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863B1 -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863B1
KR930002863B1 KR1019850005490A KR850005490A KR930002863B1 KR 930002863 B1 KR930002863 B1 KR 930002863B1 KR 1019850005490 A KR1019850005490 A KR 1019850005490A KR 850005490 A KR850005490 A KR 850005490A KR 930002863 B1 KR930002863 B1 KR 93000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carrier
sole carrier
soles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92A (ko
Inventor
바이라우후 게오르그
Original Assignee
코로네트베르케 하인리히 슐러프 게엠베하
바이라우후 게오르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로네트베르케 하인리히 슐러프 게엠베하, 바이라우후 게오르그 filed Critical 코로네트베르케 하인리히 슐러프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85000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863B1/ko
Publication of KR87000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솔들을 솔캐리어 연결하는 방법
제 1a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된 솔캐리어의 부분적 평면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서 제 1 도의 솔캐리어를 포함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결합공정을 거친 후 제1a도의 장치로 만들어진 브러시의 부분절개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솔캐리어의 평면도.
제3a도는 제1a도에 해당하는 작업단계에서의 장치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제 3 도의 솔캐리어를 포함하는 장치의 개략도.
제 4 도는 결합단계에서의 제 3 도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 5 도는 제 3 도의 장치로부터 제조된 브러시의 부분절개 측면도.
제 6 도는 시작단계에서 제 3 도의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제 7 도와 제 8 도는 두개의 중간단계에서의 제 6 도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 9 도는 확대하여 나타낸 솔다발과 솔캐리어 사이의 마무리된 연결부의 상세도.
제10도는 솔캐리어내의 홈을 만들기 위한 성형도구의 단면도.
제11도는 성형도구의 작업위치에서 도시된 결합 성형도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솔캐리어(CARRIER) 2 : 손잡이
3 : 솔다발 4 : 솔
5 : 캐리어 6 : 수용체
7 : 솔수용부 8 : 가열엘레먼트
9 : 두터워진단부 11 : 수용홈
12 : 가열핀 13 : 환형칼러
14 : 돌출부 15 : 반구형 성형표면
16 : 원추형 형성표면 17, 18 : 엘레먼트
19 : 컵모양홈 20 : 원추형의 두터워진-단부
21, 22 : 비이드(bead) 23 : 원추형 성형표면
24, 27 : 성형도구 25 : 중심핀
26 : 홈 28 : 환형홈
29 : 환형비이드
본 발명은 솔의 한 단부와 솔캐리어의 솔수용부가 녹아서 함께 합쳐서 녹은 부분이 굳어질 때 정위치에 고정되는 방법으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솔캐리어에 솔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솔이란 말은 개별적인 솔들과 또한 다수개의 솔들로 구성되는 것, 예를들어 솔다발과 페인트 브러시용 솔헤드와 솔스트립등과 같은 것이다.
페인트 브러시와 기타 브러시에 관련된 업계에서는, 솔들을 캐리어 안으로 잡아당겨주고, 접착시키고, 누르거나 압착시키는 방식으로 솔을 솔캐리어에 연결해 주는 통상의 기술을 더 경제적인 방법으로 대체시키는 문제에 대해 10여년 이상에 결쳐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솔다발들의 단부를 녹여 헤드 혹은 판형태의 확장부분을 형성하고 확장부분을 갖는 다발로된 솔들을 솔캐리어용의 몰드내로 삽입하고 이어서 액체상태로 녹은 프라스틱을 몰드내로 넣어 경화후에 각 솔다발들이 솔캐리어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공지(DE-PS 845, 993, DE-AS 1, 050, 304)되어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완성된 제품의 마감처리의 어려움과 또한 적합하지 못한 써비스 특성 때문에 실제로 실행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솔들을 용착에 의해(U.S.PS 3, 471, 200에 해당하는 DE-OS 2, 334, 468과 DE-OS 2, 849, 510과 DE-OS 2, 937, 241참조)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솔캐리어에 직접 연결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 경우에 프라스틱 기술상의 다른 공지의 문제들이 생겨 충분한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칫솔의 솔에 널리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와 그리고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스티롤과 같은 동일하지 않은 가공 재료들의 연결은 과거에는 만족할만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가요성, 복원력, 마모저항성, 영구적인 탄성등에 관하여 요구되는 특별한 요구조건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가의 플라스틱이 솔의 재료로 사용되고 그러므로해서 솔캐리어에 마찬가지로 고가의 플라스틱이 사용되어야 하고, 상기의 솔캐리어에는 실제로 더 많은 양의 플라스틱 재료가 필요하게 필요하게 되므로 유사한 가공재료의 사용은 다른 한면으로는 제품의 가격상승을 초래한다.
