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80Y1 -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 Google Patents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80Y1
KR930004080Y1 KR2019910000431U KR910000431U KR930004080Y1 KR 930004080 Y1 KR930004080 Y1 KR 930004080Y1 KR 2019910000431 U KR2019910000431 U KR 2019910000431U KR 910000431 U KR910000431 U KR 910000431U KR 930004080 Y1 KR930004080 Y1 KR 930004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basket
sewing machin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0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157U (ko
Inventor
권만천
이진술
Original Assignee
권만천
이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만천, 이진술 filed Critical 권만천
Priority to KR2019910000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080Y1/ko
Publication of KR9200151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1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상세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프레임 2 : 하부 프레임
3 : 로울러 이동부 4 : 공압실린더
5 : 로울러 6 : 로울러 지지편
7 : 지지이동편 8 : 로울러 가이드
9 : 횡봉 10 : 공압실린더축
11 : 볼트고정부 12 : 원단바스켓
13,14 : 센서
본 고안은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단바스켓내에 실려진 원단의 양끝단을 감지하여 원단바스켓자체를 적정위치로 자동이동하도록 한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의 봉침기는 원단을 봉침(제직된 원단자체의 흐트려짐을 방지하기 위해 양변사를 실로서 매듭지음)하기 위한 미싱의 일종으로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선특허출원 제90-6296호의 원단봉침 및 탈착장치에서의 언급된 바 있는 원단 바스켓 지지받침대를 개량한 것으로 봉침기의 기체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로 하여금 원단의 양끝단을 감지하여 원단바스켓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고안한 것이다.
종래 봉침기에서의 원단바스켓 지지받침대는 단지 원단바스켓을 흔들림이 없이 받쳐주는 역할만을 유지토록 하였기에 다수의 문제점이 제기 되었었다. 즉 종래의 지지받침대로서는 단지 원단바스켓이 흔들림이 없이 지지하며 받쳐주는 역할 밖에 하지 않았기에 원단바스켓에 제작된 원단을 실어 넣을 때에는 봉침기내의 첫번째 물레의 위치에 맞추어서 넣어야 하고, 위치가 맞지 않을시에는 손으로 탁탁 밀거나 당겨서 위치를 맞추어야 하기에 작업시간 및 인력의 낭비가 심하여 비경제적이며 비효율적이어서 개선의 여지가 많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단바스켓이 지지되고 받쳐주는 상부 프레임을 중앙콘트롤 박스와 연결되어 있는 공압실린더와 로울러를 이용하여 원단바스켓자체를 자동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개량함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바스켓의 하부형상에 따라 원단바스켓이 안착되고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의 상부 프레임(1)과, 봉침기의 몸체측면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양쪽을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로울러이동부(3)와, 상부 프레임을 일정구간동안 이동시키는 힘을 만들어 내는 공압실린더(4)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부 프레임(1)은 원단바스켓(12)의 하부 형상에 따라 요철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단을 형성시키고 원단바스켓(12)의 양측이 상부 프레임(1)의 양끝단을 감싸며 끼울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1)의 길이를 조정하여 제작한다. 상부 프레임(1)의 전후 좌우 방향의 대칭되는 네 곳에 로울러(5)를 감싸고 있는 로울러 지지편(6)을 내리고 있다 또한 중앙에는 상부 프레임(1)을 고정하며 받쳐주는 지지이동편(7)이 공압실린더(4)의 축(10)과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2)는 상부 프레임(1)의 로울러지지편(6)에 감사서 내려온 로울러(5)를 끼워서 로울러(5)가 이동가능하도록 된 로울러 가이드(8)가 역시 전후 좌우 방향의 대칭되는 네곳에 고정연결되어 있으며 로울러 가이드(8)는 로울러(5)를 사이에 끼운 두개의 횡봉(9)을 고정시킨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프레임(2)의 일측에는 공압실린더(4)가 자리잡고 있어서 공압실린더(4)의 축(10)과 연결된 상부 프레임(1)의 지지이동편(7)과 연결되어 있다. 당연히 하부 프레임(2)은 봉침기의 몸체측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3군데의 볼트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고안을 작동순선에 따라 설명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침기의 일측면에 하부 프레임(2)의 볼트고정부(11)로서 볼트로 단단히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부 프레임(1)에 원단비스켓(12)의 하단을 위치시킨다. 제직된 원단을 원단바스켓(12)내로 던져넣으면 봉침기의 일측면의 중앙끝단쯤에서 첫번째 물레와 원단의 일측끝단이 맞추어 짐을 감지하는 센서(13)가 고정되어 있어서의 원단의 일측끝단이 적정위치로 왔는가를 중앙콘트롤 박스로 연락하고, 역시 원단바스켓의 위에서 바스켓내부를 향하여 원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의 원단바스켓(12)의 중앙상부쯤에 위치하고 있다. 인지된 원단의 위치를 중앙콘트롤 박스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의 공압실린더(4)에 전후진 명령을 내려서 공압실린더의 축이 전후진하게 되며, 이때의 전후진 이동은 상부 프레임(1)의 로울러지지편(6)에 감사져 있는 로울러(5)가 하부 프레임(2)의 로울러 가이드(8)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직된 원단이 원단바스켓(12)내에 던져지고 그 위치를 인지하여 바스켓자동이동 받침대의 공압실린더(4)가 작동하여 상부 프레임(1)이 움직임으로서 원단바스켓장체가 이동하게 되어 작업자가 그대로 원단을 물레에 걸어 놓으면 된다. 이후의 작업은 종래의 봉침기 작업과 동일하다.
본 고안은 원단바스켓내의 원단을 수작업으로 위치를 맞추는 수고가 없이 공압실린더와 로울러를 이용하여 센서로 감지한 원단의 위치를 중앙콘트롤 박스로 자동으로 일정구간을 자동으로 전후 이동하게 하여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수작업이 필요없기에 경제적이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많은 효과가 발생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서 보호받고자하는 권리범위가 기술될 것이나 단순한 형상 및 설계의 변경등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포함된 물론 현장기술자들에게는 훤히 알고 있는 사항임을 첨언한다.

