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01A - H빔 밴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H빔 밴딩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01A
KR930002001A KR1019910012051A KR910012051A KR930002001A KR 930002001 A KR930002001 A KR 930002001A KR 1019910012051 A KR1019910012051 A KR 1019910012051A KR 910012051 A KR910012051 A KR 910012051A KR 930002001 A KR930002001 A KR 930002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ending
state
connecting ro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616B1 (ko
Inventor
박광근
Original Assignee
이희문
우일통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문, 우일통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문
Priority to KR101991001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7616B1/ko
Publication of KR930002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H빔 밴딩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발췌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주요 주성요소인 가압륜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가압륜 및 가압륜을 이루는 가압체의 발췌 사시도.

Claims (6)

  1. 체인구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2쌍의 더블헬리컬기어를 적정 간격으로 고정판상에 배열 설치하여 한조의 빔 이송수단을 이루고,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 로울러 및 받침로울러를 상기 빔 이송수단 사이의 중간부위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설치하여 가압굴곡수단을 이루며, 유압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면서 상,하,좌,우로의 유동이 허여되도록 된 1쌍의 가압륜을 상기 가압굴곡수단과 빔 이송수단의 교차지점 직상, 하방부위에 배열설치하여 H빔 중앙의 연결부 가압수단을 이루어, 고정판에 얹혀지는 직선체의 H밤 외측면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상태인 각각의 빔 이송수단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중앙부위가 가압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가압굴곡수단에 의해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빔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도록 함으로서, 직선체의 H빔이 소정의 굴곡률로 굴곡되도록 하는 한편, 연결부 가압수단을 이루는 1쌍의 가압륜으로 H빔의 연결부를 가압해 주도록 하여 굴곡되는 H빔의 내,외굴곡률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연결부가 찌그러짐현상을 효과적으로 배제함으로서, H빔 중앙의 연결부가 평평한 상태로 가압 성형되도록 하면서 호형의 H빔을 굴곡성형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밴딩방법.
  2. 체인구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 2쌍의 더블헬리컬기어를 적정간격으로 고정판상에 배열설치하여 이루어진 한조의 빔 이송장치와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 로울러 및 받침로울러를 상기 빔 이송수단 사이의 중간부위를 직교하는 상태로 배열설치하여 이루어진 가압굴곡 장치와, 유압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면서 상,하,좌,우로의 유동이 허여되도록 된 1쌍의 가압륜을 상기 가압굴곡장치와 빔 이송수단의 교차지점 직상, 하방부위에 배열설치하여 H빔 중앙의 연결부 가압장치를 조합 구성하여 고정판에 얹혀지는 직선체의 H빔 외측면이 각각의 빔 이송장치에 접촉되도록한 상태에서 그 중앙부위가 가압로울러로 이루어지는 가압굴곡장치에 의해 적절히 굴곡된 상태로 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도록 함으로서, 직선체의 H빔이 소정의 굴곡률로 굴곡되도록 하고, 연결부 가압장치를 이루는 1쌍의 가압륜으로 H빔의 연결부를 가압해 주도록 함으로서, 굴곡되는 H빔의 내,외 굴곡률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연결부의 찌그러짐현상을 배제하고, 평평한 상태로 가압 성형되도록 하여 호형의 H빔을 굴곡성형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밴딩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H빔 밴딩장치를 이루는 빔 이송장치는, 고정판(1)상에 적정간격이 유지되는 상태로 각기 축설되는 구동 헬리컬기어(4a, 5a)에 각기 2개씩의 더블헬리컬기어(4,4′),(5,5′)를 치합 상태로 축설하여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되, 각각의 구동헬리컬기어(4a, 5a)는 고정판(1) 하방에 설치되는 각각의 종동스프로켓(4b,5b)에 축설하고, 각각의 종동스프로켓(4b,5b)사이에는 구동스프로켓(6)을 갖는 모우터(7)를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각가의 종동스프로켓(4b,5b)과 구동스프로켓(6)에는 체인(8)을 걸어설치함으로서, 모우터(7)의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각각의 데블헬리컬기어(4,4′),(5,5′)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도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밴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H빔 밴딩장치를 이루는 가압굴곡장치는, 빔 이송장치를 이루는 각가의 종동스프로켓(4b,5b)사이의 중앙부위를 직교하는 상태로서 가압로울러(11)와 받침로울러(12)를 동일선상에 배열설치하여 이루되, 각각의 가압로울러(11)와 받침로울러(12)는 유압실린더(13,14)의 피스톤(15,16)에 연결된 고정구(17,18)상에서 자유롭게 회동되는 상태로 축설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밴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H빔 밴딩장치를 이루는 가압굴곡장치와 빔 이송장치의 교차부분 직상, 하방에 배열설치되는 연결부 가압장치는, 각각의 연결구(21)를 통해 유압실린더(22,23)의 피스톤(22a,23a)에 연결된 상태인 연결축(24,25)중앙에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토록된 각각에의 가압륜을 회동자재한 상태로 축설함으로서 피스톤(22a, 23a)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강압륜(26,27)의 어느한면이 굴곡대상인 H빔 중아의 연결부(3)상,하면을 가압해주는 상태로 H빔의 이송작동에 따라 동시 회동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밴딩장치.
  6. 제2항 및 제5항에 있어서, H빔 밴딩장치의 연결부 가압장치를 이루는 가압륜(26,27)은 외주면과 내주면이 일정한 원호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전,후면 및 양측면은 내주면측으로 적절히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가압체(31)를 다수개 형성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서 환테형의 가압륜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각각의 가압체(31)외주면에는 키홈(32)을 횡설하고, 내주면 중앙붕는 연결봉 삽입공(33)을 요설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봉 삽입공(33)의 내단부위를 직교하는 상태의 핀공(34)을 관통형성하여 별도 구비되는 연결봉(35)일단을 헐거운 상태로 연결봉 삽입공(33)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핀(35a)을 핀공(34)에 압입시켜 조립 결합함으로서 가압체(31)와 연결봉(35)의 상호 유동이 어느정도하여 되도록하며, 상기 연결봉(35)의 하단부에는 상면이 외주측으로부터 중심부측으로 하향경사진 연결돌부(36)를 형성하여 이루는 한편, 각각의 연결축(24,25)에 끼워지면서 가압륜의 중심체 구실을 하게되는 중심축을 상호 결합되는 볼트부(37a)와 너트부(37b)로 분리형성하여 이루되, 볼트부(37a)의 두부내측에는 연결홈부(38)를 요설 형성하여 상기 연결봉(35)의 연결돌부(35)가 헐거운 상태로 끼워지도록 하면서, 각각의 가압체(31)에 결합된 연결봉(35)을 순차적으로 조립시킨 후 너트부(37b)를 체결조립함으로서, 연결봉(35)을 통해 중심축(37)에 연결되는 각각의 가압체(31)가 환테형의 가압륜(27,27)을 이루도록하고, 중심축(37)을 이루는 볼트부(37a)와 너트부(37b)사이에는 탄성체(38a)를 개재설치하여 연결봉(35)의 유동이 어느정도 허여되도록 하는 한편, 환테형의 가압륜(26,27)을 구성하는 가압체(31)의 키홈(32)에는 적정길이의 키(39)를 삽입설치하되, 어느하나의 가압체(31)에 고정되는 키(39)의 양단부가 양측에 위치 또는 가압체의 키홈(32)중간부위까지 끼워지도록 하면서 하나의 키 (39)에 3개의 가압체(31)가 상호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각 가압체(31)의 상호 유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빔 밴딩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12051A 1991-07-15 1991-07-15 H빔 벤딩장치 KR93000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051A KR930007616B1 (ko) 1991-07-15 1991-07-15 H빔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051A KR930007616B1 (ko) 1991-07-15 1991-07-15 H빔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001A true KR930002001A (ko) 1993-02-22
KR930007616B1 KR930007616B1 (ko) 1993-08-14