솔과 솔캐리어의 용착은 종래에는, 솔다발을 그 단부에서 용융시켜, 필요하다면 부분적으로 녹인 동일한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진 솔캐리어에 약하게 용착시키거나 녹아붙게 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녹은 단부들이 그 솔캐리어의 수용위치에서 녹은 부분이 접시모양으로 퍼지도록 가벼운 압력을 주면서 솔캐리어와 합쳐진다. 동일하지 않은 결합재료, 즉 솔캐리어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과 솔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르 함께 평면에서 녹여 서로 연결해주는 것이 종래에도 제의되어 왔다(DE-OS 2, 937, 241). 또한 이것과 관련된 것으로 가열에 의해 3차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약 1밀리미터의 아주 얇은 솔캐리어를 사용하는 맞대기용접(buttwelding)이 있다. 또한 미리 구멍들을 갖는 솔캐리어를 제공하고 그 구멍들의 밑바닥에서 맞대기 용접이 이루어지게 하거나(DE-OS 2,335,468), 또는 솔의 녹은 부분이 솔캐리어안의 구멍을 완전히 채우도록 (DE-OS 2,937,241) 솔다발의 녹은 단부를 이들안에 삽입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어 구멍들에 언더커트부분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솔캐리어의 평평한 수용부에서 녹은 부분이 접시모양으로 넓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면 그 솔다발의 보존을 개선할 수 있다. 구멍들이 채워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이들 방법은 실제로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브러시 기술의 실시에 있어서는 전적으로 비슷한 열가소성 재료가 솔과 솔캐리어에 사용될 것이 요구된다[Newspaper of the Brush and Paing Brush Indeustry, 1983년 제307페이지]. 또한 일반적인 프라스틱 기술상의 조사에서 보면(Ing. H. Potente "Joining of Different Plastomers", 1979년 6월 26일 IKV-TH Aahen)대다수의 플라스토머들은 용착할 수 없거나 불완전하게 용착된다는 것이 나타나 있다["Plastic Worker", 1980년 4호, 제203-207페이지].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과는 달리 솔과 솔캐리어를 위한 가공재료의 각각의 바람직한 쌍에 대해 결점이 없고 영속하는 연결부를 얻도록 개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솔단부가 가열되어 방향성이 있는 연장된 분자들을 방향성이 없는 구상분자 형태로 개조하여 솔단부에서 두터운 부분을 형성하고, 그 두터워진 단부들을 갖는 솔들을, 솔 캐리어의 녹은 부분이 솔의 두터워진 단부를 따라 함께 움직일때까지 녹은 솔캐리어 안으로 압착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은, 압출된 솔의 경우에, 그리고 무엇보다도 부가적으로 연장된 솔의 경우에, 연장공정 때문에 그 분자들이 연장된 사슬로 배열되고 그 솔의 내부에서 솔의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는 생각으로부터 고안된 것이다. 유사한 효과가 사출성형, 압출등에 의해 형성된 솔캐리어, 특히 다이(die)나 다른 작업도구에 가까운 부분에 있는 상부표면 부분에서도 나타난다. 여기에서 그 효과는 경계표면 지역내의 전단 응력에 의해서 주로 나타난다. 만일 그 열가소성 재료가 이러한 고정된 방향성을 가지고 녹은 상태로 변환된다면 분자들은 응력이 없는 구상형태를 다시 취하게 된다. 솔단부에 관하여서는 이것은 구형체가 각각의 개별적인 솔의 단부에서 형성되고, 이 개별적인 구형체가 솔다발의 내부로 함께 흘러 렌즈모양의 헤드를 형성하거나 솔길이를 동시 단축하면서 넓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상태에서 솔들은 그 두터워진 단부가 캐리어의 상부표면아래에 놓일때까지 솔캐리어의 녹은 수용부안으로 압착된다. 이렇게 하여 솔캐리어의 녹은 부분은 변위되어 분화구와 같은 형태가 형성되나 잠시후에 또다시 함께 흘러서 솔다발의 두터운 부분 뒤의 공간내의 녹은 부분이 솔다발의 주변을 향해서 안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녹은 부분의 유동성은 일반적으로 그 부분내의 분자의 회복작용에 의존한다.
