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574Y1 - 유체 이음구 - Google Patents

유체 이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74Y1
KR930001574Y1 KR2019890008288U KR890008288U KR930001574Y1 KR 930001574 Y1 KR930001574 Y1 KR 930001574Y1 KR 2019890008288 U KR2019890008288 U KR 2019890008288U KR 890008288 U KR890008288 U KR 890008288U KR 930001574 Y1 KR930001574 Y1 KR 930001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lock ball
sleev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180U (ko
Inventor
레이찌 마끼시마
요시가즈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이음구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유체 이음구의 각기 분리상태 및 접속상태의 1/4 부분에 대한 종단측면도.
제3는 제2도의 원구획내의 확대도.
제4도는 종래의 유체 이음구의 로크 기구의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체 이음구 11 : 소켓
12 : 유체통과구멍 5 : 플러그삽입부
16 : 소켓주통부 17 : 로크볼
19 : 슬리브 19c : 테이퍼면
24 : 원통공간 31 : 플러그
32 : 유체통과구멍 36 : 소켓으로의 삽입부
37 : 로크볼걸어맞춤홈 37a : 플러그선단측의 홈벽면
ℓ : 중심축선 α : 테이퍼면의 중심축선에 대한 테이퍼각도
β : 홈벽면 각도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유체배관을 연장, 분기, 집합등을 할 경우에 이용되는 유체 이음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유체 배관의 연장, 분기, 집합등을 할 경우에 이용되는 종래의 신속한 유체 이음구는 소켓과 플러그의 접속시에 양자를 걸림상태로 하기 위한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상호삽입에 의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통하여 양자를 접속, 분리 가능하게 한 것으로, 소켓과 플러그의 접촉면에는 유체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링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로크기구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켓(161)의 주통부(162)에 형성된 테이퍼구멍(163)에 반경 방향으로 전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진 로크볼(165)과, 상기 주통부(162)의 외주에 축중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또 코일스프링(166)에 의하여 주통부(162)의 선단(우단에 도시됨) 방향으로 가세된 상태의 로크볼 조작용 슬리브(167)와, 상기 플러그(171)의 소켓으로의 삽입부(172)의 외주에 형성된 플러그 걸어맞춤홈(173)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167)의 내주면부에 형성된 내향돌출부(168)로 상기 로크볼(165)을 축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누르며, 플러그의 상기 걸어맞춤홈(173)에 걸리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유체이음구는 소켓과 플러그를 접속 또는 분리시킬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슬리브를 뒷쪽으로 이동시키고 로크볼을 일단 자유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용도에 따라서는 슬리브를 조작하지 않고도 소켓과 플러그가 접속되며,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일정량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슬리브를 조작하지 않고도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예를들면 간편하게 접속가능하고, 또한 일정하중 분리형 유체 이음구로서 중요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과제에 착안하여, 슬리브를 조작함이 없이, 소켓과 플러그를 보다 더 간편하게 접속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슬리브를 가세하는 코일스프링의 하중을 제어하는 것으로 접속 및 분리시의 부하를 조정할 수 있는 유체 이음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유체통과구멍을 가지며 또한 유체통과구멍과 대략 동심상태로 연통하는 플러그의 삽입부를 가진 소켓과, 유체통과구멍을 가지며 또한 이 유체통과구멍과 대략 동심상태의 소켓으로의 삽입부를 가진 플러그와,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접속시에 양자를 걸림상태로 하기 위한 슬리브 및 로크볼과 로크볼 걸어맞춤홈으로 된 로크 기구를 통하여 양자를 접속, 분리 가능하게 한 유체 이음구에 있어서, 소켓에 설치한 상기 로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크볼을 소켓 주통부의 외주면에서 상시 돌출하도록 수용하고, 또한 이 기구의 슬리브의 플러그측 개구단의 내주면에는 소켓주통부와 동심의 원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의 내부에는 주통부의 중심축선에 대한 각도(α)가 45°보다 큰 예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며, 한편, 상기 플러그의 로크볼 걸어맞춤 홈의 플러그 선단측의 홈벽면각도(β)를 플러그 주통부의 주심축선에 대하여 45°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한 구조로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유체이음구에서는 분리상태에 있는 소켓과 플러그를 접속함에 있어서,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플러그 선단의 테이퍼면이 로크볼을 방사상 방향으로 압출시키고, 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슬리브를 자동적으로 쪽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소켓에 대해 플러그는 슬리브를 수동조작하지 않고도 끼워넣을 수 있고, 또한 삽입이 끝나면 로크볼이 플러그의 걸어맞춤홈에 걸려서 소켓과 플러그 접속상태가 된다. 