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891Y1 -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891Y1
KR930003891Y1 KR2019910003478U KR910003478U KR930003891Y1 KR 930003891 Y1 KR930003891 Y1 KR 930003891Y1 KR 2019910003478 U KR2019910003478 U KR 2019910003478U KR 910003478 U KR910003478 U KR 910003478U KR 930003891 Y1 KR930003891 Y1 KR 930003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ventilation
blocking
dolphi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288U (ko
Inventor
윤장학
Original Assignee
윤장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학 filed Critical 윤장학
Priority to KR2019910003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891Y1/ko
Publication of KR920018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04D25/1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and having shutters, e.g. automatically closed when not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3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driven by a common gearing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설명도.
제3a,b도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로써, (a)도는 환기 차단시의 설명도 (b)도는 환풍 작동시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풍기 외틀 2 : 모우터
3 : 회전축 4, 4′ : 돌핀
5 : 환풍팬 5a : 환풍팬의 평면부
5b : 환풍팬의 곡면 6 : 차단팬
6a: 차단판 7, 7′ : 유동공
8, 8′ : 돌핀 9, 9′ : 스프링
본 고안은 환풍기에 있어서 그 환풍팬의 전면에 환기 차단팬을 연동되게 착설하여 그 배면에 별도의 환기차단용 셧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이 환풍팬의 작동시에는 환풍기가 개방되어 환풍되게 하고 환풍팬의 정지시에는 별도의 조작을 필요로함이 없이 스스로 내외의 공기를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풍기는 건물벽등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여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켜 실내의 공기를 정화되게 하는 것이나 환풍기의 날개는 그 통풍 간격인 환풍통로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회전이 정지되는 시간에는 그 환풍통로로 외부의 해충이 내부로 칩입하거나 실내의 난방 또는 냉방 온도를 외부로 빼앗겼던 것이어서 그 배면에 환기차단용 셧타를 설치하여 이를 개폐 조작되게 하므로서 전기한 결점을 제거하려 하였던 것이나 이 환기 차단용 셧타는 환풍팬과는 별도로 작동 시켜야 했던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환풍기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제거코져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환풍기 외틀(1)중앙에 착설된 모우터(2)의 회전축(3)에 대하여 중심부 양측에 돌핀(4)(4′)을 매설하고 그 주연에는 비교적 완만한 평면부(5a)와 급격한 곡면(5b)을 함게 갖게 한 환풍팬(5)을 형성하여 그 회전측(3)에 축착하고, 분할형성된 차단판(6a)과 유동공(7)(7′)을 갖는 차단팬(6)을 형성하여 그 유동공(7)(7′)이 전기한 돌핀(4)(4′)으로 계지되게 유착하되, 차단팬(6)의 중심부 역시 돌핀(8)(8′)을 형성하여 스프링(9)(9′)으로서 돌핀(4)(4′)과 탄설되게 연결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 10′는 넛트, 11, 11′는 와셔, 12는 보호캡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차단되어 본 고안의 환풍기가 멈추어 있을 때는 환풍팬(5)의 돌핀(4)(4′)과 차단팬(6)의 돌핀(8)(8′)이 스피링(9)(9′)으로서로 연결되어 있어 그탄력에 의해 유동공(7)(7′)의 간격만큼 서로 당겨지므로서 별도로 개폐 셧타를 닫는등의 번거로움이 없이도 제3a도의 도시와 같이 환풍판(5)의 평면부(5a)와 차단팬(6)의 차단판(6a)이 서로 공간부를 교호로 막아주면서 서로 기밀된 하나의 평판을 이룸으로서 실내외의 공기를 차단하여 실외의 해충이 실내로 유입됨은 막음은 물론 난방 또는 냉방시에 실내의 온도를 외부로 빼앗기지 않는 것이다.
또한 실내의 공기가 혼탁하여져 환기를 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역시 별도의 개폐 셧타등의 조작이 필요없이 전원만을 연결시켜 주면 환풍기의 모우터(2)가 작동되면서 환풍팬(5)이 회전을 개시할시에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환풍팬(5)의 돌핀(4)(4′)이 그 회전력에 의해 스프링(9)(9′)의 탄력을 벗어나면서 유동공(7)(7′)의 반대쪽으로 이동하면서 차단팬(6)의 유동공(7)(7′)단부에 대한 환풍팬(5)의 돌핀(4)(4′)의 계지력으로 타단팬(6)을 같이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환풍팬(5)과 차단팬(6)은 서로 유동될 수 있는 별도의 유동판으로 되어 있어 환풍팬(5)은 그 송풍력에 의해 공기가 송풍되는 반대방향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되어 송풍방향의 반대방향에 설치된 차단팬(6)에 밀착하게 되어 그 밀착력과 함께 차단팬(6) 자체에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공기저항력이 발생하므로 그 밀착력과 공기저항력이 인장된 상태의 스프링(9)의 복원력보다 크게 되어 환풍팬(5)과 차단팬(6)이 유동공(7)(7′)의 간격만큼 반대쪽으로 당겨져서 위치를 달리하게 됨으로서, 환풍팬(5)의 평면부(5a)와 차단판(6a)이 서로 겹쳐지게 되고 환풍팬(5)의 곡면부(5a)가 차단판(6a)이 분할된 공간부로 드러나면서 그 공간부의 곡면에 의해 환풍팬과 동일하게 공기를 강제 이동시킬 수 있어 실내의 공기를 환풍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 동작을 멈출시는 전기한 밀착력과 공기저항력이 없어지므로 다시 자동적으로 스프링(9)(9′)의 탄력에의해 전기한 바와같이 차단팬(6)과 환풍팬(5)이 당겨지게되어 서로의 공간부를 막아주므로서 실내외의 공기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환풍기에 별도의 개폐삿타를 장치할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할뿐 아니라 환풍기의 작동시에 개패셧타를 별도로 조작하여야 되는 번거로움이 없이 스스로 개폐 작동되게 한 매우 편리한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1)