경화된 상태에서 두 결합재료의 간섭 직접접촉을 포함하는 형상의존성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솔캐리어내의 솔다발은 그 두터워지거나 넓혀진 솔단부때문에 그들 단부들 뒤에서 충전되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같지 않은 가공재료들 사이의 결합이 서로 튼튼하게 영구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의 연결이 용착이나 다른 유사한 결합형태의 연결을 통하여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용이하게 용착 가능하여 솔다발의 삽입 부분의 전체 또는 일부의 용착 연결이 이루어지는 결합 부분들(솔과 솔캐리어)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용착연결은 맞대기 용접에 비해 용접에 비해 결합부분들의 상당히 큰 면적에 의해 개량되고, 또한 솔다발과 솔캐리어의 형상간섭에 의해 이루어지는 보충적 형상연결에 의해서도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은 특별히 중요한데 왜냐하면 많은 열가소성재료, 예컨대 솔에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의 경우와 같이, 가열엘레멘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대부분 만들어지는 그러한 용착연결의 질이 용착공정 도중에 외부적 영향에 기인되어 사용불가하게 되는 점까지 저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녹은 부분의 표면상에서 산화가 용이하게 발생되어 용착연결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대단히 어렵게 한다. 이는 또한 오물오염의 경우나 습도가 너무 높을때에도 그렇다. 녹은 온도는 녹은 부분의 점도가 작은 온도차이로도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아주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냉각후에 수축이 생기면 용착연결부에 응력이 생겨서 내구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끝으로, 가열과 냉각은 느리게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 기계 순환시간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그리고 부가적인 형상의존성 연결에 의해 이와 같은 영향의 부정적 효과가 제거될 수 있다. 원하는 가공재료쌍으로 솔과 솔캐리어들이 별문제없이 함께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구조물(주조, 사출, 발포성형 등에 의해 설형된)로된 가공재료들도 함께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의 실시에서 관찰될 수 있었다. 종래 기술의 브러시와 비교하여 볼때 본 발명에 따라 고정된 솔의 유지강도가 여러배로 증대되었음을 또한 알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브러시에서 가끔 볼 수 있는 외향으로 개방된 구멍들과, 예를들어 칫솔의 경우에서 위생문제를 나타내는 구멍들도 제거되었다. 이와 같은 천공작업에 의해 필수적으로 약화되는 통상의 천공된 솔캐리어에 비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솔캐리어의 두께가 솔다발의 삽입깊이보다 약간 큰 최소치로 얇아질 수 있도록 솔캐리어에 대해 더 큰 강도를 주게된다. 어떤 적용예의 경우에, 예를들어 칫솔의 경우에 중요한 것은, 사용시 요구되는 성질을 얻기 위해 필요한 솔길이이지 솔캐리어의 두께가 아니므로 이러한 점은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칫솔은 비슷한 솔 길이를 갖고 얇게 만들어지거나 동일한 전체 높이를 갖는 보다 긴 솔을 가질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 예를들어 벨트나 밴드 같은 것의 경우에 있어서는, 솔캐리어의 가요성은 캐리어내의 솔의 유지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벽두께를 감소시켜서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솔의 두터운 단부가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경도를 갖도록 냉각되고 이어서 솔캐리어의 녹은 수용부내로 압착된다. 이 방법은 솔캐리어의 재료나 솔캐리어가 그 구성 때문에 비교적 적게 가열되어 그 수용부상의 녹은 부분이 매우 점성이 큰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모든 가공재료 쌍들의 경우에, 솔의 두터운 단부는, 아직도 약한 상태에 있는 동안 그 솔의 두터운 단부위로 솔캐리어의 녹은 부분이 더 이상 역류하지 않을 점에 까지 그 두터운 단부가 바람직하지 않게 변형됨이 없이 솔캐리어의 녹은 수용부내로 압착될 수 있다.
