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572Y1 - 배관 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 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72Y1
KR930001572Y1 KR2019890013851U KR890013851U KR930001572Y1 KR 930001572 Y1 KR930001572 Y1 KR 930001572Y1 KR 2019890013851 U KR2019890013851 U KR 2019890013851U KR 890013851 U KR890013851 U KR 890013851U KR 930001572 Y1 KR930001572 Y1 KR 930001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ug
socket
lock
pip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013U (ko
Inventor
미노루 가네꼬
다까히로 도이
Original Assignee
닛또 고오끼 가부시끼기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오끼 가부시끼기가이샤, 미끼야 도시오 filed Critical 닛또 고오끼 가부시끼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90013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1572Y1/ko
Publication of KR910006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관 접속 시스템
제1a도, 제1b도는 소케트와 플러그가 동축 관계를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a도, 제2b도는 상기 소케트와 플러그의 사반분 절단 정면도.
제3도는 소케트와 플러그가 접속되고 로크 보올이 로크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반분 절단 정면도.
제3a도는 제3도의 로크 보올과 로크 보올 조작통의 관게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소케트와 플러그가 접속되고 소케트 밸브가 개방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반분 절단 정면도.
제5a도, 제5b도는 본 고안의 배관 접속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케트 2 : 플러그
10 : 소케트 주통체 12 : 로크 보올
13 : 로크 보올 조작통 14 : 로크 핀
15 : 내부 통체 17 : 내부 통체 조작동
19, 23 : 압축 코일 스프링 20 : 가이드 통
21 : 밸브 샤프트 22, 28, 29 : 스톱 링
24, 25 : 링 패킹 27 : 너트
30 : 어댑터 32 : 플러그 통체
33 : 캡 너트 35 : 가스 배관
36 : 급수 배관 37 : 급온수 배관
100 : 물을 끓이는 기구 161, 162, 311, 312 : O링
181, 182 : 조작 나사 321 : 원주 홈
본 고안은 배관용, 특히 벽면등에 고정된 배관에 대해 가스로 물을 끓이는 기구등을 접속하는데 적합한 관이음매용 소케트와 플러그를 사용하는 배관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로 물을 끓이는 기구 등의 기구류나 게이트 밸브, 코크류를 달기 위산 배관 접속은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호스나 유니언 너트 등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가스로 물을 끓이는 기구와 같이 수도배관과 가스배관이 접속을 필요로 할 경우의 배관 접속에서는 이미 벽면등에 고정된 배관과의 접속 위치 맞춤이 쉽지 않고 또한 게이트 밸브나 코크류의 부착도 필요하므로, 부착 위치 설정이나 체결 작업등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직접 접속의 곤란함때문에, 종래 플렉시블 호스나 고무 호스, 연관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최근 같이 가스로 물을 끓이는 기구까지가 키친 시스템의 일부로서 가구집기와 동등시 되게 되면 배관과 배관의 접속 볼품이 없어서 모처럼의 키친 시스템의 가치를 반감해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배관 접속이나 밸브의 개폐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관 이음매의 조작성,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해결할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러그 주통체의 외주면에 형성한 원주홈과 걸어 맞춤되거나 해체되는 로크 보올을 구원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하고, 외주면부에 이 로크 보올을 구심방향으로 누르는 면과 원심 방향에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간격을 갖는 로크 보올 조작통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자유롭게 끼워맞춘 소케트 주통체와 그 소케트 주통체내의 적합한 위치에 축심을 그 소케트 주통체 축심에 일치시켜 설치한 밸브체에 대해 근접·격리하는 밸브 시이트를 개구 선단부에 갖고 상기 소케트 주통체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 