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014Y1 - 음색조절회로 - Google Patents

음색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014Y1
KR930003014Y1 KR2019900017449U KR900017449U KR930003014Y1 KR 930003014 Y1 KR930003014 Y1 KR 930003014Y1 KR 2019900017449 U KR2019900017449 U KR 2019900017449U KR 900017449 U KR900017449 U KR 900017449U KR 930003014 Y1 KR930003014 Y1 KR 930003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armonic
unit
memory
de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7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98U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7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3014Y1/ko
Publication of KR920010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0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05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of digital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색조절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음색조절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생음 발생회로 2 : 전치증폭기
3 : 필터 4,19 : 지연휠
5 : 보상회로 6 : 음성신호구분회로
7,13 : 램 8 : 샘플링회로
9 : 주파수분리기 10 : 기본파변조기
11 : 발진기 12 : 마이컴
15 : 디지틀신호처리기 16 : 고조파합성 회로
본 고안은 음향기기의 음색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튜너, 테이프 또는 컴팩트디스크에서 제생되는 음악과 음성신호중 음성신호만을 추출하고, 이 음성신호의 음색을 변조, 가변시켜 다른 음색으로 만들어 동일 멜로디의 여러가지 음색을 청취할수 있도록한 음색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음향기기는 집음되는 음을 변형 및 왜곡없이 그대로 재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음색을 다양하게 청취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모든 오디오신호는 고조파와 기본파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 신호를 퓨리에 급수로 분석하여 보면, 일정레벨의 기본파와 일정량 만큼(진폭) 감쇄하는 고조파의 삽성으로 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남성이나, 여성 혹은 악기의 멜로디는 동일하지만 서로 상이하게 들리는 것은 음색때문인바, 고조파 성분을 바꾸면 같은 멜로디의 다른 음색을 들을 수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서 착안하여 음향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동일레벨의 여러가지 음색을 만들어 내기위한 음색조절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컴팩트디스크, 테이프 또는 튜너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서 음악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의 분리된 음악신호를 지연시켜 보상하기 위한 지연회로와, 지연된 음악신호를 보상하여 출력하기 위한 보상회로와, 필터부에서 분리된 다수의 음성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램과, 이 제1램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일정구간으로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회로와, 샘플링된 신호에서 기본파를 분리하기 위한 주파수 분리회로와, 상기의 기본파를 발진시키고, 순차적으로 주파수체배 및 분주시켜 다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본파 변조회로와, 상기의 고조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기 위한 제2램과, 상기의 기본파와 고조파가 동일레벨의 멜로디인가를 판단하여 기본파와 동일한 고조파신호를 제2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제2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고조파 신호를 합성하여 지연시키기 위한 고조파 합성 및 지연부와, 상기의 지연 및 보상부에서 출력된 음악신호와 상기의 고조파 합성 및 지연부를 통과한 고조파신호를 혼합하여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혼합부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색조절회로도인바, 튜너, 테이프 또는 컴팩트 디스크플레이어에 있는 음향신호발생부(1)에서 출력되는 재생음 신호는 전치증폭기(2)에서 증폭된뒤 필터(3)에 제공된다. 이때 필터는 재생되는 음향신호중에서 순수한 음악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여 음악신호는 지연회로(4)를 통해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시킨뒤 보상회로(5)에 의해 보상토록 한다.
한편, 필터회로(3)에서 필터링된 순수한 음성신호는 음성구분회로(6)에 의해 구분되는바, 이 음성구분회로는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여러개일경우 이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구분된 음성신호는 램(7)에 순차적으로 기억되었다가 샘플링회로(8)에 전송된다.
이때 샘플링회로(8)는 일정구간으로 주파수성분을 알아낼수 있도록 신호를 샘플링한다. 이렇게 샘플링된 신호는 주파수분리회로(9)에 전송되어 기본파만 취하여져서 기본파변조기(10)에 제공된다. 기본파변조기(10)는 발진기(11)로부터 보내어져오는 일정주파수를 마이컴(12)의 제어하에서 데이터를 받아 순차적으로 체배 또는 분주하여 램(13)에 저장한다.
이경우 다른 음색의 고조파는 마이컴(12)에서 결정되는바, 음성신호의 한계치(진폭)내에서 결정된다. 또한 음색선택신호발생기(14)에서 발생된 음색선택신호에 따라 마이컴(12)내부에서 스위칭하여 음성신호의 기본파로서 다른 음색의 기본파를 찾아내어 순차적으로 제1, 제2‥‥‥‥제n차 고조파를 발생시켜 램(13)으로 전송시킨다. 여기에서, 다른 음색의 기본파를 찾아 낼때에는 고조파의 합성이 원래의 음성신호 레벨의 멜로디(레벨)가 변형되어 들리지 않는 레벨의 기본파를 찾아낸다. 주 음이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부분에서 비슷한 레벨로 높아지는 절대 범위내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찾는데 이것은 마이컴(12)외에 디지틀신호처리기(15)로서도 데이터처리를 할수 있다. 다시말하면 다른 음색의 기본파를 찾는것은 디지틀 신호처리기에서 신호를 조합하여 찾을수도 있다.
이렇게 선택된 고조파신호는 고조파 합성기(16)에서 합성된뒤 지연회로(17)에 의해 지연되어 흔합기(18)에 가해진다. 이때 혼합기(18)는 보상회로(5)를 통과한 음악신호와 지연회로(17)를 통과한 음악신호와 지연회로(17)를 통과한 고조파신호를 혼합하여 출력증폭기(19)에 제공하여 스피커(20)를 통해 외부로 출력시킨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주파수 분리회로에서 나온 음성신호의 기본파를 가지고 마이컴과 디지틀 신호처리기에서 주파수와 레벨을 알아내서 어떤 다른 기본파와 고조파가 동일 레벨인가를 찾아내고, 이에 대응하는 고조파를 발생시켜 최종적으로 음악신호와 합성시킴으로써 동일 멜로디의 다른 음색을 만들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재생되는 음향신호에서 음악신호와 음성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의 분리된 음악신호를 지연시켜 보상하기 위한 지연 및 보상부와; 상기의 분리된 다수의 음성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순차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메모리와; 상기의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일정구간으로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부와: 상기의 샘플링된 신호에서 기본파를 분리하기 위한 주파수 분리부와; 상기의 기본파를 발진시키고 순차적으로 주파수 체배및 분주시켜 다수의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본파 변조부와; 상기의 고조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기 위한 제2메모리와; 상기의 기본파와 고조파가 동일레벨의 멜로디인가를 판단하여 기본파와 동일한 고조파신호를 상기의 제2메모리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의 제2메모리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고조파신호를 합성하여 지연시키기 위한 고조파 합성및 지연부와; 상기의 지연 및 보상부에서 출력된 음악신호와 상기의 고조파 합성 및 지연부를 통과한 고조파신호를 혼합하여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혼합부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색조절회로.
KR2019900017449U 1990-11-14 1990-11-14 음색조절회로 KR930003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449U KR930003014Y1 (ko) 1990-11-14 1990-11-14 음색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7449U KR930003014Y1 (ko) 1990-11-14 1990-11-14 음색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98U KR920010598U (ko) 1992-06-17
KR930003014Y1 true KR930003014Y1 (ko) 1993-05-27

