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234B1 -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234B1
KR930002234B1 KR1019900020275A KR900020275A KR930002234B1 KR 930002234 B1 KR930002234 B1 KR 930002234B1 KR 1019900020275 A KR1019900020275 A KR 1019900020275A KR 900020275 A KR900020275 A KR 900020275A KR 930002234 B1 KR930002234 B1 KR 93000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waste
fermentation chamber
gas
subsid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973A (ko
Inventor
민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발효산업
원본미기재
황윤홍
최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발효산업, 원본미기재, 황윤홍, 최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발효산업
Priority to KR101990002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234B1/ko
Publication of KR92001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발효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열재 12 : 발효실
14 : 공기유입관 14a : 유입공
16 : 가스배출관 16a : 배출공
18 : 배기조절밸브 20 : 가스배출기
22 : 가열온수관 24 : 교반날개
24a : 교반횡간 24b : 교반종간
26 : 교반기 28 : 회전축
30 : 왕복이송기구 34 : 가이드레일
50 : 물분사기 62 : 탄소광물
64 : 연결관
본 발명은 각종 농수산 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재배를 위한 부산물 비료를 제조하기위한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료제조시에 사용되는 원재료에 부재료를 혼합 및 혼가하여 촉성 및 지속적인 발열을 유지시키면서 호기적 발효분배가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져 발효완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공기유입량의 조절과 재료에서 분리되는 수분과 가스를 용이하게 분리처리할 수 있도록 한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농작물의 재배에 사용하는 각종의 부산물 비료는 제조과정중에 부산물이 미숙되거나 발효처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비료로서 제 나름대로의 효과가 떨어지기도 하고, 비료로서 사용중에 발효되어 암모니아가스 및 아초산가스가 발생되어 농작물의 생장을 오히려 저해하기도 하며, 농작물의 뿌리를 부패시켜 수확량을 감소시키거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소하기 위하여 부산물에 의한 비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원재료를 오랫동안 퇴적(堆積)과 환적(換積)을 병행시키고, 지속적으로 부패시킨 다음에 농작물에 투여하기도 하고 있으나 이 경우엔 제조과정에서 외기온도의 영향으로 주위온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원재료 내부에서 병해충의 증식이 이루어지는 모체가 되기도 하며, 부패시 발생되는 각종 가스와 악취로 인하여 주위환경오염 요인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과정상 잦은 퇴적 및 환적과정에 의한 제조공정의 불편성 내지 번잡성, 소요되는 인건비의 과다지출에 따른 비경제적인 면과 함께 일련의 제반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가축으로부터 부산물로 얻어지는 돈분(豚糞), 계분(鷄糞), 우분(牛糞)등이나 인분(人糞)을 정화한 첨전지꺼기로서의 인분슬럿지, 도축장에서 부산물로 얻어지는 정화침전 찌꺼기나 내장과 같은 도축폐기물, 각종 음식물 찌꺼기, 생선찌꺼기, 아미노산 발효부산물등의 원재료에 부재료를 혼합하고, 적정비율로 첨가하여 짧은 시간내에 적정온도에서 완전한 호기적 발효분해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부산물 비료를 농작물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료로 사용하는 중에 농작물에 해로운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장에 크게 도움을 주면서 수확량의 증대 및 품질의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고, 제조과정중에도 인력에 의한 퇴적과 환적의 병행이 요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제조시에 원재료의 내부에서 병해충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발생되는 각종가스나 악취를 효과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주위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구체화하고자 각종 부산물 비료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원재료에 질석, 제오라이트, 황토등을 250℃- 용융점이하로 열처리하여 건조분쇄한 부재료Ⅰ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혼합하고, 톱밥, 쌀겨, 술제조후에 남게되는 찌꺼기인 주정박, 및 콩(大豆)을 혼합하고 건조하여 분쇄한 부재료Ⅱ를 혼하가며, 마그네슘, 가성소다, 소석회, 깻묵, 어유(漁油), 동물성지방인 지유등을 혼합한 부재료Ⅲ을 혼가한 재료를 호기적 발효조건하에서 연속적으로 왕복교반시키고 외부공기의 유입 및 내부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촉성, 및 지속적인 발열을 유도하고 호기적 발효분해가 이루어지면서 발생되는 각종 가스를 배출정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구체화하고자 상기 제조방법에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단열재가 내부에 피복되어 발효실을 형성한 몸체와 내부에 물분사기가 설치되고 하부엔 탄소광물이 적정두께로 내장된 가스집진실이 서로 연통되게 이루어진 비료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인 장치는 단열재(10)가 내부에 피복되어 발효실(12)을 형성한 몸체(100)와, 내부에 물분사기(60)가 설치되고 탄소광물(62)이 적정두께로 하부에 내장된 가스집진실(200)이 연결관(64)에 의하여 서로 연결구성된다.