또한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함에 있어서, 양자간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면, 이 조작에 의한 힘의 분력이 플러그의 로크볼 걸어맞춤홈의 플러그 선단측의 홈벽면의 작용에 의하여 로크볼에 전달된다. 이 홈벽면은 플러그 주통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45°보다 작은 각도(β)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볼은 이 홈벽면을 따라 원심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슬리브의 테이퍼면은 소켓 주통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45°보다 큰 각도(α)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볼이 원심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로크볼은 슬리브를 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제2도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록크볼이 이동하는데 필요한 슬리브의 통형공간은 점차로 커지게 되어, 로크볼이 로크볼 걸어맞춤홈에서 벗어나게 되어 소켓과 플러그는 분리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유체이음구(1)가 소켓(11)과 플러그(3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종래의 것과 다를바 없다.
소켓(11)은 그 축중심부에 유체통과구멍(12)을 가지며, 후부(플러그(31)와는 반대측)에는 부착용의 수나사부(13) 및 시일용의 O링(14)이 있고, 전부(플러그(31)측)에는 상기 유체통과구멍(12)과 동심상태로 연통하는 플러그삽입부(15)를 가지고 있다.
이 플러그 삽입부(15)를 갖는 소켓주통부(16)에는 동일원주방향의 네곳에 로크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크볼(17)의 수용구멍(18)이 구심방향이 작은 직경이며 원심방향으로 갈수록 큰 직경이 되는 테이퍼 구멍(원추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통부(16)의 외주측에는 로크 기구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슬리브(19)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고, 이 주통부(16)의 후부측 외주에 설치된 스톱링(21)에서 이탈 방지된 가이드링(22)과 슬리브(19)의 내주측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벽(19a)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2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9)의 내주에는 상기 주통부(16)에 대하여 슬라이딩면(19b)에 연속하여 플러그측을 향하여 개구된 원통공간(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24)의 내부에는 테이퍼면(19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퍼면(19c)은 제3도에서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주통부(16)의 중심축선(ℓ, 제3도에서는 중심축선(ℓ)에 평행한 가상선(m))에 대한 각도(α)가 45°보다 큰 예각으로 형성되고, 이 테이퍼면(19c)에 의하여 상기 로크볼(17)을 구심방향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통부(16)의 선단부 외주면에는 슬리브(19)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형 플랜지(25)의 선단내부면에는 플러그 중심조정용 테이퍼면(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플러그 삽입부(15)의 내부에는 별개의 테이퍼면(27)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O링 끼워맞춤홈(28)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 끼워맞춤홈(28) 내에는 소켓(11)과 플러그(31)를 접속시킬때에 플러그(31)의 선단외주에 접촉하여 시일하는 소위 측면시일방식의 O링(29)이 끼워넣어져 있다.
플러그(31)는 그 축중심부에 소켓(11)의 유체통과구멍(12)과 연통하는 유체통과구멍(32)을 가지며, 후부(소켓(11)과는 반대측)에는 수나사(31a)를 설치하여 너트(33)가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플러그(31)의 전부(소켓(11)측)에 형성되어 있는 소켓으로의 삽입부(36)의 외주에는 상기 로크볼(17)을 걸리게 하는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11)측의 홈벽면(37a)의 중심축선(ℓ, 제3도에서는 중심축선(ℓ)에 평행한 가상선(n)에 대한 테이퍼각도(β)가 45°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의 홈저면(37c)은 소켓(11)을 접속할때, 로크볼(17)이 접속하지 아니하는 깊이의 치수로 설정된다. 이 플러그(31)의 소켓으로의 삽입부(36)의 외주에는 소켓(11)이 있는 중심조정용 테이퍼면(26)에 적합한 동일각도의 중심조정용 테이퍼면(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39는 로크볼을 조작하기 위한 테이퍼면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유체이음구(1)의 소켓(11)과 플러그(31)를 접속할 경우에는 제1도의 소켓(11)과 플러그(31)가 분리상태에 있을 때, 플러그(31)를 소켓(11)의 플러그 삽입부(15)내로 끼워 넣는다.
