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304B1 - 키보우드 장치 - Google Patents

키보우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304B1
KR930002304B1 KR1019900017168A KR900017168A KR930002304B1 KR 930002304 B1 KR930002304 B1 KR 930002304B1 KR 1019900017168 A KR1019900017168 A KR 1019900017168A KR 900017168 A KR900017168 A KR 900017168A KR 930002304 B1 KR930002304 B1 KR 93000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tripe
data
read
write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580A (ko
Inventor
김인근
Original Assignee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홍승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홍승체 filed Critical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304B1/ko
Publication of KR92000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보우드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키보우드장치를 도시해 놓은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주제어회로부를 나타낸 계통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 판독/기록 제어 ASIC를 나타낸 계통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키매트릭스부를 나타낸 계통도,
제5도는 제3도의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 판독/기록 제어 ASIC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및 챠트,
제6도는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주제어회로부
3 :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 4 : 키매트릭스부
5 : 시스템인터페이스케이블 10 : 시스템인터페이스콘넥터
20 : 중앙처리장치 21 : 프로그램 EPROM
22 : 데이터 RAM
23 :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 판독/기록제어 ASIC
24 : 모드선택스위치 25 : 벨소리 발생기
26 : 핀패드버퍼 27 : RS-422 통신버퍼
28 : 정전압회로 29 : 판독데이터랫치
30 : 5비트 클럭카운터 31 : 기록데이터로드신호발생기
32 : 조작검출회로 33 : 입력포트
34 : 어드레스디코더 35 : 인터럽트발생기
36 : 기록데이터랫치 37 : 5비트데이터 쉬프트레지스터
38 : 하위어드레스랫치 39 : 제어출력포트
[적용분야 및 배경설명]
본 발명은 보통의 키보우드기능을 수행하면서 자기스트라이프(Magnetic Stripe)상의 데이터를 판독 및 기록할 수 있도록 된 키보우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은행에서 이용되고 있는 컴퓨터는 본점과 지점간의 정보송수신을 위해 호스트시스템에 대한 데이터입력장치로서 키보우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여기서 다양한 형태 및 용도를 가진 키보우드가 여러종류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었으나, 그중 CRT터미날이라든지 개인용컴퓨터에서는 TTY와 거의 같은 키배열을 갖는 키보우드나 암호 입력용으로 단순히 숫자정도를 입력할 수 있는 소형 키보우드가 있었다. 또 이와같은 키보우드 입력장치 이외에 폴리에스텔로 제작된 명함크기의 카드에 자기스트라이프를 붙힌 자기카드를 사용하는 입력장치가 개발되어 현금 대용 및 비호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새로운 문화창달에 기여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기억매체인 상기 자기카드에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 헤드어셈블리 및 이를 제어하는 논리부가 조합된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능의 키보우드와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장치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넓게 차지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키보우드와 자기스트라이프탄독/기록 장치를 하나로 통합시키기 위해 다각적으로 개발이 있었으며, 그 결과 일반적인 키보우드 기능에 다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가능한 장치가 출현하게 되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키보우드 기능과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장치를 결합해 놓은 것으로, 상기 키보우드와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고 단일 중앙처리장치 및 저원공급회로를 사용하여 부품수를 줄임으로서 제조원가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를 키보우드의 상단 또는 우측 부분에 배치하여 사용자기 조작성을 향상시켜 편리성을 기할 수 있고, 또 주제어회로부와 키매트릭스부를 분리해서 회로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회로부들을 개작하여 쉽게 형태변형 시킬 수 있는 한편 하나로 통합시키는 경우에 더 경제적일 수 있도록 된 키보으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는, 자기스트라이프상의 데이터를 판독/기록할 수 있는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3)와, 키매트릭스를 주사 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갖고 있는 키메트릭스부(4) 및, 상기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3) 