)
JPH0117753Y2 (ko)
JPH1122884A (ja) 継手金具とチューブの連結装置
CN216768637U (zh) 管件与活接接头的胀紧式连接结构
JP3972287B2 (ja) スリーブ型管継手
JP4293769B2 (ja) ブレーキパイプ及び口金具
JPH0244153Y2 (ko)
JPH1182841A (ja) ホース継手金具
JPH05327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