이때 탄소광물(62)은 전술한 부재료Ⅰ를 사용할 수 있다.
몸체(100)에 있어서 발효실(l2)의 상부 측벽엔 공기 유입관(14) 및 가스배출관(16)이 각각 설치되고, 공기유입관(14)은 다수의 유입공(14a)이 형성되어 공기 유입관(14)의 개방단부로부터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유입공(14a)을 통하여 발효실(12)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가스배출관(16)은 다수의 배출공(16a)이 형성되고, 가스배출관(16)의 일측단엔 배기조절밸브(18)와 가스배출기(20)를 설치하여 상기 배출공(16a)을 통하여 발효실(12)내부의 가스를 배출시켜 가스집진실(200)로 급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발효실(12)의 저면엔 다수의 가열온수관(22)을 매립설치하고, 교반날개(24)를 설치한 교반기(26)가 교반기(26)의 회전축(28)이 구동모터(M)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내장설치되며, 교반날개(24)는 교반횡간(24a) 및 교반종간(24b)이 결합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교반기(26)의 회전축(28)은 몸체(100)의 양측에 설치된 왕복이송기구(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설치되고, 몸체(100)의 양측에 설치된 장공(32)의 길이범위내에서 왕복이송기구(30)는 몸체(100)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레일(34)을 타고 회전축(28)과 함께 왕복이송될수 있게 설치된다.
왕복 이송기구(30)는 외측프레임(36)의 중앙에 회전축(2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축(28)의 양측에 풀리(38)(40)를 각각 축설하며, 외측프레임(36)의 일측엔 정역전이 가능하고 감속이 이루어지는 구동모터(M)를 설치하고, 외측프레임(36)의 양측엔 이송휘일(42,44)을 각각 축설하되 이송휘일(42)의 회전축(46)엔 풀리(48)를 설치하여 이루어져, 구동모터(M)의 작동시엔 구동벨트(50)에 의하여 회전축(28)을 회전시켜 교반기(26)를 작동시키고, 구동밸브(52)에 의하여 이송휘일(42)을 회전시켜 이송휘일(42,44)이 가이드레일(34)을 타고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가이드레일(34)의 양측엔 감지스위치(54)와 타이머(56)가 각각 설치되어 교반기(26)와 함께 왕복이송기구(30)가 왕복이송될수 있게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66은 투입구, 68은 비료배출구, 70은 발효실온도표시기, 72는 가열온수관(22)의 온도조절기, 74는 가스집진실(12)의 정화공기배출구, 76은 가스집진실(12)의 정화수배출구, 78은 장공(32)의 차단목적으로 부착되고 가용성를 갖도록 한 밀폐커튼을 각각 나타낸다.
다음은 전술한 제조장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재료의 경우엔 계분, 돈분, 우분, 인분슬럿지, 도축폐기물, 음식찌꺼기, 아미노산부산물등을 사용하므로 거의 액체 상태로 수분이 많고 농축되어 있으며, 그 원재료의 특성상 응집력이 강한 질소화합물로서 발효분해가 안되거나 지연되게 되며, 산소가 적은 상태로서 환원적인 발효부숙시엔 미숙되고, 산소가 많은 상태로서 산화적인 발효부식시엔 유기산 또는 초산집적으로 산성화를 강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폐기물들은 발효시 탄소부족으로 발열이 이루어질 수 없고, 효소의 부족으로 분해가 잘 안되어 각종 악취가스를 다량 발생시키게 될뿐아니라 토양의 오염이나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리하여 원재료엔 각종가스를 흡수시키기 위한 흡착성과 원재료에 액체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과 각종 비료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흡비성이 풍부하고, 질석, 제오라이트, 황토를 주재료로한 부재료Ⅰ를 혼합시켜 원재료에 있어서, 응집력의 완화와 수분조절이 이루어지면서 탄소원과의 작용으로 각종 가스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같이 원재료에 부재료Ⅰ를 혼합하고 부재료Ⅱ를 혼가하면 다량의 효소원료를 얻게된다.