및 키매트릭스부(4) 그리고 시스템인터페이스케이블(5)을 연결하여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주제어회로부(2)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키보우드 장치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는 상하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겉표면을 나타내는 케이스(1)로 구성되어 호스트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전원선과 RS-422 수준의 통신선이 들어 있는 시스템인터페이스케이블(5)이 연결되어 전송라인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상기 케이브(1)내에는 본 발명 키보우드장치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호스트시스템과 통신을 담당하며 후술하게 될 키매트릭스부(4)를 스캐닝하는 기능을 갖는 주제어 회로부(2)와,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장치에 해당되어 자기카드에 자기적수단으로 기억되어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기능 및 자기카드에 자기적수단으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3) 및, 다수의 용량성 키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 위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주제어회로부(2)에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키메트릭스부(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와 호스트시스템간의 통신은 시스템인터페이스케이블(5)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호스트시스템과의 전기적 통신방식은 RS-422 방식의 멀티-포인트 접속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통신회선의 획득은 회선경쟁(LINE CONTENTION)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의 키보우드 장치에서 호스트시스템으로 올라가는 데이터는 상기 키매트릭스부(4)에서 눌려진 키에 해당되는 값과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회로부(3)의 관련 정보가 있게 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로 내려오는 데이터 벨소리 및 키보우드 제어명령 그리고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명링 및 기록정보가 있게 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주제어회로부를 나타낸 계통도로서, 시스템인터페이스콘넥터(10)와 중앙처리장치(20)간을 연결해주는 RS-422통신버퍼(27)가 통신회선의 전기적 신호수준을 RS-422 수준으로 맞추는 역할을 하며 양방향성을 갖고 있다. 상기 RS-422 통신버퍼(27)는 예컨대 DS3695라는 IC 및 기타 수동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IC 내부에는 RS-422 레벨 송신기와 수신기가 각각 장치되어 있다. 상기RS-422 통신버퍼(27)에서 상기 DS3695 IC의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0)와 연결된 RCVEN# 신호로써 상기 신호가 하이레벨이면 송신 모드, 로우레벨이면 수신모드로 변경됨으로 송신 및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게 된다. 상기 RS-422 통신버퍼(27)에서 핀패드 콘넥터(40)까지의 수동부품들은 RS-422 라인상의 잡음 신호 제거 및 과부하 억제용으로 사용되게 된다.
정전압 회로(28)는 호스트시스템으로부터 예컨대 직류 8.4볼트를 받아서 정류한 다음 5볼트 직류를 만들어 키보우드 본체 및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회로부(3)로 각기 공급한다. 그러나 상기 호스트시스템으로부터 직접 직류 5볼트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이 정전압회로(28)를 거치지 않고 직접 각 회로부에 공급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1개의 IC칩에 CPU연산기능, 메모리기능, 입출력포트 기능, 직렬입출력(SIO)포트들이 마련되어 있는 마이크로제어칩으로 크리스탈발진기(OSC)로부터 발진된 예컨대 11.0592MHZ의 클럭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 중앙처리장치(20)에는 데이터버스(DB)와 어드레스버스(AB) 및 제어버스(CB)를 통해 시스템 프로그램 내장용 EPROM(21)과, 각종 데이타를 보관하는 데이터 RAM(22),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제어 ASIC(23) 등이 각기 연결되어져 있고, 입출력포트를 통해 키매트릭스부(4)와, 예컨대 2048HZ의 음을 발생하는 벨소리 발생기(25), 핀패드 버퍼(26)가 상기 중앙처리장치(20)에 각기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전원 투입시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0)의 프로그램 카운터나 내부 레지스터를 클리어하기 위한 파워리세트회로(RT)로써, RC에 의한 시정수 회로를 중앙처리장치(20)의 리세트단자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RC시정수는 중앙처리장치(20)의 리세트 필요구간에서 설정되어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다이오드(D1)는 전원의 ON/OFF를 연속해서 행해 질 때 콘덴서(C1)의 방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벨소리발생기(25)는 예컨대 KS555 단안정 멀티바브레이터로 구성된 발진기로써 상기 중앙처리장치(20)의 출력신호(SR)에 의해 2048HZ의 벨소리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출력신호(SR)가 로우레벨이면 발진을 멈추게 하는 한편 하이레벨이면 발진을 하여 예컨대 2048HZ의 가청음파를 발생시켜 이를 버퍼링한 후 벨을 구동시킨다.