  1. 통상의 환풍기 외틀(1)중앙에 착설된 모우터(2)의 회전축(3)에 대하여, 중심부 양측에 돌핀(4)(4′)을 매설하고 그 주연에는 비교적 완만한 평면부(5a)와 급격한 곡면(5b)를 함께 갖게한 환풍팬(5)을 형성하여 그 회전측(3)에 축착하고, 분할형성된 차단판(6a)과 유동공(7)(7′)을 갖는 차단팬(6)을 형성하여 그 유동공(7)(7′)이 전기한 돌핀(4)(4′)으로 계지되게 유착하되, 차단팬(6)의 중심부 역시 돌핀(8)(8′)을 형성하여 스프링(9)(9′)으로서 돌핀(4)(4′)과 탄설되게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KR2019910003478U 1991-03-14 1991-03-14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KR930003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78U KR930003891Y1 (ko) 1991-03-14 1991-03-14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78U KR930003891Y1 (ko) 1991-03-14 1991-03-14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88U KR920018288U (ko) 1992-10-19
KR930003891Y1 true KR930003891Y1 (ko) 1993-06-25

Family

ID=1931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478U KR930003891Y1 (ko) 1991-03-14 1991-03-14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8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288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891Y1 (ko) 환기차단팬(fan)을 갖는 환풍기
KR200437210Y1 (ko) 환기구
JPH0528836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S6028896Y2 (ja) 外風防止装置
JP2813910B2 (ja) 自然開閉換気口装置
JPH0452608Y2 (ko)
KR970002916Y1 (ko) 날개판의 각도가 변화되게한 환풍기
US3202083A (en) One way flow ventilator damper
JPH08303831A (ja) ダクト用換気扇装置
WO2022123656A1 (ja) シャッター装置及び換気装置
US3315587A (en) Window-mounted ventilating apparatus
KR970003473Y1 (ko) 에어컨의 토출그릴 먼지 유입방지 장치
JPS6333079Y2 (ko)
JP3994900B2 (ja) 換気装置
JP2003028489A (ja) 吹出グリル
KR101643719B1 (ko) 환풍기용 차단기
JPS586851B2 (ja) ウインドフアン
JPH0410511Y2 (ko)
KR0118223Y1 (ko) 환풍기용 개폐날개 구조체
KR0108936Y1 (ko) 차량용 환기구 그릴
KR100588662B1 (ko) 버스 루프의 환기구 구조
KR200230972Y1 (ko) 건설중장비조종실의출입구에장착되는외기차단장치
KR200321778Y1 (ko) 환기유니트
KR0112532Y1 (ko) 환풍기용 개폐장치
JP2583945Y2 (ja) モーター駆動ダ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