내부 통체를 갖춘 이음매의 소케트에 있어서, 회전 조작으로 상기 내부 통체를 미끄러지는 내부통체 조작통을 상기 소케트 주통체 외주면에 상기 로크 보올 조작통에 근접 시켜서 맞닿음, 이간 가능케 종대로 끼워맞추고, 또 그 양 조작통의 대향단면부에는 로크 보올 조작통쪽에 소케트 주통체의 외주면에 돌출 설치한 조작통 로크핀을 안내하는 L자형 개구 홈을, 내부 통체 조작통쪽에 상기 L자형 개구 홈 밖으로 나온 상기 조작통 로크핀을 진입시키는 개구를 각각 설치한 수단을 채용하며, 또한 관 이음매용 플러그로서 상기 관 이음매용 소케트에 삽입되는 플러그 통체의 기초부를, 외주부에 나사맞춤한 캡 너트로 어댑터에 일체로 연결하고 플러그통체와 어댑터의 접속면에 그 플러그 통체를 흔들기 가능하게 탄성 링을 끼워맞춘 수단을 채용하며 또 배관 접속 시스템으로서는 벽면이나 칸막이를 따라 또는 당해 벽등의 내부에 설치한 고정 배관의 말단부분 및/또는 그 분기관을 상향으로 하고 이들 고정 배관의 말단부분 등에 상기 관 이음매용 소케트를 플러그 삽입 구멍을 상향으로 하여 고정하고 한편 가스로 물을 끓이는 기구등 급탕 기기의 유체 유통구 단부에는 선단 부분을 하향으로 하여 상기 플러그를 고정하고 기기쪽 플러그를 상기 소케트에 대해 상방에서 꽂아 넣는 모양으로 접속하므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플러그를 접속하려면, 먼저 로크 보올 조작통을 약간 회전시켜 로크 보올 조작통의 L자형 개구 홈을 조작관 로크핀에 걸어맞추고, 로크 보올 조작통을 로크 해제(unlock)위치로 한 상태에서 플러그를 삽입하고 소케트의 로크 보올과 플러그의 보올 원주 홈을 일치시켜서 상기 로크 보올 조작통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크 보올 조작통의 조작으로 조작통 로크핀과 L자형 개구 홈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로크 보올 조작통을 상기 걸림상태에서 해방시키고, 소케트와 플러그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 접속 상태로 내부 통체 조작통을 회전시키면 내부 통체가 밸브체 개방 위치까지 미끄러져 움직이고 밸브 시이트를 밸브체에서 떨어뜨려 유체 통로를 개방한다. 이때 소케트와 플러그의 약간 축심 어긋남은 플러그와 어댑터의 접속면에 설치한 탄성 O링에 의해 흡수된다.
이하, 본 고안 소케트와 플러그를 제1a, 제1b도, 제2a도, 제2b도, 제3a도, 제3b도 및 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1은 소케트, 10은 소케트(1)의 주통체, 2는 플러그, 32는 플러그 통체로, 소케트 주통체(10)의 플러그 통체 삽입단쪽에는 수나사(102)가 절삭되고 수나사(102)에는 너트(27)가 나사 부착되어 벽면등에 적당히 고정된 위치 결정판(271)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그 하부에 있는 상기 소케트 주통체(10)의 플러그 통체 삽입 단쪽의 외주면부에는 외주면쪽을 큰 지름으로 하고 내주면쪽을 작은 지름으로한 테이퍼 구멍(101)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 구멍(101)에는 로크 보올(12)이 구심방향으로 출몰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으며 소케트 주통체(10)의 바깥쪽에 장착되어 있는 로크 보올 조작통(13)이 압축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로크 보올(12) 위로 밀리면 로크 보올(12)을 로크 상태로 한다(제3도). 로크 보올 조작통(13)이 장착되어 있는 소케트 주통체(10)의 외주면 부분의 적합한 위치에 로크핀(14)이 꽂혀 있으며, 이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압축 코일 스프링(19)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로크 보올 조작통(13)에 형성한 L자형 개구홈(131)을 상기 로크 핀(14)에 걸음으로써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로크 해제 상태로 유지해 둘 수 있게 되어 있다. 로크 핀(14)이 꽂혀 있는 부위에서 아래쪽 소케트 주통체(10)의 외벽에 거의 S자형 구멍(103)이 좌우 2개소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11은 접속통으로, 2단으로 형성된 소경부 외주에는 다른 배관과 접속하기 위한 수나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대경부 내측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거의 S자형 구멍(103)의 아래쪽 소케트 주통체(10) 외주면 부분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고 있다. 게다가, 이 나사결합 부분에 있어서 접속통(11)의 대경부 내면과 주통체(10)의 외주면은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접속통(11)의 외주 중앙 부근에 형성한 원주홈(113)에는 내부 통체 조작통(17)의 최후퇴 위치를 정하기 위한 스톱링(분할링)(28)이 장착되어 있다. 112는 이 스톱링(28)을 별도 위치에 장착시키기 위해 이 링의 끼워맞춤 원주홈(113)과 평행하게 접속통(11)에 설치한 별도의 원주 홈이며 이 스톱링(28)으로 상기 내부 통체 조작통(17)을 구속 상태로 유지할 때 스톱링(28)은 원주홈(112)에 끼워지고 그 조작통(17)을 해방할 때에는 다른 원주홈(113)에 바꿔 끼워진다.