Family

ID=19317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051A KR930007616B1 (ko) 1991-07-15 1991-07-15 H빔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76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3134A (zh) * 2017-09-06 2017-11-21 枣庄王晁煤矿有限责任公司 地锚制作机
CN107900626A (zh) * 2017-12-18 2018-04-13 山东黄金矿业(沂南)有限公司 一种矿用支护型材成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3989B (zh) * 2012-02-29 2014-04-16 无锡洲翔重工科技有限公司 可调式h型钢横向冷弯校正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3134A (zh) * 2017-09-06 2017-11-21 枣庄王晁煤矿有限责任公司 地锚制作机
CN107363134B (zh) * 2017-09-06 2023-10-03 枣庄王晁煤矿有限责任公司 地锚制作机
CN107900626A (zh) * 2017-12-18 2018-04-13 山东黄金矿业(沂南)有限公司 一种矿用支护型材成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616B1 (ko) 199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255740A (ja) サイレント・タイミングチェーン
ATE223309T1 (de)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zahnradspiel in getrieben
DE102006003026A1 (de) Wandelgetriebe, zur Umwandlung einer oszillierenden Bewegung in eine rotierende
KR930002001A (ko) H빔 밴딩방법 및 그 장치
US6123635A (en) Propulsion apparatus for a cycle
US3805627A (en) Compound crank mechanism and a conveyor/stacker assembly incorporating said mechanism
DE20003301U1 (de) Übungsfahrrad
ES272847Y (es) Chapon movil destinado a una maquina para cardar.
WO2001061209B1 (en) Torque transfer device
EP0086762A2 (en) Power transmission chain
DE4137078C2 (de)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Fahrrad oder dergleichen
CN219529709U (zh) 一种能够快速拆卸的链片结构
US4668210A (en) V-belt
US20030032512A1 (en) Chain driving means of round shaped stick
FI90321C (fi) Jatkuvatoiminen laite puristus- tai vetovoiman kohdistamiseksi laitteen suhteen syötettävään kappaleeseen
KR970005691Y1 (ko) 다목적 차량용 전동장치의 벨트선택 구동시스템
KR200374231Y1 (ko) 자전거용 크랭크 로드
WO1997031815A1 (en) Propulsion system for bicycles
CN2182906Y (zh) 往复式驱动机构
SU1610142A1 (ru) Передача с гибкой св зью
SU1747774A1 (ru) Ременна передача М.С.Тривайло
KR200418845Y1 (ko) 체인레크
JP2000120823A (ja) 柱状ラックを用いて直線運動を回転駆動に換える装置
SU1735641A1 (ru) Цепь
RU1781032C (ru) Секционный подающий вале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