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705Y1 - 텐트를 겸한 천막 - Google Patents

텐트를 겸한 천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705Y1
KR930002705Y1 KR2019900014046U KR900014046U KR930002705Y1 KR 930002705 Y1 KR930002705 Y1 KR 930002705Y1 KR 2019900014046 U KR2019900014046 U KR 2019900014046U KR 900014046 U KR900014046 U KR 900014046U KR 930002705 Y1 KR930002705 Y1 KR 930002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s
corner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474U (ko
Inventor
정호택
Original Assignee
정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택 filed Critical 정호택
Priority to KR2019900014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705Y1/ko
Publication of KR9200064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4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텐트를 겸한 천막
제1도는 본 고안 천막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천막의 개방상태를 조절하는 요부발췌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상부 수평지지간의 결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텐트를 구성하기 위한 장막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천막과 장막을 결합하여 텐트를 구성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막 2 : 텐트
3 : 상부가림막 4 : 바닥판
5 : 지주 6, 6′ : 폴
7, 7′ : 수평지지간 8 : 종횡의 연결간
8′ : 걸이구멍 9, 9′, 9″ : 폴 삽입관
10 : 장막 11, 11′ : 걸고리
12 : 걸이구 13, 13′ : 걸이체
a, b, c : 천막의 개방상태
본 고안은 텐트를 겸한 천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천막은 지주에 주안점을 두어 천막의 개방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부여하고 선택에따라 천막의 내부 중앙부에 장막을 간단히 결합하므로서 텐트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천막과 텐트는 별개로 구성되고 그 기능도 별개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천막의 용도는 통상 햇빛가림이나 비가림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텐트는 숙박의 목적으로 제공된다.
야외에서 오느정도 체류를 목적으로 할 경우 상기한 두가지가 모두 요구되는바, 천막 및 텐트를 모두 휴대할 경우 상당한 부피를 갖는다.
또한, 텐트를 개량하여 천막으로 임의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당한 조립의 복잡성이 예상된다.
그리고 천막의 경우, 일단 설치된 후에는 그 사방면의 개방상태가 항상 일정하여 태양의 위치에 따른 햇빛의 가림이나 풍우에 의한 비가림에 적절히 대응치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천막의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주의 상, 하단에 적절히 경사각도를 갖는 폴 삽입관을 하향 및 상향되게 결합하여 천막의 각변을 지지하는 폴의 양단부를 상기 폴삽입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서 천막의 각변의 위치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그 개방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천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내측으로 장막을 결합하되 장막의 상단 각 모서리에는 걸고리가 형성되어 천막내측의 대각선상 폴에 걸어주므로서 간단하게 텐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의 수평지지간(7)(7′)과 대각선의 호형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폴(6) 및 각변의 폴(6′), 그리고 각 모서리의 지주(5)로 의지되는 상부가림막(3)과 그 저부에 바닥판(4)을 구비하여 천막(1)을 형성하여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간(7)(7′)은 걸이구멍(8′)을 갖는 종횡의 연결관(8)으로 결합하고, 각 모서리의 지주(5)상, 하단에는 적정경사각을 갖는 폴 삽입관(9)(9′)(9″)을 상향 및 하향되게 형성하며, 천막(1)의 내측에는 장막(10)을 설치하되 장막(10)의 상단 중앙부 및 각 모서리에는 걸고리(11)(11′)를 구성하여 걸이구멍(8′) 및 다수의 폴(6′) 일단에 각각 결합하여 텐트(2)를 구성하여된 것이다.
도면부호중(12)는 걸이구로서 상부가림막(3) 및 바닥판(4)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걸이체(13)(13′)로 걸어주므로서 상부가림막(3)과 바닥판(4)의 지탱력을 강화하였고, 지주(5)에 형성되는 폴 삽입관(9)(9′)(9″)은 일측으로만 볼 때 상부에 2개, 하부에 1개가 구성되나 그 타측으로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는 모서리를 이루는 각 지주(5)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2개의 폴 삽입관(9′)(9″)중 상측의 폴 삽입관(9′)은 약간의 경사각도롤 하향되게 구성되고 이와 근접된 하측의 폴삽입관(9″)은 거의 직하방에 가깝도록 하향 구성되며 지주(5)의 하단에 구성된 폴 삽입관(9)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폴 삽입관(9)(9′)(9″)에는 상부가림막(3)의 각변을 지탱하는 양측 폴(6′)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천막(1) 내부의 공간부를 확대하기 위하여 수평을 유지하는 상부 수평지지간(7)(7′)을 사용하게 되며, 이때의 결합은 종횡의 연결관(8)을 사용하므로서 상부가림막(3)의 기본골격을 갖추는데 극히 용이하며, 종횡의 연결과(8)은 상부가림막(3)의 내측 중심부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수평지지간(7)(7′)과 연결되는 다수의 폴(6)은 호형을 이루면서 하향되게 휘어져 각 지주(5)의 상단에 결합되므로서 천막(1)의 골격을 점차 갖추어 나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가림막(3)의 각변에도 폴(6′)을 끼워 그 양단의 폴(6′) 끝단으르 지주(5)의 폴 삽입과 (9)(9′)(9″)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완전한 천막(1)의 형태를 취한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각변의 양측 폴(6′)끝단을 지주(5)의 하부에 형성된 폴 삽입관(9)에 결합하면 제1도에서와 같은 기본형태로 된다.
이때의 상부가림막(3)의 각변과 각변을 지지하는 폴(6′)은 상방향의 호형을 이루어 천막(1)의 4방면 개방부를 최대한 확대한 형태가 되는 것으로, 즉 부호(a)상태가 된다.
또한, 풍우의 상태나 태양의 위치에 따라 천막(1)의 개방부를 축소하고자 할 때에는 각변의 양측 폴(6′)을 절곡하여 그 끝단을 지주(5) 상부의 약간의 경사각을 갖는 폴 삽입관(9′)에 끼워주면 상부 가림막(3)의 양단도 폴(6′)과 함께 절곡되게 되고, 그 절곡된 부위의 하단부와 상부가림막(3)의 각변은 전체적으로 하향위치한 부호(b)의 상태로 되므로서 천막(1)의 개방상태는 다소 축소되게 된다.
그리고 천막(1)의 개방상태를 더욱 축소하고자 할 때에는 양측 폴(6′)을 절곡한 상태에서 그 끝단을 지주(5)상부에 거의 직하방으로 형성된 폴 삽입관(9″)에 끼워주게 되는바, 이때는 부호(c)와 같은 형태로 상부가림막(3)의 각변이 바닥판(4)에 거의 근접된 상태로 하강하여 천막(1)의 개방상태를 최대한 축소한 형태가 된다.
본 고안의 각변의 폴(6′)은 상호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고 통상 신축성 끈등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의 폴을 사용하는 것이 절곡시 무리가 없으며, 폴(6′)이 끼워지는 폴삽입관(9)(9′)(9″)은 폴(6′)과 상호 긴밀히 삽입되게하여 결합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제4도는 본 고안을 텐트(2)로 구성하기 위한 장막(10)으로서 그 상단의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는 걸고리(11)(1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막(1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걸고리(11)를 종횡의 연결관(8)저부에 형성된 걸이구멍(8′)에 끼우고 각 모서리의 걸고리(11′)는 수평지지간(7)(7′)과 연결된 폴(6)의 각 일단에 걸어주면 기존의 바닥판(4)에 의해 밑판을 형성하게 되고 상부 및 각 방면이 차단되는 텐트(2)가 간단히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장막(10)상면에 상부가림막(3)이 형성되어 종래의 텐트설치시 텐트상면에 플라이등을 구성하는 효과가 본 고안에서는 자연스럽게 구현되며, 상부가림막(3)의 각변을 부호(c)와 같은 형태, 즉 천막(1)으로서의 개방상태를 최대한 축소하므로서 외부에서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밀실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천막의 개방정도를 적적히 조절할 수 있고 부피가 작고 휴대하기 간편한 텐트겸용 천막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의 수평지지간(7)(7′)과 대각선의 호형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폴(6) 및 각변의 폴(6′) 그리고 각 모서리의 지주(5)로 의지되는 상부가림막(3)과 그 저부에 바닥판(4)을 구비하여 천막(1)을 형성하여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간(7)(7′)은 걸이구멍(8′)을 갖는 종횡의 연결관(8)으로 결합하고, 각 모서리의 지주(5)상, 하단에는 적정경사각을 폴 삽입관(9)(9′)(9″)을 상향 및 하향되게 형성하며, 천막(1)의 내측에는 장막(10)을 설치하되 장막(10)의 상단 중앙부 및 각 모서리에는 걸고리(11)(11′)를 구성하여 걸이구멍(8′) 및 다수의 폴(6′)일단에 각각 결합하여 텐트(2)를 구성하여된 텐트겸용 천막.
KR2019900014046U 1990-09-11 1990-09-11 텐트를 겸한 천막 KR930002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046U KR930002705Y1 (ko) 1990-09-11 1990-09-11 텐트를 겸한 천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046U KR930002705Y1 (ko) 1990-09-11 1990-09-11 텐트를 겸한 천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74U KR920006474U (ko) 1992-04-21
KR930002705Y1 true KR930002705Y1 (ko) 1993-05-19