Claims (2)

  1.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지지받침대에 있어서, 원단바스켓의 하단 형상이 끼워지도록 요철결합이 가능한 형상의 상부 프레임(1)과, 봉침기의 일측 몸체에 고정되는 볼트고정부(11)를 가지는 하부 프레임(2)과, 양쪽을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1)을 이동시키는 로울러 이동부(3)와 공압실린더(4)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갖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는 공압실린더(4)의 축(10)이 상부 프레임(1)의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이동편(7)과 연결되고 있고, 상부 프레임(1)의 전후 좌우방향의 대칭되는 곳에 로울러(5)를 감사고 내려온 로울러지지편(6)의 두개의 횡봉사이에 로울러(5)를 끼우고 하부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는 로울러 가이드(8)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특징으로 갖는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KR2019910000431U 1991-01-12 1991-01-12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KR930004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431U KR930004080Y1 (ko) 1991-01-12 1991-01-12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0431U KR930004080Y1 (ko) 1991-01-12 1991-01-12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57U KR920015157U (ko) 1992-08-17
KR930004080Y1 true KR930004080Y1 (ko) 1993-06-30

Family

ID=19309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0431U KR930004080Y1 (ko) 1991-01-12 1991-01-12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08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57U (ko) 199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688B1 (en) Quilting rack for sewing machines
JP3078443B2 (ja) 織機における綜絖の支持装置
DE59304572D1 (de) Textiles Anti-Vandalismus Flächengebilde
US4073450A (en) Device for holding yarn bobbins
KR930004080Y1 (ko) 봉침기의 원단바스켓 자동이동 받침대
GB2249322B (en) Fabric holding frame for a sewing machine
JPH03206155A (ja) 織機内のちり除去装置
KR930002575A (ko) 평반형 자동편물기의 직물수직인장장치
CN107503027A (zh) 一种纱线绷紧装置
US3298077A (en) Automatic separator
US3082715A (en) Cloth folding and stitching device
JPH0566834B2 (ko)
CA2076825A1 (fr) Systeme de montage de toiles de criblage flexible a suspension et tension automatique
JP3676418B2 (ja) 多頭刺繍ミシン
EP0655525B1 (de) Verfahren zum Beschicken eines Bügelautomaten mit einem Ärmel aufweisenden Oberbekleidungsstück
KR920003944B1 (ko) 원단 봉침 및 탈착장치
US5383412A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CN110422555A (zh) 一种纺织机的输送装置
CN212771189U (zh) 一种用于纯棉面料编织的纱架组件
CN219010729U (zh) 一种整理花边的机器
CN116142854A (zh) 一种纺织布料卷收装置及系统
CN210712033U (zh) 一种缝纫机的夹线器组件
JPH0324157Y2 (ko)
KR960009344Y1 (ko) 자수기의 코딩기구(A device for leading thread of Embroidering Machine)
US20020153052A1 (en) Face-to-face weaving machine with face-to-face shed fo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