15는 내부 통체로서, 소케트 주통체(10)의 축심상을 미끄럼 가능하게 소케트 주통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내부 통체(15)의 양단면 근방의 외주에는 O링 홈(153, 154)이 형성되고 각각에 O링(161, 16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중앙 부근의 외주에는 조작 나사(181, 182)의 선단이 삽입되는 홈(152)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통체(15)의 플러그 통체 삽입단쪽에는 플러그 통체(32)를 삽입한 경우, 플러그 통체(32)의 선단 주위를 밀폐하는 링 패킹(25)이 끼워넣어져 있다. 내부 통체(15)의 내부에는 가이드통(20)이 스톱링(22)을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통(20)의 관통구멍에는 내부 통체(15)와 동축으로 밸브 샤프트(21)가 부착되고 내부 통체(15)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밸브 샤프트(21)의 대경 밸브 머리 부에는 링 패킹(24)이 끼워넣어져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23)은 가이드통(20)에 대해 밸브 샤프트(21)를 플러그 통체 삽입단측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링 패킹(24)은 밸브 시이트가 되고 있는 내부 통체(15)의 내벽(151)에 안착 하여 유통 구멍을 막고 있다. 그러나 플러그 삽입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는 밸브 샤프트(21)의 선단(211)이 압축 코일 스프링(23)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눌리면, 링 패킹(24)은 밸브 시이트에서 떨어지고 유통 구멍은 개방된다. 17은 내부 통체 조작통으로서, 상기 로크 보올 조작통(13)과 접속통(11)의 사이에서 주통체(10) 및 접속통(11)의 외주 면상을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고, 동시에 로크 보올 조작통(13)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끼워맞춤 되어 있다. 내부 통체 조작통(17)의 단면 부분은 로크 보올 조작통(13)이 로크 핀(14)에 의해 로크 상태에 있을 때에는 그 조작통(13)의 단면 부분과 맞닿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크 보올 조작통(13)이 로크핀(14)에서 떨어져서 로크 해제 상태에 있으면, 내부 통체조작통(17)이 소케트 주통체(10)의 외주면부에 노출된 로크 핀(14)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로크 보올 조작통(13) 쪽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내부 통체 조작통(17)의 로크 보올 조작통(13)과의 대향 단면부의 일부가 로크핀 진입 개구(171)로서 절결되어 있다.