이때, 우선 플러그(31)의 테이퍼면(39)이 로크볼(17)에 접하게 된다.
플러그를 다시 밀어넣으면 플러그(31)의 완만한 테이퍼면(39)에 의하여 로크볼(17)은 원심방향으로 눌려져서 슬리브(19)의 내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19c)을 눌러 압축코일 스프링(23)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슬리브(19)를 제1도 좌방향으로 밀어 내린다. 이 결과로, 슬리브(19)의 테이퍼면(19c)과 소켓주통부(16)의 외주면 사이에 로크볼 해방용의 큰 원통공간(24)이 생기고, 이 공간내로 로크볼(17)의 일부가 돌출하게 된다. 계속하여 로크볼 수용구멍(18)과 플러그(31)의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이 대략 일치되면, 로크볼(17)은 걸어맞춤홈(37)에 끼워넣어지고, 슬리브(19)는 압축코일스프링(23)의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제1도 우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볼(17)은 테이퍼면(19c)에 의하여 로크볼 수용구멍(18)내로 구심방향으로 눌려져서 플러그의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의 한 홈벽면(37a)을 눌러서 플러그(31)를 그 삽입방향(제2도 좌방향)으로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소켓(11)의 중심조정용 테이퍼면(26)과 플러그(31)의 중심조정용 테이퍼면(38)이 접촉하고, 다른쪽에서는 플러그(31)의 선단부외주면이 소켓(11)의 내부에 설치한 시일링(29)에 의하여 시일되어서, 완전 접속상태가 된다. 이 완전접속 상태에 있어서, 로크볼(17)은 플러그(31)의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의 다른 홈벽면(37b) 및 홈 저면(37c)에 접촉하는 일이 없으므로, 플러그(31)의 삽입방향으로의 누르는 힘은 압축코일 스프링(23)의 반발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다음은 상기 접속상태에 있는 소켓(11)과 플러그(31)를 분리할 경우에, 슬리브(19)를 조작하는 일없이 소켓(11)과 플러그(31)를 소정의 힘으로 분리하는 조작을 하면 된다. 이 조작에 의한 인장력의 분력이 상기 플러그(31)의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의 한 홈벽면(37a)에 의하여 로크볼(17)을 원심방향으로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로크볼(17)을 소켓주통부(16)의 외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 로크볼(17)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원심방향으로의 분력이 슬리브(19)의 테이퍼면(19c)에 큰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하고, 슬리브(19)는 압축코일스프링(23)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제2도 좌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로크볼(17)은 자유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슬리브(19)를 조작하는 일없이 소켓(11)과 플러그(31)를 분리할 수가 있다.
고안에 의한 유체 이음구는 소켓에 설치한 로크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크볼을 소켓 주통부의 외주면에서 상시 돌출되도록 수용하고, 또한 이 기구의 슬리브의 플러그측 개구단의 내주면에는 소켓 주통부와 동심의 원통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의 내부에는 주통부의 중심축선에 대한 각도(α) 가 45°보다 큰 예각의 테이퍼면을 형성하며, 한편 상기 플러그의 로크볼 걸어맞춤홈의 플러그 선단측의 홈벽면각도(β)를 플러그 주통부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45°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소요되는 인장력만으로서 슬리이브 조작을 행하는 일 없이 소켓과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에 대하여 플러그를 밀어 넣는 것만으로, 플러그 선단의 테이퍼면이 로크볼을 방사상으로 밀어내며, 이 로크볼이 코일스프링의 탄성반발력에 저항하여 슬리브를 후퇴시키도록 작용하므로 슬리브를 수동조작하지 않고도 소켓과 플러그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리브를 가세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의 하중을 제어하므로써, 소켓에 대한 플러그의 삽입하중 및 소켓에서 플러그가 분리되는 하중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체이음구에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에 소켓과 플러그가 자동적으로 분리되고, 유체로를 폐쇄하여 유체누설방지등 그 용도는 다양하다.
