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778Y1 - 환기유니트 - Google Patents

환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778Y1
KR200321778Y1 KR20-2003-0012858U KR20030012858U KR200321778Y1 KR 200321778 Y1 KR200321778 Y1 KR 200321778Y1 KR 20030012858 U KR20030012858 U KR 20030012858U KR 200321778 Y1 KR200321778 Y1 KR 200321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ir inlet
air
uni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28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륜
Original Assignee
(주)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이처 filed Critical (주)네이처
Priority to KR20-2003-00128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측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양측단에 공기 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그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송풍부와, 그 케이싱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하 조작에 따라 송풍부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부와, 그 스위치부의 조작에 따라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댐퍼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 댐퍼수단은 스위치부의 온 조작에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그 액츄에이터에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공기 유입구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개폐밸브와, 그 공기 유입구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개폐밸브의 회전시 양측면을 일정 각도에서 접촉 지지하기 위한 스톱퍼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유로가 폐쇄되고 필요할 때에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 및 공조 조절이 용이하며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환기유니트{VENTILATION UNIT}
본 고안은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측으로 송풍시킴과 아울러, 공기가 송풍되는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유니트는 실외 또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 인입하여 실내 또는 실외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중 실외 공기를 실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환기유니트는 주로 건물의 공조기 혹은 청정실등에 외부공기를 필터링한 후에 실내로 유입시키는 과정을 갖는다.
종래 환기유니트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일측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a)가 건물 벽면의 흡입 환기구(5a)와 제 1덕트(7a)를 매개로 연결되고, 그 타측단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1b)가 실내 천정에 토출 환기구(5b)와 제 2덕트(7b)를 매개로 연결되며, 그 케이싱(1)의 내부에는 실내 천정에 개폐가능한 점검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에 공기 유입구(1a)측으로 프리 필터(11)가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기 유출구(1b)측에는 블로워(13)가 장착되며, 프리 필터(11)와 블로워(13) 사이에 카본 필터 어세이(Carbon Filter Assay;1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환기유니트는 실외 천정과 실내 천정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한 후에 실내로 토출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한 종래 환기유니트는 외부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유로가 항시 개방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순환이 필요없는 불필요한 경우에도 유로가 항시 개방되어 먼지등의 외부 이물질이 침투될 뿐만 아니라, 실내 온도의 유지 및 공조 조절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공기의 유입시에만 유로가 개방되고 필요하지 않을 때는 유로가 폐쇄되도록 한 댐퍼수단을 구비한 환기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환기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환기유니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는 본 고안의 개폐밸브가 개방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개폐밸브가 폐쇄되어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케이싱 210 : 공기 유입구
220 : 공기 유출구 300 : 송풍부
310 : 구동모터 320 : 모터팬
400 : 스위치부 510 : 액츄에이터
520 : 개폐밸브 530 : 스톱퍼
540 : 완충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단에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마련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댐퍼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상기 송풍부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모터팬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 요소로는 상기 댐퍼수단이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부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공기 유입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공기 유입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밸브의 양측 테두리와 접촉 지지되는 스톱퍼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외에, 상기 댐퍼수단이 상기 개폐밸브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부착된 완충재를 더 구비하여 된 것등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환기유니트는, 도 2 및 도 3를 참조, 양측단에 공기 유입구(210) 및 공기 유출구(220)가 각각 마련되고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싱(200)과, 그 케이싱(20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송풍부(300)와, 그 케이싱(200)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상,하 조작에 따라 송풍부(300)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스위치부(400)와, 그 스위치부(400)의 조작에 따라 공기 유입구(210)를 개폐시키는 댐퍼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송풍부(30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310)와, 그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모터팬(320)으로 구성된 모터어셈블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댐퍼수단은 스위치부(400)의 온/오프 조작에 따라 연동되는 액츄에이터(510)와, 그 액츄에이터(510)의 단부에 연결되고 공기 유입구(21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밸브(520)와, 그 공기 유입구(210)의 내주면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그 개폐밸브(520)의 회전시 양측면을 일정 각도에서 접촉 지지하기 위한 스톱퍼(530)로 구성된 것이다.
그 개폐밸브(520)는 공기 유출구(22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중심부위에 축 결합되고, 그 액츄에이터(510)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한 개폐밸브(520)의 축(525)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스톱퍼(530)는 개폐밸브(520)의 양측면 전,후측에서 마련되고 개폐밸브(520)와 접촉되어 유로의 폐쇄시 밀폐를 위해 씰링기능을 가지며, 그 접촉되는 부위의 충격을 완충시키고 씰링기능을 갖는 완충재(540)가 개폐밸브(520)의 양측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입구(210)와 공기 유출구(220)측에 각각 실내와 실외측으로 유로를 연장하기 위한 제 1,2덕트부재(610,620)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액츄에이터(510)는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한 개폐밸브(520)측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종류의 액츄에이터들이 있지만, 여기서는 차량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410"은 케이싱(2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유로를 통해 유출입되는 유체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710"과 "720"은 제 1,2덕트부재(610,620)가 각각 결합되는 건물의 외벽과 실내 천정을 각각 나타낸 것이며, "810"은 개폐밸브(520)의 축(525)의 양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고무패킹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환기유니트는 사용자가 스위치부(400)를 온 조작하면, 액츄에이터(510)가 온동작되어 개폐밸브(520)측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유로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송풍부(30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팬(320)을 구동시켜 실외의 공기를 실내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출구(220)측에 마련된 모터팬(320)의 회전에 의해 흡입되어 개방된 개폐밸브(520)를 통해 케이싱(200)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케이싱(200)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공기 유출구(220)를 통해 실내측으로 송풍된다.
즉, 본 고안의 환기유니트는 스위치부(400)의 온 조작에 따라 송풍부(300)의 구동모터(310)가 구동됨과 동시에, 개폐밸브(520)가 개방되어 실외의 공기가 제 1덕트부재(610)를 통해 케이싱(200)내의 유로로 흡입되고, 이어서 개폐밸브(520) 및 공기 유출구(220)를 통과하여 제 2덕트부재(620)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흐름과정을 갖는다.
한편, 외기의 유입이 완료된 후에는, 스위치부(400)를 오프 조작하여 개폐밸브(52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공기 유입구(210)측의 유로가 폐쇄되므로, 실외의 공기가 케이싱(200)내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먼지등의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실내/외측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환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유로가 폐쇄되고 필요할 때에만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 및 공조 조절이 용이하며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양측단에 공기 유입구(210)와 공기 유출구(220)가 마련되는 케이싱(200)과,
    상기 케이싱(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시키는 송풍부(300)와,
    상기 케이싱(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300)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400)와,
    상기 스위치부(400)의 온/오프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구(210)를 개폐시키는 댐퍼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30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310)와,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모터팬(32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케이싱(2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부(40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액츄에이터(510)와,
    상기 공기 유입구(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5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밸브(520)와,
    상기 공기 유입구(210)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밸브(520)의 양측 테두리와 접촉 지지되는 스톱퍼(53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개폐밸브(520)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부착되는 완충재(540)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니트.
KR20-2003-0012858U 2003-04-25 2003-04-25 환기유니트 KR200321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58U KR200321778Y1 (ko) 2003-04-25 2003-04-25 환기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2858U KR200321778Y1 (ko) 2003-04-25 2003-04-25 환기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778Y1 true KR200321778Y1 (ko) 2003-07-31