Family

ID=1930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046U KR930002705Y1 (ko) 1990-09-11 1990-09-11 텐트를 겸한 천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7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474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23916Y (zh) 折叠式双顶铁艺凉篷
US3670747A (en) Tent with permanently attached fly
US10760297B2 (en) Tent
CN102639800A (zh) 用于帐篷或遮蔽物的通风口
JP3797377B2 (ja) 横風対応型野外テント
US2938524A (en) Tent
US20070017563A1 (en) Tent having improved windproof and ventilation abilities
US20040020526A1 (en) Collapsible canopy
KR101397640B1 (ko) 스탠드용 막 구조물
US3943953A (en) Umbrella tent
WO198900489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upport structures
KR930002705Y1 (ko) 텐트를 겸한 천막
US5327927A (en) Tents for screening the sunlight
KR101268221B1 (ko) 텐트
KR102435115B1 (ko) 텐트
CN214996572U (zh) 一种具有自动开合中心小顶结构的折叠帐篷
KR100836123B1 (ko)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KR100779941B1 (ko) 천막골조
KR200420115Y1 (ko) 텐트
KR200390378Y1 (ko) 펜스
CN219012140U (zh) 一种交叉杆结构的隧道型帐篷
KR200278454Y1 (ko) 내풍텐트의 지지구조
JP2800093B2 (ja) テント
KR200163305Y1 (ko) 차양텐트
JPS5835070Y2 (ja) 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