솔들을 가열하는 동안 또는 바로 그 후에 그들의 두터워진 단부에서 솔이 형성되는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는, 만일 연장된 분자들로부터 구형의 분자들로의 회복 효과가 그리 뚜럿하지 않거나 또는 그 솔단부들이 약하게 가열된다면 커다란 솔다발과 솔패키트(PACKET)같은 것의 경우에 주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루어진 연결은 맞대기 용접 연결부에 비해 또다른 뚜렷한 잇점을 갖는다. 즉 용접을 하게 되는 솔의 선형부분과 접시모양의 확대부와의 사이의 전기구역이 솔의 가장 약한 부분이며, 솔은 이 부분에서 특별히 용이하게 구부려지거나 젖혀진다. 또한 피로강도가 이부분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솔의 약화 부분은 솔캐리어내에 고정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약화부분위의 바깥쪽 솔다발은 그 자체의 약화점이 대체로 어떤 부하도 받지 않도록 솔캐리어의 재료에 의해 함께 규칙적으로 죄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발로된 솔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열하기 전이나 그 도중에 솔캐리어 내에 홈들이 형성된다. 이들 홈들의 깊이는, 녹는 공정에 의하여 단지 그 홈들의 가소화가 일어나고 그 솔다발들의 두터워진 단부뒤에서 재료가 흐르도록 솔다발의 요구되는 만큼의 삽입깊이에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얕은 깊이의 홈들을 형성하고 솔다발을 그들의 최종깊이로 압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실시예들은, 홈들의 형성도중에 비이드가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이드(bead)돌출물이 솔캐리어의 수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홈둘레에 형성된다. 그리고 나서 솔다발이 이러한 녹은 공정후에 직접 삽입되거나 이러한 방식으로 솔캐리어가 만들어지고, 경화후에 그 비이드나 돌출물이 다시 두터워진 솔단부뒤의 공간내로 움직이도록 솔다발의 삽입전에 가열된다. 여기서 또다시 분자부분애의 상기한 바와 같은 재편성이 생기게 되고, 그것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효과가 충분할 정도로 자동적으로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수용표면상의 솔캐리어와 그 내재된 솔을 직접 둘러싸고 있는 솔캐리어는 그 녹은 부분을 두터운 단부뒤의 공간안으로 대치하도록 후속적으로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이러한 후속 형성 작업은 솔캐리어의 수용부상에서 부분구형체가 각각의 솔다발 둘레에 생성되어 솔캐리어에서 솔을 지지하는 길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이러한 후속 형성은 수용부상에서 평편하고 매끄러운 표면만을 생기게 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끝으로, 홈의 형성도중에 그 밑바닥들은 곡선을 이루고 또 다발로된 솔들의 단부가 이러한 만곡형에 해당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홈의 형성은 비이드가 각각의 홈 둘레에 생기도록 수행되어지는 것이 좋다. 그 두터워진 상응하게 형성된 다발단부는 그 비이드로부터 재료가 두터운 부분뒤에서 흐르도록 높은 홈내로 압착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용부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는 후방부상의 솔캐리어는 그 수용부와 같은 방식으로 녹는다. 이러한 과정으로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할때 나타나는 또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신장된 분자들은 그들의 구형체 형태로 역형성되기 때문에 각개의 경우에 있어서 솔캐리어는 곡선을 이루거나 구부러지게 된다. 이러한 구부러짐은 후방부의 가열에 의해 보상된다. 후방부의 용융 또는 가열로써 경우에 따라 또다른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솔들도 마찬가지로 후방부내로 삽입될 수 있는데, 예컨대 다른 배열(핸드브러시)로 다른 형태의 솔을 갖도록 필요에 따라 이중 측부브러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 대신에 예를들어 장식의 형태로된 스탬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솔단부 및/또는 솔캐리어의 용융은 접촉가열, 예컨대 가열 엘레먼트 방법이나 가열 반사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혹은 비접촉 가열, 예컨대 열방사 가열, 공기 같은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접촉 가열의 경우에 있어서도 렌즈형태의 헤드나 두터운 부분들이 형성되어진다.