즉, 부재료Ⅱ로 사용하는 톱밥, 쌀겨, 주정박, 콩에 있어서, 톱밥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 쌀겨에서는 전분분해효소(AMYLASE), 주정박에서는 지방분해효소(LIPASE), 콩에서는 탄수화물분해효소(MALTASE)를 각각 얻을 수 있으므로, 충분한 효소분해작용을 하게된다.
또한 부재료Ⅲ으로서 마그네슘, 가송소다, 소석회, 깻묵, 어유, 지유등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주원료에 따라 하나의 물질 또는 2개이상의 물질을 혼가하여 중화반응과 함께 발열분해촉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즉, 부재료Ⅲ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그 특성상 마그네슘은 당분분해를 촉진시켜 전분분해 효소에 활성화를 기하게 되고, 가성소다는 지질분해를 촉진시켜 지방분해효소화를 기하게 되며, 소석회는 섬유질 및 단백질을 분해촉진시켜 지방분해효소화와 탄수화물분해 효소화를 기하는 한편, 깻묵, 어유, 지유등은 섬유소 및 단백질에 열량을 공급하여 효소촉매작용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계속적인 열량보급과 아울러 발효분해시간을 원활하게 단축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비료제조방법은 원재료로 사용되는 계분, 아미노산부산물, 인분슬럿지, 돈분, 도축폐기물, 음식찌꺼기, 우분중 어느하나를 원재료로 하고, 질석, 제오라이트, 황토를 열처리 분쇄한것중 어느하나를 부재료Ⅰ로하며, 톱밥, 쌀겨, 주정박, 콩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부재료Ⅱ로 하는 한편, 마그네슘, 가성소다, 소석회, 깻묵, 어유, 지유중 어느하나 이상을 부재료Ⅲ으로 하여 상기 원재료에 상기 부재료Ⅰ을 혼합하고, 상기 부재료Ⅱ를 혼가하며, 상기 부재료Ⅲ을 혼가한 다음 호기적 발효조건으로 발효시켜 비료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발효시키는 과정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재료, 부재료Ⅰ, 부재료Ⅱ 및 부재료Ⅲ를 밀폐공간에서 가열하면서 적정 비율로 교반혼합하되, 호기적 발효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발효개시후 10시간내에 발효온도가 40℃-50℃로 유지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에 의한 자체발열은 온도상승이 이루어지면서 NH3가 발생하기 시작하며 발효개시 24시간후엔 발효분해 온도가 최고 60℃-70℃로 상승되었다가 하강하고, NH3발생량도 60PPM으로 상승유지되었다가 하강하여 수분탈수와 함께 발효개시 36시간후엔 발효분해가 완료되고, NH3발생량도 종료되어 밀폐공간내부온도가 35℃-40℃ 상태에서 비료의 제조가 완성되게 된다.