상기 핀패드 버퍼(26)는 본 발명의 키보우드 장치에 접속될 직렬형 핀패드키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데이타 및 클럭용 입력신호 두개를 버퍼링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0)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 보관용 EPROM(21)은 본 발명을 위한 모든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한편, 제6도에 도시된 시스템 흐름도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데이타 보관용 RAM(22)은 본 발명에서 중앙처리장치(20)가 생성 및 이용하는 각종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메모리이다. 상기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제어 ASIC(23)은 모드선택스위치(24)로부터의 입력 수단 및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와의 입출력수단을 갖고 있으며, 본 발명 키보우드 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정보를 키매트릭스부(4)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회로를 갖추고 있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자기스트라이프 데이터판독/기록제어 ASIC(23)의 내부 계통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제어 ASIC(23)는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를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부품으로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제어용 논리회로 이의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의 제어신호 및 어드레스 신호를 이용한 어드레스디코더회로(34) 그리고 입력포트(33)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외부 신호핀들은 입력 단자로서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와 데이타 송수신 및 주소버스성분중 하위 어드레스(A0-A7)를 전달하는 목적 겸용으로 사용되는 어드레스버스입력(AD0-AD7)이 사용되도록 판독데이터랫치(29), 입력포트(33)기록데이터랫치(36), 5비트데이터쉬프트레지스터(37), 하위어드레스랫치(38), 제어출력포트(39)에 접속되는 주소버스 라인 입력(AD0-AD7)과, 상기 어드레스 디코더(34)에서 사용되는 주소버스 입력(A11-A15), 상기 어드레스디코터 및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제어 ASIC(23)내의 각종 블럭의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CPU 제어버스입력(CPU-RD#, CPU-WR#, ALE),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와 연결되어 자기스트라이프 관련동작을 실행하도록 5비트 클럭카운터(30), 조작검출회로(32) 및 5비트데이터쉬프트레지스터(37)에 접속되는 입력핀(BRCL#, RDT#, BWCL#, CLD#, BSTD#)이 있고, 딥스위치의 ON/OFF 상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포트(IP0-IP5) 핀이 상기 입출력포트(37)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출력단자로는 주소/데이타 겸용 버스상의 주소정보를 랫치하여 출력하는 하위어드레스랫치(38)의 어드레스(A0-A7)가 있고, 본 발명 키보우드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제어출력포트(39)의 LED 구동출력핀(WRLED, RDLED, CAPSLED)이 있고,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출력포트(39)의 출력핀(HR/W#, WDT#)이 있고,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로부터 들어오는 자기스트라이프 판독용 또는 자기스트라이프 기록용클럭이 카운트되어 5회마다 1번씩 로우레벨수준의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발생기(35)의 출력핀(MS-INT#)이 있고, 제2도에 도시된 키매트릭스선택 및 RAM 선택 입력으로 사용되는 어드레스디코더(34)의 출력핀(KBD-SEL#, RAM-CS#)이 있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키매트릭스부를 나타낸 계통도로서, 제2도에 도시된 핀패드 콘넥터(40)에 4→16로우 (ROW)디코더(41)와 8비트랫치(42)가 각기 연결되어 13×8의 키스위치매트릭스(44)의 동작에 의한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고, LED 플레이(43)로 본 발명 키보우드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제3도에 도시된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제어 ASIC(23)의 내부 계통도를 제5도(a)(b)의 타이밍챠트와 제6도의 시스템 흐름도의 관련해서 상기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제어 ASIC(23)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키보우드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가 초기화되고 나면 제6도의 시스템 흐름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호스트시스템으로부터 별도의 명령이 없는한 제4도에 도시된 키보우드부(4)의 키보우드스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제4도의 13×8 키스위치 매트릭스(44)의 키보우드 스캐닝을 하기위해 상기 중앙처리장치(20)에서는 키매트릭스스캐닝 출력을 제공하게 되고, 제3도에 도시된 ASIC(23)에서는 키매트릭부(4)의 선택신호(KBD-SEL#)를 제공하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어드레스디코더(34)는 호스트시스템로부터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의 어드레스(A11-A15)와 CPU-RD#, CPU-WR#, ALE 신호들을 받아서 상기 ASIC(23)내부의 기능블럭을 제어하는 출력과 전술한 키매트릭부(4)의 선택신호(KBD-SEL#)를 발생하게 된다. 입력 포트(33)는 외부입력(IP0-IP5)을 받아서 AD0-AD7의 CPU 데이터버스에 연결시켜 주고 상기 어드레스디코더(34)의 신호(DIP-RD#)에 의해 선택되게 된다. 그리고, 하위어드레스랫치(38)는 AD0-AD7의 CPU 데이터버스에 실린 주소정보를 랫치하여 내부기능블럭 및 외부 하위주서 출력핀(A0-A7)에 공급하는 한편 제2도에 도시된 프로그램(21)과 RAM(22)의 하위주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출력포트(39)는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의 데이터버스(AD0-AD7)에 실린 정보를 이용해서 본 발명 키보우드 장치의 동작 상태및 하드웨어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외부핀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어드레스디코더(34)의 신호(LASTST#)에 의해 제어출력포트(39)를 제어되게 된다.
