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458Y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458Y1
KR930003458Y1 KR2019910009876U KR910009876U KR930003458Y1 KR 930003458 Y1 KR930003458 Y1 KR 930003458Y1 KR 2019910009876 U KR2019910009876 U KR 2019910009876U KR 910009876 U KR910009876 U KR 910009876U KR 930003458 Y1 KR930003458 Y1 KR 930003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ircumferential wall
fan
ai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997U (ko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한라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9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458Y1/ko
Publication of KR930000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풍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송풍기의 요부 확대도.
제3도는 본 고안 송풍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외각체 101 : 제1주벽
102 : 제2주벽 101A : 연장부
200 : 송풍부재 210 : 팬
220 : 테두리 221 : 연장테
본 고안은 한정된 공간에서 열교환기들을 공기조화시키기 위해 공기를 강제대류식으로 순환시키는 프레스형(pushertype)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력 손실 및 가동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송풍기는 공기조화장치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데. 그러한 송풍기는 여러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와의 상관배치형식에 따라서 열교환기축으로 공조공기를 불어주는 압입형(PUSHERTYPE)과 공기를 빨아내는 흡출형(PULLER TYPE)들을 들을 수 있다.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송풍익을 갖는 프로펠라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송풍기는 냉방용 공기조화기의 응축기나 차량냉각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송풍기에서, 특히 압입형 송풍기는 진행방향 전, 후방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이에 의한 풍량손실과 소음이 발생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송풍기의 전방에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송풍기의 팬이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여 밀어내면서 열교기내를 강제적으로 통과시켜 소기의 열교환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때 송풍은 좁은 통과공을 가지는 열교환기를 통과하게되어 송풍량에 비해 통과량이 적어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일시적으로 부하가 발생함과 아울러, 이로인해 열교환기와 송풍기의 사이, 즉 송풍기의 전면에는 송풍기의 후방보다 다소 높은 압력대가 형성되고 반면에 송풍기의 후방에는 저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송풍기 전방고압대의 송풍중 그의 일부가 송풍기의 후방 저압대측으로 역류되어 풍력에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풍기는 현재까지 여러형태로 개발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의 예를 들어보면 대체적으로 크게 나누어 구동모우터와, 송풍부재, 그리고 이들의 주위를 감싸으며 설치상태를 유지시키는 외각틀로 구성되어 있다.
송풍부재에는 또한 다수의 팬을 가지고 있고, 이 팬의 외주위에 전체적으로 돌아가며 테두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테두리는 종전 개체로 분리된 팬의 끝단에서 공기재순환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현상으로 인한 소음증가와 풍량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런데, 이러한 테두리는 외각틀과의 상호 간섭을 주지않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그의 간격부에는 거의 무부하대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송풍기 전방 고압대의 송풍일부가 상기테두리와 외각틀의 사이를 통하여 송풍기 후방의 저압대측으로 역류되어 송풍기의 풍력을 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일부를 손실시키게 되는, 즉 풍량손실에 따른 냉각성능저하와 와류 발생에 따른 소음증가등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송풍의 역류방지는 물론 소음을 증가시키지 않는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성을 높이어 공조성을 향상시킨 송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조하는, 즉 열교환기를 강제공냉식으로 열교환시키는 송풍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송풍기는 테두리로 감싸진 다수의 팬이 구비된 송풍부재를 갖고 있고, 이의 송풍부재의 주위를 감싸으는 외각틀로 구성되어 있다.
외각체에는 또한 송풍의 흡입방향측에 그 단부를 내향으로 연장하여 송풍부재의 테두리와 근접하게 이어지는 원호상의 노즐형 유입부를 일체로 구비함과 아울러, 출구방향측으로는 출구방향측으로 가며 점차 넓어지는 계단형으로 구성하여 제1 및 제2주벽을 구성하고 있다.
외각체의 제2주벽에는 그 주벽과 일체로 연장설치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는 팬의 회동에 간섭을 주지 않는 적정간격을 유지하여 송풍익과 근접설치된다.
또한 팬의 테두리 외주연에는 그 단부를 내향측으로 절곡, 즉 송풍흡입 진행방향과 병행되게 연장테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연장테는 상기 연장부와 외각체의 외주벽 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송풍익의 테두리와 외각틀의 사이에 지연유로가 형성되어 송풍의 역류를 최소로 줄이게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본고안에 따른 송풍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송풍기는 주위를 감싸으고 설치상태를 유지하는 외각체(100)와, 이 외각체(100)내에 자유로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부재(200)로 구성되어 있다.
외각체(100)는 흡입방향의 내주연에 노즐형유입부(110)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 송풍부재(200)가 브레킷트에 의해 설치된다.
이러한 외각체는 합성수지제로 하여 적합한 공정을 통해 제조될 것이다.