물론, 제5도에 도시한 그래프는 호기적 발효조건에서 이루어지는 발효과정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때, 발효과정에 본 발명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하여 장치에 대한 작동과정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호기적 발효조건을 부여하고자 원재료, 부재료Ⅰ, 부재료II 및 부재료III를 적정비율로 투입구(66)를 통하여 발효실(12)내부로 투입하고 투입구(66)를 완전히 닫고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면 회전축(28)에 벨트(50)에 의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회전축(28)이 회전하면서 교반기(26)가 작동되어 발효실(12)내부에 투입된 재료를 교반날개(24)가 교반혼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왕복이송기구(30)도 작동하게 되는데 구동밸트(52)에 의하여 이송휘일(42)를 회전시키면 왕복이송기구(30)역시 가이드레일(34)을 타고 움직이게 되는데 가이드레일(34)의 양측에 설치된 감지스위치(54)에 의하여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다가 다시 타측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결국 교반기(26)와 함께 왕복이송이 이루어져, 교반기(26)는 발효실(12)내부에서 재료를 혼합하면서 왕복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발효실(12)의 저부에 형성된 온수관(22)을 이용하여 재료를 가열시킬 수 있고, 발효실(12)내부온도를 인위적으로 상승시켜 호기적발효조건을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가스배출기(20)를 작동시키면 발효실(12)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관(16)의 배출공(16a)을 통하여 연결관(64)을 경유 가스집진실(200)로 급송시키고 이에 따라 발효실(12)내부엔 부압이 형성되어 외부에 있던 공기는 공기유입관(14)의 공기유입공(14a)을 거쳐 발효실(12)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발효실(12)내부의 가스는 가스집진실(200)로 배출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재료에 산소를 공급하는 교류가 이루어지게 되고, 재료는 교반혼합과 함께 호기적 발효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가스배출기(20)에 의하여 연결관(64)을 경유 가스집진실(200)로 유입된 가스는 가스집진실(200)의 내부에 설치된 물 분사기(60)를 가동시켜 분사된 물입자에 상기 가스가 친화력을 가지고 있어 용해 혼합되고 물입자와 함께 낙하하며, 용해된물은 탄소광물(62)을 통과하면서 가스용해물은 탄소광물(76)에 흡착되고 정화된 물만 배출구(7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물입자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만이 배출구(7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외부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효실(12)내부의 온도는 35℃-55℃를 유지함이 바람직한데, 발효실 온도표시기(70)를 보고 내부온도를 점검하면서 가스배출기(20)의 배기조절밸브(18)와 온도조절기(72)를 이용하여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가열관(22)의 온도는 45℃-60℃를 유지함이 바람직 하다.
다음은 본 발명인 제조방법을 제조장치를 이용하며 제조되는 공정을 실시예별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계분을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생계분 300KG ; 56중량%
* 부재료Ⅰ: 질석 200KG(250℃-500℃에서 열처리한것) ; 37중량%
* 부재료II : 25KG(톱밥 12KG +쌀겨6KG +술찌꺼기 15KG +콩 1.2KG을 혼합건조분쇄한것) ; 5중량%
* 부재료Ⅲ : 소석회 10KG ; 2중량%
* 제조공정 : 상기 재료를 전체 혼합하면서 발효실(12)에 넣고 투입구(66)를 폐쇄한 다음, 가열탱크 온도조절기(72)로 가열온도 50℃로 조절한 다음 교반기(26)와 왕복이송기구(30)를 작동시켜 왕복 교반을 연속하면 점차 온도가 상승하여 발효실 온도 표시기(70)가 45℃로 상승할때 가스배출기를 작동시켜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배기조절밸브(18)로 환풍 배기량을 조절하여 발효실온도표시기(70)가 40℃를 유지하도록 하강조절한다음 계속 가동시키되 발효실온도표시기(70)가 50℃로 상승하면 NH3가 발생하므로 집진실(200)내의 불분사기(60)를 작동시켜 환풍배기가스를 정화배출하면서 계속가동하게 되면 온도가 상승했다가 다시 하강하여 NH3발생이 종료되고 발효실온도표시기(70)가 40℃ 이하로 하강했을때 발효완숙이 완료된 것이므로 이를 계분완숙 비료로 제품화 한다.
* 공정소요시간 : 약 33시간
[실시예 2]
[아미노산 부산물을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아미노산 부산물 300KG ; 56중량%
* 부재료Ⅰ: 제오라이트 200KG(가열건조 분쇄한것) ; 37중량%
* 부재료Ⅱ : 30KG(톱밥 24KG +쌀겨 6KG +술찌꺼기 10KG +콩 800KG을 혼합건조 분쇄한것) ; 6중량%
* 부재료Ⅲ : 마그네슘 5KG + R가송소다 100G ; 1중량%
* 제조공정 :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가열탱크 온도 조절기(72)의 가열온도를 40℃로 조절교반작동후 발효실 온도 표시기(70)가 40℃로 상승할때, 환풍개시하고 발효실 온도표시기(70)를 35℃로 조절하여 제조하는 점만 상이하다.