따라서, 예를들면 손이 닿지않는 부분이나 사람이 입실하기가 곤란한 장소에서 이 유체 이음구를 사용할 경우, 또는 유체 이음구의 취급이 용이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분리하는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작업능률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어서, 본 고안의 실용적 가치는 매우 큰 것이다.

Claims (1)

  1. 유체통과구멍(12)을 가지며, 이 유체통과구멍(12)과 대략 동심상태로 연통하는 플러그(31)의 삽입부(15)를 가진 소켓(11)과, 유체통과구멍(32)을 가지며, 이 유체통과구멍(32)과 대략 동심상태의 소켓(11)으로의 삽입부(36)를 가진 플러그(31)와, 상기 소켓(11)과 플러그(31)의 접속시에 양자를 걸림상태로 하기 위한 슬리브(19) 및 로크볼(17)과 로크볼 걸어맞춤홈(37)으로 구성된 로크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소켓(11)과 플러그(31)의 상호삽입에 의하여 상기 로크 기구를 통하여 양자를 접속, 분리 가능하게 한 유체 이음구(1)에 있어서, 소켓(11)에 설치한 상기 로크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로크볼(7)을, 소켓 주통부(16)의 외주면에서 항시 돌출하도록 수용하고, 또한 이 기구의 슬리브(19)의 플러그측 개구단의 내주면에는 소켓주통부(16)와 동심의 원통공간(24)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공간(24)의 내부에는 주통부(16)의 중심축선(ℓ)에 대한 각도(α)가 45°보다 큰 예각의 테이퍼면(19c)을 형성하며, 한편, 상기 플러그(31)의 로크볼 걸어맞춤홈(37)의 플러그 선단측의 홈벽면각도(β)를 플러그 주통부의 중심축선(ℓ)에 대하여 45°또한 이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이음구.
KR2019890008288U 1988-07-11 1989-06-15 유체 이음구 KR9300015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091617U JPH0212592U (ko) 1988-07-11 1988-07-11
JP9167[U] 1988-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180U KR900003180U (ko) 1990-02-07
KR930001574Y1 true KR930001574Y1 (ko) 1993-04-03

Family

ID=1403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288U KR930001574Y1 (ko) 1988-07-11 1989-06-15 유체 이음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212592U (ko)
KR (1) KR9300015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180U (ko) 1990-02-07
JPH0212592U (ko) 199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639B1 (ko) 신속 연결 커플링
US5709243A (en) Low spill female coupling
CA2006954C (en) Refrigeration coupling
KR970000889Y1 (ko) 관이음구
KR100894664B1 (ko) 신속 연결 커플링
EP0862010B1 (en) Quick-release coupling
US4598896A (en) Quick disconnect coupling
GB2283069A (en) Socket of pipe joint
US5775738A (en) Means of coupling of non-threaded connections
US3423110A (en) Quick-connective coupling
JP2003056779A (ja) 平型急速継ぎ手
KR930001574Y1 (ko) 유체 이음구
US6206435B1 (en) Quick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tube to a rigid endpiece
US4988129A (en) Fluid pipe coupling
WO1994007077A1 (en) Means of coupling of non-threaded connections
AU697154B2 (en) Low spill female coupling
KR930001575Y1 (ko) 중심조정용 유체 이음구
JPH07208673A (ja) 管継手
CN220396853U (zh) 快速接头结构
US5022630A (en) Pipe connector for a high-pressure fluid pipe
US4118006A (en) Socket assembly
KR930006369Y1 (ko) 관 커플링 소켓
KR930006370Y1 (ko) 관 커플링 소켓
KR930003266Y1 (ko) 유체 접속구의 소켓
KR930003273Y1 (ko) 유체 배관용 연결관(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