송풍부재(20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팬(210)과, 그의 팬의 외주연에 일체로 설치되는 테두리(220)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이때 테두리는 그의 단면을 ㄱ자 형상을 가지고 이루어지며, 외각체의 노즐형 유입부와는 상호 간섭을 감안하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이렇게 구성된 외각체(100)와, 송풍부재(200)의 사이에 풍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제2도에는 풍력손실 방지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외각체(100)의 일측주벽을 송풍의 흡입방향에서 흡출방향측으로 가며 점차 넓어지는 계단형상으로 하여 제1주벽(101)과 제2주벽(102)을 구성하고, 이 제1 및 제2주벽중 제1주벽(101)에 그 주벽을 일직선상태로 연이은 연장부(101A)를 구비한다.
이때, 그의 연장부(101A)는 팬(210)의 테두리(220)내에 위치하며 팬과는 간섭을 주지않는 적정간격을 두고 근접되게 설치된다.
한편, 팬(210)의 테두리(220)에는 그 외주연 단부를 내향측으로, 즉 송풍흡입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절곡된 연장테(221)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연장테는 상기 연장부(101A)의 외각체(100)의 제2주벽(102)사이에 위치되게 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연장테(221)가 상기 연장부(101A)와 제2주벽(102)의 사이중간에 위치에, 이들의 사이로 역류되는 송풍이 지그자그식으로 흐르도록 하여 그의 역류를 지연억제하는 부하공간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송풍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겠다.
송풍기는 제3도에서와 같이 열교환기(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소기의 열교환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송풍기는 압입형으로써 밀어내는 풍력에 의해 열교환을 이루며, 이때 송풍기의 전방에는 주변장치들에 의해 고압대가 형성되고, 이에 반하여 송풍기의 후방에는 저압대가 이루어져 열교환기에 부딪친 송풍중 그의 일부의 송풍은 제2도에서 은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 측으로 역류되어 송풍익(200)과, 외각체(100) 사이의 공간부로 유출되는데, 이때 송풍익의 테두리(220)에 설치되어 있는 연장테(221)와 외각체(100)의 제1주벽(101)에 구비된 연장부(101A)들에 의해 역류송풍의 흐름을 지그재그식으로 유도하여 유속을 줄이어 지연효과를 얻게되고, 이와동시에 그의 지역의 흐름에 부하작용, 즉 흐름에 저항을 주게된다.
따라서 송풍의 역류를 최소로 줄이게되고 풍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노즐형 유입부가 구비된 외각체를 가지며, 팬과 그 팬의 주연을 일체로 구성시키는 테두리를 갖추어서된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외각체 주벽에 계단형으로 구성되는 제1주벽과 제2주벽과, 상기 제1주벽에 일체로 구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테두리의 외주연에 송풍의 흡입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연장부와 제2주벽의 중간위치에 설치되는 연장테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KR2019910009876U 1991-06-29 1991-06-29 송풍기 KR930003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76U KR930003458Y1 (ko) 1991-06-29 1991-06-29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76U KR930003458Y1 (ko) 1991-06-29 1991-06-29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97U KR930000997U (ko) 1993-01-21
KR930003458Y1 true KR930003458Y1 (ko) 1993-06-14

Family

ID=1931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876U KR930003458Y1 (ko) 1991-06-29 1991-06-29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4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997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809B1 (ko)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US4971143A (en) Fan stator assembly for heat exchanger
JP2003254297A (ja) ファン及びシュラウド組立体
JPH07166865A (ja) 冷却装置
EP0881395B1 (en) Fan and heat exchanger assembly
US20050063822A1 (en) Airflow guiding structure for a heat dissipation fan
JP3106179B2 (ja) 冷却空気導入排出装置
KR930003458Y1 (ko) 송풍기
KR100302975B1 (ko) 축류식팬용토출베인
KR101284889B1 (ko) 팬 및 쉬라우드의 조립체
KR930003539Y1 (ko) 송풍기
JP2001165094A (ja) 気流の案内部材若しくは同案内部材を備えた冷却ファン又は熱交換装置
KR100648089B1 (ko) 축류송풍기
KR100317995B1 (ko) 축류송풍기
KR100748141B1 (ko)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KR200339116Y1 (ko) 팬의 슈라우드 구조
KR100532052B1 (ko) 블로워의 공기 흡입 구조
US11795966B2 (en) Blowing device and combustion device including same
JPH0533797A (ja) 押し込み式軸流フアン
JPH08189334A (ja) 自動車の排気冷却装置
KR100207565B1 (ko) 팬과 슈라우드 조립체
US2132045A (en) Automobile body heater
KR100789813B1 (ko) 크로스플로우 팬
KR20050093275A (ko) 차량용 축류팬
KR0122718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