Family

ID=1930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7449U KR930003014Y1 (ko) 1990-11-14 1990-11-14 음색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30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07Y1 (ko) * 2007-05-29 2012-01-16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신호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07Y1 (ko) * 2007-05-29 2012-01-16 주식회사 지에스인스트루먼트 신호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98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9287B1 (en) Low frequency audio conversion circuit
US8759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synthesizer utilizing frequency aperture arrays
US6998528B1 (en) Multi-channel nonlinear processing of a single musical instrument signal
KR100256718B1 (ko) 음피치 변환 장치
Brice Music engineering
JP3386618B2 (ja) 音響再生装置
US4144790A (en) Choral generator
KR930003014Y1 (ko) 음색조절회로
USH1503H (en) Cordless electric guitar
JPH0823751B2 (ja) 電子楽器の楽音音源装置
US6351540B1 (en) Digital echo circuit
JPH01186008A (ja) 低音強調回路
JP3371424B2 (ja) 共鳴音付加装置
JP2543458B2 (ja) 音響再生装置
KR100228392B1 (ko) 주파수 가변잔향음 부가장치
JPH04328796A (ja) 電子楽器
KR940004333B1 (ko) 음성다중신호의 고주파 변조회로
US30750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ound
KR900019347A (ko) 디지탈 회로를 사용한 음향기기의 저음, 중음, 고음분리 회로
JP2575426Y2 (ja) 音声信号処理回路
JPH0268773A (ja) 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JP3578891B2 (ja) 電子楽器
SU1163350A1 (ru) Электр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с гармоническим синтезом звука
JPH07140973A (ja) 楽音発生方法
KR20030070757A (ko) 외부 입력신호를 이용한 가라오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