Family

ID=4941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858U KR200321778Y1 (ko) 2003-04-25 2003-04-25 환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7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10B1 (ko) 2006-12-08 2007-09-17 조은정 환기덕트용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10B1 (ko) 2006-12-08 2007-09-17 조은정 환기덕트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638B1 (ko) 덕트형 다기능 공기청정기 및 그 운용방법
JP4539353B2 (ja) 空気調和装置
KR101503857B1 (ko) 도어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0321778Y1 (ko) 환기유니트
KR100359997B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102057550B1 (ko) 필터 일체형 커버가 적용된 에어벤트
WO2018180981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0321779Y1 (ko) 환기유니트 제어장치
KR200424327Y1 (ko) 환기장치
KR200205601Y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JP436922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148714Y1 (ko) 공기조화기의 환풍장치
CN218295983U (zh) 新风模块及空调室内机
KR100723942B1 (ko) 에어컨의 측면토출커버 밀폐구조
KR0124699Y1 (ko) 블로워 어셈블리
KR200230972Y1 (ko) 건설중장비조종실의출입구에장착되는외기차단장치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KR200382353Y1 (ko) 환기장치
KR100789022B1 (ko) 2층 공기유동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유닛
KR100531088B1 (ko) 공기청정기
KR20050104116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
KR101262450B1 (ko) 공기역류 방지장치
JP2005233561A (ja) 給排気兼用換気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4453347B2 (ja) 換気装置
KR100845104B1 (ko) 차량용 공조 유니트의 인테이크 케이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