제5도(a)의 타이밍챠트를 참조하여 자기스트라이프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호스트시스템에서 자기스트라이프판독명령이 시스템인터페이스콘넥터(10)를 통해 공급된 다음 RS-422 통신버퍼(27)를 통한 중앙처리장치(20)에 의해 인식되고, 이로부터 제3도에 도시된 ASIC(23)의 내부 상태는, MS-INT#와, WDT#=H, WRLED=L RDLED=H, CAPSLOCK=X, HR/W#=H로 된다(여기서 H는 하이레벨, L은 로우레벨, X는 Don't care 상태를 나타냄). 즉, 상기 ASIC 내부의 기능회로들중 제 3 도에 도시된 판독회로만 활성화상태로 되고 기록회로가 비활성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서 자기스트라이프 판독을 나타내는 제4도에 도시된 LED 디스플레이(43)의 LED에 불이 들어오는 한편 자기스트라이프 기록을 나타내는 상기 LED디스프레이(43)의 LED에 불이 들어오지 않으며, 제3도의 제어출력포트(39)가 HR/W#=H인 관계로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록부(3)의 모드는 자기스트라이프판독 모드에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상태에서도 제4도에 도시된 키스위치매트릭스(44)의 키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 회로부(3)로부터의 신호 상태는, 제5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RDT#=H, BRCL#=H, BWCL#=H, CLD#=H, BSTD#=H로 된다. 자기카드가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의 슬롯을 통과하기 시작하면, 우선 CLD# 신호가 로우레벨로 되는데, 이 CLD# 신호는 상기 자기카드가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의 헤드중심을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로우레벨로 유지하게 된다. 일단 상기 CLD# 신호가 로우레벨로 되고 나면 BRCL#신호는 자기카드에 기록된 비트 간격마다 한번씩 1주기성 클럭을 제공하게 되고, RDT# 신호의 논리레벨이 상기 BRCL#신호의 하강 시점에서 제3도에 도시된 5비트 자기스트라이프 데이타 쉬프트레지스터(37)에 쉬프트인 되게 된다. 이 쉬프트레지스터(37)는 조작검출회로(32)에서 BRCL# 및 자기스트라이프 판독모드와 조합되어 생성된 자기스트라이프 클럭이 들어올 때마다 자기스트라이프 클럭의 하강 시점에서 내부 레지스터의 내용을 1비트식 저순위비트에서 고순위 비트방향으로 쉬프트시키게 된다.
한편 5비트 자기스트라이프 클럭카운터(30)는 조작 검출회로(32)에 의해, 활성화되면, 제5도(a)에 도시된 BRCL# 신호의 입력을 카운트하여 5비트마다 1회씩 짧은 펄스를 발생, 이 펄스가 인터럽트 발생기(35)를 거쳐서 MS-INT# 신호로 되어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에 인터럽트를 요구한다. 이때 상기MS-INT#신호가 발생하는 시점은 BRCL#신호의 상승에지이며, 액티브 상태인 로우레벨로 되었다가 상기 중앙처리장치(20)가 이 인터럽트신호를 감지하고 RD-LAT 신호를 활성화시켜 판독에이터랫치(29)를 통해 상기 5비트쉬프트레지스터(37)의 내용을 읽어가서 처리하고 난뒤, 상기 중앙처리장치(20)에 의해 다시 논리 하이레벨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인터럽트발생기(35)의 MS-INT#신호가 액티브 상태인 로우레벨로 되어 있는 최대시간은 상기 BRCL# 신호가 계속 입력되어 다시 다섯번께 클럭의 상승에지가 되기 이전까지로써, 자기카드의 최대통과속도를 예컨대 80Cm/s로 잡았을 때에는 약 750μsec의 폭이 되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20)로 하여금 읽혀진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 비트를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줄 수 있다.