또한, 내부 통체 조작통(17)에는 나사 구멍이 제공 되어 있으며, 이 나사 구멍에 조작 나사(181, 182)가 나사 부착되고 조작 나사 선단이 소케트 주통체(10)의 S자형 구멍(103)을 통하여 소케트 주통체(10)의 내부로 연장되고 내부 통체(15)의 홈(15)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하, 플러그(2)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2)는 플러그 통체(32)와 어댑터(30) 그리고 캡너트(33)로 이루어진다. 어댑터(30)의 기초부 안쪽에는 다른 배관과 접속하기 위한 암나사가 절삭되고, 그 반대쪽 소경부(322)의 외주에는 원주홈(301, 302)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각각에 O링(311, 321)(또는 탄성링(31)이라함)이 끼워넣어져 있다. 또한 어댑터(30)의 중앙부(323)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통체(32)는 어댑터(30)의 O링(311, 321)이 끼워진 소경부(322)에 씌워지고, 선단면부에는 유통 구멍(324)을 갖는 밸브 누름벽이 형성되며, 그 근방 외주면에는 소케트(1)와 접속하기 위한 보올 로크용 원주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캡 너트(33)는 어댑터(30)의 중앙부(323)의 수나사에 나사 부착되고, 플러그 통체(32)는 O링(311, 321)으로 시일되는 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2)의 플러그 통체(32)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밸브 기구를 설치하고 이 밸브 기구를 상기 소케트(1)쪽 밸브 샤프트(21)와 서로 밀어서 유통 구멍을 여는 구조로 해도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소케트와 플러그의 접속 분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소케트(1)의 압축 코일 스프링(19)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제1a도에서 하강시키고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우측방향으로 약간 돌림으로써 로크핀(14)을 그 조작통 단면부에 설치한 L자형 개구홈(131)에 걸게 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2)의 플러그 통체(32)를 소케트(1)의 소케트 주통체(10)에 삽입하고 소케트(1)에 설치한 로크 보올(12)과 플러그(2)에 형성한 원주홈(321)을 일치시키고, 다음에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제1a도 좌측 방향으로 약간 회전함에 따라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로크핀(14)에서 풀어 놓으면, 그 로크 보올 조작통(13)은 압축 코일 스프링(19)의 탄발력으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미끄러지고 로크 보올(12)를 그 조작통(13) 내주면부로 누르며, 다른쪽에서는 스톨링(29)에 의해 정착된다. 이에 따라, 로크 보올(12)의 원심 방향에의 움직임이 저지되고 소케트(1)와 플러그(2)의 접속이 완료한다. 이 시점에서는 소케트(1)의 유체 유통 구멍은 열리지 않는다.
다음에 내부 통체 조작통(17)을 회전시키면, 조작나사(181, 182는)는 주통체(10)에 형성된 대략 S자형 구멍(103)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조작나사(181, 182)를 거쳐 결합되어 있는 내부 통체 조작통(17)과 내부 통체(15)는 동시에 플러그 통체 삽입단쪽으로 이동한다. 내부 통체(15)가 이동함에 따라 밸브 샤프트(21)의 선단(211)은 플러그 통체(32)의 선단 밸브 누름벽에 맞닿고, 더욱 이동하면 밸브 샤프트(21)는 압축 코일 스프링(23)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가이드통(20) 측으로 밀리고, 링 패킹(24)은 밸브 시이트(151)에서 떨어져 유통 구멍을 연다. 플러그(2) 쪽에 밸브 기구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밸브 사프트(21)와 밸브 기구가 서로 밀어서 양쪽 유통 구멍을 연다. 이때 상기 로크핀(14)은 내부 통체 조작통(17)의 로크 보올 진입 개구(171)안에 위치하고 그 조작통(17)의 단부면은 로크 보올 조작통(13)의 단면과 맞붙으며 조작 나사(181)는 대량 S자형 구멍(103)의 평행부에 위치하고 유통 구멍을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지만, 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싶을 경우에는 원주홈(113)에 끼워 부착되어 있는 스톱링(28)을 이동하여 인접하는 다른 원주홈(112)에 끼워 붙이고, 이 스톱링(28)에 의해 내부 통체 조작통(17)을 제4도에 나타내는 위치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2)를 소케트(1)에서 분리 시키려 해도 내부 통체 조작통(17)은 로크 보올 조작통(13)이 후퇴하지 않도록 완전히 로크하여, 