제 1 도는 칫솔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도에서 손잡이(2)와 그것에 연결된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솔 캐리어가 평면도로 나타나 있으며 제1a도에서는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솔캐리어(1) 및/또는 손잡이(2)는 도시되지 않은 유지 부분에 유지되어 있다. 그것으로보부터 일정간격을 두는 각각 다수개의 솔(4)로 구성된 다발(3)이 있는 많은 수용체(6)들을 갖는 지지부(5)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솔다발(3)이 제1a도에서 우측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잘려지지 않은 형태로 삽입되거나 이미 주어진 길이로 절단되어 캐리어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솔다발(3)의 단부와 솔캐리어(1)의 수용부(7)의 가열 엘레멘트(8)은 제1a도의 우측에 나타낸 이중화살표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그리하여 솔캐리어와 솔들 사이의 공간내로 이동될 수 있고 솔다발(3)의 단부와 솔캐리어(1)의 수용부(7)의 용융후에 솔캐리어와 솔단부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움직여질 수 있게 회수될 수 있다. 제 1 도에서 솔수용부(7)의 용융부분은 파단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열 엘레멘트(8)에 대한 지지부를 이동시켜서 또는 그 역으로 솔을 가열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비-접촉가열에 위해 솔을 가열하는 것에 의해 솔의 자유단부들이 녹아서 그것들이 함께 녹아 합쳐지고 각각의 다발위에서 둥근렌즈 모양의 두터워진-단부(9)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태로된 솔다발은 솔캐리어(1)와 함께 합쳐지고 드 두터워진 단부(9)는 제 2 도에 나타낸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솔캐리어의 녹은 수용부(7)내로 가압하에 압착된다. 수용부상의 솔캐리어(1)의 녹은 재료는, 녹은 재료의 침투에 의해 도면부호(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솔다발의 삽입에 의해 형성된 분화구 모양부분이 폐쇄되도록 두터워진 단부(9)뒤에서 흐르게 된다. 솔다발이 절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결합 공정후에 길이를 알맞게 절단한다.
제 3 도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서, 솔캐리어(1)은 수용부(7)상에 수용홈(11)들을 가지고 있으며, 홈들의 기하학적 모양과 배치는 솔다발세트의 그것과 동일하다. 홈(11)은 제 3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개개의 가열핀(12)를 갖는 해당 가열 엘레멘트(8)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솔캐리어(1)의 수용부의 용융시에 녹은 재료는 솔캐리어의 수용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환형칼러(COLLARS)(13)로 외향으로 흐른다. 동시에, 제 1 도 및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다발(3)의 자유단부들은 녹아서 제1a도에서와 같이, 두터워진-단부(9)를 형성하게 된다. 가열 엘레멘트가 제거된 후 솔캐리어(1)과 솔다발(3)은 함께 합쳐지고(제 4 도) 두터워진-단부(9)가 홈(11)내로 침입해 들어가며 환형칼러의 녹은 재료는 다시 두터워진-단부(9)뒤에서 흐르게 된다. 이 경우에 솔캐리어(1)의 수용부(7)는 더이상 고르거나 평평하지는 않으며 각각의 솔다발 부분에서 돌출부(14)가 형성된다(제4, 5도).