다음은 제5도(b)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자기스트라이프 기록동작에 관해 설명한다.호스트시스템에서 자기스트라이프 기록명령이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키보우드장치에 의해 인식되고 난 뒤, 자기스트라이프 기록동작시에는 전술한 자기스트라이프판독 동작시와는 반대로 ASIC(23) 내부의 기능회로들중 기록회로만 활성화 상태로 되는 한편 판독회로는 비활성화 상태로 된다. 즉, 제5도(b)에 도시된 MS-INT#=H,WDT#와 WRLED=H, RDLED=L, CAPSLOCK=X, HR/W#=L로 된다. 이에 따라 자기스트라이프 기록을 나타내는 제4도에 도시된 LED 디스플레이(43)의 LED에는 불이 들어오는 한편 자기스트라이프판독을 나타내는 상기 LED 디스플레이(43)의 LED에는 불이들어오지 않으며, 제3도의 제어출력포트(39)가 HR/W#=L인 관계로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 회로부(3)의 모드는 자기스트라이프 기록모드에 있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도 제4도에 도시된 키스위치 매트릭스(44)의 키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3)로부터의 초기 신호상태는, 제5도(b)에 도시된 바와같이 RDT#=H, BRCL#=H, BWCL#=H, CLD#=H, BSTD#=H로 된다. 자기카드가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의 슬롯을 통과하면 우선 CLD#신호가 로우레벨로 되는데, 이 CLD#신호는 상기 자기카드가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의 헤드중심을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로우레벨로 유지하게 된다. 또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로부터는 자기스트라이프에 기록할 데이타의 최초 바이트가 어드레스디코더(34)의 PWR# 및 어드레스/데이터겸용버스(AD0-AD7)를 통해 데이타기록랫치(36)에 저장된다. 일단 CLD#신호가 로우레벨로 되고나면 상기 자기카드에 기록된 비트 간격마다 한번씩 1주기성 클럭이 BWCL# 신호를 통해서 제공되고, 상기 BWCL# 신호의 하강 시점에서 자기스트라이프데이타 쉬프트레지스터(37)의 내용을 1비트씩 밀어낸다. 따라서 이 신호는 인버터(IV1)를 거쳐 WDT#핀을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CLD# 신호가 로우레벨로 된 지점부터 약 7.44mm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곳에 STD# 신호용 센서가 있으므로, CLD# 신호가 로우레벨로 된 다음 7.44mm 가량 지나간 뒤에 STD#="L" 로 된다. 또 제3도에 도시된 BSTD# 신호가 로우레벨로 되기 전까지는 데이터 쉬프트레지스터(37)의 내용은 클리어된 상태가 되어 밀려나가는 비트들의 레벨이 로우레벨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WDT#=H가 되어 실제 데이터의 의미는 WDT#의 부정논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로우레벨인 0으로 된다.
상기 BSTD# 신호가 로우레벨로 되면 5비트 클럭카운터(30)는 클리어 모드에서 카운트 모드로 바뀌게 되는바, 잠시후 BRCL# 신호의 하강 에지가 입력된다면 5비트 클럭카운터(30)의 동작에 의해 1개의 액티브 상태 하이레벨인 LOAD라는 펄스가 나와서 기록데이터 랫치(36)에 저정된 첫번째 바이트 내용을 5비트 데이터 쉬프트레지스터(37)에 병렬로 로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LOAD 신호는 인터럽트 발생기(35)에 인가됨에 따라 MS-INT# 인터립트 신호가 발생되어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에 공급되게 된다. 중앙처리장치(20)는 이 인터럽트를 감지하여 자기스트라이프 기록 메모리에 있는 기록 데이터 중 다음 차례의 데이터를 자기스트라이프기록 데이터 랫치(36)에 로드하고 MS-lNT#를 다시 하이레벨 상태로 만들게된다.
다시 BWCL# 클럭이 계속 입력되어 다섯번째가 되면 자기스트라이프 로드신호발생기(31)에 의해 다시 로드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동작은 자기카드가 BSTD# 센서 위치를 지나 BSTD# 신호가 다시 하이레벨로 될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상기 5비트 클럭카운터(30)의 출력은 STD# 신호가 로우레벨로 떨어진 다음, BWCL# 신호의 5개마다 1회씩 반전되어 50%의 듀우티(DUTY)를 갖게 된다. 이 카운터(30)출력을 이용해서 제2도에 도시된 중앙처리장치(20)에 인터럽트를 걸기 위해서 이 신호들이 데이터 로드 신호발생기(31)에 입력되어 이의 상승 및 하강에지에서 펄스가 만들어지게 된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키보우드와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고 단일 마이크로프로세서(중앙처리장치) 및 전원공급회로를 사용하여 부품수를 줄임으로서 제조원가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 회로부를 키보우드의 상단 또는 우측부분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켜 편리성을 기할 수 있고, 또 주제어회로부와 키매트릭스부를 분리해서 회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회로부들을 개작하여 쉽게 변경시킬 수 있는 한편 하나로 통합시키는 경우에 더 경제적일 수 있도록 된 키보우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요지가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 형태로 변형해서 실시 할 수 있다.