안전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또한 로크 보올 조작통(13)에 로크핀(14)을 걸어맞추게 하고 있는 경우에는, 로크 보올 조작통(13)은 상기 로크핀(14)으로 구속된 상태에 있고 이 조작통(13)이 내부 통체 조작통(17)의 이동을 저지하여 제1도에 도시한 위치에 멈추기 때문에, 내부 통체(15)는 제3도에 나타내는 하강 위치에 머무르고 밸브 샤프트(21)를 조작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유통 구멍은 폐색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케트(1)와 플러그(2)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소케트(1)와 플러그(2)의 축심이 다소 어긋나고 있다하더라도 이 경우에는 플러그(2)에 내장시킨 O링(311, 312)으로 축심의 어긋남을 흡수하여 접속에는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다음에, 접속되어 있는 관 이음매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먼저 내부 통체 조작통(17)을 접속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으로 내부 통체 조작통(17)과 내부 통체(15)는 조작 나사(181, 182)에 인도되어 후퇴하고, 내부 통체(15)내에 설치된 밸브 샤프트(21)의 링 패킹(24)은 이때 압축 코일 스프링(23)의 탄발력으로 재차 밸브 시이트인 내벽(151)에 착좌하여 유통 구멍을 닫는다. 이어서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압축 코일 스프링(19)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후퇴시키고 L자형 개구 홈(131)을 로크핀(14)에 걸게 하면, 로크 보올 조작통(13)은 로크 보올(12)의 구속을 해제하기 때문에 플러그(2)의 원주홈(321)에 대한 로크 보올(12)의 걸림은 풀리고 플러그(2)를 소케트(1)에서 쉽게 분리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소케트(1)와 플러그(2)를 사용한 배관 접속 시스템에 대해서 제5a도, 제5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온수 기구의 가스 도입 단자, 수도수 도입 단자, 급온수 단자의 설치 위치에 맞추어 미리 벽면등에 고정된 가스 배관(35), 급수배관(36), 급온수 배관(37)의 개구 단부에는 소케트(1)를 상향으로 미리 달아둔다. 이 경우 위치 결정을 위해 위치 결정판(271)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설치하려고 하는 급온수 기구 예컨대 물을 끓이는 기구(100)의 상기 3단자에는 각각 플러그(2)를 하향으로 향해 달아둔다. 급수, 급온수의 플러그(2)에 밸브 기구 내장의 것을 사용하면 가스로 물을 끓이는 기구(100)를 일단 사용한 후에 떼어내는 경우라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각 소케트(1)를 모두 로크 해제 상태, 즉 로크핀(14)을 로크 보올 조작통(13)의 L자형 개구홈(131)에 걸어 맞춘 상태로 하여 가스로 물 끓이는 기구(100)를 내리고 이 기구(100)쪽의 상기 각 플러그(2)를 각 소케트(1)에 한번에 삽입한다. 다음에 각 소케트(1)를 로크 상태 즉, 상기 로크핀(14)을 L자형 개구홈(131)의 걸림에서 풀고 플러그(2)의 원주홈(321)에 대해 로크 보올(12)을 걸어맞춤 상태로 하여 관 이음매의 접속을 완료한다. 이어서 각 소케트(1)의 내부 통체 조작통(17)을 순차로 회전하여 각 소케트(1)의 밸브를 열면 가스로 물 끓이는 기구(100)는 사용 가능케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소케트와 플러그를 접속함에 있어서 로크 보올을 풀고, 접속후는 다시 로크 상태로 되돌려서 양자의 접속을 완전히 하는 것은 종전의 관 이음매와 다른점은 없으나 이러한 작용을 관장하는 로크 보올 조작통에 대향시켜 설치한 내부 통체 조작통으로, 접속시에는 로크 보올 조작통의 이동을 규제시킴과 동시에 접속 상태에서만 내장 밸브 기구를 조작하여 유통 구멍을 열 수 있다. 더구나 내부 통체 조작통을 원위치에서는 상기 내장 밸브 기구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고 소케트와 플러그의 접속시에서의 로크 보올 조작통등의 조심성이 없는 조작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떼어낼적에는 내장 밸브 기구의 조작을 불가능케 하여 가스등 유체의 누설을 완전히 방지할 수 이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관 이음매를 각 배관에 사전에 달아둠으로써 가스로 물 끓이는 기구 당의 기기류를 원터치로 배관에 간단하게 달 수가 있다. 또 배관과 배관이 다소 축심이 어긋나더라도 문제없이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배관되어있더라도 접속 조작이 쉽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부주의로 인한 유체 누설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고 안정성, 작업성, 신뢰성이 높다.