제 6 도에서 9도까지에는 제 3 도에서 5도까지와 유사한 방법이 하나의 솔다발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솔캐리어(1)와 절단되거나 절단되지 않은 솔다발(3)을 수용하는 지지부(5)가 나타나 있으며, 가열 엘레멘트(8)은 솔캐리어(1)과 지지부(5)사이에 있게 된다. 가열 엘레멘트(8)은 그 한쪽에 반구형의 성형표면(15)을 갖고 또 다른쪽에는 납작한 원추형태의 성형표면(16)을 갖는다. 가열 엘레멘트(8)에는 두개의 별개의 가열요소들이 갖추어져 있으는데, 즉, 결합되어질 쌍을 형성하고 있는 가공재료들의 녹는 점에 적합하도록된 부분적으로 반구형의 성형표면(15)와 원추형 성형표면부분에서 서로 다른 온도를 유지하는 한쪽의 엘레멘트(17)과 다른쪽의 엘레멘트(18)이다. 가열 엘레멘트의 이와 같은 온도분리는 제 1 도에서 6도까지에 따른 실시예들의 경우에서도 명확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지지부(5)도 또한 성형도구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지지부는 그 솔들이 지지부를 이탈하는 부분내에 평편한 원추형 성형표면(23)을 갖는다.
구형체의 성형표면(15)에 의해 해당되는 컵모양의 홈(19)이 솔캐리어(1)에 생기고, 반면에 가열 엘레멘트(8)과 지지부(5)를 함께 움직임으로써, 솔다발(3)의 단부가 주변비이드(21)를 갖는 원추형 모양의 두터워진-단부(20)를 갖는 형태로 된다(제 7 도 참조).
솔캐리어(1)내의 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융공정 도중에 만들어질 수도 있고 솔캐리어의 제조도중에 미리 제조될 수도 있다. 용융공정 도중의 어떤 경우에라도 홈(19)의 재료는 솔캐리어(1)(제 7 도)의 수용부(7)로부터 돌출하는 비이드-형의 링(22)으로 변위된다.
가열 엘레멘트(8)의 제거후에, 솔다발(3)을 갖는 지지부(5)는 솔캐리어(1)로 향해 이동되어 원추형의 두터원진-단부(20)가 솔캐리어(1)의 비이드-형 링(22)이 솔다발(3)위의 비이드(21)뒤에 위치될때까지 홈(19)내로 삽입된다. 그리고 나면, 결합이나 접착으로 생기는 연결부를 형성하지 않는 용접불가한 가공재료의 경우에 있어서도 튼튼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연결부가, 제 9 도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솔캐리어(1)과 솔다발(3) 사이에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그 연결부는 지지부(5)상에 성형표면(23)을 형성시켜 비이드(22)를 압축하여 개량될 수 있다.
제10도는 솔캐리어내에 홈을 만들기 위한 성형도구(24)를 나타낸다. 이 성형도구는 그 홈을 성형하기 위한 중심핀(25)와 그 핀의 바닥을 둘러싸고 있는 홈(26)을 갖는다. 홈의 성형 도중에 홈(26)은 환형 비이드를 성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녹은 두터워진 단부(9)를 갖는 솔다발(3)을 솔캐리어의 녹은 수용부(7)내로 삽입함에 있어서 솔지지부(5)의 일부는 그 솔다발이 지지부를 이탈하는 부분에서 환형홈(28)을 가지고 있는 성형도구(27)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지지부(5)는 솔캐리어(1)을 향해서 솔다발(3)과 함께 움직여 그 솔다발(3)이, 성형도구(24)(제10도)의 핀(25)에 의해 형성된, 녹은 홈내로 삽입된다. 이들 부분들을 함께 움직임으로써, 성형도구(24)(제10도)의 홈(26)에 의해 형성된 환형 비이드들이 녹은 상태에서 일정한 형태의 환형비이드(29)로 성형된다. 그러므로, 제 4 도 및 5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솔캐리어의 수용부상에는 윤곽선이 형성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방식으로 솔캐리어(1)내부의 솔의 지지된 길이가 얇은 두께를 갖는 솔캐리어의 경우에, 최적화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용부의 표면은 매끄럽게 다듬질된다.