Claims (5)

  1. 자기스트라이프상의 데이터를 판독/기록할 수 있는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9)와, 키매트릭스를 주사 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갖고 있는 키매트릭스부(4) 및, 상기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3) 및 키매트릭스부(4) 그리고 시스템인터페이스케이블(5)을 연결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주제어회로부(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우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스트라이프판독/기록회로부(3)가 자기스트라이프상의 데이터를 판독할 결과 또는 기록할 데이터의 송수신을 클럭신호와 데이터 신호의 동기를 이용해서 직렬방식으로 처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우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회로부(2)가, RS-422 통신버퍼(27)와, 직렬통신이 가능한 중앙처리장치(20), 이 중앙처리장치(20)에 대한 시스템 프로그램이 상주하는 EPROM(21)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20)가 처리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RAM(22)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따라 LED디스플레이(43)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인터페이스케이블(5)을 연결하여 직렬통신 및 전원공급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우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회로부(2)가 직렬 통신이 가능한 키패드를 연결할 수 있는 핀패드 콘넥터(40)와,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24)에, 예컨대 2048HZ의 음을 발생하는 벨소리발생기(25) 및,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주문형 반도체 IC(ASIC)인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판독/기록제어 ASIC(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우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 판독/기록제어 ASIC(23)의 입력에 상기 판독/기록회로부(3)의 출력이 연결되어, 자기스트라이프데이터 판독모드시 상기 제어 ASIC(23)이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0)가 읽어가게 되고, 자기스트라이프 기록 모드시 필요한 시점에 상기 중앙처리장치(20)가 기록될 데이터를 상기 제어 ASIC(23)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해 주게 상기 자기스트라이프 판독/기록회로부(3)로 출력되는 다수의 출력선이 연결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키보우드장치.
KR1019900017168A 1990-10-25 1990-10-25 키보우드 장치 KR93000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168A KR930002304B1 (ko) 1990-10-25 1990-10-25 키보우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168A KR930002304B1 (ko) 1990-10-25 1990-10-25 키보우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580A KR920008580A (ko) 1992-05-28
KR930002304B1 true KR930002304B1 (ko) 1993-03-29

Family

ID=1930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168A KR930002304B1 (ko) 1990-10-25 1990-10-25 키보우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3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580A (ko) 1992-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1421A (en) Security device, including a memory and/or a microcomputer for data processing machines
EP0520705B1 (en) Keyboard activated screen blanking
US5293464A (en) Braille reading display terminal device
US4368461A (en)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
US6681269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external storage apparatus,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EP0325884B1 (en) Keyboard arrangement with ghost key condition detection
KR20020037779A (ko) Usb포트 동작형 ic카드시스템
JP2000181858A (ja) Icカ―ド読取インタ―フェ―スを備えた汎用非同期送受信器およびそれを応用したicカ―ド読取システム
EP1220077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mory card using the same
US5898425A (en) Computer system with keyboard and pointing device interface for managing device input codes
JPH10154021A (ja) クロック切換装置およびクロック切換方法
KR930002304B1 (ko) 키보우드 장치
GB2203318A (en) Data processing system with memory control function based on CPU state detection
US6930670B2 (en) Computer peripheral input system with two input types and method of data communication for the same
KR900000112B1 (ko) 키보드의 키 입력 판독 회로
EP0121603B1 (en) Personal computer attachment to host system display stations
KR100202611B1 (ko) 키이보드 스캔장치
EP0261629A2 (en) Display apparatus
JPS59104692A (ja) 電子機器
US5276804A (en) Display control system with memory access timing based on display mode
KR890002144Y1 (ko) 레이저 프린터의 그래픽용 메모리 보오드
KR200334309Y1 (ko) 패러렐 포트를 이용한 버스 신호 발생 장치
JPH04211820A (ja) キーボード識別方式
EP0162231A2 (en) Multi-function CPU having interface
CA1144657A (en) Video processing log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