* 공정시간 : 약 36시간
[실시예 3]
[인분슬럿지를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인분 슬럿지 400KG ; 78중량%
* 부재료Ⅰ: 황토 100KG(온도 250℃-500℃에서 열처리 건조분쇄한것) ; 20중량%
* 부재료Ⅱ : 3KG(톱밥 5KG +쌀겨 3KG +술찌꺼기 1KG +콩 300G을 혼합 건조 분쇄한것) ; 1.6중량%
* 부재료Ⅲ : 지유 2KG ; 0.4중량%
* 제조공정 :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다.
* 공정시간 : 약 30시간
[실시예 4]
[돈분을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생돈분 300KG ; 63중량%
* 부재료 : 질석 150KG(온도 500℃-750℃에서 열처리건조분쇄한것) ; 31중량%
* 부재료Ⅱ : 16.2KG(톱밥 6KG +쌀겨 12KG +술찌꺼기 2KG +콩 200G을 혼합 건조 분쇄한것 ; 4중량%
* 부재료Ⅲ : 소석회 10KG ; 2중량%
* 제조공정 : 실시예 1과 동일하다.
* 공정시간 : 약 35시간
[실시예 5]
[도축폐기물을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도축폐기물 300KG ; 56.6중량%
* 부재료Ⅰ: 제오라이트 200KG(가열건조 분쇄한것) ; 37.6중량%
* 부재료Ⅱ : 30KG(톱밥 24KG +쌀겨 6KG +술찌꺼기 10KG +콩 1KG을 혼합건조분쇄한것) ; 5.7중량%
* 부재료Ⅲ : 가성소다 300G ; 0.1중량%
* 제조공정 : 실시예 1과 동일하되, 가열탱크 온도 조절기(72)의 가열온도 60℃로 조절, 교반 작동후 발효실 온도표시기(70)가 55℃로 상승할때 환풍개시와 발효실 온도 표시기(70)가 50℃로 하강 조절하는 점만 상이하다.
* 공정시간 : 약 35시간 30분
[실시예 6]
[음식찌꺼기를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음식 찌꺼기 300KG ; 55중량%
* 부재료Ⅰ: 질석분 200KG(질석건축 단열재 제조후 분리된 부산물) ; 37중량%
* 부재료Ⅱ : 20KG(톱밥 6KG +쌀겨 6KG +술찌꺼기 12KG +콩 1KG을 혼합건조분쇄한 것) ; 4중량%
* 부재료Ⅲ : 소석회 21KG ; 4중량%
* 제조공정 : 실시예 1과 동일함
* 공정시간 : 약 36시간
[실시예 7]
[우분을 원재료로 사용한 경우]
* 원재료 : 우분400KG ; 75.2중량%
* 부재료Ⅰ: 황토분 100KG(온도 500℃-750℃로 열처리 건조 분쇄한것) ; 18.8중량%
* 부재료Ⅱ : 30KG(톱밥 24KG +쌀겨 6KG +술찌꺼기 6KG +콩200KG을 혼합건조분쇄한 것) ; 5.6중량%
* 부재료Ⅲ : 어유 2KG +가성소다 100G ; 0.4중량%
* 제조공정 : 실시예 2와 동일함
* 공정시간 : 약 30시간 30분
[실시예 8]
[아미노산 발효 부산물을 원재료로 사용한 다른 경우]
* 원재료 : 아미노산 발효 부산물 300KG ; 47중량%
* 부재료Ⅰ: 황토 300KG(온도 500℃-750℃ 열처리건조분쇄한것) ; 47중량%
* 부재료Ⅱ : 30KG(실시예 2와 동일) ; 4중량%
* 부재료Ⅲ : 마그네슘 10KG ; 2중량%
* 제조공정 : 실시예 2와 동일함
* 공정시간 : 약 33시간
[실시예 9]
[인분슬럿지를 원재료로 사용한 다른 경우]
* 원재료 : 인분슬럿지 400KG ; 78.0중량%
* 부재료Ⅰ : 질석 100KG(질석 단열재 제조후 부산물) ; 19.5중량%
* 부재료Ⅱ : 10KG(실시예 2와 동일) ; 1.9중량%
* 부재료Ⅲ : 깻묵 2KG + 지유 1KG ; 0.6중량%
* 제조공정 : 실시예 5와 동일함
* 공정시간 : 약 28시간
다음 도표 1은 상기 여러제조 실시예에 의한 비료성분 분석표이다.
