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869Y1 -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 Google Patents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869Y1
KR930003869Y1 KR2019900012037U KR900012037U KR930003869Y1 KR 930003869 Y1 KR930003869 Y1 KR 930003869Y1 KR 2019900012037 U KR2019900012037 U KR 2019900012037U KR 900012037 U KR900012037 U KR 900012037U KR 930003869 Y1 KR930003869 Y1 KR 930003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tact switch
bos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32U (ko
Inventor
김철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869Y1/ko
Publication of KR920005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제1도는 종래의 택트스위치 노브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택트스위치 노브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노브 2 : 탄성편
3 : 지지편 4 : 리브
5 : 고정구멍 6 : 하우징
7 : 노브구멍 8 : 보스
9 : 스위치 10 : PCB기판
11 : 볼트
본 고안은 비상노브가 설치된 제품에서 택트스위치가 쉽게 동작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떨어트리지 않게하고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개량된 택트스위치 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우징(23)에 노브구멍(24)을 이루고 비상노브(21)일측에 텐션부(22)를 이루어 하우징(23)에 형성된 노브(25) 하단에 텐션부(22) 일측을 볼트(26)로 고정하고 PCB기판(27)에 설치된 택트스위치(28)을 비상노브(21)하측 하단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PCB기판(27)에 설치된 택트스위치(28)와 비상노브(21)와의 간격이 0.3-0.5m/m로 미세하게 떨어져 있어 비상노브(21)를 살짝만 눌러도 택트스위치(28)가 작동되므로 제품을 다룰때 주의를 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택트스위치(28)와 비상노브(21)의 간격을 넓혀주면 비상노브(21)동작시 하우징(23)의 구멍(24)과 노브(21)의 벽면이 접촉되고 텐션부(22)의 길이가 작기 때문에 복원력이 약하게되어 텍트스위치(28)를 눌러주고 되돌아오는 복원력을 상실하게 되어 동작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노브의 텐션작용이 원활하게하고, 비상노브가 설치된 제품에서 텍트스위치가 쉽게 동작되어 재품의 신뢰도를 떨어뜨리지 않도록하며,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우징(6) 중앙에 노브구멍(7)과 양측하단에 보스(8)를 형성하고 내측중앙에 스위치(9) 작동용 리브(4)를 가지는 노브(1)의 하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탄성편(2)은 노브(1)의 외주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편(3)에 연결되며, 지지편(3)의 각모서리부에는 고정구멍(5)이 형성되어 하우징(6)의 보스(8)에 볼트(11)로 고정하고, PCB기판(10)에 설치된 택트스위치(9)가 노브(1)에 형성된 리브(4)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기기몸체 하우징(6)의 보스(8)에 노브(1)를 조립하고자 할때 노브(1)에 형성된 지지판(3)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고정구멍(5)을 보스(8)에 일치시켜 보트(11)로 고정시키면 노브(1) 상측이 하우징(6)의 노브구멍(7) 외부로 나오게 고정되며, 노브(1)에 대향되게 길게 형성된 탄성편(2)에 의해 복원력이 좋게 형성되었으며 PCB기판(10)에 설치된 택트스위치(9)가 노브(1) 내측 중앙의 리브(4)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노브(1)를 압압하면 노브(1)의 하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탄성편(2)이 길게 형성된 노브(1)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노브(1)내측 중앙에 형성된 작동용 리브(4)가 택트스위치(9)를 누르게되어 스위치(9)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노브(1)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노브(1)에 대향되게 길게 형성된 탄성편(2)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여 노브(1)가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는데 이때 리브(4)는 택트스위치(9)에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노브(1)에 형성된 리브(4)와 택트스위치(9)의 간격은 2-3m/m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고안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에 의해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노브와 택트스위치이 간격을 멀리하여 부주위로 인한 스위치의 오동작을 해소할 수 있어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기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노브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 중앙에 노브구멍(7)과 양측하단에 보스(8)를 형성하고 내측중앙에 스위치(9) 작동용 리브(4)를 가지는 노브(1)의 하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탄성편(2)은 노브(1)의 외주를 감싸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편(3)에 연결되며, 지지편(3)의 각모서리부에는 고정하기 위한 구멍(5)이 형성되어 하우징(6)의 보스(8)에 볼트(11)로 고정하고, PCB기판(10)에 설치된 택트스위치 (9)가 노브(1)에 형성된 리브(4)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KR2019900012037U 1990-08-09 1990-08-09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KR930003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037U KR930003869Y1 (ko) 1990-08-09 1990-08-09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037U KR930003869Y1 (ko) 1990-08-09 1990-08-09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32U KR920005032U (ko) 1992-03-26
KR930003869Y1 true KR930003869Y1 (ko) 1993-06-23

Family

ID=1930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037U KR930003869Y1 (ko) 1990-08-09 1990-08-09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32U (ko)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7699A (ko) 집적회로장치용 상부 장착소켓
KR930003869Y1 (ko) 택트스위치 노브장치
JPH01168920U (ko)
KR910014792A (ko) 키 입력장치
JPS6025783Y2 (ja) スイッチ操作装置
JPS5929315Y2 (ja) スイッチ装置
JPH0129958Y2 (ko)
JPH0358829U (ko)
JPH0449796Y2 (ko)
JPS60135049U (ja) 電気機器の小型モ−タ保持構造
JPH0214101Y2 (ko)
KR950002109Y1 (ko) 비상 버튼 장치
JPH02119323U (ko)
JPH0448596Y2 (ko)
JPS62111134U (ko)
KR930024367A (ko) 비상 버튼 장치
JPS58220316A (ja) 一体形ゴムキ−トツプの固定構造
JPS5852727U (ja) 押釦スイッチ装置
JPS6312884U (ko)
JPS5972628U (ja) キ−ボ−ドスイツチ
JPH0270322U (ko)
JPS6258831U (ko)
JPS5936553U (ja) 電磁接触器
JPS58141529U (ja) 押釦装置
JPS58135837U (ja) キ−ボ−ド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