Claims (13)

  1. 솔들의 한 단부와 솔수용 표면에서의 솔캐리어가 용융되고 계속해서 솔과 솔캐리어가 합쳐져서, 용융부가 고화될때까지 그 위치에 유지되는, 둘 다 열가소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솔과 솔캐리어의 결합방법으로서, 솔단부가 가열되어 방향성이 있는 신장된 분자형태의 역전이 발생하여, 이 분자들이 방향성이 없는 구형체 형태로 전환되며, 이에 의해 솔단부에 두터운 부분이 형성되고, 두터워진 단부를 갖는 솔들이, 솔캐리어의 용융물이 솔의 두터운 단부뒤에서 흐를때까지 용융도니 솔캐리어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솔의 두터원진 단부가 아직 연화상태에 있는 동안 솔캐리어의 용융된 수용부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솔의 두터원진 단부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견고하게 냉각되고 계속해서 솔캐리어의 용융된 수용부내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솔들이 가열도중에 또는 그 직후에 그들의 두터워진 단부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솔캐리어의 수용부가 나중에 솔들을 수용하는 부분에서만 부분적으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솔캐리어들의 수용부의 가열전이나 그 도중에 홈들이 그 솔들을 수용하기 위해 솔캐리어 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홈들의 형성도중에 녹은 부분이 수용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비이드들을 형성하도록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솔캐리어가 수용부에서 삽입된 솔들을 직접 둘러싸고 있으며, 솔의 두터운 단부 뒤의 공간내의 변위된 녹은 부분이 역으로 형성되고 매끄럽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홈들의 형성도중에 홈들의 밑바닥이 곡선을 이루고, 해당하는 곡률을 가지고 다발로된 솔들의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솔캐리어가 솔들을 수행하는 측부로부터 반대쪽에 위치한 후방부를 갖고 후방부가 수용부와 같은 시간에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솔들이 동시에 솔캐리어의 양측부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 반대측부의 각각에 고정된 솔을 갖는 브러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용융 도중에 그 후방부 상의 솔캐리어에 새겨진 것 같은 스탬핑된 자국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솔단부 및 솔캐리어의 용융이 접촉이나 비접촉 가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50005490A 1985-07-30 1985-07-30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KR93000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490A KR930002863B1 (ko) 1985-07-30 1985-07-30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5490A KR930002863B1 (ko) 1985-07-30 1985-07-30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92A KR870000892A (ko) 1987-03-10
KR930002863B1 true KR930002863B1 (ko) 1993-04-12

Family

ID=1924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490A KR930002863B1 (ko) 1985-07-30 1985-07-30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8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92A (ko) 198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660A (en) Method for connecting bristles to a bristle carrier
JP7219762B2 (ja) 成形された房キャリアとベースプレートとを使用してブラシヘッドを製造する方法
US4489019A (en) Method for producing a longitudinal molding with nonuniform sections
US20230148738A1 (en) Brush head manufacturing method
PL170665B1 (pl) Sposób mocowania peczków szczeciny do termoplastycznego uchwytu PL PL PL PL PL
US8399084B2 (en) Resistive implant welding for assemblies of plastic components
KR930002863B1 (ko) 솔들을 솔캐리어에 연결하는 방법
US11571061B2 (en) Brush head manufacturing method, and brush head
CA2477532C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JPS6153943B2 (ko)
CA1246123A (en) Method for connecting bristles to a bristle carrier
JPS6211659B2 (ko)
JP4534299B2 (ja) 歯ブラシの植毛加工及び加飾装置
JPH0564583B2 (ko)
JPH0448083B2 (ko)
NO163996B (no) Fremgangsm te fo feste boersteh r ti
JPS6225494B2 (ko)
JP2920150B2 (ja) 中空体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方法の実施に使用される型装置
JP4432010B2 (ja) スポンジ状部材を有する成形品
DK154803B (da) Fremgangsmaade til at forbinde boerstehaar med en boerstebaerer
JPH05237845A (ja) 成形プラスチック製品の製造方法及び鋳型部分
JPH0346299B2 (ko)
JPS5859810A (ja) 樹脂部品の接合方法
JPS6018327A (ja) エアサポ−トマツトのブロ−成形法
DD239332A5 (d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borsten mit einem borstentrae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