Claims (1)

  1. 플러그 주통체(30)의 외주면에 형성한 원주홈(321)과 걸어 맞춤되거나 해체되는 로크 보올(12)을 구원심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하고, 외주면부에 이 로크 보올(12)을 구심방향으로 가압하는 면과 원심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간극을 갖는 로크 보올 조작통(13)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맞춘 소케트 주통체(10)와, 상기 소케트 주통체(10)내의 적당한 위치에, 축심을 상기 소케트 주통체(10)의 축심에 일치시켜서 배치한 밸브체에 대해 접촉 분리하는 밸브 시이트를 개구 선단부에 갖고 상기 소케트 주통체(10)내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 내부 통체(15)를 구비한 관이음매 소케트와 이 소케트에 삽입되는 관이음매 플러그를 구비한 배관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매의 소케트(1)가,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내부통체(15)를 미끄럼 시키는 내부 통체 조작통(17)을 상기 소케트 주통체(10)의 외주면에 상기 로크 보올 조작통(13)에 근접시켜서 맞닿고 분리할 수 있도록 종대로 끼워맞추고, 또 상기 양 조작통의 대향 단면부에는 로크 보올 조작통층에 소케트 주통체 외주면에 돌출 설치한 조작통 로크핀(14)을 안내하는 L자형 개구홈(131)을, 내부 통체 조작통(17)측에 상기 L자형 개구 홈(131)밖으로 나온 상기 조작통 로크핀(14)을 진입시키는 개구(171)를 각각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 이음매의 플러그는 관 이음용 소케트(1)에 삽입되는 플러그 통체(32)의 기부를 외주부에 나사 결합한 캡너트(33)로 어댑터(30)에 일체로 연결하고, 플러그 통체(32)와 어댑터(30)의 접속면에 상기 플러그 통체(32)를 흔들림 가능하게 탄성링(31)을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접속 시스템.
KR2019890013851U 1989-09-23 1989-09-23 배관 접속 시스템 KR930001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851U KR930001572Y1 (ko) 1989-09-23 1989-09-23 배관 접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851U KR930001572Y1 (ko) 1989-09-23 1989-09-23 배관 접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13U KR910006013U (ko) 1991-04-24
KR930001572Y1 true KR930001572Y1 (ko) 1993-04-03

Family

ID=1929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851U KR930001572Y1 (ko) 1989-09-23 1989-09-23 배관 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15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013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805A (en) Frost-resistant hydrant
KR100607124B1 (ko) 원통형 개구를 제거가능하게 폐쇄하기 위한 부재
US3330313A (en) Supply and receiver coupler
US3174508A (en) Double-end shut-off quick-connect tube coupling
EP0314381B1 (en) Coupling with lock indicator
US9297470B2 (en) Device for a valve
KR100701099B1 (ko) 접속기구
US20150129043A1 (en) Valves with multi-directional ball check
US7549445B2 (en) Female coupling member of a pipe coupling
GB917617A (en) Self-sealing pipe coupling
CN209245531U (zh) 一种锁定环设置在公端接头组件上的流体快速接头
US1973418A (en) Shut off valve
KR930001572Y1 (ko) 배관 접속 시스템
US2796881A (en) Faucets with removable plungers
JPH0616205Y2 (ja) 管継手用ソケットとプラグ並びにこれらを用いる配管接続システム
US6488043B2 (en) Valve system
US2692151A (en) Fluid line coupling means
AU2005252344A1 (en) Gas socket
NO751298L (ko)
US2461812A (en) Pop-up waste valve
JPH0735876B2 (ja) 管継手
FI107567B (fi) Pistoliitin painejohtoja varten
JPH1096252A (ja) 止水栓付き水栓用取付け脚
CN109185587A (zh) 一种流体快速接头
JPH09292082A (ja) 水栓の安全装置付きホース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