[도표 1] (성분분석표) 단위 : %
# 기타 칼슘, 마그네슘 및 미량요소들이 충분히 함유되어 있음.(단, 원재료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따라 약간의 함량 변화가 있었음)
다음 도표 2는 본원의 토양 개량 효과로서 토양의 PH변화 시험비교표이다.
[도표 2] (토양 PH 변화시험비교표)
도표 2의 상기 토양 PH변화 시험비교표는 산도 (PH)5.6의 토양에 각각의 완숙비료를 구분하여 전면 살포후 경운기 로타리 작업을 한 상태에서 행한 결과 개시 7일후에는 소석회의 경우 PH6.6으로서 월등히 산도가 개량되었으나 점차 떨어져 종료 90일 후에는 처음의 상태인 PH5.6으로서 환원되어 산도 고정능력이 없지만 본원의 비료구는 고정능력이 월등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다음 도표 3은 본원비료 비료 시험비교표로서 산도 6.0의 토양에 투여한 후 배추 씨앗을 파종하고 비교한 결과 파종 30일후에는 순수한 계분(비교예)에 비하여 평균 포기당 중량이 떨어졌으나 그후 점차 상승하여 파종 85일 종료후에는 월등히 증가하였음을 입증한 것이며, 시험 도중 병충해도 적었고 신선도와 맛이 향상 되었다.
[도표 3] (비료시험 비교표)
다음 도표 4는 벼농사 시험 비교표이며, 개간지(처녀지)에 시험한 결과수확량이 비교구에 비하여 50% 증수 효과를 입증한 것이다.
[도표 4] (비교시험비교표)
#수확량은 천립중, 시험면적 각각 100평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돈분, 우분, 계분, 인분슬럿지, 도축폐기물, 음식물찌꺼기, 아미노산발효부산물등의 원재료 47.0-78.0중량%에 질석 제오라이트, 황토등을 250℃- 용융점 이하로 열처리하여 건조분쇄한것중 어느하나인 부재료Ⅰ18.8-47.0중량%를 혼합하고, 톱밥, 쌀겨, 주정박, 콩을 혼합건조하여 분쇄한 부재료Ⅱ 1.6-6.0중량%를 혼가하며 마그네슘, 가성소다, 소석회, 깻묵, 어유, 지유중 어느하나 이상의 부재료Ⅲ 0.1-4.0중량%를 혼가하고, 호기적 발효조건하에서 교반시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비료의 사용중에 해로운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생장 및 수확량의 증대생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인 장치의 경우 교반기(26)와 왕복이송기구(30)가 설치되어 비료의 제조중에 인력에 의한 재료의 퇴적과 환적의 병행필요성이 없이 자동적으로 교반혼합시킬 수 있으며, 밀폐된 발효실(12)내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내부에서 병해충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가스집진실(200)이 설치되므로 발생가스의 정화처리와 함께 외부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발효실(12)내부에 공기유입관(14) 및 가스배출관(16)을 설치하여 신선한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내부가스배출함에 있어 원활하게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산소의 공급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면엔 가열온수관(22)을 설치하여 원재료를 인위적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호기적 발효조건과 함께 촉성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

  1. 돈분, 우분, 계분 인분슬럿지, 도축폐기물, 음식물찌거기, 아미노산 발효부산물등의 원재료 47.0-78.0중량%에, 질석 제오라이트, 황토등을 250℃- 용융점 이하로 열처리하여 건조분쇄한것중 어느하나인 부재료Ⅰ18.8-47.0중량%를 혼합하고, 톱밥, 쌀겨, 주정박, 콩을 혼합건조하여 분쇄한 부재료Ⅱ 1.6-6.0중량%를 혼가하며, 마그네슘, 가성소다, 소석회, 깻묵, 어유, 지유중 어느하나 이상의 부재료Ⅲ 0.1-4.0중량%를 혼가하고, 호기적 발효조건하에서 교반시켜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2. 단열재(10)가 내부에 피복되어 발효실(12)을 형성한 몸체(100)와, 내부에 물분사기(50)가 설치되고 탄소광물(62)이 적정두께로 하부에 내장된 가스집진실(200)이 연결관(62)에 의거하여 서로연결구성되고, 발효실(12)의 상부엔 다수의 유입공(14a) 및 배출공(16a)이 각각 형성된 공기유입관(14) 및 가스배출관(16)이 각각 설치되고, 가스배출관(16)의 일측엔 배기조절밸브(l8)와 가스배출기(20)를 설치하며, 발효실(12)의 저면엔 다수의 가열온수관(22)을 매립설치하고, 발효실(12)내부엔 교반횡간(24a) 및 교반종간(24b)이 결합된 교반날개(24)를 설치한 교반기(26)가 회전축(2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28)은 왕복이송기구(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설치되어 구동모터(M)에 의하여 교반기(26)가 회전하면서 왕복이송기구(30)가 가이드레일(34)을 타고 상기 교반기(26)와 함께 왕복이송될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제조장치.
