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900Y1 -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900Y1
KR930003900Y1 KR2019910008418U KR910008418U KR930003900Y1 KR 930003900 Y1 KR930003900 Y1 KR 930003900Y1 KR 2019910008418 U KR2019910008418 U KR 2019910008418U KR 910008418 U KR910008418 U KR 910008418U KR 930003900 Y1 KR930003900 Y1 KR 930003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head
exhaust pipe
cathode ray
ray tub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469U (ko
Inventor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900Y1/ko
Publication of KR930001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38Exhausting, degassing, filling, or cleaning vessels
    • H01J9/385Exhaust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의 분리 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를 나타내 보인 분리 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컴프레션 헤드 21 : 컴프레션 헤드 본체
26 : 캡 27 : 사이트 부재
28 : 패킹 부재 29 : 실링(Seal Ring)
30 : 지지링 31 : 돌출턱
32 : 공간부 41 : 배기관
본 고안은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용 튜우브의 배기관을 컴프레션 헤드에 초기 진입시 배기관의 판손이 방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컴프레션 헤드(Compression Hea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내부는 전자총으로부터 전자의 방출을 원활하게 하고 음극선관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고진공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음극선관을 진공시키기 위한 컴프레션 헤드는, 음극선관을 배기하기 위한 진공시스템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즉, 그 중심축 방향으로 중공부(3)를 가지는 관상의 본체(2) 상부에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워터 자켓(Water Jacker; 4)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부(5)가 형성되어 그 중앙에 관통공(6′)이 형성된 캡(6)과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캡(6)과 본체(2)의 상단부 사이에는 오링(7)과 패킹부재(10)를 누르는 사이트링(8)이 개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3)의 상부에는 음극선간용 튜우브의 배기관(9)을 감싸는 패킹부재(10)를 지지하는 환형의 돌출턱(11)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네트부 12는 가열장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컴프레션 헤드(1)는 음극선관을 진공으로 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캡(6)을 본체(2)로부터 해제시킨 다음 음극선관의 네크부(13)에 고착된 배기관(9)을 상기 캡(6)의 관통공(6′)을 통해 본체(2)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2)에 대해 캡(6)을 조임으로써 시이트 링(8)이 상기 패킹부재(10)을 가압하여 패킹부재(10)가 배기관(9)에 밀착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컴프레션 헤드(1)는 그 중공부(3)를 진공펌프(도시생략)에 연결하여 음극선관 내부를 진공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기관(9)과 컴프레셔 헤드(1)와 접속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행하여지는데, 상기 배기관(9)이 상기 본체(2)의 중공부(3)에 초기 진입시 상기 배기관(9)의 단부가 상기 패킹부재(10)의 중심에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배기관(9)이 패킹부재(10)와 접촉되어 그 집입력에 의해 상기 배기관(9)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 경우 제품의 손실과 음극선관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기관을 컴프레서 헤드의 접속 이 배기관이 파손되는 불량손실을 줄임으로써 작업능률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그 측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와, 음극선관의 배기관을 압착 지지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나사결합된 캡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가 지지되며 상기 배기관의 진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지지링이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내 보인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20)는 본체(21)의 축방향으로 소정직경의 중공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의 상부에는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워터자켓(23)이 형성되며, 상기 워터자켓(23)의 주면에는 나사부(24)가 형성되는 상부에 관통공(25)이 형성된 캡(26)과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와 캡(26)의 사이에는 본체(21)의 단부에 지지되는 실링(29)과 이 실링(29)을 밀착시키는 시이트부재(27)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22)의 상부측에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된 돌출턱(31)이 형성되고 이의 상단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본체(21)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부(32)가 마련되어 상기 돌출턱(30)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패킹부재(28)가 지지되는 지지링(30)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실링(29)은 상기 본체(21)와 지지링(30)이 이격된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중공부(22)와 대기(大氣)를 폐쇄시킴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40은 음극선관의 네트부, 50은 가열장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컴프레션 헤드(2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전자총이 봉입된 튜우브를 진공시키기 위해서는 진공시스템에 설치된 컴프레션 헤드(20)의 본체(21)로부터 캡(26)을 풀고 상기 음극선관의 배기관(41)을 상기 캡(26)의 관통공(25)을 통해 컴프레션 헤드(20)의 중공부(22)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배기관(41)이 패킹부재(28)의 중심과 일치되지 못하여 상기 배기관(41)의 단부가 패킹부재(28)와 다소 접촉될 경우 이 접촉 힘에 의해 상기 지지링(30)이 본체(21)의 일측 내주면쪽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배기관(41)이 파손됨이 없이 컴프레션 헤드(20)에 삽입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본체(21)에 대해 상기 캡(26)을 조임으로써 상기 시이트 부재(27)를 상기 실링(29)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시이트부재(27)가 상기 패킹부재(28)를 가압하여 패킹부재(28)가 배기관(41)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후 진공펌프(도시생략)을 작동시켜 상기 중공부(22)를 통해 배기작업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20)는 음극선관의 배기관(41)을 컴프레셔 헤드(20)에 초기 삽입시 패킹부재(28)와 다소 중심이 어긋나 패킹부재(28)를 지지하는 지지링(30)이 그 접촉힘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배기관(41)이 파손됨이 없이 용이하게 컴프레션 헤드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는 배기관이 파손되는 불량 손실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절약 뿐만 아니라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그 축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본체와, 음극선관의 배기관을 압착지지하는 패킹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나사결합된 캡을 구비하여된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28)가 지지되며 상기 배기관(41)의 진입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지지링(30)이 구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KR2019910008418U 1991-06-08 1991-06-08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KR930003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418U KR930003900Y1 (ko) 1991-06-08 1991-06-08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418U KR930003900Y1 (ko) 1991-06-08 1991-06-08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469U KR930001469U (ko) 1993-01-21
KR930003900Y1 true KR930003900Y1 (ko) 1993-06-25

Family

ID=1931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418U KR930003900Y1 (ko) 1991-06-08 1991-06-08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9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469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6558A (en) Method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rc discharge lamps
KR930003900Y1 (ko)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 헤드
GB987483A (en) A cathode for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KR920006849Y1 (ko) 음극선관 배기용 컴프레션헤드
US5424503A (en) Puffer type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blast valve and permanent contacts
US3072421A (en) Coupling assembly
JPS57147860A (en) Cathode for gas discharge tube
KR970001029Y1 (ko) 음극선관용 배기헤드
EP1285977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ulating a seal in a process chamber
KR920007280Y1 (ko) 음극선관의 배기장치
US5355052A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with getter
JPH08145251A (ja) 管接続装置
US5567193A (en) Arrangement for vacuum-tight sealing of electron tubes
KR910007776Y1 (ko) 진공시스템의 컴프레션 헤드
US2740916A (en) Vacuum tube with replacement filaments
KR0176344B1 (ko) 브라운관용 게터착탈장치
KR930003231Y1 (ko) 음극선관용 배기장치
SU1251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соединени вакуумных приборов к откачной системе
JPS6122534A (ja) 陰極線管の製造装置
JPH0514077Y2 (ko)
JPH0319938Y2 (ko)
GB83518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ow-pressure mercury vapour discharge tubes
KR910007504B1 (ko) 음극선관의 제작방법
KR900005535A (ko) 컬러음극선관의 제조방법
US4746317A (en) Electron tube evacuating manifol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