KR1019900020275A 1990-12-11 1990-12-11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93000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275A KR930002234B1 (ko) 1990-12-11 1990-12-11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0275A KR930002234B1 (ko) 1990-12-11 1990-12-11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973A KR920011973A (ko) 1992-07-25
KR930002234B1 true KR930002234B1 (ko) 1993-03-27

Family

ID=1930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275A KR930002234B1 (ko) 1990-12-11 1990-12-11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6583A (zh) * 2013-11-30 2014-03-12 桂平市白石洞天仙山铁皮石斛专业合作社 种植铁皮石斛的缓释肥料及生产方法
CN108101689A (zh) * 2017-12-06 2018-06-01 安徽维力拓网络科技有限公司 活性淤泥有机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187B1 (ko) * 1999-08-19 2002-08-13 형제영농조합법인 축산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KR20010047832A (ko) * 1999-11-23 2001-06-15 추용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비료 제조 방법
KR20010113583A (ko) * 2001-11-06 2001-12-28 오용묵 Fm. 퇴비 발효제
KR20030079347A (ko) * 2002-04-03 2003-10-10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재성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100686650B1 (ko) * 2005-11-17 2007-02-26 유경선 배가스내의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분뇨폐기물을 이용한환원용액제재 및 첨가제개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6583A (zh) * 2013-11-30 2014-03-12 桂平市白石洞天仙山铁皮石斛专业合作社 种植铁皮石斛的缓释肥料及生产方法
CN108101689A (zh) * 2017-12-06 2018-06-01 安徽维力拓网络科技有限公司 活性淤泥有机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973A (ko) 199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64289B (zh) 一种全自动环保型畜禽粪便高温好氧发酵设备
CN108129170B (zh) 一种环保型畜禽粪便高温好氧发酵室
CN101317625B (zh) 畜禽养殖业污染综合治理方法与专用饲料架桥剂、生物可食温垫和生物有机肥料
CN106365714A (zh) 一种新型堆肥的制备方法
RU242050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ргано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3936471A (zh) 一种以牛羊粪和麦麸为原料的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930002234B1 (ko)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845573B1 (ko) 농업용 전문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2003009848A (ja) 微生物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有機廃棄物の分解方法
CN1124244C (zh) 有机质肥料的制造方法
CN107021806A (zh) 一种猪粪的无害化处理方法
JP2002293681A (ja) バ−ク様堆肥の製造方法
KR970027028A (ko) 음식물 쓰레기와 유효 미생물균군을 주재로 유기질사료, 유기질비료, 유기질 오·폐수정화제를 제조하는 방법
JP2006026539A (ja) 有機性廃棄物の再利用処理方法
KR20050081955A (ko) 음식잔재물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퇴비의제조방법
CN106431762A (zh) 一种葡萄酸性土壤的调节方法
JP2002143896A (ja) 有機系廃棄物並びに下水汚泥若しくは畜糞又は下水汚泥及び畜糞の処理方法
CN109020664A (zh) 一种有机废弃物仓式腐熟发酵设备
CN209113779U (zh) 一种有机废弃物仓式腐熟发酵设备
KR960009050B1 (ko) 폐기물의 발효건조방법 및 장치
KR0185256B1 (ko) 열 절약형 회전식 퇴비 건조발효장치
KR19990046249A (ko) 배합사료용균체효소사료첨가제및그제법
KR20010069877A (ko)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방법
CN110143832A (zh) 一种有机肥发酵剂、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0451856B1 (ko) 축산분뇨의 퇴비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